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방언

        유명복(Myung B. Yo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3 기독교교육정보 Vol.36 No.-

        본 연구에서는 심리학적 관점에서 방언현상을 탐구하였다. 방언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의 해석을 다루고, 방언과 성격, 방언과 정신건강은 어떤 관계가 있는지 논의하였다. 방언할 때의 한 현상이라 여겨지는 의식변용상태와 의식변용의 이점을 탐구해보고 특히 최근에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뇌와 방언과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Freud의 정신분석이론, Jung의 이론, 자아심리학 이론은 방언현상에 대해 카타르시스기능, 인격통합의 기능, 갈등완화의 기능이 있다고 주장했다. 초기 연구에서는 방언이 정신병리현상과 관계가 있음을 지적했지만 최근의 연구에서는 방언하는 사람이 정신병리적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감정적 이완을 경험하여 정신적으로 더 건강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그 외에도 방언이 외향성 및 정서적 안정성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방언과 의식변용상태에 대해서는 방언이 깊은 경지에까지 들어가면 변용된 의식상태에 있게 되고 그리 깊지 않은 방언을 할 때는 의식의 변용을 경험하지 못하는 듯하다. 방언이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방언할 때 언어를 담당하는 좌뇌보다 우뇌가 활성화되는 점을 미루어 방언과 우뇌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henomenon of speaking in tongues, glossolalia, is the most controversial and confusing aspect of the Charismatic Movement. After the rise of Charismatic Movement, research on glossolalia flourished in America. Expert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have studied the phenomenon of glossolalia since 1960. Glossolalia is explained from the perspective of Freud’s psychoanalysis, Jung, and ego psychology. Glossolalia is considered as means of conflict resolution, personality integration, and self-indulgence. Early in the 20 century, glossolalics were described as schizophrenic, hysteric, cataleptic, regressive, emotionally unstable, and excessively dependent. However, available evidence requires that an explanation of glossolalia as pathological be discarded. Research also shows no difference between glossolalics and non-glossolalics regarding self-esteem, depressive affects, and psychosomatic symptoms. In addition, glossolalia actually benefits the person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who uses them. The debate that has at times dominated research on glossolalia is whether tongue speakers experience altered state of consciousness, cognitive disorganization, trance state, or dissociation. Some research shows that glossolalia does not require a person to be in an altered state. Some research shows the altered states are very common in the general population. More research is need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lossolalia and the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One of the most recent investigations of glossolalia employed neuroimaging in order to clarify what occurs in the brain of glossolalia during ritual practice. The results of research show consistently that right-hemisphere of brain is active during glossolalia.

      • KCI등재

        방언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

        유명복(Myung B. Yo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3 기독교교육정보 Vol.38 No.-

        본 연구는 방언과 상황, 방언의 목적 및 효과, 방언의 특성 등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 조사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양적연구로, 여성 260명, 남성 130명, 총 39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중 서양의 연구결과와 비슷한 것도 있었고 상이한 것도 있었다. 특별히 방언을 받을 때 다른 사람의 도움 여부와 방언할 때 의식변용 상태에 대한 것은 기존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다. 방언이 깊은 기도를 할 수 있고 하나님과 깊은 교제를 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은 본 연구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방언하는 중 어떤 느낌을 가졌느냐는 질문에는 하나님과 가까움, 성령 충만이라고 답한 사람이 많았고 그 다음이 평안, 평온이었다. 방언에는 대부분 동반현상이 따르고 동반현상으로는 환상, 몰입, 진동, 뜨거워짐의 순이었다. 방언을 하는 사람 중 절반 정도가 다른 은사를 가지고 있었다. The phenomenon of speaking in tongues, glossolalia, is the most controversial and confusing aspects of the Christian circles. After the rise of Charismatic Movement, research on glossolalia flourished in America. Expert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have studied the phenomenon of glossolalia since 1960 in the Western world. However, in Korea research on glossolalia in social science perspective is scarce. This research used survey methodolog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survey questionnaires consist of 26 questions including, 4 areas of glossolalia demographic information, setting and glossolalia, purpose and benefit of glossolalia, and characteristic of glossolalia. 130 men and 260 women who can speak glossolalia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effects of speaking in tongues are to release of burden, give joy, or bring down, strongholds within people"s lives. Glossolalia helps the speaker focus on prayer and communicate when words feel limited. It also enables the speaker to build a relationship with God. What emotions are observed during glossolalia is spirit-filled and peacefulness. Half of glossolalians have another spiritual gift.

      • KCI등재

        초심리학에 대한 기독교적 접근

        유명복(Myung B. Yo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3 기독교교육정보 Vol.39 No.-

        초자연적 현상에 대해 과학적으로 설명하려는 심리학의 한 분야를 초심리학이라 한다. 초심리학이 연구하는 영역은 주로 세 영역이다. 첫째는 사람의 오감을 사용하지 않고 논리적 추론 없이 정보를 얻는 텔레파시나 투시 등 초감각 지각이 있다. 둘째는 마음이 몸을 사용하지 않고 몸을 초월하여 영향을 주는 염력이 있다. 셋째는 심령술과 임사체험이다. 본 논문에서 각 현상에 대한 탐구와 함께 기독교적 관점에서 비판하였다. 초심리학의 어떤 발견들은 언젠가 우리가 현재 가지고 있는 물리적 법칙만큼이나 분명하고 인정받는 체계가 될 지도 모른다. 초심리학에 대해 개방된 자세를 가져야 하나 동시에 초심리학에 대해 그리고 초심리학이 밝힌 것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해야 할 것이다. Parapsychology is the scientific and scholarly study of certain unusual events associated with human experience. The origin of parapsychology can be identified with the movement of spiritualism in 19century. Parapsychology phenomena can generally be broken into three general categories: Extrasensory perception, Psychokinesis, Spritualism, and Near-death experience. The two main forms of ESP are telepathy and clairvoyance. Psychic kinesis is mind moving matter. Spiritualism is a religion postulating the belief that spirits of the dead residing in the spirit world have both the ability and the inclination to communicate with the living. Near-death experience refers to personal experiences associated with impending death. This article investigates each phenomenon of above main themes of parapsychology and evaluate them in a Christian perspective. Despite the lack of solid empirical evidence to support parapsychology claims, it seems resonable to remain somewhat openminded. Although acquaintance with the sciences is needed for "theological rationality, theology has to remember that it lays no foundation underneath the Christian faith.

      • KCI등재

        명상에 대한 기독교적 고찰

        유명복(Myung B. Yo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4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42

        종교의 영역에서 신비한 것으로 여겨지던 명상이 최근에는 심신의 고통을 치유하는 실제적인 방법으로 인식되어 대중의 관심을 끌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명상의 유형과 특징, 명상의 효과 및 기독교 관점에서 명상을 조명하였다. 명상에는 크게 집중명상과 통찰명상이 있다. 집중명상은 특정한 대상에 주의를 집중함으로 산란한 마음을 고요하게 안정시키는 방법이다. 통찰명상은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고 알아차림으로써 존재의 실상을 체득하는 지혜를 얻는 수행방법이다. 요가, 초월명상, 그리고 마음챙김에 대해 각각 설명하였고 현재 기독교계에 논의가 되고 있는 관상기도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동양의 명상은 변형된 의식을 목표로 하고 하나님을 바라보기보다 자신의 내면을 바라보며, 대부분의 명상체계는 궁극적인 실재와의 합일을 갈망하고, 그 궁극적인 실재는 브라만이나 우주와 같은 비인격적인 실재이다. In this paper, types of meditaiton, characteristics of meditation, the effect of meditation and christian perspective on meditation are discussed. Many people view meditation as a means to develop their natural and psychic powers. In other cases, people practice meditation with the goal of self-relaxation. Whatever the case may be, the fact is, this kind of meditation—that is, Eastern meditation— is characterized by self-centered objectives. In Christian perspective, Eastern meditation draws people away from God by encouraging them to look inwardly to themselves rather than to God. Additionally, the kind of meditation emptying one’s mind opens up the possibility of demonic deception, manipulation, and yes, even possession. In fact, Christian meditation calls us to look upward and outward to God so that our minds may be filled with godly wisdom and insight, and so that our hearts may be filled with comfort, happiness, and joy. Meditation need to be investigated more in order to lead people to have sound doctrine about meditation for sound faith community.

      • KCI등재

        음악의 치유기능에 대한 고찰

        유명복(Myung B. Yo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6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49

        음악은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활동으로 인류의 시작과 함께 지금까지 존재해 오며 우리의 마음에 평안과 위로를 주고, 우리의 영혼을 고조시키며, 성스러움을 자극하기도 하는 치유기능을 가지고 있다. 일반 학문에서는 1940년대부터 음악의 치유기능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었고 현재 음악이 여러 방면으로 유기체에 도움을 주고 있다. 기독교교육현장에서도 음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좀더 깊은 연구와 논의 그리고 적용이 있기를 기대하면서 본 연구에서는 음악의 치유기능과 그 이면의 원리에 대해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음악의 치유의 역사, 성경에 나타난 음악의 치유기능, 그리고 음악에는 구체적으로 어떤 치유의 기능이 있으며, 치유를 가능하게 하는 원리에 대해 논의하고, 이런 음악을 기독교교육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제안하였다. Since ancient times, music has played an essential part in human life. Music has been used as a means of healing since the beginning of mankind. In secular academic circle, music therapy has been investigated and practiced in multiple dimensions. However, in Christian circles, the healing function of music has been neglec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hasize and awaken the importance of music as healing power. A brief historical overview of music therapy, the healing function of music in the Bible, the healing phenomena of music and the principles of healing of music will be discussed. In addition, some practical application of music in Christian education will be suggested.

      • KCI등재

        이중직 목회자가 겪는 심리적 갈등

        유명복(Myung B. Yo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0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7

        지속적인 교세 감소와 교회 재정의 어려움으로 이중직 목회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중직 목회가 이상적인 것은 아니지만 현재로서는 불가피한 대안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중직 목회자에 대한 성경적, 역사적 고찰과 함께, 이중직 목회자가 겪게 되는 심리적 어려움인 정체성 갈등, 낮은 자존감, 죄책감 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정체성과 관련하여 첫 번째 문제가 되는 것은 이중직 목회로의 부르심이 타당한가에 대한 의문이다. 이중직 목회가 성경적으로 신학적으로 충분한 근거가 있는가? 이중직 목회에 부르심을 받았는가 하는 소명의 문제이다. 이중직 목회자가 갖는 또 다른 정체성 문제는 목회와 다른 직업 사이에서 오는 역할에 대한 갈등이다. 많은 이중직 목회자들이 낮은 자존감을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교회에서 전적으로 지원하는 전임사역을 하는 목회자들이 이중직 목회자들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고, 이중직 목회자들이 섬기고 있는 대부분의 교회가 작기 때문에 교회의 크기가 자존감에 영향을 미친다. 이중직 목회자는 또한 죄책감을 가진다. 재정적으로 어려워 다른 직업을 갖고 일을 하는 것이 목회자 자신이 믿음이 없어 전적으로 하나님을 신뢰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죄책감을 느낀다. 이중직 목회자는 자신이 소속한 교단에서 규정해 놓은 이중직 금지 조항을 어기고 있기에 또한 양심의 가책을 가진다. 이중직 목회자는 시간이 많지 않아 영적인 생활도 충분히 하지 못하고, 교인들을 충분히 돌볼 수 없으며, 가족을 잘 돌보지 못하기 때문에 죄책감을 느낀다. The number of bivocational pastors is increasing due to the continuous decrease in church growth and the difficulty of church finances. While bi-vocational ministry is not ideal, it is now an inevitable alternative. In this paper, along with biblical and historical considerations of bi-vocational pastors,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faced by bi-vocationalual pastors, such as identity conflicts, low self-esteem, and guilt were discussed. The first issue in relation to identity i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all to bi-vocational is reasonable. The question is whether the bi-vocational pastor has sufficient grounds for biblical theology, and whether the bi-vocational pastor has been called to the bi-vocational. It is a conflict over one"s role between the ministry of dual-career and other profession. Many bi-vocational pastors have low self-esteem. The reason for this is that pastors who serve full-time ministry fully supported by the church tend to ignore bi-vocational pastors, and the second seems to come from the size of the church served by bi-vocational pastors. Bi-vocational pastors feel guilty. It is a lack of faith for pastors to work with other jobs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and they feel guilty for not trusting and devoting entirely to God. A bi-vocational pastors feel guilty because they can"t think enough of the church members when they don’t have much time, lack spiritual life, and can"t spend time with his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