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전쟁 이후 극장 문화 로컬리티(Locality) -강원도 도시를 중심으로

        위경혜 ( Gyeong Hae We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大東文化硏究 Vol.77 No.-

        이 글은 영화의 역사적 존재 방식을 살피는 것으로, 한국전쟁 이후 극장 설립 및 영화 상영을 둘러싼 담론과 문화적 실천(practices)을 살펴 영화가 개입한 지역 사회 역사를 규명하고 있다. 본 글은 한국전쟁 경험이 지역민 일상생활 주조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강원도 도시 지역-원주와 춘천 그리고 속초와 강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전쟁 경험은 전후 강원도 지역 도시 성격을 규정하였다. 전후 원주와 춘천은 군부대 집결지이자 미군부대 주둔지가 되었으며 속초는 월남민 정착 수복 도시로 성장하였다. 반면, 강릉은 관동 지역 전통 도시를 대표하면서 식민지시기 형성된지역 엘리트의 사회적 영향력이 전후까지 지속·확장되는 모습을 보였다. 강원도 도시별 극장 문화는 반공의 사회 질서에 바탕을 둔 흥행장 논리와 미군부대 주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 검증 그리고 지역 엘리트 집단의 권력 구조등 요인으로 복잡하게 전개되었다. 도시별 극장 문화는 지역 간 유사성과 상이성이 혼재된 양상이었지만, 그럼에도 이들을 관통하고 있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군부대 존재는 강원도 도시 극장 문화의 로컬리티를 발현시키는 절대적 요인이었다. 둘째, 지역 엘리트에게 있어서 극장 설립과 영화 상영은 지역 내 패권적 문화 권위를 생산하는 주요한 매개로 기능했다. 셋째, 영화 상영 주체들 - 극장, 문화원 그리고 官- 이 협동하여 전개한 지역 사회 전체를 대상으로 한 영화 상영은 반공 이념의 문화 국가 건설에 일조하였다. This essay examines the historicity of cinema in the Locals during South Korea`s post-Korean War era, spanning from the mid 1950s to the 1960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ocality of the cultural practices surrounding foundation of movie theaters and the film exhibition, this work deals with the backdrop of the advent of the movie theaters in the Gangwon-do, focusing on the major cities whose characteristics were intensively shaped by the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Considering that the narration of the historical experiences in the major cities in the Gangwon-do could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whole country, this work endeavors to declare the historicity of the discourse on foundation of movie theaters and the film exhibition practices, which was interlinked with the social changes of the cities followed by the Korean War. In response to the effort, this work brings about the following results. Due to their identities as the rear areas for military lines, the two cities such as Wonju and Chuncheon showed the prosperity of the Local movie theaters based on the rhetoric of the anti-Communism and pro-Americanization. And the film exhibition in the city of Sokcho was to exert its function as an effective means to verify the identity of the Local resident as the South Korean people because the great portion of the population in the city was composed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Meanwhile, the city of Gangneung displayed somewhat different film exhibition practices from those of the other cities. It is noticeable feature that the city of Gangneung represents the Local influentials` collaboration in its community, leading the film exhibition for both entertainment and propaganda by the members of the one`s own family. In conclusi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hanges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cities features prominently in the cultural practices - the discourse on foundation of movie theaters, the film exhibition practices, etc. - in four major cities in the Gwangwon-do. The residence of the American Army base was the fundamental element for producing the Locality of Cultural landscape surrounding movie theaters in the Gwangwon-do. The foundation of movie theaters and the film exhibition functioned as the way of seizing supremacy in the process of culture production for the Local elites in their Local communities. And the interlocking relationship among the leaders of the film exhibition such as movie theaters, the Culture Center and governmental foundations contributed the construction of Korean-ness based on the Anti-Communism.

      • KCI등재

        1960년대 ‘지방’ 상설극장 개관의 역사성

        위경혜(Wee, Gyeong-Hae) 역사문화학회 201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0 No.2

        이 글은 1960년대 통칭 서울을 제외한 지역에서 개관한 상설극장의 역사성을 분석한 것이다. 이 글은 산업화 전개와 냉전체제 강화 시기 대중문화의 지역성 발현 장소로서 상설극장을 이해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즉, 한국전쟁 이후 지역 상설극장 자본의 성격과 극장의 위상, 순업을 비롯한 문화원과 같은 상설극장 바깥의 영화 상영의 제도화, 그리고 상설극장 전국화에 따른 관객성과 문화 담론의 변화 등이다. 연구를 위해 극장 관련 기존 연구를 재구성하고 현장성을 파악하기 위해 구술사 방법론에 의존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지방’ 도시 상설극장 개관은 한국전쟁 이후 원조 과정에서 축적한 자본을 토대로 흥행업으로 전환한 경우였다. 둘째, 상설극장의 위상은 도시와 비도시 그리고 지역에 따라서 다층적인 양상을 보였다. 극장은 이윤 추구의 대상이자 문화 권력의 점유 장소였고 효과적인 공보 전달의 장이었다. 셋째, 개관 상설극장 증가는 이전까지 번성한 가설극장을 소멸시켰지만 다른 한편으로 순업의 제도화 및 문화원을 통한 영화상영의 전국화와 함께 진행되었다. 마지막으로, ‘새 문화 전당’으로 명명된 신설 상설극장은 역설적이게도 탈법의 공간이었으며, 관객과 문화 담론을 우열의 비교대상으로 설정하고 대당 관계를 형성하는 장소였다. 무엇보다도 이 글은 ‘지방’을 역사 서술의 중심으로 설정하고 1960년대 한국의 극장 역사를 재구성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work examines the historicity of local movie theaters in South Korea in the 1960s. The term “local” in this paper refers to all regions except for Seoul, the capital of South Korea. Movie theaters were places of revelation of the locality surrounding the film exhibition and reception in the context of the Cold War regime after the Korean War(1950-1953). This work explores three dimensions: the social backgrounds of the founders of the movie theaters and the status of movie theaters in each regi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films shown in non-movie theaters such as at cultural centers and itinerant film exhibitions, and the change in audiences and the cultural discourse, followed by the rapid increase in movie theaters in the whole country during the period. Part of the study includes an analysis based on written documents about the cultural landscape of movie theaters, a reexamination of existing research results about the history of movie theaters, and oral testimonies from people involved in the running of movie theaters in the country. This paper mainly relied on the oral testimonies. After exploring these sources, this study has revealed a number of findings. First, it found that movie theaters opened as a result of the accumulation of capital from the grant-type aid provided by the USA after the Korean War. The status of movie theaters, however, varied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in cities, regions, urban or rural areas, or in the outback. Second, the growth of movie theaters resulted in the disappearance of temporary theaters, while the traveling film exhibitions remained in the rural areas, run by showmen and the cultural center with the support of the Korean government. Finally, the many newly established movie theaters during the period were referred to as “the halls of new culture.” However, ironically, movie theaters could be easily transformed into the center of illegal activity because of noncompliance with regard to the reserved seat system, which was connected with tax payment. In addition, movie theaters were places where film viewers we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categories, “audience members” and “spectators,” and where the cultural discourse was divided into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all of which were placed in hierarchical relationships. In conclusion, this work is significant in that it makes local regions the locus of the history of Korean movie theaters, enabling us to develop a description of the history and reconstruct the story of Korean movie theaters.

      • KCI등재

        한국전쟁이후 1960년대 비도시 지역 순회 영화 상영

        위경혜(Wee Gyeong-hae) 역사문화학회 2008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1 No.2

        이 글은 한국전쟁 이후 1960년대 한국영화 중흥의 시기까지 군 단위 이하 비도시 지방에서의 순회 영화 상영이 국민국가 형성과 한국영화 산업 발전과 맺는 상관성, 그리고 순회 영화 관람 행위가 지역에서의 의미와 관객의 정체성 형성에 미친 영향을 밝힌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50년대 이후 한국사회 극장의 등장 추이와 지역 간 편차등 순회 영화 상영이 등장하게 된 한국영화 산업의 배경이다. 둘째, 한국사회 순회 영화 상영 역사에 대한 개괄과, 전후 반공과 냉전의 근대화 과정이 순회 영화 상영의 등장 배경으로 작용한 것을 밝히고 있다. 셋째, 순회 영화상영의 주도 세력, 규모 그리고 활동 범위 등 구체적인 내용을 전라남북도의 대표적 흥행 종사자들의 구술을 통해 파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비도시 지방 관객의 영화 관람 경험과 순회 방식이 지역 공동체의 정체성 형성과 근대화 과정에 부여한 의미를 다루고 있다. 전후 흥행을 위한 순회 영화 상영은 몇몇의 개인이나 극장 모두 이윤의 확장을 위해 시작되었는데, 그것은 비도시 지역에서의 영화의 수요와 흥행이 도시 극장에서의 그것 못지않게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정치사회적 측면에서 보아, 전후 순회 영화 상영은 주로 당시 반공의 기치 아래 세력을 확장한 경찰 기구의 지지와 후원을 통해 이루어졌다. 특히, 지방 문화원이 실시한 계몽 목적의 순회 영화 상영은 1960년대 박정희 정권의 개발과 발전 담론에 농촌 지역민을 동원한 기제로 작동했다. 영화산업적 측면에서 보아, 195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지역별 필름 간접배급 시스템은 순회 영화 상영이 안정적이고 조직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순회 영화 상영은 읍면 단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면서 지방필름 배급사의 이윤도 확대시켰다. 영화문화사적 측면에서 보아, 비도시 지방에서의 영화 관람은 도시 생활 문화의 대체 경험이자 근대 이전 사회가 억압했던 섹슈얼리티(sexuality)를 발현시키는 장(場)을 형성했다. 하지만 비정기적‘순회’를 통한 영화 관람은 비도시 지역의 사회 질서를 통합하고 관리하는‘축제’의 기능 역시 담당하는 양가적인 의미를 갖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This work examines the itinerant film exhibition practices that involved tour in small towns where movie theaters did not exist, focusing on the north and south Chula province. The itinerant film exhibition has not received much scholarly attention in the field of film studies, but it warrants an in-depth study to address issues such as what made the flourishing of the itinerant film exhibition during the period from the post-Korean War to the 1960s, what roles the traveling exhibition played in order to develop the South Korean film industry, and what cinema-going meant to the public in the rural areas during that time. To problematize the film exhibition practices in the rural areas is to resuscitate the voices and experiences of the outer regions and interweave them into history. The events and practices are therefore re-told, recorded and imagined in order to recover the cultural landscapes in rural areas that were as historical as the metropolitan cultural practice was. By the mid 1950s the number of theaters in the whole country reached slightly over one hundred, which were mostly located in the cities. Few rural audiences had the experience of viewing films in the theater, and the itinerant film shows was the important means available to them. The rural areas in the north and south Chula provinces witnessed the renaissance of the itinerant of film exhibition from the mid 1950s to the 1960s.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itinerant film exhibition practices is that the practices during the period were intensely interwoven with the socio-political circumstances based on the anti-Communism and the Cold War followed by the Korean War. And the flourishing of the itinerant film exhibition in the rural areas depended on the conditions of film markets such as the indirect film distribution by regions formed in the late 1950s in South Korea. In relation to the audience-ship, it is worth noting the ambivalent attitudes of the rural audiences toward the experience of film viewing by the itinerant film exhibition. To them the experience of cinema-going was a substitute for urban life which compensated them for living in underdeveloped regions. The communal gathering at the temporary tent-theaters offered a social arena in which different ages, gender and class were treated as equals, challenging the established social orders and norms. By the same token, the physical gathering made an effect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of their communal membership among the rural residents, while the rural residents awakened the disparity between city and country. In other words, filmviewers in the rural areas continuously negotiated two contending social positions: one as agents of cultural desiring and consumption, and the other as subjects that constantly faced cultural marginalization within the rhetoric of nation-building based on urban culture and the discourse of the ‘modernization.’

      • KCI등재

        1970년대 초반 도시와 극장 위생: 부산의 부전역 주변 재개봉관을 중심으로

        위경혜(Wee, Gyeong-hae)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90

        이 글은 1969년 전국적인 콜레라 확산 상황에서 부산시 부전역 인근 재개봉관을 중심으로 극장을 둘러싼 위생 담론과 그것의 정치적 효과를 살폈다. 부전역 인근 재개봉관은 미군 부대와 대규모 시장 그리고 성매매 집창촌 등 물류와 인구 이동이 빈번한 곳에 자리하였다. 하지만 전국적인 재해 발생에도 불구하고 극장 위생 실태조사는 형식적인 절차에 그쳤으며, 삼선개헌과 미군 철수와 같은 사회적 재난 앞에서 뒷전으로 물러났다. 게다가 극장 공간의 위생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관련 조항은 공연법에 제시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전역 앞 성매매 집창촌 인근 재개봉관은 불결과 혐오의 장소로 인식되었다. 이는 수인성 질병과 관련된 부산의 분뇨처리와 식수 관리 등 생활세계 문제와 연관되었다. 재개봉관은 불법과 범죄의 공간이라는 낙인이 찍혔는데, 이는 삼선개헌이라는 국가 폭력을 가리는 구실로 작용하였다. 불법 공간이라는 혐의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었던 개봉관 역시 탈세 혐의를 받는 감시의 대상이었다. 다시 말하여, 1970년대 초반 부산의 재개봉관에 대한 부정적인 의미부여는 정권 유지를 위협하는 잠재적 저항 집단으로서 청소년과 노동자 계층에 대한 통치 전략이었다. 나아가 사회 정화 대상으로서 재개봉관에 관한 명명은 한국전쟁 이후 피란 도시로 변한 부산의 극장 문화를 보여주었다. 1950년대 설립된 아동극장이 전쟁고아와 부랑자 구호를 내세웠다면, 1970년대 초반 재개봉관은 이들에 대한 통제의 담론을 투사하는 곳이었다. 이는 1970년대 중반 형제복지원으로 대표되는 사회적 소수에 대한 국가 폭력의 정당화를 향하고 있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sanitation discourse surrounding the second-run movie theaters near Bujeon Station, Busan, in the context of a nationwide cholera outbreak in 1969,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Second-run movie theaters proliferated in the crowded areas near Bujeon Station that housed US military bases, large markets, and brothels. Despite the rapid outbreak and spread of cholera, administrative authorities were perfunctory in implementing measures for disease surveillance and quarantine for movie theatres because attention was diverted more toward political issues such as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for dictatorship and the withdrawal of the US military forces from Korea. Moreover, the Performance Act of that time did not contain relevant provisions to address the issue of movie theater sanitation. These circumstances led to a perception of second-run movie theaters near the brothels in front of Bujeon Station as places reeking of filth and squalor. Hence, they were dubbed the “honey bucket.” This state of affairs in Busan was an outcome of sanitation and hygiene issues, such as poor waste disposal mechanisms and lack of clean drinking water, which, in turn, spread water-borne diseases. Second-run movie theaters were also stigmatized as a space of illegality and crime, which served as an excuse for state violence in the name of constitutional amendment and extended the Park Chung-hee government’s term in office. The first-run movie theaters, which remained relatively free of allegations as a place for illicit activities, also came under scrutiny for tax evasion. In other words, the negative connotation attached to Busan’s second-run movie theaters in the early 1970s was in fact a government strategy to target the youth and working class, which was a potential resistance group that threatened the regime’s survival. Furthermore, designating second-run movie theaters as targets for social purification revealed the cultural landscape surrounding movie theaters in Busan, which had transformed into a refugee city following the Korean War. While the children’s theater was established in the 1950s to promote relief for war orphans and vagrants, second-run movie theaters, in the early 1970s, became places where the state could publicize the discourse of filth and exert control over local residents. This move was aimed at justifying state violence against the social minority represented by the case of the Brotherhood Welfare Center in Busan.

      • KCI등재

        1950년대 ‘굿쟁이’ 이동영사

        위경혜(Wee, Gyeong-Hae) 역사문화학회 2012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5 No.2

        이 글은 한국전쟁 이후부터 박정희 집권 초반까지 비도시 지역의 주요한 영화 소비 방식인 이동영사의 역사적 성격 규명과 사회문화적 의미를 분석하고 있다. 1950년대 중반은 국내적으로 전쟁경험에 따른 반공 이념이 지배하는 가운데 세계사적으로 냉전의식에 기반을 둔 미국화가 진행된 시기이다. 한국영화 산업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동 시기는 한국 영화 제작 증가와 함께 상설극장의 개관 역시 증가한 시기이다. 하지만 상설극장은 지역에 따라 편차를 보이며 등장했으며 지역별 영화 상영과 관람 문화 역시 상이한 양상을 드러냈다. 도시와 달리 비도시 지역에서 인기를 누린 영화 상영 방식은 이동영사였다. 이동영사 흥행은 비도시 지역의 상설극장 부족과 다수 인구의 상존 그리고 절기(節氣)와 계절 변화에 순응하는 노동 특성에 따른 것이었다. 이동영사 활동은 전후 반공 세력의 주도와 미국의 대외 문화 전략에 힘입어 더욱 발전하였다. 흥미로운 사실은 비도시 지역 관객의 이동영사를 통한 영화 관람이 근대 이전 유랑예인 놀이 문화의 연장선에서 이뤄진 점이다. 근대 이전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나 식민지 말기 사라진 유랑예인 문화가 1950년대 비도시 지역 관객의 영화 수용과 향유 방식에 변용되어 전승된 것이다. 비도시 지유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1960년대 새로운 국가 권력 등장은 비도시 지역민의 영화 관람 문화의 자율성을 획일화 시켜갔다. 유랑예인 놀이는 민족을 앞세운 ‘전통’의 이름으로 박제화 되고, 영화는 ‘근대’의 이름으로 대중문화 전면에 배치된 것이다. 유랑예인 놀이는 문화 향유의 맥락에서 탈락되어 ‘한국성(Korean-ness)’을 강조한 문화영화 제작의 시각적 재료로 동원되어갔다. 국가 주도의 영화-국민국가 수립을 위한 일련의 제도적 장치는 비도시 지역 관객을 문화 향유 주체라기보다 근대 문화 교육 대상으로 자리매김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the historicity of itinerant film exhibition practices in rural areas during South Korea’ post-Korean era, spanning from the mid 1950s to the early 1960s. During the period the ideology of the Anti-Communism was the key to construct the structure of entire social system, while the Americanization proceed to build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A through the film exhibition that was based on the structure of feeling such as solidarity, sympathy, and mutual understanding. Under the circumstance, the itinerant film exhibition flourished in small and medium-sized towns where movie theaters did not exist. The itinerant film exhibitions could be fit for the features of rural labors ruled by seasons, the change of weather and the existence of quite a few number of population in the rural before the beginning of the full-scale industrialization in the early 1960s. Interestingly, the itinerant film exhibition practices were greatly similar to the entertainment practices by the strolling players who traveled whole country and served amusement to the ordinary people with their talents in pre-modern Korean society. The audiences also named viewing films by the itinerant film exhibition as a ‘ut’which was the predominating practices in pre-modern Korean society. The itinerant film exhibition practices revealed their uniqueness by providing the local people with vernacular environments for interpreting the cinema-going experience in their cultural contexts. Therefore, the local people took the lead both the film showing and film viewing practices, which were quite a different film culture in urban areas. However, the close relation between the pastime practices of the wandering artistes and itinerant film exhibition practices bifurcated and segmented into two different ways in the name of ‘radition’and ‘odernization’in the 1960s. It was more accelerated by the construction of ‘ilm-nation/state’ positioning films as an effective means of propaganda the ‘orean-ness’to the world, especially the West.

      • KCI등재

        극장 문화의 지역성 ―한국전쟁 이후 대전을 중심으로

        위경혜(Wee, Gyeong-hae)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6 No.2

        이 글은 교통의 요지이자 한국전쟁 이후(약칭 전후) 후방 군사도시 대전의 극장 문화를 기술ㆍ분석한 것이다. 전후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극장을 둘러싼 다양한 문화 양상을 살피기 위해, 이 글은 한국전쟁 동안 극장 위상의 변화, 전후 극장 설립자의 사회적 배경과 지역 사회 네트워킹 형성, 극장의 장소성 그리고 전후 재건 과정에서 극장의 위상을 탐구했다. 연구를 위해 도시 대전 관련 문헌과 지역 일간지 그리고 영화 흥행 종사자 구술 증언을 분석했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전의 극장 문화 형성은 대전역과 인근의 중앙시장으로부터 절대적인 영향을 받았다. 철도를 통해 인구와 물산을 전국으로 연결한 대전역이 극장 흥행의 전제 조건을 마련한 것이다. 둘째, 전후 지역 극장 소유/운영자 대부분은 극장 개관 이전 상업에 종사했으며, 극장을 운영하면서 교육과 의료 그리고 유통 등 여타 분야로 사업을 확장했다. 이 과정에서 극장 관주들은 지역의 여론 주도자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망을 형성했다. 셋째, 전후 대전의 극장 크기는 부산과 대구 다음으로 대규모였으며, 일부 재개봉관은 혈연과 지연 등을 이유로 흥행의 유리한 지점을 확보했다. 넷째, 지역 극장은 대전역을 전후로 극장 등급의 위계를 형성했 으며, 관객성 역시 극장 등급을 반영하며 달리 나타났다. 이는 도시 대전의 중심과 주변 간 차이를 드러내면서 이질적인 극장 문화를 형성했다. 마지막으로, 전후 대전의 극장은 재건과 도시화를 가늠하는 척도로 기능하면서 근대화에 동참했다. 하지만 그것은 도시 간 그리고 도시와 비도시 간 차이를 보이며 진행되었다. This work examines the historicity of the cultural landscape of movie theaters in the city of Daejeon in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1950-1953).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ocality of the cultural practices surrounding movie theaters during the period from the mid-1950s to the early 1970s, this work explores three dimensions: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founders of the movie theaters and their social networking in the communities, the placeness of movie theaters, and the topological status of movie theaters in the process of postwar reconstruction. Part of the study includes an analysis based on written documents published by city studies organizations, Daejeon’s daily newspapers, and oral testimonies from people involved in the movie theaters in the city, all of which are mainly relied on for this work. After exploring these sources, this study has reached a number of conclusions. First, it found that the Daejeon Station was a pivotal site in the founding of the majority of movie theaters in the city, as the station connected the whole country by railroads. This led to a concentration of the population in the city, which is a precondition for box-office profits. Second, the founders of movie theaters were remarkable in that they were all engaged in commerce, a typical field of employment in the city after the war, before they entered into the entertainment industry. Interestingly, the owners or representatives of the local movie theaters formed social networks with opinion leaders in the educational world and the city’s local Cultural Center. Third, the movie theaters in the city formed a hierarchy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they were located. That is, the first-run movie theaters were in the front of the Daejeon Station while the re-opening movie theaters were at the back of the station in the suburbs of the city. Furthermore, the cinema-going experiences of film audiences varied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the movie theaters. Finally, the movie theaters in the city functioned as a measure of modernization during this time. Thus, they had to be fully air-conditioned facilities in order to meet the development policy of the city after the Korean War. In conclusion, the cultural landscape of movie theaters in the city of Daejeon after the Korean War suggests diverse aspects of the locality of both foundation and management of movie theaters in the context of modernization.

      • KCI등재

        식민지 개항도시 극장의 장소성 -군산 지역을 중심으로

        위경혜 ( Gyeong Hae We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0 大東文化硏究 Vol.72 No.-

        이 글은 도시 지리 공간 특성에 따른 극장의 변별성을 알아보기 위해 식민지 개항도시 군산 지역 극장의 장소성을 밝히고 있다. 場所性은 특정의 물리적 공간에서 벌어지는 인간의 활동 및 이에 따라 개인과 집단이 공간에 부여한 가치와 의미를 밝히는 개념이다. 군산은 일본 제국의 미곡 생산과 수탈을 위해 일본인 이주 및 정착을 위한 도시를 기획하면서 조선인을 도시 주변으로 축출한 지역이다. 군산의 양대 극장 喜笑館과 群山座/군산극장은 조선인과 일본인 종족 간 경계의 접점 또는 조선인 거주지 중심에 등장했다. 이 글은 먼저, 지역 극장 성격 분석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종족별 도시 공간의 이중성과 극장이 자리한 장소의 성격을 밝히고 있다. 다음으로, 극장 프로그램 구성의 시대별 특징을 살펴 식민지 조선인에게 극장의 기능과 역할 및 그 의미를 구명한다. 마지막으로, 극장 흥행과 관객 구성 그리고 조선인의 극장가기(cinema-going) 경험의 역사성을 규명하고 있다. 식민지 군산 지역 극장은 식민지 근대화의 외부적 존재인 土幕民과 遊廓 그리고 衛生 담론과 연관되어 있었다. 극장은 프로그램 구성을 통해 식민제국 문화정치 실현과 문화운동을 둘러싼 수용과 경합을 벌이면서 제한적으로 조선인 公論場 역할을 수행했다. 1930년대 군산극장이 조선상설관으로 전환되었지만 영화 관람은 조선인 일부 관객에게만 제한적으로 허용되는 일이었다. 대다수 조선인 대중의 열악한 경제 상황으로 인해 극장 영화 관람은 일상생활 세계 경험이 될 수 없었다. 종족 간 우열 논리가 지배하는 개항도시 군산의 극장 영화 관람은 他者化된 존재로서 조선인 정체성을 환기시키는 경험을 제공했다. This work examines the historicity of the placeness of movie theaters in the city of Kunsan, the north Chula province, one of treaty ports in colonial Korea. The terminology of the ``placeness`` signifies the values and meanings of the specific locations produced by the socio-cultural activities of ordinary people. In a scholarly exploration of the cinema history it is imperative to consider the geographical locations that are related to the practices of film exhibition and film viewing at a specific time period. In this regard, I explore three dimensions of the placeness of movie theater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historicity of film exhibitions and film reception and the roles of movie theaters: the location of movies theaters in relation to ethnicity, the functions and roles of movie theaters to Colonial Korean community, and the cinema-going experiences to Colonial Korean in the city. I argue how the placeness of movie theaters was constructed by the socio-economical climates such as a large number of Korean in poverty and the red-light district in the city of Kunsan. The ethnical activities and repertories in movie theaters had a significant meaning to ordinary people in Colonial Korea. Contending the politics of culture exercised by Japanese colonizers in the 1920s, the ordinary Korean people acknowledged movie theaters, especially the Kunsan Theater, as the place for public opinion standing for Colonial Korean community. However, the extreme poverty of the majority of Korean restricted the usefulness of movie theaters as a place of entertainment in the 1930s. A handful Korean people did experience the film viewing in movie theaters. To make things worse, the cinema-going experience to Korean evoked the objectified identity of Korean as an inferior and uncivilized people which was molded by the ``black umbrella`` of Japanese colonialism.

      • KCI등재

        한국전쟁과 부산의 극장 문화

        위경혜 ( Wee¸ Gyeong Hae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1 아시아영화연구 Vol.14 No.2

        이 글은 한국전쟁 발발에 따른 부산 지역 극장 문화의 지각 변동을 기술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핀 내용은 전쟁에 따른 도시 변화와 재구성에 관여한 극장의 위상과 흥행의 성격 그리고 외화 배급과 상영을 통하여 문화 냉전체제 형성에 관여한 흥행사의 활동 등이다. 전쟁 시기 부산의 극장은 특수한 상황에서 ‘예외적인’ 일상성을 수행하는 공간이었다. 극장은 국가 존립을 위한 공공장으로 동원되거나 민족과 종족 그리고 종교와 이념의 공동체를 형성하는 장소로 바뀌었다. 하지만 동아극장 사례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극장은 국가 존립의 위기 상황에서도 암시장과 탈세 등 불법적인 흥행이 난무하는 곳이었다. 1950년대 ‘극장왕’으로 불린 동아극장의 지배인 김인득은 외화의 배급과 상영을 통하여 전국의 극장을 서로 연결하면서 스크린에서 일제의 흔적을 몰아내고 서구문화를 빠르게 전파하였다. 전후 극장이 국가 재건의 지표이자 선진적 문화공간으로 인식되고 영화 제작 자본이 증가하는 가운데 부산은 대규모 신설 극장을 개관하였다. 이는 서울을 포함한 전체 한국 사회 극장 문화의 변화를 주도하는 모습이었다. 동시에 전후 빈곤 아동과 같은 특정 집단을 위한 극장을 운영하면서 피란 도시 극장 문화의 지역성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War (1950~1953)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landscape surrounding movie theaters in the city of Busan during (and following) the Korean War. This article also focuses on the status of movie theaters involved in urban change and reconstruction following the outbreak of war, the notable features of the box office, and the activities of people in the film industry who were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the cultural Cold War through the distribution and screening of foreign films. The movie theaters in Busan were the place where “exceptional” everyday life functioned under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war period. The movie theaters were used as the public space for the existence of the nation or they were transformed into a place to construct communities of people, ethnic groups, religions, and ideologies. However, as confirmed in the case of Dong-A Movie Theater, the movie theater was also a place where illegal performances such as black markets and tax evasion were rampant even during a crisis of national survival. In the 1950s, Kim In-deuk, the manager of Dong-A Movie Theater, who was known as the “king of the movie theaters,” formed a network of movie theaters across the country through the distribution and screening of foreign films, quickly removed traces of Japanese colonialism from the screen, and actively spread Western culture. As the post-war movie theaters were regarded as indicators of national reconstruction and an advanced cultural space and the capital for film production increased, Busan opened new large-scale movie theaters. The opening of movie theaters in Busan led the change of movie theater culture in the entire Korean society, including in Seoul. At the same time, movie theaters that were operated for specific groups, such as for poor children and orphans, demonstrated the locality of the movie theater culture of the refugee city of Busan.

      • KCI등재

        문화냉전의 지역성 -대전문화원의 활동을 중심으로-

        위경혜 ( Wee Gyeong-ha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49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ocio-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centers that were established countrywide beginning with the Ganghwa Culture Hall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The Culture Center is a propaganda machinery of the American culture opened by active support from the United States Information Service (USIS) in Korea, which oversees foreign public affairs for the United States. The centers have increased in number upon taking the Korean War as an opportunity. These centers held exhibitions, public lectures, and film screening based on anticommunism for the Korean residents with a purpose of creating “Free East Asia,” as pursued by the USIS. After the Korean War, culture centers focused on activities developing anticommunism, hired employees, formed programs, and developed close relationships with regional administrations, police forces, education institutes, and even show proprietors who owned/managed commercial movie theaters. The Korean Culture Center Federation established after May 16 military coup in 1961 secured nationwide network and participated in the propaganda and publicity of American-style democracy and culture, and the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led by Park Chung-hee. To identify the specific aspects of locality during the cultural cold war, this paper analyzed the targets, regions, and the programs of movie tour activities conducted by the Daejeon Culture Center in Daejeon, Chungnam during the 1960s. From the analysis, it was identified that the activities of the culture center in Daejeon that switched to a rear military city after the Korean War had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civil affairs and psychological warfare of the US military. Moreover, the paper claims that the locality of the Daejeon Culture Center’s activities in Korea is not separated from the locality of all Korean cultural centers’ activities but overlapped in terms of East Asian countries in the Cold War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