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리나라 Holstein 암소의 번식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원정일,이지환,임현주,김현종,김민수,김태일,박수봉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동물번식학회) 2018 발생공학 국제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Vol.2018 No.06

        본 연구는 우리나라 Holstein 암소의 번식형질에 대한 유전모수를 추정함으로써 암소개 량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는 농협중앙회 젖소개량사업소 검정자료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분만한 Holstein 경산우(2, 3, 4산차) 144,739두의 211,899개 의 분만기록을 이용하였으며, (사)한국종축개량협회에 등록된 252,170두의 혈통자료를 분 석에 이용하였다. 유전모수 추정을 위해 WOMBAT package을 이용하였다. 분만 후 첫 수정까지의 일수(CTFS), 임신기간(GL), 분만 후 56일 비발정율(NRR), 수정횟수(NS), 첫 수정부터 수태까지의 일수(FSTC), 공태일(DO) 그리고 분만간격(CI)의 유전력은 각각 0.064, 0.060, 0.005, 0.014, 0.012, 0.021, 그리고 0.021로 추정되었다. 각 형질들 간의 유전상관의 범위는 −0.910에서 0.995로 나타났다. NRR과 NS, NRR과 FSTC 사이의 유전 상관은 부(−)의 상관을 보였고, DO와 CI는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CTFS와 FSTC는 DO와 CI 간에 0.479에서 0.862로 나타났다. CTFS와 FSTC간에는 낮은 유전 상관을 보였는데, 이는 각 형질에 영향하는 유전자들이 독립적인 관계에 의한 것으로 생 각된다.

      • KCI등재후보

        작업환경평가를 통한 p-tert-butyltoluene의 노출기준 개정 연구

        원정일,이주상 한국도시환경학회 2010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10 No.2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p-TBT의 노출기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개정하여 p-TBT 취급 근로자들의 직업병 발생을 최소화 하고자 TLV-TWA : 10 ppm(60 mg/m3)으로 현재와 동일하게 하고 TLV-STEL : 20 ppm(120 mg/m3)에서 15 ppm (90 mg/m3)으로 강화할 것을 제안한다. 노출기준을 강화하는 이유로는 선진국의 노출기준 개정 시의 설정배경과 인간 및 동물에 대한 독성연구 자료 등의 검토를 통한 과학적인 접근과 외국 및 국내의 노출농도 분석 등 작업환경실태를 파악하여 작업환경개선을 수립함으로 써 개정된 노출기준의 준수가능 여부 검토를 통한 기술적인 접근을 하였으며 개정된 노출기준의 적용 시 국내 산업사회에 미치는 파급효과 등 규제영향분석의 행정적, 경제적 근거를 종합하였다. 특히 p-TBT를 취급하고 있는 사업장의 작업특성을 보면 합성수지 및 도료의 희석제로 사용되고, 반응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반응물질의 시료채취와 작은 용량으로 소분하는 작업으로 지속적인 작업이 아니라 주문생산에 의해 간헐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작업시간 또한 2시간미만으로 작업 시에만 단기간에 고농도의 노출이 가능한 작업내용과 작업상황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노출실태 파악을 통한 경제적 여건 등 을고려한 결과 사업장에서 근로자 건강보호를 위한 기준으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되어 설정하였다.

      • KCI등재

        우리나라 Holstein 경산우의 분만간격과 비유곡선모수와의 상관관계

        원정일,당창권,임석기,임현주,윤호백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6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0 No.5

        본 연구는 분만간격과 비유곡선 모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농협중앙회 젖소개량사업 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유우군 능력검정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홀스타인 젖소로부터 조사한 착유기록 36,505개를 분석하였는데, 분석에 이용된 착유기록은 모두 2011년부터 2013년 사이에 분만한 경산우 로부터 조사하였다. 비유곡선 모수는 Wood 모형을 적용하여, SAS 9.2 NLIN Procedure를 이용해 추 정하였다. 분만년도-계절(봄, 여름, 가을, 겨울)효과와 산차(2, 3, 4산차)의 효과를 고정효과로 한 다 형질 일반선형모형으로 SAS(GLM procedure)를 이용하였다. 분만간격, 305일 유량, 비유곡선모수(A, b, c), 비유지속성, Peak 일시 및 Peak기 유량에 대해 분만년도-계절과 산차의 효과는 모두 유의적 으로 나타났다(p<0.05). Wood 모형으로 추정한 비유곡선 함수는 2, 3 및 4산차에 대해 각각 yt = 24.66t0-175e-0.00302t, yt = 24.69t0-192e-0.00334t 및 yt = 24.22t0.200e-0.00341t으로 추정되었다. 분만간격과 305일 유량, 모수값 A, b, c, 비유지속성, Peak 일시 및 Peak기 유량과의 표현형상관(잔차상관)은 각 각 0.093, -0.014, 0.028, -0.046, 0.099, 0.085 및 0.052으로 나타났다. 분만간격이 길어지면 비유 곡선의 상향경사도, 비유지속성, Peak 일시, Peak기 유량은 증가하고, 비유곡선의 하향경사도는 감소 하여, 305일 유량은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phenotypic relationships between calving interval and lactation curve parameters in Korean Holstein cow. The data of 36,505 lactation records was obtained from the Dairy Herd Improvement program run by Dairy Cattle Improvemnet Center of National Agricultural Federation of Korea. All lactation records were collectied from the multiparous cows calving between 2011 to 2013. The estimated lactation curves were drawn using Wood model based on actual milk yield records, and NLIN Procedure of SAS program (ver. 9.2). General linear multivariate models for calving interval, 305-d milk yield, lactation parameters(A, b, c), persistency, peak day, and peak yield included fixed effects of calving year-season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and parity(2, 3 and 4). For calving interval, 305-d milk yield, lactation parameters(A, b, c), persistency, peak day and peak yield, all two fixed effect(calving year-season, parity) were significant(p<0.05). The estimated lactation functions using Wood model for 2, 3, and 4 parity were yt = 24.66t0-175e-0.00302t, yt = 24.69t0-192e-0.00334t, and yt = 24.22t0.200e-0.00341t, respectively. Phenotypic correlation (partial residual correlation) between calving interval and 305-d milk yield, A, b, c, persistency, peak day, and peak yield were 0.093, -0.014, 0.028, -0.046, 0.099, 0.085, and 0.052, respectively. To conclude, if calving interval increase then ascent to peak, persistency, peak day and peak yield are increase, and descent after peak is decrease. So, total 305-d milk yield is increase.

      • KCI등재

        우리나라 Holstein 능력검정 젖소 집단의 혈통구조 및 근교계수 분석

        원정일,당창권,임현주,정연섭,임석기,이정구,김종복,조미례,민홍립,윤호백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6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0 No.2

        The study was aimed to analyze pedigree structure and inbreeding coefficients forperformance tested Holstein cows in Korea. A total of 400,029 Holstein cows data which bornbetween 2002 and 2012 were obtained from Dairy Cattle Improvement Center of National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NACF). Their related pedigrees, as obtained from KoreanAnimal Improvement Association(KAIA), consisted of 509,740 animals. Pedigree depth of thecows were traced back to 3 generations earlier. The percentage of cows with fully identifiedancestors in various provinces of Korea were 55.18%(Gyeonggi-do), 23.49%(Gangwon-do),47.83%(Chungcheongnam-do), 53.62%(Chungcheongbuk-do), 56.38%(Gyeongsangbuk-do), 51.35%(Gyeongsangnam-do), 26.58%(Jeollanam-do), 49.41%(Jeollabuk-do), and 56.90%(Jeju-do), whereas,it was about 63.20% as a whole in Korea. The average inbreeding coefficients showed increment across the consecutive years of birth such as, 0.43(2002), 0.44(2003), 0.58(2004),0.64(2005), 0.78(2006), 0.93(2007), 1.08(2008), 1.23(2009), 1.46(2010), 1.77(2011), and 2.03(2012). However, this coefficient was 0.93 in overall Korean population. An average generationinterval for sire to daughter genetic path was 8.15 years; which was about 4.20 yearsconsidering dam to daughter genetic path. The estimated effective population sizes ( ) were56.5, 51.3, and 32.2 animals born in 2004, 2009, and 2012,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that an increased rate of inbreeding has led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 over thedecade.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Holstein 능력검정 암소집단의 혈통자료를 이용하여 근교계수 및 혈통구조를분석함으로써 Holstein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2002년부터 2012년 사이에 태어난 Holstein 400,029두에 대한 능력검정 자료 및 509,740두에 대한 혈통정보를 이용하여분석하였다. 국내 지역별로 혈통완성도를 분석한 결과, 선조 3대까지의 조상을 알고 있는 개체의 비율은 경기, 강원, 충남, 충북, 경북, 경남, 전남, 전북, 제주 및 우리나라 전체에 대해 각각 55.18,23.49, 47.83, 53.62, 56.38, 51.35, 26.58, 49.41, 56.90 및 63.20%로 나타났다. 한편, 출생년도 별평균근교계수는 2002년부터 2012년까지의 년도별 평균 및 전체에 대해 각각 0.43, 0.44, 0.58, 0.64,0.78, 0.93, 1.08, 1.23, 1.46, 1.77, 2.03 및 0.93%로 추정되었다. 또한 아비에서 딸소까지 평균 세대간격은 8.15년으로 나타났으며, 어미에서 딸소까지 평균 세대간격은 4.20년으로 나타났다. 근교계수및 세대간격을 이용하여 추정한 국내 능력검정 젖소 집단의 유효집단크기는 2004, 2009 및 2012년에대해 각각 56.5, 51.3 및 32.2두로 추정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효집단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으로추정되었다.

      • KCI등재

        재래돼지 순종돈과 재래돼지와 듀록 교잡종의 성장특성 평가를 위한 성장곡선 모수 추정

        원정일,이경수,김시동,윤호백,전승규,윤지환,김종복,이정구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growth parameters of KK and KD and to comparetheir growth characteristics based on weight-age data of KK (36 females and 33 males), and KD(43 females and 45 males) from Sanwoori farm in Hongchun. Three models (von Bertalanffy,Gompertz and Logistic model) were considered for analyses. The estimated growth functions forfemale of KK, male of KK, female KD and male KD were Wt=140.97(1-10.228e-0.2597t)3, Wt=167-72(1-1.0015e-0.2309t)3, Wt=159.88(1-1.0663e-0.3072t)3 and Wt=181.63(1-1.0567e-0.2891t)3 for vonBertalanffy model, respectively. For Gompertz model, the growth functions estimated in female ofKK, male of KK, female KD and male KD were Wt=111.05e-5.8928e-0.4162t, Wt=140.62e-5.9117e-0.3676t, Wt=137.72e-6.2473e-0.4575t and Wt=152.02e-0.4551t, respectively. The animals with above order alsofound to have growth functions of Wt=75.01(1+52.6378e-0.9450t)-1, Wt=87.08(1+55.3626e-0.9024t)-1, Wt=100.17_1+58.9808e-1.0133t)-1 and Wt=106.61(1+64.7415e-1.0282t)-1 using a logistic model. However,the estimated average inflection points(ti) showing maximum growth rate in female of KK, maleof KK, female of KD and male of KD were 4.40±0.12, 4.86±0.22, 3.81±0.09 and 4.00±0.08month of age, respectively, using von Bertalanffy model. The Gompertz model derived the average ti of 4.32±0.11, 4.90±0.12, 4.03±0.69 and 4.11±0.06 month for female of KK, male of KK,female of KD and male of KD, respectively. Similarly, the logistic model also showed ti forfemale of KK, male of KK, female of KD and male of KD as 4.18±0.07, 4.41±0.05, 4.00±0.06and 4.03±0.04 months, respectively. In the study, the logistic model having a variable point ofinflection fitted the best for data of KK. However, the Gompertz model best fitted to KDconsidering a variable point of infection. 한국 재래돼지(KK) 69두 및 재래돼지 모돈과 듀록종 웅돈의 교배를 통하여 생산된 교잡종(KD) 88두로부터 조사된 체중측정 기록에 대해 세 가지 비선형 성장곡선을 적용하여 KK(Korean Native Sow × Korean Native Boar) 및 KD(Korean Native Sow × Duroc Boar)의 성장모형을 추정하고, 추정된 성장모형의 모수를 이용하여 KK와 KD에 대한 성장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각각의 성장곡선 함수로 추정한 성장곡선은 다음과 같다. von Bertalanffy 모형의 경우 KK의 암컷, 수컷, KD의 암컷 및 수컷의 모형은 각각 Wt=140.97(1-10.228e-0.2597t)3, Wt=167-72(1-1.0015e-0.2309t)3, Wt=159.88(1-1.0663e-0.3072t)3 및 Wt=181.63(1-1.0567e-0.2891t)3로 추정되었다. Gompertz 모형의 경우KK의 암컷, 수컷, KD의 암컷 및 수컷의 모형은 각각 Wt=111.05e-5.8928e-0.4162t, Wt=140.62e-5.9117e-0.3676t, Wt=137.72e-6.2473e-0.4575t 및 Wt=152.02e-0.4551t로 추정되었다. Logistic 모형의 경우 KK의 암컷, 수컷, KD의 암컷 및 수컷의 모형은 각각 Wt=75.01(1+52.6378e-0.9450t)-1, Wt=87.08(1+55.3626e-0.9024t)-1, Wt=100.17_1+58.9808e-1.0133t)-1 및 Wt=106.61(1+64.7415e-1.0282t)-1로 추정되었다. von Bertalanffy 모형의 경우 최대성장시기를 나타내는 변곡점(ti)은 KK 암컷집단과 수컷집단에서각각 4.40±0.12개월령 및 4.86±0.22개월령으로 추정되었고, KD 암컷 및 수컷집단에서는 각각3.81±0.09개월령 및 4.00±0.08개월령으로 추정되었다. Gompertz 모형의 경우 ti는 KK암수 및 KD 암수에 대해 각각 4.32±0.11개월령, 4.90±0.12개월령, 4.03±0.69개월령 및 4.11±0.06개월령으로 나타났다. Logistic 모형의 경우 ti는 KK암수 및 KD 암수에 대해 각각 4.18±0.07개월령, 4.41±0.05개월령, 4.00±0.06개월령 및 4.03±0.04개월령으로 나타났다. 오차 평균 제곱합의 결과를 보면, KK의성장은 Logistic, Gompertz 그리고 von Bertalanffy 모형 순으로 적합도가 좋은 것으로 판단되며, KD 는 Gompertz, Logistic 그리고 von Bertalanffy 모형 순으로 적합도가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키워드 : 재래돼지, 듀록, 성장곡선모수, von Bertalanffy 모형, Gompertz 모형, Logistic 모형) 약어 : KK = 재래돼지(♀) × 재래돼지(♂), KD = 재래돼지(♀) × 듀록(♂)

      • KCI등재

        우리나라 Holstein 경산우의 번식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원정일,이지환,임현주,박지후,김현종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6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Holstein의 번식형질에 대한 유전모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분만한 농협 젖소개량사업소의 검정자료 경산우 144,793두의 211,899개의 번식기록을 이용하였다. 7가지 형질의 유전 및 오차 (공)분산을 WOMBAT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CTFS, GL, NRR, NS, FSTC, DO 및 CI의 유전력은 각각 0.064, 0.060, 0.005, 0.014, 0.012, 0.021 및 0.021로 추정되었다. 형질들 간의 유전상관은 –0.910에서 0.995로 나타났다. NRR과 NS, NRR과 FSTC 간에는 부의 유전상관이 나타났으나, DC와 CI는 강한 양의 유전상관을 나타냈다. CTFS와 FSTC는 DO 및 CI와 유의하게 양의 유전상관관계를 나타냈다(0.479~0.862). CTFS와 FSTC 사이의 낮은 유전상관은 두 형질이 서로 다른 유전적 측면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번식능력 개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다.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estimate the genetic parameters for fertility traits in Korean Holstein cows. The original data set consisted of 211,899 records, with a total of 144,793 multiparous calved cows from 2009 to 2013 under the Korean dairy herd improvement program. The genetic and error (co)variances between two traits of seven traits were analyzed by using bi-trait pairwise with WOMBAT package. Estimates of heritabilities for days from calving to first insemination (CTFS), gestation length (GL), first-service non-return rate to 56 d (NRR), number of services to conception (NS), days from first service to conception (FSTC), days open (DO), and calving interval (CI) were 0.064, 0.060, 0.005, 0.014, 0.012, 0.021, and 0.021, respectively. The genetic correlation among traits ranged from -0.910 to 0.995; negative genetic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NRR and NS, and NRR and FSTC. However, DO and CI were found to be strong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Both CTFS and FSTC, showed significantly strong correlations with DO and CI (0.479 to 0.862). The low genetic correlation between CTFS and FSTC implies that both traits are under different genetic aspects. These model can be used for the selection of better fertility of dairy co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