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농촌지역 보건소 중심의 노인 통합보건의료서비스 필요도

        원은숙(Eun-Sook Won),김춘배(Chun-Bae Kim),장세진(Sei-Jin Chang),박종구(Jong-Ku Park),현숙정(Sook-Jung Hyun)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07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2 No.1

        한 농촌지역의 일부 노인인구를 대상으로 통합보건의료서비스의 필요도와 그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한 이 연구대상은 2005년 11월부터 2개월여동안 강원도 ‘H’군보건소를 내원한 60세 이상 노인으로 진료담당 의사와 보건요원(2명)에 의해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는데, 총 110명이 참여하였다. 연구도구인 설문지는 노인 통합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국내외선행연구의 문헌고찰을 토대로 개발한 후 예비조사를 거쳐 5개 영역의 68개 문항으로 수정, 보완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Version 12.0)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만성질환의 이환상태 등을 파악하였고, 영향요인 구명을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성질환 이환율로는 고혈압이 76.4%(8명)로 가장 높았으며, 대상자 중 84명은 2개 이상의 만성질환에 동반 이환되어 있었다. 둘째, 보건소내 기존 서비스의 만족도조사에서는 진료서비스와 물리치료에 84명(78.5%)과 16명(66.7%)이 각각 ‘만족한다’고 하였다. 노인 통합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필요도는 전체 평균이 3.67점이었고, 보건의료 영역의 방문간호서비스(평균 4.08), 만성질환관리(평균 4.06) 및 복지 영역의 운송서비스(평균 4.05) 순으로 그 필요도가 높았다. 셋째, 영역별 서비스 필요도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Ⅰ(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복지 영역 서비스의 필요도(수정 R²=7.2%)와 전체(보건의료+복지) 영역 서비스의 필요도(수정 R²=6.5%)에 소득 변수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모형Ⅱ(인구사회학적 특성에 건강관심도, 신체기능상태와 건강행태 포함)에서도 복지 영역 서비스의 필요도(수정 R²=10.9%)가 적합하였고, 소득이 많을수록, 건강관섬도가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진료만족도가 추가된 모형Ⅲ에서는 보건의료 영역 서비스(수정 R²=5.3%), 복지 영역 서비스(수정 R²=15.2%) 및 전체 영역 서비스(수정 R²=12.4%)의 필요도가 모두 적합하되 소득 변수만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보건의료의 측면에서 노인들에 대한 효과적이고 다양한 보건의료서비스의 제공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통합적인 공급체계를 확립해야 할 것이다. 더욱이 고령화가 더욱 심화될 농촌지역은 노인 개개인의 필요도 중심에서 출발하되 이들이 거주하는 가족환경 및 사회환경을 포괄하는 차원에서의 지역보건, 만성질환의 치료와 신체 기능의 회복을 위한 의료, 경제적 지원과 가용자원의 활용을 도와주는 복지 개념이 연계된 통합보건의료서비스를 다학제적 팀접근에 의해 지속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예방보다 치료 중심의 의료 전달체계로 되어 있어 다발성의 만성퇴행성 질환에 이환된 노인들에게 종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장기간의 간호나 재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우선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고 본다. Objectives: The challenge of an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has coupled with everpresent social concerns in Korea. A major problem in health center for the frail older people is that medical, healthcare, and welfare services are often fragmented in terms of providers and settings without appropriate coord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 of health center-based integrated healthcare services and its related factors for the elderly. Methods: A total of 110 elderly people who had visited at a county Health Center were interview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November to December, 2005.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five domains according to the Program of All-inclusive Care for the Elderly. Results: Respondents had high need (total mean score with the 5-point Likert-type sacle: 3.67) of health center-based integrated healthcare services including home visiting service (mean: 4.08), chronic disease care service (mean: 4.06), and transportation service (mean 4.05). According to th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mong three regression models the magnititude of the variance of full model that is explained by the need of welfare-domain service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wo reduced model. Income was a significant variable in increasing the need of health care and welfare service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health center-based integrated health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must be continuously developed and provided for the health promotion and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ho live in rural area in Korea.

      • KCI등재

        칼슘과 비타민 D의 섭취 수준이 성장기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이선민,이연주,원은숙,이상선 한국영양학회 2014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7 No.2

        Purpose: Association of low intake of calcium (Ca) and inadequate vitamin D (VD) status with higher prevalence rates of obesity has been reporte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whey Ca and VD intake on lipid metabolism in growing rats. Methods: A total of 56 five-week-old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seven groups and fed for five weeks. Ca groups were divided into three levels, low, normal, and high (0.25%, 0.5%, 1%). VD subgroups in the low and high Ca groups were divided into three levels, low, normal, and high (10 IU, 1,000 IU, and 5,000 IU). The effects of Ca and VD on each group were evaluated by two way ANOVA. Results: Significantly higher amounts of abdominal fat, visceral fat, and epididymal fat were observed in the Low-Ca groups than in the Normal-Ca and High-Ca groups. Serum leptin levels of Low-Ca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of Normal-Ca and High-Ca groups. The highest serum parathyroid hormone concentration was observed in the low Ca·low VD group. The levels of serum 25(OH)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dietary VD levels. Significantly higher serum levels of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were observed in the low Ca groups than in the normal Ca and high Ca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ow calcium intake increased serum lipid level and body fat amount. 본 연구는 성장기 흰쥐에서 저·적정·고수준의 칼슘과 비타민 D의 첨가식이가 흰쥐의 지질대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56마리의 5주령 된 수컷 흰쥐에게 대조군 (CON; 0.5% Ca, 1,000 IU VD)을 포함하여 식이중의칼슘의 수준에 따라 저칼슘군 (LC; 0.25%), 고칼슘군 (HC; 1%)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칼슘 수준에 따라 vitamin D를저비타민 D군 (LD; 10 IU), 적정비타민 D군 (ND; 1,000 IU), 고비타민 D군 (HD; 5,000 IU)으로 나누어 실험식이를 5주간급여하였다. 1) 체중 증가량은 HC군이 LC군 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나 (p < 0.05), 비타민 D의 수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체내 복부지방, 내장지방, 부고환지방의 무게와 렙틴의 농도는 HC군이 LC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 < 0.01). 3) 25(OH)D의 농도는 비타민 D의 섭취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높아졌다 (p < 0.01). 부갑상선호르몬 농도는 실험군간 비교에서 LCLD군에서 가장 높았다 (p < 0.05). 4) 혈중 TG, T-C, HDL-C, LDL-C 농도는 HC군이 LC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p < 0.01), HDL-C 농도의 경우LCHD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5) 여러 가지 지표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칼슘의 섭취와 혈중 지질성분, 체내 복부, 내장, 부고환지방무게가 모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 < 0.01). 또한 비타민 D 섭취와 혈중 HDL-C농도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 < 0.05). 혈중 부갑상선호르몬 농도와 혈중 TG농도, 체내 부고환지방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 < 0.01, p < 0.05). 혈중 leptin 농도와 혈중 T-C, TG농도, 체내 복부, 내장, 부고환 지방 무게는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 < 0.01).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성장기 흰 쥐의 지질대사에서 낮은 수준의 칼슘 섭취는 체중증가량의 폭을 높임과 동시에 혈중 지질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며 뿐만 아니라 체내 지방축적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낮은 수준의 칼슘섭취시 비타민 D 섭취에 의한 지질대사는 HDL-C 농도를 높이는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체내 지질 대사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적정량의 칼슘의 섭취뿐만 아니라 비타민 D 섭취와의관계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탈지분유 함유 식이를 섭취하는 흰쥐에서 칼슘과 비타민 D 수준이 무기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이경민,이연주,원은숙,이상선,Lee, Kyung-Min,Lee, Yeon Joo,Won, Eun-Sook,Lee, Sang Sun 한국식품영양학회 2014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lcium (Ca) and vitamin D (vit. D) levels on metabolism of various minerals such as Ca, P, Mg, Fe, Zn, Cu, and Cr. The comparison was made on the rats that were placed on diet containing powdered skim milk with different Ca and vit. D levels for 5 weeks. A total of 42 5-week-old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7 groups as follows: Control group consisted of normal Ca and normal vit. D (0.5% Ca, 1,000 IU vit. D);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low (0.25%) and high (1.0%) calcium levels; and vit. D group was divided into low (10 IU), normal (1,000 IU), and high (5,000 IU) subgroups. The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s of the ra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increasing dietary Ca levels. The absorption rates of 7 minerals (Ca, P, Mg, Fe, Zn, Cu, and Cr)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dietary Ca levels. Also, fecal excretion of P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dietary vit. D levels (p<0.05), and urine excretion of F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dietary vit. D levels (p<0.001). The result indicated that higher Ca intake affected on bioavailability of other minerals, due to interactions among minerals in the process of intestinal absorption. However, vitamin D intake had no effect on bioavailability of several minerals. Therefore, it could be suggested that adequate Ca intake is important for balance of the minerals.

      • KCI등재

        한 농촌 지역사회 기반 당뇨병 환자의 등록관리 중재의 효과: 투약순응도에 대한 이중차이분석을 중심으로

        손효림,박소윤,용희정,채성현,김은정,원은숙,김윤아,배세진,김춘배 한국보건행정학회 2023 보건행정학회지 Vol.33 No.1

        Background: A chronic disease management program including patient education, recall and remind service, and reduction ofout-of-pocket payment was implemented in Korea through a chronic care model.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 of acommunity-based intervention program for improving medication adherence of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in rural areas of Korea. Methods: We appli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using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Big Data. Hongcheon County hasbeen continuously adopting this program since 2012 as an intervention region. Hoengseong County did not adopt such program. Itwas used as a control region. Subjects were a cohort of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ged more than 65 years but less than 85 yearsamong residents for 11 years from 2010 to 2020. After 1:1 matching, there were 368 subjects in the intervention region and 368 inthe control region. Indirect indicators were analyzed using the difference-in-difference regression according to Andersen’s medicaluse model. Results: The increasing percent point of diabetic patients who continuously received insurance benefits for more than 240 days from2010 to 2014 and from 2010 to 2020 were 2.6%p and 2.7%p in the intervention region and 3.0%p and 3.9%p in the control region,respectively. The number of dispensations per prescription of diabetic patient in the intervention region increased by approximately4.61% by month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region. Conclusion: The intervention program encouraged older people with diabetes mellitus to receive continuous care for overcoming therule of halves in the community. More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further improvement in the continuity ofcomprehensive care can prevent the progression of cardiovascular diseas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