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색보리 육성계통의 이화학적 특성

        최재성,박수진,정용면,김정곤,원미희,강명화,Choi, Jae-Seong,Park, Soo-Jin,Joung, Yong-Myeon,Kim, Jung-Gon,Won, Mi-Hee,Kang, Myung-Hwa 한국작물학회 2006 한국작물학회지 Vol.51 No.suppl1

        계통이 다른 유색보리 40종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색보리, 춘추쌀보리와 올보리의 수분 함량은 No. 24가 7.4%로 가장 낮았고 No. 9가 10.8%로 가장 높았다. 또한 조단백질은 $9.7{\sim}12.8%$의 범위를 보였으며, 올보리의 단백질 함량과 유사한 범위였다. 조지방 함량은 No. 6이 4.35%로 가장 높았고, No, 34가 가장 낮은 1.35%를 나타내었다. 조회분 함량은 1.20%로 No. 31이 가장 낮았고, 2.35%로 춘추쌀보리가 가장 높았다. Ca 함량은 No. 10이 717.50 mg%로 가장 높았으며, 일반보리가 442.82mg%로 가장 낮았다. Mg 함량은 1320.00 mg%로 No. 10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903.30 mg%로 No. 28이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Cu 함량은 No. 20의 경우 2.20 mg%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No. 33의 경우는 6.25 mg%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K 함량은 No. 20의 경우 723.24 mg%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No. 1은 1002.50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Mn 함량은 31.72 mg%로 No. 28이 가장 낮은 값을, 94,56 mg%로 일반보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beta}-glucan$ 함량은 No. 25가 5.20%로 가장 낮았고, No. 28이 14.46%로 가장 높았다. 또한 올보리는 6.26%나 유색보리가 올보리에 비해 {$\beta}-glucan$이 2배 이상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유색보리는 일반보리에 비교해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 의 조성에 우수할 뿐 아니라 기능성 성분인 ${\beta}-glucan$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에서 균(菌)의 생육(生育)은 5일(日)까지, 구연산생성(酸生成)은 6일(日)까지 계속(繼續) 증가(增加)하였으며 6일(日) 배양시(培養時) 대당(對糖) 46%의 구연산(酸)을 얻었다. 전통의식(傳統意識)에서 탈피(脫皮)치 못하고 미신(迷信)에 젖어 있으며, 백미편식경향(白米偏食傾向)이 짙고 연중(年中) 혼분식(混粉食)을 계속(繼續)하지 못하고 아쉬움이 간절하다. 이런 점(點)이 하루빨리 시정(是定)될때 우리는 건강(健康)과 지능(知能)이 향상(向上)을 초래(招來)하고 소득증대(所得增大)를 도모(圖謀)하며, 자조자립(自助自立)할 수 있는 국민생활(國民生活)로 변모(變貌)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11종(種)과 미확인성분(未確認成分) 1종(種)이 검출(檢出) 확인(確認)되었으며 증자시(蒸煮時)에 일부(一部) 휘발감소(揮發減少)를 보였으나 건조중(乾燥中)에는 일반적(一般的)으로 증가(增加)를 보였다. 6. 비휘발성산(非揮發性酸)으로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alpha}-ketoglutaric$ acid, pyruvic acid, glutaric acid 등(等) 6종(種)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으며 비휘발성산(非揮發性酸)은 건조중(乾燥中) 감소(減少)되어 홍삼구(紅蔘區)들이 함량(含量)이 적으나 succinic acid만은 증가(增加)하였다. 7. Polyphenol 류(類)로 3-caffeyl quinic acid, 4-caffeyl quinic acid, 5-caffeyl quinic acid의 3종(種)과 미확인성분(未確認成分) 1종(種)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으며 polyphenol은 건조중(乾燥中) 많은 감소(減少)가 있었으며 특(特)히 자연건조구(自然乾燥區)에서 많은 감소(減少)가 있었다. 8. 홍삼(紅蔘)들의 갈색도(褐色度)는 갈변촉진구(褐變促進區)가 가장 짙고 다 The below is the results of physicochemical analysis of 40 breeding lines of colored barley (CB) whose systems are different Water content of CB No. 24 showed the lowest value of 7.4% while CB No. 9 showed the highest value of 10.8%. Crude protein of CB $9.7{\sim}12.9%$ range was found. Crude fat content of CB No. 6 showed the highest value of 4.35% while CB No. 34 showed the lowest of 1.35%. Crude ash content of CB No. 31 showed the lowest value of 1.20%. Ca content of CB No. 10 showed the highest value of 717.50 mg% while general barley showed the lowest value of 442.82 mg%. Mg content of CB No. 10 showed the highest value of 1320.00 mg%. Cu content of CB No. 20 showed the lowest value of 2.20 mg% while CB No. 33 showed the highest value of 6.25 mg%. K content of CB No. 20 showed the lowest value of 723.24 mg% while CB No. 1 showed the highest value of 1002.50 mg%. Mn content of CB No. 28 showed the lowest value of 31.72 mg% while general barley showed the highest value of 94.56 mg%. ${\beta}-Glucan$ content of CB No. 25 showed the lowest value of 5.20 mg% while CB No. 28 showed the highest value of 4.46 mg%.

      • KCI등재

        계통별 유색보리의 항산화효과

        송은승(Eun Seung Song),박수진(Soo Jin Park),우나리아(Na-Ri-A Woo),원미희(Mi Hee Won),최재성(Jae Seong Choi),김정곤(Jeong Geon Kim),강명화(Myung Hwa K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10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강화된 유색보리 계통을 선발하고 유색보리 계통 육성 및 활용에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유색보리 40계통과 대조군인 춘추쌀보리, 겉보리를 0.1% TFA를 용매로 사용하여 3회 반복 추출 후 감압 농축 후 anthocyanin 함량, 색도 및 항산화효과를 측정하였다. 유색보리의 anthocyanin 색소함량과 색도를 측정한 결과 계통별로 큰 차이를 보였고, 색의 짙음과 옅음으로 그룹 Ⅰ, 그룹 Ⅱ, 그룹 Ⅲ을 나눌 수 있었다. 계통별로 항산화효과에서도 상당한 차이가 있었으나, 페놀함량이 높았던 유색보리 계통이 전자공여능, SOD-like 활성, lecithin 산화 저해활성능, hydrogen radical 소거능이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여러 가지 항산화실험에서 항산화능이 높게 측정되었던 No. 26, 27, 34, 35, 38이 anthocyanin을 함량이 높은 그룹 Ⅰ에 포함되어 있어 anthocyanin을 함량과 항산화효과는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른 유색 함유 작물처럼 색깔이 진한 유색보리 품종이 개발되어 다양한 생리활성이 입증된다면 새로운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valuates the antioxidant capacity of 40 varieties of colored barley and hulled barley. For investigation of the antioxidant capacity as well as the contents of anthocyanin, color intensity, total phenolic acids contents, SOD-like activity, samples were extracted in ethanol with 0.1% TFA. The content of anthocyanin was measured spectrophotometrically. The total phenolic acid content was analyzed by using th Folin-Ciocalteu method, and the color intensity was determined by using the color difference meter.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anthocyanin content and color intensity of colored barle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varieties. The resulting concentration level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Ⅰ (high), Group Ⅱ (medium), and Group Ⅲ (low). In the measurements of antioxidant capacity,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were found among varieties in those groups. Colored barley was higher in electron-donating capability, SOD-like activity, inhibitory effects on lecithin oxidation, and hydrogen radical-scavenging ability. Meanwhile, from different antioxidant tests, No. 26, 27, 34, and 35 varieties measured high in antioxidation ability fell into Group Ⅰ high in the anthocyanin content.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anthocyanin content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on antioxidant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