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술수준별 제조창업의 공간분포 특성과 고용증가 효과 분석

        우한성,서대현 한국경제지리학회 2022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5 No.4

        This study contemplates spatial context of startup in manufacturing, mainly analyzing job creation effects of time lag of startups in manufacturing at different technology levels. Using DID model, we found that each region including capital, non-capital and metropolitan area shows different job creation effects of time lag. In capial region, startup cohort in high R&D intensity manufacturing was found to show short-term job creation effects, but in non-capital region, long-term job creation effects was found with the one in medium-high R&D intensity manufacturing. In case of metropolitan area, we couldn’t find much evidence of job creation effects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 of analysis implied that, in capital region, startup support policies, targeting at high R&D intensity manufacturing, ought to be focused on scale-up of startups that survived for a certain period. And non-capital area and some of metropolitan areas in non-capital region that have comparatively inferior infrastructure and brain-drain problems as well should focus on fostering startups in medium-high R&D intensity manufacturing in a long-term perspective and utilize their traditional manufacturing base. 본 연구에서는 제조창업의 공간적 맥락에 대한 고찰과 함께 DID모형을 활용하여 기술수준별 제조창업의연차별 고용증가 효과 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도시 지역에서의 특성이 다르게 확인되었다. 특히 고기술 제조창업은 수도권에서 단기에 걸쳐 고용증가 효과가 두드러진 반면 비수도권에서는 중고기술 제조창업이 장기에 걸쳐 고용증가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대도시 지역에서는 기술수준별 제조창업의 고용증가효과가 뚜렷하게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가 제공하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수도권의 고기술 제조창업은 비교적 단기에 고용증가 효과가 높게 나타나므로 그 효과가 장기간 지속될 수 있도록 창업 후 일정 기간이 지난 생존기업의 스케일업에 정책지원이 집중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반면 비수도권 및 지방 대도시 지역에서는 창업지원 인프라의 수도권 쏠림현상과 인재유출 등의 현실적인 상황을 감안하여 실제적인 고용증가 효과가확인되는 중고기술 창업, 즉 전통적 제조기반을 토대로 한 산업영역에 창업지원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으며 고용창출 효과가 드러나는 시차를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에서 정책지원, 평가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경권 제조창업의 특성과 활성화 정책에 대한 소고

        우한성 대한지방자치학회 2023 한국지방자치연구 Vol.25 No.2

        When it comes to start-ups-related researches in the past, it seems rare to find ones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manufacturing start-ups with the focus on a certain specific region. Th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cisely investigat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ituation of manufacturing start-ups in Daegu-Gyeongbuk region, using regional level data. To do so,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first by using micro firm-level data provided by Statistics Korea. And using DID model, the study analyzed job creation effects of manufacturing start-ups of time lag in the region. Then, long-term job creation effects were found in both region and its effects of Daegu region were more distinctive. As a result, implications for policies promoting the growth of manufacturing start-ups in the region are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long-term job creation effects of manufacturing start-ups, policies should be focused on increasing survival rate of competitive start-ups at early stage other than fostering them in quantity. Second, joint governance of Daegu-Gyeongbuk region showing geographical proximity and similar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structure is required to handle issues related to promotion of manufacturing start-ups. Third, types of new industry that Daegu-Gyeongbuk region wants to strategically foster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fields where regional start-ups are most actively formed. Therefore, industrial base for creation of new industry needs be intensified by promoting manufacturing start-ups in the region. Lastly, regional competence as post BI(business incubator) should be strengthened, fully utilizing industrial agglomeration such as industrial complex within the region. 국내외에서 수행된 다양한 창업관련 연구들에 비춰볼 때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제조창업 활동 및 공간분포 특성을 면밀히 고찰하고 고용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지역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경권 제조창업의 현황과 특성을 면밀히 분석하는 데 있다. 우선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 마이크로데이터(인가용 서비스)를 활용한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대경권 제조창업의 특성을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DID모형을 통해 대구, 경북 각 지역의 제조창업에서 비롯되는 고용효과 변화 추이를 시계열로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대경권 제조창업의 고용증가 효과는 장기적으로 확대되는 경향이 확인되었고, 특히 대구의 경우 그 효과가 더욱 두드러졌다. 분석 결과를 통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경권 제조창업의 장기적 고용확대 효과를 고려할 때 제조창업의 양적 증가가 아닌 창업초기 기업의 생존 가능성을 제고하는 데 정책의 무게 중심을 둘 필요가 있다. 둘째, 대구, 경북의 지리적 근접성과 산업구조 및 창업활동의 유사성을 고려할 때 제조창업 활성화를 위한 공동 대응 거버넌스 구축이 요구된다. 셋째, 대경권에서 제조창업이 활발한 업종들이 지역특화산업 분야와 동떨어진다는 점은 신산업 육성기반이 미흡함을 의미한다. 향후 관련분야 제조창업 활성화를 통해 그 기반을 확충해 나가야 할 것이다. 끝으로 역내 제조창업 활성화를 위한 포스트 BI 기능 제고가 필요하며, 이때 제조업 집적지인 산업단지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제조업 집적의 외부효과가 지역경제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산업단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우한성 한국경제지리학회 2022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5 No.1

        Does the industrial complex of Korea leading the growth in manufacturing industry play the role of intensifying agglomeration effects?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moderating effects of industrial complex on the relation between agglomeration externalities and regional productivity, which has not been covered by previous researches. To do so, analysis of panel data has been conducted using the regional level data for the period of 2010 to 2019. Empirical results are provided at different levels including the whole country, capital region and non-capital reg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n non-capital region, environments to strengthen positive agglomeration externalities stemming from specialization and diversity in manufacturing through industrial complex whithin the region are built up. However, moderating effects of industrial complex is quite limited in capital region. This implies that the role of industrial complex needs to be importantly reconsidered in the perspective of maximization of agglomeration effects in manufacturing, revitalization of non-capital area and manufacturing innovation. 우리나라 제조업 성장을 견인해 온 산업단지는 지역 단위에서 제조업 집적의 외부효과를 강화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하는가? 본 연구는 질문의 답을 위해 제조업 집적과 지역경제 생산성 간 관계에서 산업단지 조절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기존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집적효과 논의를 수행하였다. 2010∼2019년 기간의 전국 시군구를 대상으로 한 불균형패널자료를 활용하여 패널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전국, 수도권 그리고 비수도권을 구분하여 추정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비수도권의 경우 제조업 특화와 다양성 증가에 따른 긍정적 외부효과가 산업단지를 통해 더욱 강화되어 나타나는 환경이 조성된 반면 수도권에서는 산업단지의 조절효과가 제한적인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제조업 집적효과 극대화, 비수도권의 경제 활성화, 제조업 혁신을 위한 정책수단으로서 산업단지 역할을 재조명할 수 있는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우수등재

        원산지규정 사후검증제도의 엄격성에 대한 내생적 결정과 함의 : 근시안적인 정부에 대한 로비모형을 중심으로

        우한성,황석준,황욱 한국무역학회 2019 貿易學會誌 Vol.44 No.2

        Recently, the Trump administration initiated a new United States-Mexico-Canada Agreement (USMCA) that strengthened NAFTA's rules of origin to enhance protectionism while maintaining the framework of trade agreements rather than completely abolishing them. This study focuses on the behavior of firms motivated to influence the government to practice protectionist trade by analyzing the rules of origin verification and adopting the political economics model. This paper explains the process of endogenous determination of the stringency of rules of origin verification as a non-tariff barrier using the lobbying model. Comparative static analysis shows that the more efficient technology a domestic firm has and the more government prefers to raise political contribution, the more is verification likely to be strict. This suggests that a rationale exists to maintain a free trade agreement in the form of the new agreement (USMCA) without abolishing the current NAFTA regime.

      • KCI등재

        원산지규정 사후검증 모형화에 관한 연구

        우한성,황석준,황욱 한국경제통상학회 2018 경제연구 Vol.36 No.2

        This research provides mathematical model of optimum RoO verification schedules that verify possible failures of compliance with RoO at a random time t by using optimal checking model. Basically, the number of verification checks is described as a choice process to minimize the loss resulted from the time between a failure and its detection and monitoring cost. Namely, there exists trade-off relation between an increase of verification checks augmenting monitoring cost and a decrease of welfare loss resulted from shortened time for detection. Therefore, this research explains the model of optimum RoO verifications schedules with dynamic optimization process. As a result, at a given time t, the smaller the monitoring cost for verification is, and the greater a welfare loss from an undetected failure is, the more often a failure happens, verification checks ought to be implemented more frequently, which is found to coincide with verifications cases in practice. In addition, from a perspective of monopolistic firms, we explain that the higher Price Elasticity Demand is and the greater marginal cost is, verification checks ought to be practiced less frequently. 본 연구에서는 원산지규정 준수 위반을 확인하는 사후검증의 최적 스케줄에 대한 수리적 모형을 적정검증모형(Optimal Checking Model)을 통해 제시하였다. 기본적으로 원산지 사후검증 적정횟수의 결정은 검증 시 발생되는 모니터링 비용(M)과 원산지규정 준수 위반이 사후검증에서 밝혀지는 시점까지의 기간에 따라 발생하는 수입국의 피해(후생손실)를 최소화시키는 선택과정으로 묘사되었다. 즉, 사후검증횟수의 증가는 모니터링 비용을 증가시키지만 반대로 규정준수위반을 확인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을 감소시켜 수입국의 후생손실을 줄여주는 상충(trade-off)관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총비용의 기댓값을 최소화하는 원산지규정 사후검증 최적 스케줄의 모형을 동태적 적정화(Dynamic Optimal Process)과정을 통해 설명하였다. 연구결과 주어진 시간 t에서 사후검증의 모니터링 비용(M)이 적을수록, 원산지규정위반을 밝히기까지 걸리는 시간에 따른 후생손실 비용(D)이 클수록, 그리고 원산지규정 사후검증 시스템의 안정성이 약화 될수록 적정 사후검증의 빈도수는 늘어나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결과는 사후검증사례와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검증의 주체인 국가 또는 기관의 관점이 아닌 독점기업의 관점에서 살펴보았을 때 가격의 수요탄력성이 높을수록, 한계비용이 클수록 사후검증의 빈도수는 줄어든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 KCI등재

        위계로짓모형을 활용한 비수도권 청년층의 이주유형별 결정요인 비교분석

        우한성 한국경제지리학회 2023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비수도권 청년층의 이주유형 특성이 지역별로 상이하게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주유형별결정요인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데 주요 목적을 두었다. 먼저 비수도권 청년층의 이주 실태 및 특성을 탐색적으로 분석한 후 위계로짓모형을 활용하여 이주유형별 결정요인을 각각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이주유형별 특성이 지역별로 상이하게 관찰되었고, 각각의 이주유형별 결정요인 또한 서로 다른 변수(개인 및 지역수준)들의묶음(bundle)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비수도권의 청년인력 확보 정책은 다양한 이주선택의 결정요인을 충분히 고려하고 지역적 맥락이 반영될 때 정책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igration types of the youth in non-metropolitan areas vary by region and has the primary objective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determinants of each migration type. First,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migrati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in non-metropolitan areas was conducted, and then a hierarchical logit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determinants of migration types separat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igration types vary by region, and each determinant of migration types is composed of different bundles of variables(individual and regional levels). In the future, policies aimed at securing young workforce in non-metropolitan areas will be more effective when they take into account various determinants of migration choices and reflect the regional context.

      • KCI등재
      • KCI등재

        신산업 진입규제 엄격성의 정치경제학적 결정모형에 관한 연구:로비모형을 중심으로

        우한성(HanSoun Woo) 한국경제통상학회 2021 경제연구 Vol.39 No.2

        신산업의 기술혁신이 기존 산업의 반발 또는 갈등으로 인해 산업 전반으로 확산되거나 경제성장으로연결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을 정치경제학적인 측면에서 설명할수 있는 이해의 틀을 제공하기 위해 이론적 모형화를 시도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해관계를 다르게 가지는 이익집단들의 정치적 로비 경쟁행위를 전제로 신산업 진입규제 엄격성이 정치경제학적으로 결정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2단계 균형게임의 형태를 기본으로 한 분석모형에서는 신산업 진입규제 수준의 결정에 있어 각기 다른 선호를 갖는 이해관계자로 기존 기업, 신산업 기업, 그리고 소비자집단을 고려하였다. 또한 정부는 이러한 신산업 진입규제 엄격성의 결정 주체로 가정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의 정치적 결정 과정에 의한 신산업 진입규제의 엄격성이 사회후생을 극대화하는 엄격성 수준보다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때 정부의 정치적 선호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는 신산업진입규제의 엄격성 수준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분석모형에서 나타낸 주요 파라미터들의변화와 정치적 균형에서 결정되는 신산업 진입규제 엄격성 수준 간에 관계를 비교정태분석을 통해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회후생을 강조하는 정부에서는 진입규제 엄격성이 느슨해질 수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한편 신산업 기업으로부터의 정치기부금 모금을 중요시하는 정부에서는 오히려 진입규제의 균형 수준이 엄격해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becomes more frequent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s in new industries can’t proliferate in relevant industries or lead to national economic growth mainly due to counterparts’ resistance and harsh conflicts among interest groups. To provide a framework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se current situations in political economic perspective, this research attempted the theoretical modelling. Based on the competitive lobbying of different interest groups this research analyzed the political economic process determining the stringency of entry regulations in new industries. This study constructed the research model basically following the two-stage equlibrium game and considering different interest groups of an existing firm, an entrant firm of a new industry, and consumers. In addition, a government is also considered to deternmine the policy of entry regulation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olitically determined stringency level of entry regulations in new industries is higher than the one for maximizing the social welfare. Assuming the diverse preferences of the government, this study also compared multiple cases showing different levels of stringency. Furthermore, a comparative static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ingency level in a political equilibrium and the parameters in the model. The result showed that in the case of the government putting more emphasis on the maximization of social welfare, entry regulations could be less stricter than the other. And it was also found that in the case of the government focusing on the political contribution from the entrant firm of a new industry, entry regulations could be stricter.

      • KCI등재

        Antecedents of Exploratory and Exploitative Innovation and Its performance

        Han-soun Woo(우한성),Seog-soo Kim(김석수),Hyung-khun Oh(오형근)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09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9 No.4

        오늘날 같은 급변하는 세계경제 환경 속에서 조직의 지속적 성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혁신에 대한 연구는 경영학의 모든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탐험적 혁신과 활용적 혁신의 선행요인을 자원기반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두 가지 혁신의 선행요인들을 검증하기 위해서 기업 자원뿐만 아니라 기업문화의 측면에서 기업의 구조적인 특성-유연성, 명문화, 사회적 관계의 강도-과 혁신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혁신과 성과 간에 관계를 조절해주는 조절 변수로서 환경의 역동성의 효과를 검증하였고,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기업이 혁신에 전략적으로 투자하는 방법에 대한 실증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