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만 공공도서관의 역사와 현황에 관한 연구

        우윤희,김종성 한국문헌정보학회 201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8 No.3

        This study is to review the history and general condition of Taiwanese public libraries. The first Taiwanese public library was established in 1901 by Japanese resident and the Japanese government. After Independence and moving the seat of government to Taiwan, public libraries was depressed. But since 1979 public libraries have been increased quantitatively because of the construction of culture center and qualitatively because of growth of publications in 1987. Then Taiwan public libraries was developed very rapidly. There are several advantage, including government library’s leadership, professional chief librarian, tradition of field research by librarian, inter-library cooperation system, green library building, and so on. 이 연구는 대만의 공공도서관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1901년 대만문고를 일본 거류민이 설립함으로써 시작된 대만 공공도서관의 역사는 대만총독부도서관 설립으로 본격화되었다. 광복과 중화민국 정부의 대만천도 이후 침체를 겪다가 1979년 ‘문화건설계획’ 이후 양적으로 늘어나고, 1987년 계엄령 해제로 출판물이 증가하면서 질적으로도 발전하게 되었다. 이후 급격히 발전한 대만 공공도서관의 현황을 통해 공립공공도서관이 발전의 주축이 되고 있다는 점, 국가도서관뿐만 아니라 주요 공공도서관 관장이 도서관전문가라는 점, 현장에서의 연구가 활발하다는 점, 도서관의 독서진흥활동이 성인독자, 노인독자 등 연령대를 폭넓게 하여 이루어진다는 점, 도서관간의 상호협력, 녹색도서관건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는 점 등의 장점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우리나라 창작동화에 나타난 도서관과 사서

        우윤희,김종성 한국문헌정보학회 201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ages of libraries and librarians i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For this purpose, fourteen children’s fictions that the main background is library are analyzed. Library’s role appeared in the children’s fictions is focused on reading books. In the children’s fictions, librarians are usually women and described as friendly and active people. And their role is shown as strongly committed to children’s reading activities. Library services and activities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cultural development of children is hardly reflected in the fictions. It implicates that the libraries and librarians in children’s literature is very reflective of those in the real world. 이 연구는 어린이들이 읽는 동화책 속에 반영된 도서관과 사서의 이미지를 포괄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서관을 배경으로 하는 우리나라 창작동화 14편을 선별하여 자세히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동화 속에 나타난 도서관은 대체로 최근에 새롭게 단장을 하여 어린이들에게 호감을 주는 외형을 가지고 있었다. 도서관의 역할은 독서활동에 편중되어 설정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활용이나 문화활동 등에 대한 반영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는 거의 모두 여성이었으며, 친절하고 적극적인 성향으로 아이들의 독서활동을 위해 노력하지만 교육자적 측면 등의 다양한 직업적 면모를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렇게 동화 속에 반영된 도서관과 사서의 모습은 우리 사회의 현실 속에서 인식되고 이해되는 도서관과 사서의 수준과 한계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 KCI등재

        사서 대상 도서관 다문화서비스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우윤희,구정화,조용완,Woo, Yunhee,Koo, Joung Hwa,Cho, Yong Wa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2 No.1

        It is necessary to offer continuing education for the librarians who provide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in the middle of increases of multicultur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The research aims to systematize and restructure multicultural service curriculums for librarians' continuing educat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on the basis of the recently derived multicultural curriculum subjects for librarian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e research conducted both literature reviews of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and interviews with multicultural experts, library experts and a pedagogical professor. The research collected experts' opinions regarding how to operate the multicultural curriculums for librarians and the lecture contents including detailed subjects, lecture methods, lecture times, etc. Also the research condcuted interviews with a pedagogical professor regarding how to operate the suggested curriculum and the opinion was reflected in the final curriculum development. At the results, the research suggested the educational goal entitled with "cultivating librarians with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professional service competency" and the four educational models with different educational cycles,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of evaluation tailored to each educational stage. The research results expect to enable educators (both instructors and administrators) to operate each curriculum flexibly according to education demands, an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s. 다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서비스 주체인 사서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서비스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에 도출된 사서 대상 다문화 교육과정 교과목들의 토대 위에서 국립중앙도서관의 도서관 다문화서비스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재구조화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들을 조사하였고, 다문화 전문가와 도서관 전문가, 교육학 교수 등과의 면담을 통해 자문을 진행하였다. 자문과정에서는 연구진이 도출한 사서 대상 다문화 교육과정의 운영방안과 세부 교과목별 강의내용, 강의방법, 강의시간, 연구진이 제시한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그 결과를 최종 교육과정 개발안에 반영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 감수성과 전문서비스 역량을 가진 도서관 사서 양성"이라는 교육목적 하에 교육 주기와 교육내용을 달리한 총 4개의 교육모델과 교육 단계에 맞춘 다양한 평가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교육운영자는 국내 사서들의 다문화 교육 수요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교육과정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우리나라 '한 도시 한 책' 운동 선정도서 분석

        우윤희,김종성,Woo, Yun-Hee,Kim, Jong-S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5 No.4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2003년 이후 시행된 '한 도시 한 책' 운동의 선정도서 473권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이 운동의 현황을 개관한 후 표방된 운동의 취지와 목적, 도서 선정 절차와 기준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전체 선정도서를 선정 횟수, 출판연도, 저자, 갈래(장르), 소재(내용) 등의 측면에서 자세하게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한 도시 한 책' 운동 도서 선정의 주요 특성을 신간도서 선호, 어린이대상 도서 선호, 지역성 반영 등의 경향으로 정리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의 이면에는 이 운동의 취지와 목적이 충분하게 이해되지 못하는 현실이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what kinds of books are selected for 'One Book, One City' campaign in Korea since 2003. For the purpose 473 selected books are analyzed. Based on the general overview of the campaign, selected books are analyzed by publication year, author, genre, and subject. From the analysis three preference tendencies in book selecting came out as newly published books, children's book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reflected books.

      • KCI등재

        정보활용교육을 통한 교과연계 도서관활용수업 실행연구

        우윤희,김종성,이용구,Woo, Yun-Hee,Kim, Jong-Sung,Lee, Yong-Gu 한국비블리아학회 201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4 No.2

        이 연구는 정보활용교육을 통한 교과연계 도서관활용수업을 실행함으로써 정보활용능력을 향상시키고 교수 학습지원센터로서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변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 사회과와 과학과를 중심으로 1년간 20회(40시간)에 걸쳐 실제 수업을 실행하였으며, 연구보고서법 수행평가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정보활용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information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study, three 4th grade classes of an elementary school in Daegu were provided a two-hour instruction about basic training on how to utilize information and school library, after which one of the three classes received 2 hours long weekl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s associated with social studies and science curriculum for 20 weeks. The study, implemented in two phases with mid-term assessment, involved three interview sessions with students, two interview sessions with homeroom teachers, a general descriptive survey, a performance assessment and a follow-up survey.

      • K-means 클러스터링과 토픽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국민청원 사이트의 카테고리 재구성

        우윤희 ( Yun Hui Woo ),김현희 ( Hyon Hee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1

        국민 청원 사이트가 뛰어난 접근성과 신속성으로 인하여 국민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현재 국민청원 사이트의 카테고리 분류는 ‘미래’, ‘성장동력’ 등을 포함한 16개의 카테고리 및 기타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 기준이 모호하여 많은 청원글들이 기타 카테고리로 분류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청원글의 내용을 명확히 반영하지 않고 미리 정의된 카테고리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데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정의된 카테고리를 정의하고자 추천 순으로 1,500개의 청원글을 수집하였고, 수집된 청원글의 내용을 바탕으로 카테고리 구조를 추출하였다. 먼저, k-평균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청원글을 군집하여 대분류를 정의하였고, 보다 구체적인 세부 분류를 정의하기 위하여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계층적 카테고리 구조는 청원 글의 내용을 바탕으로 대분류와 세부분류로 구성된 것이므로 새로운 청원글을 등록하거나 분류하는 데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 RTSP기반 건설현장 원격관리 시스템 구축

        우윤희 ( Woo Yun-hee ),윤효운 ( Yun Hyo-woon ),유무영 ( Yoo Moo-young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3 No.2

        Construction inspection and monitoring are key activities in construction projects. Automation of inspection tasks improves the limitations and inefficiencies of manual construction inspections, enabling systematic and consistent construction inspections. In this paper, an RTSP (Real-Time Streaming Protocol) system is used to remotely manage and supervise the construction site without having to visit the construction site by deploying a robot on site on behalf of four construction stakeholders (owner, supervisor, constructor, and designer). I would like to propose. The proposed system can contribute to identifying and monitoring the process process and work results at the construction site in real time.

      • KCI등재

        실시간 응용을 위한 혼합형 다중 객체 추적 시스템의 구현

        우윤희(Yun-Hee Woo),최권택(Kwon-Taeg Choi),이정근(Jeong-Gun Lee) 한국정보기술학회 2019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1

        In recent years, object tracking techniques have grown dramatically with the advances of deep learning. Object tracking systems combined with deep learning show good tracking performance but they require high computational cost. Simple Online and Realtime Tracking(SORT) is a multiple object tracking algorithm that is used with an object detection system. SORT requires a large amount of operations even when just few objects in distance need to be track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that reduces the amount of computation by combining SORT with the light-weight object tracking method using Euclidean distance. We implement the hybrid object tracking algorithm that changes the tracking method flexib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Finally we show that the amount of computation for the proposed algorithm is effectively reduced compared to the SORT.

      • KCI등재

        도서관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이주민과 다문화전문가 및 사서들의 인식과 요구조사

        구정화,우윤희,신난희,조용완,Koo, Joung Hwa,Woo, Yunhee,Shin, Nanhee,Cho, Yong Wa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1 No.2

        본 연구는 도서관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이주민, 다문화전문가, 사서의 인식과 요구조사를 통해 다문화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본 방향과 방법에 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심층 인터뷰와 포커스그룹 인터뷰 기법을 사용하여 도서관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조사결과, 이주민들과 사서들의 현재 도서관 다문화 서비스에 대한 주요 요구들과 인식에 있어 의미있는 특징과 차이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 다문화서비스의 개선을 위해 다문화사회와 이주민에 대한 사서의 이해 증진, 수요자 중심적인 도서관 다문화서비스로의 전환, 다문화 유관기관과의 협력 강화, 도서관 협력에 기초한 다문화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도서관 다문화서비스 교육과정의 체계화 등이 요구되었다. The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immigrants', librarians' and multicultural experts' information needs and perception on current multicultural services in Korean librarie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providing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The research collected the data through conducting both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immigrants, librarians and multicultural experts. The research found the significant and emergent features on immigrants' and librarians' requests and perception about current library multicultural services. On the analysis of th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 policies for library multicultural services and the alternatives to improve library multicultural services and librarians' multicultural compete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