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재서의 일본어 번역표현 연구 - 이태준 「꽃나무는 심어놓고」와박화성 「한귀」의 번역을 중심으로 -

        우시지마 요시미 국제어문학회 2018 국제어문 Vol.0 No.77

        This article compares Lee Tae‐jun’s “Planted Flower Trees” and Park Hwa‐seong’s “Drought-god” translated by Choi Jae-seo into Japanese in 1936,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 and Choi Jae-seo’s intention. While Choi Jae-seo changed the tone of female characters to urban in the translation of “Drought‐god” in Japanese, he used a regional dialect for the male characters and hid the asset of the farmer who could read the text. While Choi Jae-seo expresses the male character as a simple, moral farmer, the woman character is expressed as an intellectual, but, she is expressed as a wife falling into a totem faith because of the drought. It may be the result of being conscious of the contempt that the Japanese readers might have against Joseon‐people. In the “Planted Flower Trees”, he hides the fact that the evil landlord, who is the cause of hero’s departure, is a Japanese as he deliberately uses an inverted-black-type, but it can also be restored from other parts. Choi Jae‐seo sought a compromise between the repression of the empire and the writer’s mission. In Choi Jae‐seo’s translation version of “Drought-god”, the characters are mostly marked as a general noun, which causes to get the distance between the readers and the characters. It would have been the distance between the Japanese and the Joseon people that Choi Jae-seo felt. 이 글은 1936년 최재서가 일본어로 번역한 이태준의 「櫻は植えたが(원제: 꽃나무는 심어놓고)」와 박화성 「旱鬼(원제: 한귀)」를 원작과 비교해 그 표현의특징과 최재서의 의도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최재서는 「한귀」 번역본에서 여성인물의 어투를 도시적으로 바꾼 반면 남성인물에게는 사투리를 사용하게 하고, 글을 읽을 줄 아는 농민임을 숨겼다. 최재서는 남성인물을 순박하고 도덕적인농부로, 여성인물을 지적이지만 가뭄으로 인해 토속신앙에 빠지고 만 아내로 표현했다. 그것은 일본인 독자의 조선인에 대한 멸시감정을 의식한 결과일 것이다. 「꽃나무는 심어놓고」에서는 주인공이 실향하는 원인인 악덕지주가 일본인임을복자로 숨기지만 그것은 그 밖의 부분에서 복원이 가능하기도 하다. 최재서는제국의 탄압과 작가의 사명 사이에서 타협점을 모색했다. 최재서의 「한귀」 번역본에서 등장인물을 주로 일반명사로 서술되며 이는 독자와 등장인물의 거리를 멀어지게 하고 있다. 이 거리는 최재서가 느끼고 있는 일본인과 조선의 거리이기도 했을 것이다.

      • KCI등재

        김사량 「무궁일가」에 나타난 빛의 상징성 연구

        우시지마 요시미(Ushijima Yoshimi) 동악어문학회 2018 동악어문학 Vol.75 No.-

        이 글은 김사량의 일본어 소설 『무궁일가』에 나타난 빛의 상징성을 살핀다. 단편 『무궁일가』는 노동계급의 재일조선인들의 이야기다. 이 작품에서 조선의 전통적 가치는 자연광(햇빛)으로, 일본의 근대적 가치는 인공광(전기)으로 각각 주인공 동성, 명선, 아버지의 눈을 통해 표현된다. 또한 일본사회에서도 재일조선인사회에서도 소외된 존재는 그림자로 표현된다. 근대적 가치 속에서 갈등하고 있는 동성은 촛불로 상징되는 생명의 힘에게 감회를 받고 괴로운 인생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려고 한다. 그는 이기적으로 살아가는 근대적 가치관보다 아버지가 추구했던 조선인사회의 전통적 가치관을 최종적으로 택한다. 또한 동성은 빠르게 흘러가는 구름사이에 별을 확인하고 있는데, 이는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도 달라지지 않은 조선의 가치를 유지하면서 군국주의의 폭풍이 지나가기를 기다리는 태도로 해석할 수 있다. 이처럼 작품에는 빛의 양상이 상징성을 지니고 그것은 인물의 무의식적 시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빛의 상징성은 김사량의 다른 작품을 이해하는데도 힌트가 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symbolism of light that appears in the Japanese novel “Mugungilga”. “Mugungilga” tells about Joseon‐people who are labor class residents in Japan. In this work, through the main character, Dongseong, Myeongseon, the eyes of father, Joseon"s traditional value is expressed in natural light (sunlight), Japan"s modern values are expressed in artificial light (electricity), and the alienated existence is expressed in the shadow not only in the Japanese society, but in the Joseon‐people society in Japan as well. Dongseong who is struggling in the modern value tries to accept the life of symbolizing candlelight and positively accept the painful life. He ultimately chooses the traditional values of the Joseon‐people society his father pursued rather than the modern values with selfish life. Also, Dongseong confirms the star that appears between the rapidly flowing clouds, and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 attitude that is waiting for the storm of militarism to pass, while maintaining the value of Joseon that has not changed even in a rapidly changing era. Thus, the aspect of light has a symbolism, which is manifested in the unconscious view of the person. This symbolism of light can be a hint to understanding other works of Kim Saryang.

      • KCI등재

        1920년대 중반 조선총독부의 검열문건 연구 ― 『이수입 불온인쇄물기사개요』를 중심으로

        우시지마 요시미,문한별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2 No.-

        This article clarifies the meaning of the document "Summary of Imported Disquisition Publication Articles" of the Gyeongseong District Court. Drafted by the police bureau library, this document relates to the disquisition publication brought to Joseon from Japan, China, Manchu, the United States, and Russia. It specifically targets the censorship documents from September 1926 to September 1927, which look at the dismantlement and integration of disquisition organizations and their theories. This was a joint activity of the left and right political wings led by Singanhoe, and a reorganization of the groups that led the independence movement took place at that time. This was seemingly because even the left was undergoing a period of "redirection." In addition, these documents closely examine the cooperative relations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International Communist Party and the terrorist activities of anarchic organizations. More importantly, they are the oldest documents found in the contents of the censorship documents as currently confirmed.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further exploration of the existence of publishing censorship documents at similar or earlier times. 이 글은 경성지방법원검사국의 문건인 『이수입불온인쇄물기사개요』를 해제 하고 그 의미를 확인한 것이다. 이 문건은 일본을 비롯하여 중국· 만주· 미국· 러시아로부터 조선으로 유입된 불온인쇄물에 관한 것이며, 작성자는 경무국 도서과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1926년 9월부터 1927년 9월까지 검열된 문서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각 불온단체 간의 해체· 통합과 그들이 주장하는 이론 을 주시하고 있다. 이것은 당시 신간회에 의한 좌우합작활동으로 독립운동 단체 간의 개편이 이루어졌고, 또 좌파 내에서도 ‘방향전환’의 시기에 있었기 때 문으로 보인다. 그밖에 이 문건은 국제공산당 등 해외 단체와의 협력관계, 무정 부단체의 테러행위 등에 대해서도 주시하고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하는 것 은 이 문건은 현재 확인되는 출판 검열의 내용을 알 수 있는 문건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자료에 해당되며, 이는 향후 유사한 시기나 혹은 보다 앞선 시기의 출판 검열 문서의 존재가 추가 발굴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 KCI등재

        이석훈의 2개의 「이주민열차」 -모델이 된 사건에 대한 신문보도 양상과 한국어·일본어 텍스트 비교를 중심으로-

        우시지마 요시미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0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0 No.-

        This study compares the Japanese version of “Migrants' Train” by Lee Seok hun published in “Gyeongseongipbo” in October 1932 and the Korean version of “Migrants' Train” published by Jeilseon in February 1933. First, this study explored newspaper articles at the time and presented the landslide accident of Yeongwol‐gun fire field farmers, who are believed to be the actual model of the novel. The victims of this landslide accident were moved to Hoeyang‐gun, Gangwon province as a government‐promoted northern part of Korea pioneering project. Articles about them were reported differently for each newspaper. In the Japanese version, the characters were drawn foolishly and nicely, so no complaints about the government were described. The description of “Migrants’ Train” the Korean version published in “eilseon” is based on the senses of the main character. The author wanted to have the characters in the work integrated with the the intellectuals of Joseon, the readers of “Jeilseon”. 본고는 이석훈이 저술한 1932년 10월에 『경성입보』에 게재된 일본어판 「이주민열차」와 1933년 2월에 『제일선』에 게재된 조선어판 「이주민열차」를 비교한 것이다. 우선 본고는 당시 신문기사를 살펴 이 소설의 실제모델로 추정되는 영월군 화전민의 산사태사고를 제시했다. 이 산사태사고의 이재민들은 정부가 추진하는 북선(北鮮) 개척사업으로 강원도 회양군으로 이주되었다. 이 개척사업에 대해 총독부 기관지인 『경성일보』는 희망적으로 보도하고, 언문민간지 『동아일보』는 민족적인 입장에 서서 비판했다. 또한 『조선일보』는 정부에 압력을 받아 순응하는 태도를 보였다. 1932년 5월에 발표된 단편 「직업고」를 보면 작가가 그 당시 언론환경에 불만을 안고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두 개의 「이주민열차」에는 각각 그 게재지의 성격이 반영되어있는데, 총독부 기관지 『경성입보』에 게재된 일본어판에서는 등장인물들은 어리석고 선량하게만 그려져, 정부에 대한 불만은 서술되지 않았다. 이는 작가가 일본인 독자에게 기대하는 것이 진정한 이해가 아니라 단순한 자비(慈悲)라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조선어 종합지 『제일선』에 실린 조선어판에서 작가는 독자인 조선의 지식층에게 작중인물과 일체화되기를 원했으며, 일본어판에서는 드러나지 않았던 이재민들의 속마음, 즉 위정자에 대한 반감이 서술된다. 조선어판의 결말은 일본어판과 달리 어둠 속에서 “여명”이 찾아올 것을 예언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것은 이 소설을 읽은 조선인 독자가 미래를 변화시킬 것을 기대했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