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순천,여수의 인구 변화와 여순사건

        우승완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23 인문학술 Vol.10 No.-

        The Yeosun Incident, in which citizens sacrificed on a large scale,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in the city's history in that population is an absolute component of a c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urban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Yeosun Incident, this study examined the population changes prior to the Yeosun Incident by classifying them into Suncheon-gun and Yeosu- gun, and urban areas such as Suncheon-eup and Yeosu-eup, along with urban characteristics by period. Until 1925, when the traditional urban space collapsed, the population of Suncheon was greater than that of Yeosu, but in 1920, the Japanese population of Yeosu was four times that of Suncheon. The mission facilities established in Suncheon and the migration of Japanese fishermen to Yeosu lead to physical changes in the city. Until 1935, when the urban area was expanding, the urban area of the two cities and the population growth of Yeosu are prominent. In 1929, the influx of Chinese workers increased more than 10 time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due to the construction of a railway, and in 1931, Yeosu and Suncheon were elevated to eup status, giving them urban status. In the period of modern urbanization, urban planning was established, and in 1937,the number of Chinese in Suncheon and Yeosu decreased sharply, but the Japanese population in Suncheon increased by more than 50%. Yeosu surpasses Suncheon in both urban area and total population since 1940. In particular, Yeosu has an airfield built through a competition with Suncheon, and roads in Yeosu are improved into national defense roads to return to a military city. As such, Yeosu was chosen 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National Defense Guard's departure from Jeju, as it had already prepared military facilities and a good maritime transportation route to Jeju, and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the 14th Regiment Rebellion. 시민 희생이 대규모로 발생한 여순사건은 인구가 도시의 구성 요소로서절대적 이라는 점에서 도시 역사의 중요한 기점이 된다. 본 연구는 여순사건 당시의 도시적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여순사건 이전까지 인구의 변동을순천군과 여수군,도시지역인 순천음과 여수읍으로 구분하여 시기별 도시특징과 함께 살펴보았다. 전통 도시 공간이 와해되던 1925년까지 순천 인구는 여수보다 많았지만,1920년 여수의 일본인 인구는 순천의 4배였다. 순천에 설립된 선교 시설과 일본 어민의 여수 이주가 도시의 물리적 변화를 이끈다. 도시 영역이 확산되던 1935년까지 두 도시의 도시 지역과 여수의 인구 증가가 두드러진다. 1929년에는 철도 부설로 중국인 노동자 유입이 전년보다 10배 이상 증가하고,1931년에 여수와 순천이 읍으로 승격되어 도시적인 격이 부여된다. 근대적 도시화기에는 시가지 계획이 수립되고 1937년에는 순천,여수의 중국인이급감하지만 순천의 일본인 인구는 50% 이상 증가한다. 여수는 1940년 이후 도시 지역과 전체 인구에서 모두 순천을 앞지른다. 특히 여수는 순천과의 경합을 통해 비행장이건설되고 여수지역의 도로가 국방 도로로 개량되어 군사 도시로 회귀한다.

      • KCI등재후보

        광양읍성의 공간 구조에 관한 연구

        우승완,남호현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9 호남학 Vol.0 No.46

        Present region of Kwangyang City and town was the Traditional Eup Towns in of Kwangyang in Chosun Era. Kwangyang-Upsung, the core Traditional Eup Towns, was asmall town castle whose inside circumstance was no more than 853m, compared with those in Chosun Era. The region of it is difficult to find the traces which can be assumed as the location these days owing to the rapid urban spreading after the castle was removed during the period of Japan's forced occupation. But the study on the spacial construction and change about the latter period of Chosun come true to form the basis on sence of values on village people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local cultures. On this study, the background of construction and process can be identitied even some paets of them. According to this study, Kwangyang-Upsung was constructed to manage the fertile farm and traditional forest was made together to compensate for the topographcial disadvantage. It consisted of three gates of castle and 'T' type road network. The destruction of the castle was begun by the road building. Traditional forest which had represented Kwangyang-Upsung was turned into erserved forest city park fark from the town castle shelter in use. 지금의 광양시 광양읍 지역은 조선시대 광양 지역의 읍치였다. 읍치의 중심이었던 광양읍성은 조선시대 읍성가운데 성곽의 안쪽 둘레가 853m 정도에 지나지 않는 소규모읍성이었다. 광양읍성 지역은 일제강점기에 성곽이 철거된 이후에, 급격한 시가지 확산으로 지금은 그 위치를 추정하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그 흔적을 찾기가 어렵다. 본 논문은 지역문화의 시각화를 해석 주민들의 가치관 형성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조선후기 광양읍성의 공간구조와 그 변화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통해서 광양읍성의 축조 배경과 과정을 일부나마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면 광양읍성은 기름진 농토를 관리하기 위해 축조되었고, 읍성의 지형적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전통 숲이 함께 조성되었다. 광양읍성은 성문이 3개소로 'T'형 도로망을 갖고 있었고, 도로 개설에 의해 성곽의 훼철이 시작되었다. 광양읍성의 대표적인 경관이었던 전통 숲은 읍성 차폐에서 보안림으로, 그리고 도시공원으로 그 활용이 바뀌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미국 남장로회 선교기지의 토지 소유에 관한 연구

        우승완,남호현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2 南道文化硏究 Vol.- No.46

        The cities after the ‘port – opening period’ have great features of Christianity. Thus, the cultural influence of Christianity has it’s meaning on the study of history of the city. The missionary towns in this study are Jeonju, Gunsan, Mokpo, Gwangju and Suncheon. Among them, Jeonju represents the first Missionary town as well as the symbol of traditional city from Chosun-dynasty. This study focuses on the land that the American Southern Presbyterian owned. The existing study had limit when it comes to understanding space as it focuses on the ruins and certain facilities of the Mission town. Therefore, we analyzed physical territory and land possession of each Mission town and we coul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ission town. Especially Gwangju was revealed as the center among the other Mission town branches, as the document was founded in Gwangju which authorize the foundation of American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as well having the largest land and the most various category of land. 기독교 문화는 개항기 이후에 당시 도시들의 특성으로 대변되고 있어서 도시사 연구에 의미가 있다. 연구 대상인 미국 남장로회의 선교 거점 도시는 전주, 군산, 목포, 광주, 순천이다. 이 가운데 전주는 호남 선교의 첫 거점 도시라는 것과 조선시대 전통 도시의상징성 등으로 대표되기도 하였다. 이번 연구는 미국 남장로회 선교기지가 소유한 토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기존연구가 선교기지의 유적이나 특정 시설만으로 한정되어 공간을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각 선교기지의 물리적 영역과 토지 이용을 분석한 결과 각 선교기지의 특징을 확인할수 있었다. 특히 광주는 남장로회 재단법인 인가 서류의 출원지였고, 가장 다양한 지목과넓은 토지를 소유하는 등 선교 행정의 중심 도시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장시 벌교의 도시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우승완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4 호남학 Vol.0 No.56

        연구 대상지인 벌교읍은 근대기 폐군된 낙안군의 장시에서 근대적 도시로 탈바꿈한 지방의 소도시이다. 읍은 행정구역상 가장 작은 단위의 도시로, 농어촌의 경제・사회・문화적 거점이다. 특히 벌교는 광복 직후의 이념 갈등이 지금의 ‘태백산맥’이라는 문학작품으로 반영된 도시이다. 이 도시의 모태는 조선시대의 장시인 장좌장과 벌교장이고, 시장의 활성화가 도시화로 구현된 곳이다. 이러한 도시변화를 도시조직으로 정리하면, 첫째 시장이 만든 두 점형 도시조직에 간선도로망의 통과로 선형 도시조직으로 시가화가 이뤄진다. 둘째 매축지에 간선도로와 동일한 형태의 지선이 반복 분기되어 면형 도시조직의 상업도시 구축 등이 특징으로 나타난다. Beolgyo-eup, target area, is a small local town changed into a modern city from the market in Nakangun excluded county in modern age. Eup is the smallest unit in administration area and the centrality of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place in an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 Especially Beolgyo is the place the ideological conflict after Independence was reflected on a novel 'Taebaek Mountains'. The origin of Beolgyo urbanized from the vitalization of marketing was the Jangjwa and Beolgyo market in Joseon era. Making up the urban change as the urban system, At first, Two scattered towns made by markets were turned into linear one through the trunk road. Second, Trunk roads and the same branch roads were repeatedly branched on a reclaimed land and showed the commercial urban construction as the characteristics in a widen city.

      • KCI등재후보

        여수의 군사 도시 구축과 도시 해체 배경

        우승완 국립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24 인문학술 Vol.0 No.12

        1948년 ‘여순사건’은 여수에서 공간 파괴뿐만 아니라 시민을 앗아가며그 활동을 멈추게 하여 일순간에 도시를 해체한 사건이다. 여순사건의 기존 연구는 정치, 사회, 경제적 갈등에 초점이 한정되었으나 이번 연구는도시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수 구도심 일대는 1895년 전라좌수영이 혁파될 때까지 조선 수군의주진이 있었던 만큼, 군사적 요충지로서 군사기지 건설의 최적지였다. 이러한 지리적 배경으로 여수에는 요새사령부가 구축되고 수상기 기지가 잠수정 특공기지로 운영된다. 여수항은 지리적 특성으로 17방면군의 제주 이동에 일익을 담당한다. 여수의 일본군 군사시설은 미군정의 초기 한국군간부 육성에서 일본군 경력자가 대부분이었던 점에서, 1948년에 14연대주둔지와 제주 출병지로의 여수 선택은 예정된 결과였다. 1949년 여순사건으로 해체된 도시 복구를 위해 여수읍재해복구사업 특별회계가 꾸려지고 이재민 응급구호와 서정매립공사가 계획된다. 복구 공사를 위해 여수토건동업주식회사가 설립되고, 후생복표 발행과 공장, 주택, 관공서, 수산 시설 등으로 복구 대상을 선정하여 여수부흥사업을 시작한다. 이후 14연대 주둔지였던 여수 수상기지는 육군병원이 설치되었다가 구호병원으로 운영되면서 48병동 약 140실에 430명을 수용하다가 매각된다. In 1948, the ‘Yeosu-Suncheon Incident’ was an incident in which the city was dismantled in an instant by stopping its activities, such as the destruction of urban space and the death of citizens in Yeosu. Existing studies have limited focus on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conflicts, but this time, we have looked at the urban background. The area of Yeosu’s old city center had a core camp of the naval force until the dissolution of the naval force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1895. For this reason, it was the best place to build a military base as a key military site. Against this geographical background, a Japanese military base was established in Yeosu and a naval submarine base was operated. Yeosu Port is responsible for the movement of Japanese troops to Jeju Island due to it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Most of the Japanese military experiences were in fostering the Korean military comman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refore, it was a planned result that Yeosu, where the Japanese military base was located, was chosen in 1948 as the 14th Regiment base and the departure point of Jeju Island. A special account is set up to restore the city, which was disbanded in the Yeosu-Suncheon Incident in 1949, and emergency relief andreclamation work for victims are planned. For the restoration work, a construction company is established and a lottery is issued. And the restoration project is started by selecting factories, houses, government offices, and fisheries facilities. After that, an army hospital was established at the naval base used as the 14th Regiment’s base. As it was changed to an aid hospital again, it was sold after accommodating 430 people in about 140 rooms in 48 wards.

      • KCI등재후보

        순천읍성의 토지이용 변화에 관한 연구

        우승완(Woo, Seoung-Wan) ∙,이석배(Lee, Seog-Bai) 한국주거환경학회 2009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7 No.1

        This study aims to collect data on the basis of historical city research that needed to formation of sense of value of local residents, through the unique city characteristics. The special features of change in the land use on the process of urbanization in Suncheon ; it was origined from traditional Eup-Sung city are as followings ; The first, the vast majority of Eup-Sung local estates were managed by the nationalized land. The second, the land owned by the Japanese started form the commerical area of Eup-Sung was spread all the area through the market's encroachment in the end of occupation by Japanese. The third, the city development, as if the construction of road network Japanese residential density ; it was apart form the needs of korean. The Fourth, most Japanese resident in Suncheon was concentrated in urban area. The fifth, divided lot were divided again.

      • KCI등재

        근대 순천의 도시발전 동인에 따른 도시변화 과정에 관한 연구

        우승완(Woo, Seoung-Wan),이석배(Lee, Seaong-Bai),이서영(Lee, Seo-You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0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0 No.1

        각 도시들은 도시 고유의 특색을 살리고자 지역문화의 시각화를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문화의 시각화에도 불구하고 지역주민들이 공감하는 가치관 형성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를 해결하고자 도시역사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순천이 근대 도시로 성장하게 되는 특징을 도시 발전 동인에서 찾고자 한다. 도시 발전 동인의 주체나 문제 해결의 결정권이‘도시 내부에 존재 하는가’또는‘도시 외부에 존재 하는가’에 따라 시기별로 내·외부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도시변화 요인을 시기별로 보면, 첫째 1910~1919년 외부 요인인 순천선교부가 읍성영역 밖에 기존의 한국인 마을에 연접된 독자적인 마을을 형성된다. 둘째 1920~1930년 교육과 의료시설의 정착으로 내부 요인인 인구 집중으로 읍성내의 교육시설과 상업시설이 읍성 밖으로 이전된다. 셋째 1931~1945년 외부 요인인 순천 철도사무소 설치로 다핵 도시로 바뀐다. 넷째 해방 이후 1945~1966년 내부 요인인 재해 발생으로 수해 복구에 의한 신도시 건설이다. 이와같이 지역의 도시 문화 이해를 위한 과거 도시 공간의 이해에서, 그 시대의 정체성뿐만 아니라 사회ㆍ경제적인 부분까지 비춰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도시 연구에서 선행되어야 할 물리적 형태 변화의 연구라는 점에서 순천지역 도시 연구의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urbanization processes of modern Suncheon from the viewpoints of its development motivations. Analyzing the decision making agents and dynamics, this study illuminates the following interpretations: First, the foreign missions of Suncheonbranch were uniquely formed outside the area of existing Eup-sung (town fortress) and next to Korean village in 1910~1919. Second, the educational and commercial facilities were established inside Eup-sung because of the growing population due to the settlement of educational and medical ones in 1920~1930. Third, in 1931~1945, Suncheon was changed into a multi-core city due to the establishment of railroad office. Fourth,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ruling, Suncheon constructed new towns, recovering the flood disasters in 1945~196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