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미지를 통해 본 그리스 신화 1 : 신 고고학적 방법에 의한 이미지분석에 대하여

        우성주 ( Sung Ju Woo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연구소 2004 지중해지역연구 Vol.6 No.2

        A great amount of the informations about the Greek Mythology come from the written documents. But we are not accessible to the real world of the creators of the Mythology and their society, because the informations are very limited not only in quantity, but also in quality. How can we get more informations to know about the real life of the ancient greeks who created the world of Mythology that had influenced a lot in the Occidental World? In this article we have investigated why we have to study the Greek Mythology through Images. This will be an analysis of the Images according to the New Archeological Approach. In case of the informations about the god of wine, Dionysus, the written documents have a tendency of informing us unilateral aspect of the god of parties. But, the god does not represent the unilateral aspect, but symbolize the diversity in deed. If we study the meaning of Dionysus with the images reflected in the vases of the early Greece, Dionysus represents as the images or symbols of passions and emotions of the human being. But, after passing the time the god of wine became an object for the religious reverence and glorification. Some aspects of Dionysus of the early Greece do not exist in the aspects of the later Dionysus. With an example of the analysis of the images of Dionysus reflected in the plastic arts, we can notice the importance of an analysis of the images, because the images represent much more informations than the written documents do.

      • KCI등재
      • KCI등재

        색각이상자의 색채 감성 연상

        우성주 ( Sung Ju Woo ),박종욱 ( Chong Wook Park ) 한국감성과학회 2013 감성과학 Vol.16 No.4

        본 연구는 색각이상자들의 색채 감성 연상의 실태 조사 목적에서 기획되었다. 정상인 100명과 색각이상자 34명으로 피실험 집단을 구성하였고, 색각이상자를 ``적색약`` 집단 8명과 ``녹색약`` 16명으로 세분하여, 좋아하는 색, 행복한 색, 친근한 색, 싫어하는 색, 슬픈 색, 거북한 색, 적극적인 색과 소극적인 색 등 항목에 대해서 먼셀이 제안한 기본 10색 가운데 하나씩만 선택하도록 하였다. 정상인 집단의 좋아하는 색은 파랑과 빨강이고, 행복한 색은 노랑이며, 친근한 색은 초록이었다. 색각이상자 집단은 좋아하는 색으로 파랑을, 행복한 색으로 노랑을, 친근한 색으로 파랑을 선택하였다. 또한 정상인 집단이 싫어하는 색을 청록으로, 슬픈 색으로 파랑을, 거북한 색으로 청록을 선택한 것과 비교하여, 색각이상자 집단은 싫어하는 색으로 청록을, 슬픈 색으로 자주를, 거북한 색으로 청록을 선택하였다. 정상인 집단이 적극적인 색과 소극적인 색으로 빨강과 청록을 선택한 반면, 색각이상자 집단은 각각 빨강과 파랑을 선택하였다. 이는 색각이상자들의 일상생활에 있어서 색채의 왜곡된 수용이 감성왜곡으로 연결되어 일상생활에서의 부정적 요소가 되지 않도록 유도하는 색 구성 작업에 활용되고, 특히 문화콘텐츠 이용 편의성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lor emotion associations of the color vision defectives, considering that the colors do have an effect on human emotional conditions. To realize this investigation, firstly we selected 100 normal persons (group C)and other 34 color vision defectives(group A), dividing the last group into two small groups as protanomaly group(group P) with 8 persons and deuteranomaly group(group D) with 16 persons. All participants have been offered to select one color from ten colors for each of three positive emotions such as ``favorite``, ``happy`` and ``friendly`` and of three negative emotions like ``sad``, ``disliked`` and ``awkward``. And they selected another one color for each active and passive emotions. For ``favorite color`` the group C selected ``blue`` and ``red`` while the group A chose ``blue``. For ``happy color`` the two groups selected ``yellow``. For ``friendly color`` the group C chose ``green``, but the group A selected ``blue``. For ``sad color`` the group C preferred ``blue``, but the group A chose ``purple``. For ``disliked color`` all groups selected ``bluish green``. For ``awkward color`` the two groups preferred ``bluish green``. For ``active color`` all groups selected ``red``. And for ``passive color`` the group C chose ``bluish green``, but the group A selected ``blue``. Depending on the type of color vision deficiency(group P and group D) some more differences were revealed relatively. These results should be applied to develop some intelligent color conversion technology for enhancing the usability of culture contents for color vision defectives.

      • KCI등재

        인물 사진의 피부 톤 변화에 대한 감성 반응

        김은영 ( Eun Young Kim ),박종욱 ( Chong Wook Park ),우성주 ( Sung Ju Woo ) 한국감성과학회 2014 감성과학 Vol.17 No.1

        인물사진에서 피부 톤은 사진작가가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부분 중 하나이다. 인물사진의 피부 톤 변화에 따른 수용자의 감성과 선호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두 가지 실험이 시행됐다. 실험 1은 피부 톤을 어느 정도 변화시켜야 피실험자들이 그 차이를 감지하는지(JND)를 확인하고, 극단적 단계까지 단계별로 변화시킨 많은 수의 사진들로 실험하여 대략적 선호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밝기가 가장 밝은 사진과 붉은(Red나 Magenta) 피부 톤 선호를 확인했다. 실험 1의 결과에 따라, 사진의 밝기를 가장 밝은 밝기로 고정하여 실험 사진들의 수를 줄이고, 높은 선호도를 보였던 마젠타는 보색인 그린(Green)과 함께 5단계로 조절하고, 나머지 색채의 샘플은 한 장으로 제한함으로써 실험 2를 심화했다. 그 결과, 중성색 피부 톤의 공통된 선호와 함께 각 성별집단 간 선호도의 상이점이 발견되었고, ``행복``하거나 ``편안``한 감성이 선호도와 긍정적으로 관련이 크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같은 인물사진의 피부 톤의 조정이 그 사진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에 유의미한 결과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skin-tone in portrait photography is one of the most sensitive parts that need retouching by a photographer.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reactions related to users` preferences for the skin-tone variations in portrait photography,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e first experiment included JND(Just Noticeable Difference) test to determine the general distribution of preferences with many photographs that varied in phases up to an extreme one, as a result, preferences for the brightest skin-tone and the red or magenta one were found. Based on the first experiment, we reduced the number of samples by adjusting their brightness to the brightest phase constantly. To intensify the second experiment, we reduced the number of the other colored samples to only one and made samples for five phases from green to magenta, namely the most preferred skin-tone in the first experiment.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common preference for a neutral skin-tone and the parti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ender groups were found. In conclusion, the users` preference for a particular skin-tone was positively affected by emotions such as ``happiness`` or ``comfortable``. With this investigation, we compiled some statistically meaningful facts to confirm that the preferences of the users depend positively on controlling the skin-tone in portrait photography.

      • KCI등재

        구성주의 박물관 교육의 동기 설계를 위한 M-ARCS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남정은(Nam, Jung Eun),박종욱(Park, Chong Wook),우성주(Woo, Sung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학습을 핵심으로 하는 구성주의 박물관 교육 구현을 위해 학습 동기에 주목한 M-ARCS(Museum- ARCS) 척도를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구성주의 박물관 학습 특성과 ARCS 동기이론을 접목하였는데 이는 ARCS 동기이론이 한국 상황에 필요한 포괄성, 구체성, 문제해결성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다. 예비척도는 구성주의 박물관 교육의 학습 특징 지표와 ARCS 동기이론 체크리스트에서 추출한 후, CVR 검증과 자문을 받아 구성하였으며, 전문가 3인의 자문을 거쳐 3개 준거(프로그램 기획, 프로그램 운영, 활동지), 16개 세부준거, 77개 지표의 최종 예비척도를 마련하였다. 최종 예비척도 검증을 위해 전문가 201명 대상의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10건의 박물관 교육을 참관하였다. 기술통계분석과 상하 27% 집단 독립표본 t-test를 통해 지표 양호도와 지표 변별도를 검증하였다. 확인적요인분석을 통해 표준화 계수가 낮은 10개 지표를 제외한 후 집중타당도를 입증하였고 판별타당도와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크론바흐알파 계수와 Kappa 계수로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구성주의 박물관 교육의 동기 설계를 위해 3개 준거, 16개 세부준거, 67개 지표로 구성된 M-ARCS 척도를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M-ARCS 척도의 개발 의의, 제한점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M-ARCS (Museum-ARCS) scale which focused on learning motivation, in order to implement the constructivist museum education based on the learning-centered learning. To this end, the ARCS model featuring comprehensiveness, concreteness, problem-solving necessary for motivational design in constructivist museum education of Korea was integrated. The preliminary scale was constructed based on constructivist museum education features and ARCS model checklists and integrated through after CVR value and consultation. The final preliminary scale was consisted of 3 categories(Program Planning, Program Implementation, Worksheet), 16 sub-categories, and 77 indicators after 3 experts’ consultation. An online survey from 201 experts and 10 museum education observations were conducted for validation of the final preliminary scale. The descriptive analysis and t-test of 27 percent upper and lower groups showed the goodness and discrimination of indicator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10 indicators were deleted on Standard Regression Weight threshold. The convergent validity and the discrimination validity were confirmed and the model fit showed its appropriateness. The Cronbach’s alpha and the Kappa value showed its reliability. As a result, the M-ARCS scale constructed of 3 categories, 16 sub-categories, and 67 indicators for motivational design of constructivist museum education.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RCS scale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