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판적 사고능력 신장을 위한 CRTA 수업모형 사례연구

        왕경수(Kyungsu Wang),정민수(Minsoo Cheong),조대형(Daehyung Jo)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교육문제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비판적 사고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CRTA(Creating; Revising; Teaching; Assessing) 수업모형의 활용에 관한 사례기반 연구이다. 먼저 사고능력, 사고전략, 사고습관의 발달 촉진을 위한 CRTA 수업모형을 분석하여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사태에 적용하여 보고 비판적 사고능력이 신장됨을 살펴보았으며, 형성적 연구방법으로 초등학교 수업에 적합한 CRTA 수업모형을 일부 수정하여 제안하였다. CRTA 수업모형의 수정 제안으로 비판적 사고능력교육의 교육/학습 수레바퀴의 하위 요소 간 연결이 보다 자연스러워졌으며 4가지 주요 교육목표의 전반적인 반영 및 평가가 보다 구체화 되었다. 또한 비판적 사고능력교육과 비판적 사고능력평가를 명시적으로 접근하여 학습내용의 효과적인 인지와 더불어 비판적 사고능력의 신장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학생들에게 교육목표의 명시적 접근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주었으며 교육목표의 수정 및 전달에 대한 시간도 단축하여 비판적 사고능력 신장을 효과적으로 도달하게 하였다.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use of the CRTA(Creating; Revising; Teaching; Assessing) teaching model application through case studies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ability. The advancement of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y is an important educational aim for all educators. However, teaching critical thinking ability cannot be easily accomplished with a high amount of in-class instruction time and restrictive study time. Accordingly, instructing students how to express their thoughts clearly must require a systematic design and delicate teaching strategy by the instructor. The research method was to collect and study several models currently in the literature and then propose adjustments to this model by using the formative research method. Also, the teaching progress scenario was reorganized to conform to the CRTA teaching model for improving critical thinking ability. The much of the research that is being done in the area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education has been accomplished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as at this age, students’ curiosity and their desire to question the conditions of society is strong. Therefore, this study should improve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as applied in elementary school study within the CRTA teaching model(Kassem, 2000a, 2000b) for improvements in education.

      • KCI등재

        도형의 개념학습에 대한 가추법의 효과

        왕경수(Wang, Kyungsu),김종옥(Kim, Jongok)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that applying abduction to the learning of figures had on the concept learning of figur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8 students from five 4th grade classes at elementary school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assigned the students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measured their cognitive levels.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by applying abduction, and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based on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2009. The researcher, then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s to the two groups and checked the degree of the judgement of figures. Using the collected data,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ross tabulation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the concept learning of figures between the two groups of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all the remaining figures except the trapezoid,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number of figures that students have judged the shape and answered the questions correctly.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the number of figures the students mistakenly judged the figure and responded incorrectly. Third, with respect to the remaining figures except the trapezoid,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number of unwritten correct answers for each question. Through the study, it was shown that applying abduction to the learning of figur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ncept learning of figures. 본 연구는 도형 학습에 가추법을 적용하는 것이 도형의 개념을 학습하는데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 5개 학급의 학생 68명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자는 학생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 할당하였고, 인지 수준을 측정하였다. 실험집단은 가추법을 적용하여 지도하고, 통제집단은 2009 수학과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지도하였다. 그리고 연구자는 두 집단에 질문지를 배부하여 도형에 대한 판단 정도를 확인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두 집단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두 집단 학생들의 도형의 개념학습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해당 도형을 판단하고 질문에 정확히 응답한 도형의 개수는 사다리꼴을 제외한 나머지 도형에 대해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둘째, 학생들이 해당 도형을 잘못 판단하고 오답으로 응답한 도형의 개수에 대해 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각 문항에 기재하지 않은 정답의 개수는 사다리꼴을 제외한 나머지 도형에 대해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도형의 개념학습에 가추법을 적용하는 것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학력인정 중등교육과정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의 학습 경험 -해석현상학적 분석 접근-

        김선숙 ( Sunsook Kim ),왕경수 ( Kyungsu W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학력 인정 중등교육과정에 참여한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학습 경험에 나타난 교육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기 위한 해석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자들은 Smith et al.(2009)의 해석현상학적 분석 방법으로 접근했다. 연구에는 3명의 여성 결혼이민자가 참여했다. 연구자들은 연구 참여자들과 개별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원자료를 구성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들의 중등교육 참여 동기는 교육을 통해 극복하고자 함이였다. 학습 경험의 본질은 차별과 배제의 이중적 고통의 극복, 한국사회의 튼튼한 뿌리되기, 돈과 행복의 두 마리 토끼 잡기, 한국 지인들을 통한 정보탐색, 인적자본 강화, 자기훈육, 자기 시간표에 따른 공부하기, 미래준비 기반 학습, 부모 됨의 학습, 꿈을 가진 한국인의 삶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사회동화가 아닌 통합적 관점의 인적자본 강화, 중등교육, 다문화센터와의 다문화 센터와의 연계를 위한 구체적 제언을 했다. This study is an analytic phenomenological study to explore the meaning and essence of education in the learning experienc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secondary education course recognized for their academic background. The researchers approached the analytical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of Smith et al. (2009). Three female marriage immigra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earchers constructed raw data by conducting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y participant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motivation of the study participants to participate in secondary education was to overcome them through education. The essence of the learning experience is overcoming the double pain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becoming a strong root of Korean society, catching two rabbits of money and happiness, searching for information through Korean acquaintances, strengthening human capital, self-discipline, studying according to one’s own timetable, future preparation-based learning, parenting learning, and the life of a Korean with a drea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ers made specific suggestions for strengthening human capital from an integrated point of view rather than social assimilation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secondary education, and linking with multicultural centers.

      • KCI등재후보

        웹기반 협동학습에서의 상호 작용 증진 방안 탐색

        왕경수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4

        협동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회 심리적 상호작용이 필수적인데, 현재의 많은 웹기반 협동학습 환경은 이점을 간과하고 있다(Kreijin, 2003). 사실, 협동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이유는 웹 환경이 구축되면 자동적으로 사회심리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는 그릇된 인식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인지적 측면에만 국한시키거나 집단 구성원의 소속감 결여, 인상 형성 그리고 사회적 관계를 구축하는 데 실패하는 데 기인한다. 본 논문에서는 웹기반 협동학습에서 물리적으로 협동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여도 실제로 협동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데 대한 해결책을 주로 사회 심리적 차원에서 전개하였다. 우선, 해결책으로 적절한 집단 크기와 협동을 위한 집단 규범이 제시된다. 또, 온라인 협동학습 시 구조화된 평가를 이용 협동과정 자체를 평가하는 방법이 있다. 이 평가는 협동학습에 필요한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도록 도와주는데 유익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 협동학습 환경 구축 시 다양한 의사소통 채널을 활용하거나 학습자 개인 정보 등록 및 휴게실 활성화 등을 통해서 효과적인 사회적 상호 작용을 도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교수자나 학습 중재자(e-moderator)의 촉진자로의 역할 변화를 통하여 원활한 사회적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는 협동학습이 가능하다고 제안하였다. Web-based networks have enabled a shift from off-line face to face learning to asnchronous distributed learning groups utilizing collaborative learning networks. Although these environments can support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both research and field observations are not always positive about their working. This paper dealt with factors which may cause this discrepancy, centering on three pitfalls that appear to impede achieving the desired results, namely taking for granted that participants will socially interact simply because the environment makes it possible and neglecting the socio-psychological dimension of the desired social interaction. It examines the social interaction which how group develop, how sound social spaces characterized by group cohesion, trust, respect and belonging are established and a sense of community of learning is established. It concludes with explanations of educational techniques proposed by instructors and educators, as well as the findings of educational researchers and guideline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current web-based instruction in view of socio-psychological interactions.

      • 음률을 사용하는 무의미음절 청킹과 EMR아동의 단기기억 활성화

        왕경수,김영생,김광재 全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敎育論叢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nseless syllable chunking used tune on activation of EMR children;s short term memory and their literac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ellaboration question and ellaboration explanation about the figures of 5 key consonents to upper/lower EMR children in acquisition of vowel 'ㅏ' syllables? 2. Are the tunes of song effective on chunking vowel 'ㅏ' syllables. 3. To upper/lower EMR children is the senseless syllables chunked effective on chunking other syllables without or with a final consonent like 'ㅇ, ㅁ, ㄴ, ㄹ, or ㅅ' or in each syllable ? Selected were five children who could not read Hangul at all from three grade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the country of Jollabukdo.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llaboration question and ellaberation explanation only for lower EMR children in acquisition of vowel 'ㅏ' syllables. 2. The tunes of song were effective on chunking 19 key syllables including 19 consonents and the vowel 'ㅏ' syllables. 3. To upper/lower EMR children the tunes of songs were effective on chunking 19 key syllables and 7 kinds of 95 syllable tables. In sum, especially only in the case of EMR children, decording letters is critically related to activation of short term memory and so STM-adapted teaching is critically important for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