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연기념물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이원호 ( Won Ho Lee ),오해성 ( Hae Sung Oh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는 비자나무 숲을 대상으로 Z.-M. 학파의 방법으로 식물사회학적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비자나무 숲에 대한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비자나무 숲은 수평적으로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역의 저지대 및 구릉지에 발달하고 있었다. 총 50과 80속 95종 으로 구성되어진 비자나무 숲은 종조성에 의해 비자나무-상산군락의 전형하위군락, 가는쇠고사리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서식처 환경조건에 대응하였다. 3~4층으로 구성된 비자나무 숲의 아교목층과 관목층은 과거 간벌이후 일제히 재생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동백나무군강(Camellietea japonicae Miyawaki et Ohba 1963)을 특징짓는 진단종군으로 구성되어진 것이 특기되었다. 또한 임상의 경우 소엽맥문동, 십자고사리, 큰천남성 등의 순으로 기여도가 높았으며, 임연식생의 주요 구성종으로 대표되는 주름조개풀이 높은 기여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비자나무 숲이 지속적으로 인간간섭에 노출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비자나무의 치수는 반음지, 음지에서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다. 또한 비자나무 숲을 유지하기 위하여 삼림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쇠퇴시킬 가능성이 큰 강도간벌 대신에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을 구성하는 교목수종을 간벌하되, 아교목 및 관목수종을 대상으로 밀도조절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는 바이다. 향후 지속가능한 비자나무 숲을 유지하기 위하여 식생구조와 관리방식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arried out a phytosociological research by Z.-M. school`s method describing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solution about nutmeg tree`s(Torreya nucifera) forests. The nutmeg tree`s forests have developed intervale and hills in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zone. The nutmeg tree`s forests composed 50 familly, 80 genus, 88 species divided two syntaxa(typical sub-community, Arachniodes aristata sub-community) by species composition and correspond to habitat condition. The nutmeg tree`s forests show a uniform forest`s structure which composed 3~4 layer of sub-tree and shrub. And it was worthy of special mention which characterized diagnostic species of Camellietea japonicae in the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case of forests floor, were a high rate in order of Ophiopogon japonicus, Polystichum tripteron, Arisaema ringens. And Oplismenus undulatifolius which represent mantle communities as well. This indicates that the nutmeg tree`s forests are exposed by humman effects sustainedly. The nutmeg tree`s young trees appeared a high rate at half shade and shade. The vigorous tree species have to spacing cutting instead of the heavy thinning that consist in with a shout of declining astructur and function of the forest ecosystem for maintaining a nutmeg tree`s forests. And we suggest for the density regulation of the sub-tree and shrub. In conclusion, need to the continuous monitoring about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solution for the sustainable nutmeg tree`s forests

      • KCI등재

        천연기념물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보존·관리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이원호 ( Lee Won Ho ),김동현 ( Kim Dong Hyun ),김재웅 ( Kim Jae Ung ),오해성 ( Oh Hae Sung ),최병기 ( Choi Byung Ki ),이종성 ( Lee Jong Sung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입지환경, 식생자원과 이용 및 관리현황을 조사하고, 현재 적용되는 관리구역에 대한 등급을 설정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은 토지이용형태가 농업지역으로 변화하면서 대상지 주변지역으로의 개발압력에 의한 영향이 우려되며, 비자나무 숲 내 곶자왈지대는 종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요소로 원형보존의 관리계획 설정 및 지형의 변화를 야기하는 개발행위는 배제되어야 한다. 둘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소산식물상은 총 91과 263속 353종 41변종 8품종의 40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이 중 환경부 지정 법정 멸종위기식물종 중 멸종위기식물 Ⅰ·Ⅱ급에 해당하는 식물의 분포가 확인되었으나 현재의 서식처 변화 및 종의 병해, 불법 남획 등에 따른 개체 소실에 의해 비자나무 숲 내 종의 절멸 위험도 존재하므로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관리방안 설정 시 우선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대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비자나무가 상관을 대표하는 식생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나, 노거수 위주의 영속적 관리와 보존전략은 빈약한 연령구조를 야기하였으며, 일부 구역의 인위적 관리에 의한 숲의 건조화, 자연적 천이에 의한 비자나무의 입지 감소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수목밀도의 조절 및 후계목 증식 등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이용에 따른 탐방로의 훼손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화산송이길의 훼손 및 분담율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화산송이의 단순한 보충보다는 현행 탐방로 외에 추가적인 관광루트 개발을 통한 분담율 완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다섯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관광요소 중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는 식물적 요소는 이용에 관한 압력이 민감하게 작용하고, 비영속적인 특성상 지속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추가적 관광요소 개발과 동시에 현재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는 요소를 적극 활용하는 등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여섯째, 보호강도별 중요도에 따라 Ⅰ등급 지역은 존속개체군의 유지와 서식처의 훼손을 방지하고, Ⅱ등급 지역은 연차별 숲의 재생을 위주로 관리방향을 설정하며, Ⅲ등급 지역은 비자나무 시범림이나 후계목 증식을 위한 지역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Ⅳ등급 지역은 고유 식생의 교란이 많이 발생하는 곳으로 부분별 휴식년제의 도입이 필요하다. Ⅴ등급 지역은 비자나무 숲의 관광활용을 위한 서비스 공간 적지에 속한다. 상이한 등급의 지역 인접에 따른 가장자리효과에 대한 방안으로는 상대적으로 등급이 낮은 곳에 환경간섭을 피하기 위한 버퍼존의 설치와 주기적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In this study, Analyze environment of location, investigation into vegetation resources, survey management status and establish to classify the management area for Natural monument No.374 Pyengdae-ri Torreya nucifera for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orreya nucifera forest is concerned about influence of development caused by utilization of land changes to agricultural region. Thus, establish to preservation management plan for preservation of prototypical and should be excluded development activity to cause the change of terrain that Gotjawal in the Torreya nucifera forest is factor of base for generating species diversity. Secondly, Torreya nucifera forest summarized as 402 taxa composed 91 familly 263 genus, 353 species, 41 varieties and 8 forms. The distribution of plants for the first grade & second grade appear of endangered plant to Ministry of Environment specify. But, critically endangered in forest by changes in habitat, diseases and illegal overcatching. Therefore, when establishing forest management plan should be considered for put priority on protection. Thirdly, Torreya nucifera representing the upper layer of the vegetation structure. But, old tree oriented management and conservation strategy result in poor age structure. Furthermore, desiccation of forest on artificial management and decline in Torreya nucifera habitat on ecological succession can indicate a problem in forest. Therefore, establish plan such as regulation of population density and sapling tree proliferation for sustainable characteristics of the Torreya nucifera forest. Fourth, Appear to damaged of trails caused by use. Especially, Scoria way occurs a lot of damaged and higher than the share ratio of each section. Therefore, share ratio reduction Plan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the additional development of tourism routes rather than the replacement of Scoria. Fifth, Representing high preference of the Torreya nucifera forest tourist factor confirmed the plant elements. It is sensitive to usage pressure. And requires continuous monitoring by characteristic of Non-permanent. In addition, need an additional plan such as additional development of tourism elements and active utilizing an element of high preference. Sixth, Strength of protected should be differently accordance with importance. First grade area have to maintenance of plant population and natural habitats. Set the direction of the management. Second grade areas focus on annual regeneration of the forest. Third grade area should be utilized demonstration forest or set to the area for proliferate sapling. Fourth grade areas require the introduced of partial rest system that disturbance are often found in proper vegetation. Fifth grade area appropriate to the service area for promoting tourism by utilizing natural resources in Torreya nucifera forest. Furthermore, installation of a buffer zone in relatively low ratings area and periodic monitoring to the improvement of edge effect that adjacent areas of different class.

      • 근외분광분석법에 의한 옥배유, 팜유, 돈지의 산가, 요오드가, 비누화가 측정

        홍진환,최재천,최현철,강명희,최장덕,양창숙,김광수,백성열,김보경,오해성,이희식,조래광 식품의약품안전청 1997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1 No.-

        식용유지의 산가(AV), 비누차가(SV), 요오드가(Iv)를 신속 ·간편하게 출정하기 위해서 1,100nm에서 2,Soonm까지의 근적외 fNIR)툴과반사분광분석법을 응용하였다. 옥배유, 팜유, 돈지를 공기중에서 200·C로 가열산화 처리하여 가열처리하지 않은 유지와 동일종끼리 혼합하여 적정법에 의한 AV,통V,IV의 분석치가 고르게 분포되도록 시료를죠제하였다. 모든 시료는 검량선 작성용 시료군(Calibration set)과 미지시료군(Prediction set)으로 나누었다. Cali-bration ste에 대하여 NIR스펙트럼 데이터와 적정법에 의한 화학분석치 사이에 중회귀분석한 결과, ?거의 검량선이라고 판단되는 중희귀식의 중상관계수는 AV의 경우 0.936,SV는 0.903,IV는 0.979이었다. 이들 검량선으로부터 Prediction set의 AV, SV, IL'를 각각 산출하여 기존 적정법에 의한 화학분썩치와 비교한 결과, 각각의 측정오차는 0.156, 1.713, 1.259이었고, 기존의 적정법과 NIR분광분석법 사이의 상관계쓴(R)은 각각 9.942, 0.880, 0.980이었다. 이와같은 결과로부터 기존꽈 적정법을 대신하여 신속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NIR분광분석법의 이용가능성이 인정되었다. Near-infrared(NIR) transflectance spectroscopy scanning from 1100nm to 2500nm was applied for the analyses of acid value(AV) , saponification value (SV) and iodine value(IV) in corn oil, palm oil and lard. These samples were allowed to stand at 200℃ in air. Their treated samples mixed with untreated sanples onB the basis of maximum variation in the reference values analyzed by titration method. All samples were divided into calibration set and prediction set. Th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MREs) established for the calibration set between the reference data analyzed by titration method and the NlR spectrl data gave the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s(MCCs) of 0.936, 0.903 and 0.979 for AV, SV and IV, respectively. Standard errors of predictions(SEPs) between the data calculated from the best MREs and the reference data analyzed by titration method for the prediction samples were 0.156, 1.713 and 1.289,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R) between those were 0.942, 0.886 and 0.980 for AV, SV and IV, respectively. The obtained results indicate that the NIR transflectance procedure can potentially be used as a nondestructive analysis method for the purpose of rapid and simple measurement of AV, SV and IV is corn oil, palm oil and lard.

      • 국내 유통 소금 중의 포타슘시아니이드와 페로시아나이드염의 분석에 관한 연구

        허숙진,소유섭,최장덕,이화정,최선희,성준현,임무혁,김광수,최용훈,오해성,최정희,최정실,허옥순,이진하,신동우,신현수,문병우 식품의약품안전청 2001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5 No.-

        본 연구는 국내 유통 소금중의 안전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천일염 54건, 재제염 보건, 가공염 33건 등 총 143건에 대하여 숲행하였다. HPLC, ICP, Mercury Analyzer 등을 이용하여 KCN, 페로시아나이드 염, 납 등 6개 성분의 항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rdn-max(mean) ; m곱3 ; f(CN : ND-ND(ND), 페로시아나이드염 : ND-ND(ND), Pb . ND-1.30 (0.331), Cd :ND-0.23(0.070), Hg ND-0.35(0,035), As :ND-1.52fo.062). 또한, 신속하고도 효율적이 면서 기존의 환경부 시안분석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KCN과 페로시아나이드염의 분석 조건을 계시하였으며, 천일염, 재제염, 가공염 뿐만아니라 소금이 첨가된 식품까지도 적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safety in a total of 143 samples of salts. The contents of potassium cyanide(KCN), potassium ferrocyanide(K_(4)Fe(CN)_(6)), lead(Pb), cadmium(Cd), mercury(Hg), and arsenic(As) were determined using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HPLC), 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er(ICP), and mercury analyzer. The values of cyanide complexes and metal elements in salts were as follow [min-max(mean);mg/kg] ; KCN : ND-ND(ND), Ferrocyanide salt : ND-ND(ND), Pb : ND-1.30(0.331), Cd: ND-0.23(0.070), Hg : ND-0.35(0.035), As : ND-1.52(0.062).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effic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