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8선 월경의 (비)가시화와 서사적 정당성 -분단 체제 성립 전후 38선 월경 서사를 중심으로

        오태영 구보학회 2019 구보학보 Vol.0 No.23

        The 38th parallel was a dividing line defined by the military necessity for the presence and occup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ost-Asia-Pacific War as part of US policy toward Asia. On the 38th parallel, Soviet and American troops were pearled and occupied north and south.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Military Administration, movements for the elimination of the 38th parallel have been active in South Korean society. The 38th parallel was a barrier to building an independent state through national unification. Therefore, the Koreans who were liberated but did not achieve independence must be abolished the 38th parallel for independence. However,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trusteeship system, the 38th parallel acted as a dividing line of ideology that strengthened the exclusive hostility of the two Koreas. Accordingly, the 38th parallel acted as a dividing line of ideology that strengthened the exclusive hostility of the two Koreas. In the narrative of crossing the 38th parallel,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single govern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of divis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 act of crossing the 38th parallel has been captured in the context of national suffering. At that time, the last and painful process of crossing the 38th parallel showed a direction from north to south. And it became visible by the movement of the population that prepares for the ethnicity of South Korean society, and obtained narrative justification. But among them, the Japanese, who were old-time colonists, or those who practiced illegal crossing, had vaguely left behind traces. Their crossing the 38th parallel remained vaguely, though not specifically described, but existed. In that sense, the narrative of crossing the 38th parallel had the effect of justifying the behavior and desires of menstruating individuals and groups at the national level. 38선은 아시아-태평양전쟁 전후 처리 과정에서 미국의 대아시아 정책의 일환으로 전개된 미군의 한반도 주둔․점령을 위한 군사상의 필요에 의해 획정된 분할선이었다. 38선을 기준으로 이북과 이남에 소련군과 미군이 진주․점령하고, 군정청이 설치되어가는 가운데 남한사회에서는 38선 철폐를 위한 움직임이 활발히 일어났다. 38선은 민족의 통일을 통한 독립국가 건설의 장벽으로서 해방은 되었지만 독립은 달성하지 못한 조선인들에게 독립을 위해 반드시 철폐되어야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과 신탁통치 체제가 강고화되어가면서 38선은 남북한의 배타적 적대관계를 강화하는 이념의 분할선으로 작동하였다. 1948년 단독정부 수립, 남북한 분단 체제의 성립을 전후 한 시기에 생산된 38선 월경 서사에서 38선 월경의 행위는 민족 수난사의 맥락 속으로 포섭되어갔다. 그때 지난하고 고통스러운 38선 월경의 과정은 북에서 남으로의 방향성을 띄었고, 남한사회의 민족-됨을 예비하는 인구의 이동으로 가시화되어 서사적 정당성을 획득했다. 하지만 그 가운데에는 구식민자였던 일본인이나 불법적인 월경을 감행하는 잠상꾼들이 비록 흐릿하게나마 그 흔적을 남기고 있었다. 그들의 38선 월경은 구체적으로 서사화되어 제시되지 않은 채 비가시적인 것들로 남아 있었지만 엄연히 존재했다. 그런 점에서 38선 월경 서사는 월경하는 개인과 집단의 행위와 욕망을 민족적 층위에서 정당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발휘했던 것이다.

      • KCI등재

        식민(지) 의 기억과 전후 연대의 상상력 - 고바야시 마사루의 『쪽발이』를 중심으로

        오태영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科學 Vol.114 No.-

        After the defeat, there were always excluded and marginalized persons in the process of drawing the boundary of the national state and the process of 'nation-becoming' in accordance with it. They are the reincarnations of the collapse of the empire-colonial system, the emancipation of the empire and the liberation of the colonies. Also, they were those who were shaken or bound up as non-people on the border. Among them, there were those who had been involved in establishing their identity as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of the colonial Joseon continued to evolve in the process of living in Japanese society after postwar. Those who had a contradictory stance of the Japanese residents in colonial Joseon as the colonial, they uncovered the sealed memories, and became aware of the share of memory and understood the position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as the others. At the same time, they searched for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with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who had been living in a system of orderly cold division under the Korean War. In this article, we focused on recognizing the limits of formulating the memories of the colonial rather than recognizing the nationality and demarcating the national boundaries through sharing the memory of defeat. Thus, this article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through the ethical practice of disguising self as the object of denial that operates the technology of memory for self-affirmation. 패전 이후 국민국가 경계 긋기의 작업과 그에 조응한 ‘국민-되기’의 과정에 는 언제나 배제되고 소외된 자들이 존재했다. 그들은 제국-식민지 체제의 붕괴, 제국의 해체와 식민지의 해방이라는 사건이 새롭게 탄생시킨 존재들로, 경계 위 에서 동요하거나 비(非)국민으로 내몰린 자들이었다. 그리고 그들 중에는 과거 식민지 조선의 체험과 기억이 패전 이후 일본사회를 살아가는 과정 속에서도 지 속적으로 환기되면서 정체성 구축에 동요일 일으키고 있는 자들도 있었다. 구식 민자 재조일본인이라는 모순적 위상을 가졌던 그들은 봉인된 기억을 발굴하고, 기억의 분유(分有)를 자각하여 타자로서 재일조선인의 입장을 이해해가는 한편,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고착화되어갔던 냉전적 질서 하 분단 체제를 살아가고 있 었던 재일조선인과 연대의 가능성을 모색하기도 하였다. 이 글에서는 패전의 기 억을 공유하는 것을 통해 국민국가의 경계를 획정하고 국민 됨을 자각하는 것이 아닌, 식민(지)의 기억을 분유하는 것이 갖는 한계를 자각하는 한편, 자기 긍정을 위한 기억의 테크놀로지를 작동시키는 자기를 부정의 대상으로서 환멸하는 윤리 적 실천을 통해 연대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는 고바야시 마사루의 서사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전시 총동원체제기 식민지 조선문학의 공백과 균열-김사량의 『바다의 노래』를 중심으로

        오태영 상허학회 2014 상허학보 Vol.42 No.-

        One of major topics of literary world in wartime general mobilization system was literature mobilization. When the national labor movement progressed to make dramatic changes in personal lives and technologies and labor force were mobilized, the literary world accepted it a top priority to mobilize literators to build an advanced military nation. In accordance with this, the literators of colonial Joseon were required to become willing persons who actively cooperated with the wartime general mobilization, subjects of Japanese Empire. However, even though public discussion was held about literature mobilization of colonial Joseon's literators who valued self-discipline, literators of colonial Joseon couldnt' have own identities with a uniform way to become loyal subjects of Japanese Empire. First of all, they were 'colonial Joseon literators' who had multiple and different positions of region, nation, society and culture and differed each others. In 1943, the special volunteer system of navy was pronounced and implemented. This system was for all young men of colonial Joseon, the majority of volunteers was practically the urban poor and the lower class of rural areas who were excluded from the empire-colonial regime in colonial Joseon. In other words, even though the volunteer system homogeneously interpellated the young generations of colonial Joseon who were stratified by region and stratum, the real volunteers were heterogeneously composed of. At this time, the excluded persons from volunteer system were newly embraced. The persons whom the live politics of empire-colonial regime hided became to be revealed under the same mechanism. The state of exception, war, tended to unintentionally reveal pre-existing logic of exclusion with newly embracing the excluded persons. The rhetorics of each media which insisted the young of colonial Joseon, who were objects of the special volunteer system of navy, would conduct their duty as subjects of Japanese Empire strengthened in rhetorics of effervescence and delight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is system. In the voice for the young of colonial Joseon, the critical subjects of wartime mobilization, to conduct their roles and duties, there were so many rhetorics to stimulate their desire for assimilation with 'Naisen Ittai(Intergration of Japan and Joseon)' logic as the center. In the mean time, at the implementation of this system, the Joseon Federation of General Mobilization made the literators and painters of colonial Joseon visit and inspect the marine corps, naval schools and facilities in Japan with the support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e Kim, Sa-ryang's experience of navy inspection trip made him write the story of Bada-ui Norae(Songs of the Sea), which created male centric narratives drama from the time of invasion to Joseon/Asia by the western empires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to the breaking of Asia-Pacific War in the wartime general mobilization system in late colonial period. In the stories in which a person grew up to have a national and imperial subject, an ideology to emphasize the appropriateness of war conducted by the Japanese Empire was revealed but it didn't have narrative causality. Also, the growth process to have an imperial subject didn't have inner necessity, rather is was a result of vacuum, crack, coincidence and saltus and symbolically showed the impossibility of growth. In these facts, this work made us know the situation of vacuum and crack in literature of colonial Joseon which was demanded to join in the name of natioanl literature in the wartime general mobilization system. Like this, the literature and literators of colonial Joseon were always floating and unstable in and out of the empire-colonial regime so they couldn't be easily noticed and taken. 전시 총동원체제기 문학계의 화두 중 하나는 ‘문예동원’이었다. 이에 따라 식민지 조선인 문학자는 전시 총동원정책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자발성’을 지닌 자, 즉 황국신민이 될 것을 요청받았다. 하지만 당시 담론장에서 자기 수양을 핵심으로 하는 식민지 조선인 문학자의 문예동원이 화두로 거론된다고 해서 식민지 조선인 문학자가 단순히 제국 일본의 충직한 신민이라는 균질화된 방식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는 없었다. 무엇보다 그들은 ‘식민지 조선인 문학자’라는 다층적이고 이질적인 지역적, 민족적, 사회적, 문화적 위상을 지니고 있던 존재들이었다. 1943년 해군특별지원병제도가 공포되고, 시행되었다. 국민총력조선연맹에서는 이 제도의 실시 공포에 따라 조선총독부의 후원을 받아 식민지 조선의 문인과 화가를 내지 일본의 해병단, 해군학교 및 시설에 파견․시찰케 하였다. 해군 시찰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 김사량의 『바다의 노래』 서사는 조선왕조 말기 서양 제국주의 세력의 조선/아시아 진출 시대부터 식민지 후반 전시 총동원체제기 아시아-태평양전쟁 발발에 이르기까지의 전쟁의 세기, 남성 주체의 자기 드라마를 주조해내고 있다. 각각 ‘민족적 주체’와 ‘제국적 주체’로 성장하는 이야기 속에는 제국 일본의 전쟁 수행의 당위성을 역설하는 이데올로기가 노출되어 있지만, 그것은 서사적 인과성을 가지고 있지 못한다. 또한, 제국적 주체로서의 성장 과정은 내적 필연성을 지니지 못하고, 공백과 균열, 우연과 비약의 결과로서 오히려 성장 불가능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런 점에서 이 작품은 전시 총동원체제기 ‘국민문학’으로 동원되기를 요청받았던 식민지 조선문학의 공백과 균열의 지점을 포착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식민지 조선문학/자는 제국-식민지 체제 안팎에서 언제나 유동적이고 불안정한, 그래서 쉽게 포착/포획되지 않는 존재들이었다.

      • KCI등재

        보행 속도가 하지 근육 근활성과 각 근육 간의 상관관계에 미치는 영향

        오태영,차명빈,옥은진,김선희,정은진,이재호 대한신경치료학회 2022 신경치료 Vol.26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it velocity on the correlation of the muscle activation of the lower limbs and between each muscle. Methods Participants were adult female college students (n = 20) who could walk normally. Subjects first measured the MVIC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after attaching the electrodes to the gastrocnemius medialis, gastrocnemius lateralis, soleus, tibialis anterior. Thereafter, treadmill exercise was performed to measure muscle activation during gait. The velocity of the treadmill was set to 0, 2, 3.5, and 6 (km/h). Results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gait velocity of the treadmill gait, the muscle activation of the lower limbs has also increas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uscles involved in gait under each velocity condition while gait velocity and muscle activation increased proportionally, the tibialis anterior located in front of the tibia showed a lower increase in muscle activity than gastrocnemius medialis, gastrocnemius lateralis, and soleus but gastrocnemius medialis showed a higher increase in muscle activation than gastrocnemius lateralis. In addition, at the only standing position at 0 km/h, the tibialis anterior showed a higher increase in muscle activation than gastrocnemius lateralis. Conclusion The regulation of gait velocity seems to be able to relatively increase muscle activation of the lower limbs as well as muscle activation of a particular muscle.

      • KCI등재

        재일조선인 자기 구축의 회로와 문법-장훈의 자서전을 중심으로-

        오태영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9

        일반적으로 해방 이후 한국에서 재일조선인들은 민족적 주체의 자기 동일시 전략 속에서 호명되었고, 그때 그들은 과거 식민 경험과 기억을 간직하고 있는 민족적 신체들로 내셔널 히스토리의 자장 속에서 배치되었다. 하지만 해방 이후 한국에서 재일조선인들을 호명하고자 하는 욕망과 달리 전후 일본사회에서 재일조선인들은 나름의 존재 방식 속에서 자기 구축의 회로와 문법을 가지고 있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1950년대 후반 이래 한국에서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 된 장훈(張勳; 일본명 하리모토 이사오[張本勳])의 자서전을 대상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특히 이 글에서는 자서전/쓰기라고 하는 글의 형식/행위가 어떻게 새로운 주체를 형성해나가고 있는가에 주목하였다. 자서전은 단순히 회상의 형식이 아니라 현재의 자기를 구성하는 글쓰기 형식이자 바로 그러한 글쓰기 행위를 통해 적극적인 자기 정립의 의지를 드러내는 언어 실천이다. 그런데 장훈의 자서전은 대중미디어를 통해 영웅화되고 신화화된 장훈이라는 하나의 ‘상품’이 소비되는 과정 속에서 생산된 것이었다. 따라서 그의 자서전은 한국의 독서대중을 염두에 둔 글쓰기였거나, 당시 장훈을 소비한 한국의 대중들의 욕망을 겨냥한 글쓰기였다. 그의 자서전 『방망이는 알고 있다』는 프로야구선수로서의 자신의 성장 과정을 서술하는 가운데 민족적 주체로서의 자각과 함께 원체험으로서의 원자폭탄 피폭과 가난에 대한 트라우마적 기억에 대한 치유에의 욕망이 잘 드러나 있다. 그리고 『일본을 이긴 한국인』은 자수성가의 이야기를 펼쳐 보이면서 승자로서의 자기를 적극적으로 주조하는 것을 통해 주체성을 정립해간 장훈의 면모를 내세우고 있다. 따라서 재일조선인 장훈의 자서전은 자기 자신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배려하기라는 의미의 자기의 테크놀로지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자서전/쓰기라는 글쓰기 형식/행위가 자기 구축의 핵심에 놓일 때, ‘지금-여기’의 시점에서 나를 사건화하는 것, 나의 행위와 욕망을 언어화하는 것은 개인으로 하여금 고유성을 갖게 한다. 여기에서 자서전/쓰기라는 글의 형식/쓰기는 개인의 주체성 형성의 회로와 문법을 보여준다. 一般的に解放以後韓国で在日朝鮮人は民族的主体の自分の同一視戦略の中で呼名されたし、あの時彼らは過去殖民経験と記憶をおさめている民族的身体でナショナルヒストリーの磁場の中で配置された。しかし解放以後韓国で在日朝鮮人を名を呼ぼうとする欲望と違い前後日本社会で在日朝鮮人はそれなりの存在方式の中で自分の構築の回路と文法を持っていた。この文ではこのような点に着眼して1950年代後半以來韓国で持続的な関心の対象になった張勳の自伝を対象で論議を展開した。特にこの文では自伝/書き取りと言う文の形式/行為がどのように新しい主体を形成して行っているのかに注目した。自伝は単純に回想の形式ではなく現在の自分を構成する書き込み形式と同時に正しくそういう書き込み行為を通じて積極的な自分の定立の意志を現わすことであると言える。ところで張勳の自伝は大衆メディアを通じて英雄化されて神話化された張勳という一つの‘商品’が消費する過程の中で生産されたのであった。したがって彼の自伝は韓国の読書大衆を念頭に置いた書き込みであったとか、当時張勳を消費した韓国の大衆の欲望を狙った書き込みだった。彼の自敍伝『バットは分かっている』はプロ野球選手としての自分の成長過程を敍述する中に民族的主体としての自覚とともに原体験としてのアトミックボム被爆と貧乏に対するトラウマ的記憶に対する治癒への欲望がよく現われている。そして『日本を勝った韓国人』は自手成家の話を広げて見せながら勝者としての自分を積極的に鋳造することを通じて主体性を形成して行った張勳の面貌を立てている。このように在日朝鮮人の張勳の自伝は自分自身に対して関心を持って気配りするという意味の自分のテクノロジーの脈絡で理解することができる。ひいては自伝/書き取りという書き込み形式/行為が自分の構築の核心に置かれる時、‘今-ここ’の時点で私を事件化すること、私の行為と欲望を言語化することは個人にとって固有性を持たせる。 自伝/書き取りという文の形式/書くことはここで個人の主体性形成の回路と文法を見せてくれる。

      • KCI등재

        팔굽혀 펴기 중 시각 정보와 지면 안정성이 상지 근육의 근활성에 미치는 영향

        오태영,이창민,서채민,서주혜,박소현,이재호 대한신경치료학회 2023 신경치료 Vol.27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sual information and ground stability on muscle activation of upper extremity muscles during doing pushup. Methods Participants were adult male college students (n = 19) who could do pushup normally. The subjects first measured the MVIC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after attaching the electrodes to the upper Trapezius, lower Trapezius, Serratus anterior, and Pectoralis major. After that, muscle activation was measured during doing pushup. The environment for pushup was divided into four conditions according to visual information and the stability of the ground. Results As a result, the rest of the muscles except lower Trapezius showed differences in muscle activation according to the stability of the ground in an environment that provided or blocked visual information. However, compared to upper Trapezius and Pectoralis major showing higher muscle activation on unstable ground, Serratus anterior showed lower muscle activation on unstable ground. Conclusion The stability of the ground affects the difficulty of pushup before visual information. Afterwards, the difficulty level on the neck and upper should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visual information.

      • 스포츠 소비행동의 사회심리적 요인

        오태영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variable associated with sport consumption.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101 items measuring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sport consumption and basic items asking the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mount of sport. The means of sport consumption investigated were viewing sport events in actual sport situations, viewing sports through T.V., listening to sport broadcasting through radio, and reading newspapers, magazines and books on sports.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101 items and 17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were found.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were then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various means of sport consumption. The main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 conclusions : (1)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the general sport consumption were learning of sport skills and stratagies entertainment, socialization, curiously, aesthetics, avoidance of reality, aggression, locality, cathersis, stress-seeking, dependance and identification. (2) Variables such as socialization, learning of sport skills and stratagies and entertainment were the common variables for all means of sport consumption besides the common variables. (3) Different soci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identified for different means of sport consumption besides the common variables. (4) It was suggested that there would be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sex and meeans of sport consumption closely related to sport consumption.

      • KCI등재

        탈경의 욕망과 월경의 봉쇄-포로 서사에 나타난 반공포로의 경계 포섭

        오태영 구보학회 2022 구보학보 Vol.- No.31

        In South Korean society, which has strengthened its identity as an anti-communist nation under the post-war Cold War-division regime, while the demarcating the ideological space was being carried out, the anti-communist prisoners of war tried to transcend the boundaries surrounding/penetrating themselves. The prisoners of war narratives that describe the movement of prisoners of war before and after the 1953 armistice agreement are primarily taking a narrative strategy that supports the legitimacy of the South Korean regime, which has been renewed as an anti-communist state. This is because the release of prisoners of war and such release converge to the process of becoming a citizen of South Korean society as a free Korea. However, in such a narrative, the reincarnation or entry of prisoners of war into South Korean society is not easy.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hift in ideology, identification, and anti-communist attitude in the process of choosing South Korea as a liberal democracy does not neutralize the governmental character that demarcates the boundaries of ideology, but rather reveals the violence of such governmentality. Because he was an anti-communist prisoner of war, he was released and allowed to stay in South Korea, but it did not cross the boundaries of the prisoner of war camp before his release, nor did he become entrapped in the new boundary of the people. In the end, South Korean society was like a prisoner of war camp before release. Therefore, release for freedom is impossible, and the desire to cross the border of the concentration camps is thwarted. 전후 냉전-분단 체제하 반공국가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강화해갔던 남한사회에서 이념 공간의 구획, 경계 긋기의 작업이 수행되는 가운데 반공포로들은 자신들을 둘러싼/관통한 경계를 넘어서고자 했다. 1953년 정전 협정을 전후해 전쟁 포로들의 이동을 서사화하고 있는 포로 서사들은 일차적으로 반공국가로 일신해간 남한 체제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서사 전략을 취하고 있다. 그것은 포로들의 석방과 그러한 석방이 자유 대한으로서 남한사회의 국민-되기의 과정으로 수렴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와 같은 서사에서 전쟁 포로들의 남한사회로의 생환이나 진입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를 통해 자유민주주의 국가로서 남한을 선택하는 과정에서의 사상의 전향, 신원 증명, 반공주의적 태도 등이 이념의 경계선을 구획하는 통치성을 강화시키기는커녕 오히려 그러한 통치성의 폭력성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공포로였기 때문에 석방되어 남한에 잔류할 수 있었지만, 그것이 석방 이전 포로수용소의 경계를 넘어선 것은 아니었을 뿐만 아니라 국민이라는 새로운 경계 속에 포섭된 것도 아니었다. 결국 석방 포로에게 남한사회는 석방 이전의 포로수용소와 같은 공간이었다. 그러니 자유를 위한 석방은 불가능하고, 포로수용소의 경계를 넘는 월경의 욕망은 좌절되었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