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개혁주의 교리교육 입장에서 살펴본 가톨릭교회의 교리교육 - 예비신자의 교육과정과 현장 교육을 중심으로 -

        오태균(Taekyun Oh) 신학지남사 2021 신학지남 Vol.88 No.2

        본 연구는 현재 한국 가톨릭 교회에서 시행하고 있는 예비신자 교리교육의 내용을 살펴보고, 개신교 교리와의 차이점에 대해 칼빈의 신학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교회의 교리교육의 내용과 과정에서 하나님의 절대주권보다는 인간의 자유, 평등, 인권 등에 대한 가르침의 비중이 크다. 신학적 사상이 자유주의 신학으로 갈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한다. 둘째, 만인제사장설에 위배되는 사항인 교회직분에 대한 왜곡된 인식으로, 성직자와 평신도의 구분을 명확하게 가르치고 있다. 셋째, 성경 외에 또 다른 성경. 신구약 66권의 성경을 받아들인 개신교회와는 달리 가톨릭교회에서는 성경을 총 73권으로 인정하고 있다. 넷째, 개혁신학 입장에서 가장 심각한 것은 마리아 숭배로 경결되는 마리아론(Marialology)에 관한 가르침이다. 전국 7개의 가틀릭신학교 교과과정을 살펴본 결과 이 마리아론은 2007년도 교과과정에 비해 2018년도 교과과정에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아, 미래에도 이 교리는 카톨릭교회의 핵심 교리로 자리매길할 가능성이 크다. 이 연구를 통해 성경을 정확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으로 인정하는 개신교와 가톨릭은 성경을 대하는 관점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카톨릭 교회는 기독교를 경험하고 그것에 대해 싫증을 느끼는 기독교 후기시대(Post-Chirstendom Age)라는 위협적이고도 도전적인 새로운 환경속에서 예비신자를 위한 교리교육이 개신교보다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개혁신학을 따르는 한국교회 역시 동일한 시대적 난관을 극복하기 위해 과거 종교개혁자들과 한국교회 부흥의 초석이 되었던 초대교회 지도자들의 철저한 교리교육 전통을 따라 신자들의 바른 신앙과 경건한 삶의 실천을 위해 바른 교리교육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of catechism for prospective believers in the Catholic Church, and discusses the differences from Calvin"s theological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God"s absolute sovereignty tends to be under the shadow of human"s freedom, equality, and rights. Second, the prospective believers are likely to have a distorted perception of the church office dut to the teaching of sharp distinction between the clergy and the laity. Third, the Catholic Church recognizes a total of 73 books of the Old and New Testaments while the Protestant Church accepts only 66 books. Fourth, the most serious and controversial teaching is the Mariology, which is consecrated by the worship of Mar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iculum of 7 Catholic Theological Seminary across the country, it is seen that this Marialogy occupies more weight in the curriculum in 2018 than in 2007, so this doctrine is highly likely to become a core doctrine of the Catholic Church in the future. Through this study, in the threatening and challenging new environment of the Post-Chirstendom Age, the Korean prostestant church needs to follow the catechesis tradition of the early church leaders, who were the cornerstones of the revival of the Korean church.

      • KCI등재

        목사 정년 연장에 대한 기독교인들(담임목사, 부교역자, 성도)의 인식 분석

        오태균(Taekyun Oh)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1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0

        본 연구는 최근 각 교단을 중심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목사 정년 연장 안에 대한 평신도, 부교역자, 그리고 담임 목사의 인식을 탐구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위의 세 집단을 대상으로 목사의 적정은퇴시기에 대한 인식과 관련이 있는 목회자의 핵심 목회 역량 네 가지 분야, 즉 목회 소명의식, 목회 리더십 역량, 설교자와 교사로서의 역량, 그리고 목회적 돌봄의 역량에 대한 각각의 평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목사의 정년에 대해 현 70세 정년을 유지하거나 하향 조정안에 대한 견해가 정년 연장 혹은 폐지안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다. 목회 역량에 대한 중요도를 파악하는 질문에 대해서는 세 집단 모두가 목사의 목회 소명의식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령대(40대, 50대, 60대)에 따른 목회자의 목회 역량 차이에 대해서 세 집단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목회자의 역량에 대한 중요도의 인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만큼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두 가지 과제를 제안하였다. 우선 목사 정년 연장에 대한 소모적 논의는 교단과 교회의 발전을 위해 큰 의미가 없는 만큼, 교단과 개 교회 리더십은 목사가 은퇴 후 경제생활 빈곤층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은급제도, 국민연금, 그리고 가능하다면 사적 연금에 대한 실질적 사전 준비와 지속적 안내가 필요하다. 이러한 구체적 대책을 마련함과 동시에 은퇴 목사들의 건강과 형편이 허락된다면 교단은 그들이 평생 헌신한 사역의 기회가 단절되지 않도록 목회자가 부족한 농어촌 미자립 교회, 특수 선교지 등에서 사역의 길을 마련해주는 방안 등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직에 있는 목사 스스로도 목회 핵심 역량의 중요성을 인지하고는 있지만, 실제 사역 현장에서 실행하는 부분과는 큰 편차가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교단, 신학교, 그리고 개교회가 힘을 모아 목회자 연장 교육 방안에 대한 구체적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lay members, associate pastors, and senior pastors regarding the recent controversy around the pastor’s retirement age.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the appropriate retirement age of the pastor was analyzed. As a result, regarding the retirement age of pastors, the view of maintaining or lowering the current 70-year retirement age was higher than that of extending or abolishing the retirement age. When asked about the importance of pastoral competence, all three groups recognized the pastor’s sense of calling as the most important.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that all three groups did not recognize the difference in pastoral competency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age groups (40s, 50s, 60s) of the senior pastor.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a pastor’s competence. Therefore, two tasks are proposed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the discussion about extending the retirement age of pastors is meaningless for the sake of the denomination and local church, and if health condition of pastors permits after retirement at age 70 or early retirement, new ministry in rural areas where there are not enough pastors, etc. will be another good option to consider. Second, although w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pastoral competencies, denominations and seminaries need serious consideration for effective pastoral extension education. In addition, since the discussion on the regular retirement of pastors is not without practical problems, the denomination, presbytery, and local church should propose a countermeasure through in-depth and specific brainstorming on the issue of the pastor’s retirement pension.

      • KCI등재

        디지털 환경속의 예배 갱신과 본질 회복에 관한 고찰 : 개혁신학 관점에서

        오태균(Taekyun Oh)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9 기독교교육정보 Vol.23 No.-

        The rebuke of prophets against the God's people was mainly related to the sin about the worship in the Bible. It gives a lesson that God's interest of worship put first on any other religious behaviors of His people. In our days there are many views on the debates and questions that are styles in worship, particularly around music. The features of today's worship in church can be distorted by the influence of pragmatism, materialism, and secularism Worship is about God himself and should be formatted based on the Bible and church tradition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biblical, historical, and pastoral background of modem liturgy, and to propose some constructive ideas for liturgical renewal in Korean church. In the theological aspect of worship, the research studied the definition of worship, the importance of worship, and the biblical basis of worship. In the historical aspects of worship, the researcher studied the worship of early church, medieval church, reformation era, and puritan' s times. In the pastoral aspects of worship, the research studied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contemporary worship,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 of contemporary worship. Worship renewal can not be generated or produced by some techniques. In the conclusion the researcher proposed several ideas of worship renewal: 1) The movement of the Word restoration should be happened. 2) The Sacrament should be restored in the regular worship service. 3) The aspects of festival in the worship needs to be added more aggressively for remembrance of salvation of God. 4) The concept of 'liturgy after liturgy' should be emphasized because the real worship is the way of life in the ordinary life as the God's chosen people.

      • KCI등재

        목회자의 탈진에 대한 교회 교육학적 과제

        오태균(Taekyun Oh)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9 기독교교육정보 Vol.22 No.-

        Burnout is a psychological state of exhaustion caused by excessive stress. Those who are involved to help others such as social workers, counselors, nurses, and pastors are more prone to be burnout than others. Burnout happens due to the constant demand in their mission and leads to reduce their productivity leaving their feeling extremely helpless, hopeless, and resentful Burnout can causes can threaten emotional and spiritual health as well as physical health. It is different from stress. Stress is the matter of too much while burnout is the matter of not enough. The person who is experiencing burnout feel empty and don't see any positive change in his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why Korean pastors are easily burnout and propose the biblical and constructive solution to overcome it. Korean pastors are in crisis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 1) continuous demands without any proper compensation, 2) not vivid results in their ministry, 3) excessive ministry tasks, 4) the attitude of devaluing of rest, 5) low payment. This study is suggests several ways to improve the emotional and spiritual dilemma caused by the burnout. First, pastors need to reconfirm the calling from God. Second, they need to empower others by the team ministry. Third, they need to monitor the network and strengthen it. Forth, they need to reserve the margin physically, emotionally and spiritually.

      • KCI등재

        기독 청소년의 자살위험 프로파일 탐색 및 예측

        권재기(Jae-ki Kwon),오태균(Taekyun Oh)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0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7

        본 연구는 기독 청소년의 자살 프로파일을 탐색·분류하여 동질 한 특성을 가진 이들의 개인 특성, 가정 특성, 그리고 자살 특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기독 청소년의 자살에 영향을 미치고 위험도를 높이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조사함으로 청소년 자살을 예측하고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제공함으로 한국사회와 교회의 미래인 청소년들의 심리 내외적인 건강증진과 신앙지도를 위한 도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기독 청소년의 자살위험 프로파일을 탐색한 결과, 보통형(42.1%), 자살 위험형(27.2%), 건강형(30.7%)이 도출되었다. 둘째, 분류된 세 집단별 개인 및 가정환경특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건강형이 신앙 년 수가 높고, 성경공부, 기도, 찬양을 많이 하고, 학업성적이 우수하고, 친한 친구의 수가 많고, 가정환경에서 부와 모의 종교가 기독교이고, 부모의 신앙 년수가 높은 가정이 많았고, 가정예배를 많이 하고, 부모와의 의사소통도 원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앙활동과 부모의 신앙활동이 건강형이 되기 위한 중요요건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자살위험형은 건강형과 보통형 보다 신앙활동(신앙년수, 성경공부, 기도, 찬양)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출된 자살위험 프로파일에 따른 세 집단의 자살특성을 예측한 결과, 자살사이트를 방문한 경험이 있을수록 자살 위험형을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회 안에서, 그리고 기독 가정 안에서 기독 청소년의 자살위험을 막기 위한 예방과 개입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and categorized the suicide profiles of Christian adolescent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characteristics, and suicide characteristics of those with homogeneous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by exploring and investigating factors that affect suicide of Christian youth and increasing the risk of youth suicide, we secure and provide basic data for predicting and preventing youth suicide. Its purpose is to provide tools for guidance. As a result of searching the suicide risk profile of Christian adolescents, normal type(42.1%), suicide risk type(27.2%), and healthy type(30.7%) were deriv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personal and family environment characteristics by the three classified groups, the healthy type has a high number of years of faith, a lot of Bible study, prayer, and praise, excellent academic performance, and a large number of close friends. In the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the religion of the father and mother was Christianity, and there were many families with a high number of parents, worshiping at home,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was smooth. In particular, faith activities and parental faith activities were found to be important requirements for becoming a healthy type. On the contrary, the suicide risk type showed the lowest religious activity (years of faith, Bible study, prayer, praise) than the healthy type and the normal type. Third, as a result of predicting the suicid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derived suicide risk profile, the more experienced they visited the suicide site, the more the suicide risk type was predi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prepar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measures to prevent suicide risk of Christian youth in churches and in Christian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