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명작품의 조형성 연구

        오춘란 동아대학교 조형연구소 1999 조형연구 Vol.- No.5

        Human beings have Tried to establish physical and mental worlds by way of philosophy and science. But they have also endeavored to seek the unity of their own worlds in time and space by resorting to art. Based on this historical fact, I intend to reveal the essence of spatial art. The unified simplicity and dynamics of the universe and nature are well expressed in human physiology, and psychology, which again tums alive in the formative at of humans. That is a visual expression called a circle. We can see, therefore, the inevitable formative structure between the universe and beings in nature. The history of fine arts, starting from an individual's emotional work and blooming into the artistic and universal values, accounts for the sympathy with the universe. In this respect, We can identify the basics of the formative art in contemporary works by finding the criterion in the masterpieces of Renaissance classicism. Visual analysis shows, an in [plate 1-27], that all the visual objects end in lines (horizontal, vertical, diagonal, and circular) in the plane of a square. Of course, these geometrical lines are merely advisable standards, not absolute ones. The talent of an artist knows what to do with the lines and determines a masterpiece after all. Here, some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art is not simply a person's own activity, but coincides with human nature. Second, the essesce of formative art lies in uniting all visual elements, achieving a simple structure, and expressing the sense of dynamic life. Third, well-made fine arts begin from one's inner world, go through a medium of objects, and result in a new artistic space which can be shared among all humankind, Fourth, to identify the nature of formative art is to provide the criterion for art creation or appreciation by staying faithful to the language of formativeness. In sum, philosophical thinking is quite necessary as the source of modern formative art seeming unnatural is nature. Then, we can rightly the artistic aspects of today's artists as part of a certain direction. In this age when the extremes meet together, we might have to take both to oriental philosophy of nature and the western viewpoint of nature. This will be one of the ways to seek the direction of a new art. True artists, as scientists do, see another look of nature and make use of it in order to create some pioneering masterpieces.

      • KCI등재

        2차원으로 가는 길 : 순수예술 향수자를 위한 노트

        오춘란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0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7 No.S

        사람들에게 가장 일상적인 시각 대상이었던 대지와 하늘, 바닷가와 강가의 산과 모래밭, 그리고 숲속의 오솔길, 그 길가에 여기저기 서 있는 크고 작은 나무들, 개울에 흐르는 잔잔한 물소리, 가끔은 크고 작은 자갈에 부딪히는 소리들은 우리에게 맑은 숨을 쉬게 하고 작은 힘을 솟게 해주었다. 겨울 산과 여름 산의 정서가 다름은 우리가 자주 느끼는 일이다. 바다에 있는 산은 작게 보이고 강가에 있는 산은 크게 보인다. 사람이 서서 볼 수 있는 거리 때문이겠지만 우리에게 주는 정서 역시 제각기 다르다. 특히 여름철 해질 무렵 연한 보랏빛 석양에서부터 검 짙은 갈색으로 변할 때까지 지켜본다는 것도 자연의 일부분을 충분히 경험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지금은 아파트로 둘러 싸여 있어 그런 기억들이 2차원의 공간에서만 볼 수 있는 먼 추억이 되어버렸다. 2차원 공간? 우리는 3차원에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2차원 공간이 생소하다. 그러나 실제로 우리는 생활 속에서 2차원 공간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책, 사진, 문서, 벽면 등등. 그러나 지금 내가 하고 싶은 말은 그런 것도 중요하지만 3차원의 세계에서 살고 있는 우리가 생홣 밖의 일도 저지를 수 있다는 것이다. 상상, 공상, 환상, 망상, 그리고 창의적 발상의 요람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것을 표현하는 방법은 각자 다를 수 있다. 이를테면 글자로 쓰는 것, 선으로 그리는 것, 색으로 칠하는 것 등등. 최초의 원시인도 기계문명시대에 사는 현대인도 하기 힘든, ‘인류의 유산’으로 남겨놓은 것들을 우리는 알고 있고 볼 수도 있다. 암각화, 벽화, 골각화 등등. 캄캄한 동굴 안에, 거대한 암석에 그러한 그림들을 그린 이유가 무엇이었을까, 무슨 도구를 사용했으며 누구를 향한 절규였을까. 필경 목숨을 걸고 그런 일을 했다면, 생각할수록 더 궁금해지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필자가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것을 나이가 많아서 할 일이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해도 괜찮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사람 대부분은 이러한 역사적이거나 철학적인 얘기를 꺼내면 밥 맛 없는 소리 한다고 치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자기 자신을 잘 모르고, 우리 역사를 잘 모르고, 인류의 역사를 잘 몰라도 우리는 잘 먹고 잘 살고 있기 때문인 것 같다. 철학에 물리적 실체가 있다면 아마 예술이라는 걸로 표현될 것이다. 어떤 모습, 무슨 색깔, 무슨 구상이든 그것을 표현하는 것은 오롯이 작가 자신일 것이다. 관람객이 작품을 그저 쓱 쳐다본다면 그 작품은 같은 위치와 같은 장면만 보여준다. 관람객의 사회적 위치나 시선과는 상관없이 민 낮의 정서로 그 사람과 마주친다. 그러면 관람객은 그림 속의 사심을 자기의 마음으로 하나씩 벗겨낸 다음 맨 마지막으로 보통 이렇게 이야기 한다. “이게 뭐야? 나도 할 수 있겠다!” 그러고는 종종걸음으로 작품 앞을 떠난다. 동일한 시간에 올실 안의 풍경과 문 밖 강가의 풍경이 다를지라도 생명의 리듬은 같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물풀에 잠시 앉아 있는 까만 잠자리나 빨간 고추잠자리가 하는 일은 같을지도 모른다. 그래서 지구상에 모든 생명은 ‘질서’라는 카데고리 안에서 잘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 The earth and sky, mountains and sands along the beach and rivers, and trails in the forest, which were the most common visual objects for people, the big and small trees standing here and there along the road, the gentle sound of water flowing in the stream, and sometimes the sounds of bumping into large and small pebbles. It gave us a clear breath and a little power. The difference between winter mountains and summer mountains is something we often feel. Mountains in the sea look small, and mountains in the river look large. It may be because of the distance people can stand and see, but the emotions they give us are also different. In particular, I thought it was a way to fully experience a part of nature by watching from the light purple sunset at sunset in the summer until it turns dark brown. However, now that it is surrounded by apartments, those memories have become distant memories that can only be seen in a two-dimensional space. 2D space? Because we are living in three dimensions, two-dimensional space is unfamiliar. However, in reality, we are using a lot of two-dimensional space in our lives. Books, photos, documents, walls, etc. However, what I want to say now is that, although that is important, we living in a three-dimensional world can also do things outside of our lives. It can be the cradle of imagination, fantasies, fantasies, delusions, and creative ideas. Different ways of expressing it can be different. For example, writing with letters, drawing with lines, painting with colors, etc. We know and can see the things that the first primitive people and modern humans living in the era of mechanical civilization have left as “human heritage” that are difficult to do. Petroglyphs, murals, bone carvings, etc. What was the reason for drawing such pictures in a dark cave, on a huge rock, what tools were used, and who were they screaming at? The more I think about it, the more I can't help but wonder the more I think about it. However, it's okay to think that I'm telling this story because I'm old and have nothing to do. This is because most people in our country often dismiss such a historical or philosophical story as saying that it sounds tasteless. It seems that it is because we eat well and live well even if we do not know ourselves well, we do not know our history well, and we do not know the history of mankind well. If there is a physical substance in philosophy, it will probably be expressed as art. Whatever shape, color, or idea, it is the artist himself who expresses it. If the viewer simply glances at the work, the work shows only the same location and the same scene. Regardless of the visitor's social position or gaze, he encounters the person with the emotions of the day. Then, the viewer peels off the selfishness in the picture one by one with their own mind, and then the last one usually talks like this. "What is this? I can do it too!” Then he often walks away from the work. We know that the rhythm of life is the same even though the scenery inside the room to come at the same time and the scenery along the river outside the door are different. The black dragonfly or the red red dragonfly sitting in the water pool for a while may do the same thing. So, all life on Earth may live well within the category of'order'.

      • KCI등재

        자연형태와 예술적 형상의 비교

        오춘란 새한철학회 2000 哲學論叢 Vol.20 No.-

        시각예술에 있어서 '본다'는 것은 '안다'는 것이고 '안다'는 것은 자연의 외형뿐만 아니라 그 본질을 안다는 것이며 따라서 자연의 외형 뿐 아니라 그 본질까지도 보게 하는 것이 예술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의 현실은 자연을 통찰하는 눈 보다 자신의 감정에 사로잡혀 본래면목인 질서의 개념이 무너지고 개성이라고 내세우는 개개인의 감성과 촉각에만 의존하여 예술세계가 혼돈과 혼란으로 가중되고 있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예술을 왜곡하고 있거나 창의성의 결여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21세기는 창의성이 없으면 살아가기 힘들 것이라고 말하면서 실질적으로 창의적 인간을 교육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기는 쉽지 않다. 창의력은 머리에서 짜낸다고 해서 되는 것은 아니다. 머리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고 밖에서 들어가서 나와야 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자연을 관찰하고 통찰하는데서 과학적인 사고력과 싱싱력이라는 두 기능이 통합될 때 창의성이 발휘되는 것이다. 고차원적인 추리력에 예리한 직관력이 보완될 때의 창의성의 발휘는 과학자에게서 자주 있는 경우이고, 날카로운 직관력과 풍부한 감성에 지적 추리력이 보완될 때의 창의성의 발휘는 예술가에게서 자주 일어나는 경우로 보인다. 자연에 대해서 과학자와 예술가에게서 상통되는 경우는 물리학자나 수학자가 미시적 세계나 거시적 세계에서 보는 아름다움과 예술가가 창조한 작품세계에서 보는 아름다움도 결과적으로는 질서와 변화가 하나로 통합되어 있는 상태인 것이다. 동시에 자연적인 것과 예술적인 것 차이를 눈으로 확인 할 수 있음으로서 예술의 본질을 이해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 시각적인 자료는 동서양의 어느 한 곳에 있었던 나뭇잎 몇 개와 고대와 르네상스, 현대미술상에서 선택한 몇 개의 두상에서 자연의 본성이 어떻게 조형화 하는데 적용되고 있는가를 감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자연이 창조한 인간의 형태에서 다시 작가가 주관적 시각으로 해석하고 상징화하여 나타내고자 하는 그 주제가 타인에게서 공명되도록 형태를 재창조하는 데서 몇 개의 선 만으로서도 유기적인 시스템으로 생명력을 탄생시킬 수가 있음을 보게된다. 또 이 형태가 새로운 공간을 창조하는데 필요한 요소로서 사용될 때는 다른 여러 형태들과의 관계 또는 다른 요소들과의 복잡한 관계를 통일하고 변화를 주는 보다 더 큰 시스템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자연에서나 조형에 있어서나 질서와 통일이라는 것은 전체를 이루는 개념이며 서로 상통하게 하는 보편성이며, 또한 변화를 주는 방법은 통일의 원리에 종속된 개념으로서 무한히 다양하고 개별적인데서 독창성이 유발되는 근거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예술이 예술이기 위해서는 그 본질적인 사유에서 출발해서 개별적 감성이 원하는 방향으로 지향해 가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In a visual art, 'seeing' is 'knowing' not just the outer looks of nature but also its inner essence. At present, however, personal sentiments rather than natUre-penetrating insight are emphasized. Thus, the so-called individuality dependent on one's senses only is increasingly leading the artistic world to chaos and conflicts. This is the distortion of art coming from fhe lack of creativity. We say creativity is essential in the 21st century, but we find it difScult to concretely suggest how to educate creative individuals. Creativity cannot be simply squeezed out of one's head. Something has to go first into the head. The observation and insight of nature coupled with scientific reasoning and imagination result in creativity. While scientists show the creativity of high-dimensional ration and insight, artists reveal that of sharp insight and abundant sentiments. The beauty of micro-or macro-nature as seen to physicists and mathematicians can be compared to that of creative works by artists. They are, in principle, one harmonious integration of order and change. As a result, the nature of art can be appreciated by capturing the difference between something natural and something artistic. Visual materials for this comparison can be a few leaves in the East or the West as well as several head statues in the old, Renaissance, and modem ages. The artists transform various natural forms into artistic forms by the process of subjective interpretation and symbolization so the themes may be understood by others. The creation of new forms here will be an organic and energetic system, maintaining complex relations and changes with other forms. Therefore, both in natural forms and artistic forms, order and unity are the concepts of comprising the whole and the universality of making reciprocal communication. The ways of change dependent on the principles of unity are diverse, individualistic, and creative. In sum. for art to be art, we should begin from essential thinking and dictate the courses of individual sentiments.

      • KCI등재

        명작품의 조형성 연구

        오춘란 새한철학회 1999 哲學論叢 Vol.17 No.-

        인간은 철학이나 과학으로 정신과 물질의 세계에 체계를 세우고자 노력해왔던 그 이상으로 예술로서 시간과 공간에 대한 자기세계의 통일을 구하고자 노력해왔다. 이러한 역사적인 사실에서 공간 예술의 본질을 규명하는 근거로 삼고자 했다. 현대 물리학이 밝히는 우주와 자연의 통일성과 간결성 그리고 역동성이라는 본질적 자연성이 인체의 생리와 심리에 관통되어 인간의 조형 행위에 미치고 있음을 圓形이라는 시각적 표현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이로서 우주와 자연의 존재들 사이의 관계들에서 조형 질서의 필연성을 밝힐 수 있는 것이다. 개적 인간에게서 일어나는 감성작용에서부터 미적 예술적 보편적 가치로 승화하여 미술의 역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은 이러한 우주의 전일성과 공명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유에서 르네상스 고전주의의 회화 예술의 정상에 있는 예술가들의 작품에서 그 전형의 기준을 찾아서 현대 작가의 작품에 이르기까지 조형의 기초가 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시각적 분석의 결과는 [plate1~27]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모든 시각대상인 형태들은 사각형의 평면에서는 수평선, 수직선, 대각선, 원형의 線上으로 귀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이 기하학적인 선들은 결국은 기준인 것이지 그 선이 절대가 되어서는 안되며 이 기준에서 어떻게 비약 할 것인가는 그 작가의 역량인 것이다. 이상으로서 알 수 있는 것은 첫째, 예술은 별개의 인간활동으로 끝이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본성의 하나이며 곧 자연이다. 둘째, 조형예술의 본질은 모든 시각요소들의 통일과 간결한 구조, 역동적인 생명감의 표현에 있다. 셋째, 좋은 상태에 있는 회화 예술은 한 인간의 내면에서부터 시작되어 촉지할 수 있는 물질의 매체를 통해서 실제 하는 새로운 예술적 공간으로 탄생되어 모든 인간이 공유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작가 개개인의 변화 무쌍한 특성은 우주 전체의 통일성이 존재하는 것 같이 이러한 기하학적 패턴이 시각적 공간인 예술세계를 통일시켜주는 원리원칙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조형예술의 본질을 확인한다는 것은 예술을 창조하거나 예술을 감상하는데도 그 기준을 제공해 줌으로서 상호 상통하는 조형언어로서의 본분을 다 할 수 있게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론에서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첫째, 현대 조형예술이 아무리 비 자연적이라 할지라도 본질적 원천은 바로 그 원초적인 자연에 있으므로 철학적인 사고가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오늘의 작가들이 이룩한 미술의 양상이 예술의 전부가 아니고 어느 방향의 일부분임을 거시적 안목으로 판단해야 하는 것이다. 셋째로, 동서양이 하나로 지향해 가는 즈음에 우리는 동양의 자연철학과 동시에 서양의 자연관을 동시에 수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새로운 예술의 방향을 모색하는 방법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결국은 진정한 예술가는 과학자와 똑같이 자연의 또 다른 면모를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입장이 되어야 하고 그러한 자연관에서 작가의 예술관이 정립될 수 있을 것이고 따라서 선구적인 작품이 창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Human beings have tried to establish physical and mental worlds by way of philosophy and science. But they have also endeavored to seek the unity of their own worlds in time and space by resorting to art. Based on this historical fact, I intend to reveal the essence of spatial art. The unified simplicity and dynamics of the universe and nature are well expressed in human physiology and psychology, which again turns alive in the formative act of humans. That is a visual expression called a circle. We can see, therefore, the inevitable formative structure between the universe and beings in nature. The history of fine arts, starting from an individual's emotional work and blooming into tlie artistic and universal values, accounts for the sympathy with the universe. In this respect, we can identify the basics of the formative art in contemporary works by finding the criterion in the masterpieces of Renaissance classicism. Visual analysis shows, as in [plate 1-27], that all the visual objects end in lines(horizontal, vertical, diagonal, and circular) in the plane of a square. Of course, these geometrical lines are merely advisable standards, not absolute ones. The talent of an artist knows what to do with the lines and determines a masterpiece after all. Here, some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art is not simply a person's own activity, but coincides with human nature. Second, the essence of formative art lies in uniting all visual elements, achieving a simple structure, and expressing the sense of dynamic life. Third, well-made fine arts begin from one's inner world, go through a medium of objects, and result in a new artistic space which can be shared among all humankind. Fourth, to identify the nature of formative art is to provide the criterion for art; creation or appreciation by staying faithful to the language of formativeness. In sum, philosophical thinking is quite necessary as the source of modern formative art seeming unnatural is nature. Then, we can rightly regard the artistic aspects of today's artists as part of a certain, direction. In this age when the extremes most together, we might have to take both the Oriental philosophy of nature and the Western viewpoint of nature. This will be one of the ways to seek the direction of a new art. True artists, as scientists do, see another look of nature and make use of it in order to create some pioneering masterpieces.

      • KCI등재

        광복 직후 중국 동북 조선인사회의 동향-최국철의 장편소설 『광복의 후예들』 분석을 중심으로-

        춘란 ( 朴春蘭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0 No.54

        일제 패망 후 중국 동북지역은 새롭게 재편되는 국제질서의 중심이자 공산당과 국민당의 각축장이 된다. 게다가 소련군의 만행과 중국인들의 노골적인 보복으로 인해 중국에 이주해 있던 조선인들은 생존의 위협을 느끼게 되면서 귀환과 정주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신분을 막론하고 80여 만 명이 선택한 조선반도로의 귀환의 배경에는 조국과 민족, 고향 의식 외에도 국민당의 韓僑귀환정책, 동북의 복잡한 정세와 공산당의 이념에 위배되는 신분과 성향으로 인해 우려될 수밖에 없는 생존 및 이데올로기 문제와 직결되어 있었다. 반면 당시 동북에 거주 중이던 과반수이상의 조선인들이 중국정주를 선택한 이유는 삶을 영위하기 위한 현실적인 선택에서 기인되었다. 『광복의 후예들』에서 정주를 선택한 조선인들은 고향이라는 정신적인 존재감보다는 생존기반이 확보된 땅과 집이 있는 곳에 제2의 고향을 건설하고자 했다. 그리고 중국 땅에서 태어나 ‘민족’과 ‘국민’사이에서 정체성의 혼란을 심하게 겪으면서 성장한 조선인 2세대들은 모국에 거리감을 느끼는 대신 나서 자란 중국 땅에 더 애착을 가지게 되었고 선조들이 개척해 놓은 땅을 지키려는 의지도 강했다. 소설에는 반영되지 않았지만 당시 북한의 영향력, 한반도내에서 좌우의 충돌과 분단, 동북 현지에 있던 민족지도자들의 영향도 당시 조선인들의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 정주를 선택한 중국 동북지역의 조선인들은 공산당의 토지개혁공작대에 포섭되면서 계급 의식이 싹트고 공작대의 동원 하에 마을의 지주들을 모두 청산하여 땅을 분배받고 땅의 새로운 주인이 된다. 그 과정에 조선인들은 계급문제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겪으면서 전통적인 관념의 벽에 부딪혀 갈등하기도 하지만 사회적 신분의 재편을 거치면서 봉건적인 계급인식에서 완전히 벗어나 공산당의 계급관념을 온전히 받아들일 수 있었다. 땅이라는 생존기반을 보장 받고 신분과 지위가 상승하면서 주인공 의식이 생기게 된 조선인들은 선조들이 개척한 땅을 지키고 중국 땅에 더 깊숙이 뿌리를 내리기 위해 중국의 국내 해방전쟁에 참전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에 기여함으로써 이 땅의 당당한 주인 될 권리를 획득하게 되었다. 日帝敗亡後, 中國東北地區成為重建的國際秩序的中心以及共產黨和國民黨的角逐場。再加上蘇軍的暴行和中國人露骨的報復, 移居在中國的朝鮮人感到生存受到威脅的同時, 也開始面臨著歸國還是定居的問題。不論身份, 有80多萬人選擇歸還朝鮮半島, 除了祖國、民族和故鄉意識之外, 這一事實也與由國民黨的韓僑歸國政策、東北的複雜形勢、以及與共產黨理念背離的身份和傾向等因素造成的令人憂慮的生存和意識形態問題息息相關。另一方面, 當時居住在東北的過半數朝鮮人選擇定居中國的理由也是基於為了生活的現實選擇。比起故鄉這種精神上的存在, 『光復的後裔』中選擇定居中國的朝鮮人更願意在提供生存基礎的土地和家園所在之處建設第二故鄉。出生並成長於中國, 經受着民族和國民之間主體性嚴重混亂的第二代朝鮮人, 在感到和母國之間距離的同時, 卻深深地愛上了燦爛的中國大地, 想要守住祖先開拓的土地。小說中未曾反映, 但當時北韓的影響力、韓半島內部左右兩派的衝突和分裂, 以及東北當地指導者的影響等都對朝鮮人的選擇施加了影響。 選擇定居下來的中國東北地區的朝鮮人被共產黨土改工作隊所招攬, 開始產生了階級意識, 他們在工作隊的動員下, 全部清算了鄉村的地主階層並分配了他們的土地, 成為了土地新的主人。在此過程中, 朝鮮人雖然經歷了階級問題意識的轉換以及和傳統觀念之間的碰撞矛盾, 但是通過再建社會身份, 他們完全擺脫了封建階級意識並接受了共產黨的階級觀念。 保有土地這一生存根基, 伴隨身份和地位上升產生了主人公意識的朝鮮人, 為了堅守祖先開拓的土地並在中國大地上落地生根, 通過參加中國國內解放戰爭和在中華人民共和國的建國中貢獻力量, 獲得了成為這片土地堂堂正正主人的權利。

      • KCI등재

        음성학에 기반을 둔 한·중 단모음 유형적 특성 연구

        춘란 ( Xu Chun Lan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3 No.-

        This paper will take the vowel of Korean and Chinese as the research object, through the method of experimental phonetics,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vowel distribution map, and observe the commonness and characteristics vowel of Korean and Chinese from the perspective of typology. In Korean education or Chinese education, the two languages have different unit sounds, and there are pronunciation errors. That is, it is difficult to learn the sounds of the target language that are not present in the mother tongue, and it is easy to learn the sounds of the target language that are present in the mother tongue. However, in actual educational scenarios, students using different languages make the same mistakes. For example, the Chinese vowel /y/ is not only a mistake made by Korean students, but also by Japanese students, Russian students and Mongolian students. Despite the influence of mother tongue, if the generality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 language are used to analyze, tea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can easily predict the mistakes of learners in many countries. To this end, this paper will investigate the typ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vowels, and analyze the causes of vowels error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universality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 language. (Yanbian University)

      • KCI등재

        조선조 중후기 歐陽修 散文의 수용과 영향

        金春蘭 열상고전연구회 2015 열상고전연구 Vol.44 No.-

        歐陽脩의 글은 韓愈․蘇軾․曾鞏의 고문과 함께 ‘韓歐’, ‘歐蘇’, ‘歐曾’ 등으로 불리여 당대나 후세의 중국 문인들에 게뿐 아니라 한국문인들의 문학관과 글쓰기의 전범으로 되여 한문학의 발전을 크게 추진하였다. 조선조 중후기 문인들은 歐蘇手簡 의 서정성을 발견하고 ‘情’, ‘情懷’, ‘情致’ 등 용어로 글에서 사용하였는 데, 이는 歐蘇手簡 이 尺牘문학의 단서로 되었음을 말해준다. 한문사대가 張維는 歐陽修의 문학관을 ‘花實 兼備’로 새롭게 표현하였으며, 歐陽修의 刻意潭思하는 창작태도에 동감을 표했다. 金昌協은 歐陽脩 散文의 예 술적 효과로 되는 ‘陰柔’와 ‘風神’ 요인을 분석했으며, 歐陽修 碑誌文의 편장구조와 서사기법을 탐색수용하여 碑誌文이 실용성으로부터 문예성으로 전변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文體는 세상의 汚隆과 관계가 있다는 전통적 관념과 ‘意順’과 ‘辭達’의 문장관을 갖고 있는 正祖는 文體反正을 일으켜 공고한 통치체제를 이루고자 하였으며 문체 혁신을 하여 문풍을 바로 잡은 歐陽修 같은 인물을 갈망하 였다. 문체반정의 결과 歐陽修의 글은 洪奭周, 金邁淳 등 관각문인을 중심으로 하여 문장작법의 準的인 기준이 되었다. 이들은 ‘骨骼’과 ‘風韻’이 뛰어난 글을 지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이와 같은 글을 짓자면 반드시 마음 수양을 닦아 도에 가까워지는 것이 관건임을 지적함과 아울러 도의 진실한 내용과 마음의 형상화, 즉 꾸밈이 통일되어 “文道合一”을 이루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 글에서는 문장학의 독자성을 인정하는 의식의 대두와 散文이 시와 대립되는 하나의 장르로 부상하는 시기 를 둘러싸고 조선조 문인들이 歐陽脩 散文의 어떤 요소를 어떻게 수용하여 자기의 것으로 만들었는지를 알아 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ose and poems of ancient poet Ou-Yang Hsiu(歐陽修), together with the literary works of ancient poets HAN Yu(韓愈), Su Shi(蘇軾), Zeng Gong (曾鞏), whose works are known as “HANOU”, “OUSU”, “OUZENG” in short, have been models in terms of literary outlook and literary writing for not only contemporary and later Chinese scholars but also for Korean scholars, this phenomenon has greatly promoted the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In The Florilegium of the Letters Ou-Yang Hsiu (歐陽修)and Su Shi(蘇軾), the Scholars of the Middle and Latter Joseon Dynasty discovered the lyricism and then started to use words such as “Sentiment (情)”, “Feelings (情懷)”, “Temperament(情致)” in their literary works, which indicates the Florilegium of the Letters Ou-Yang Hsiu (歐陽修)and Su Shi(蘇軾) was the beginning of Epistolary Literature. Jang Yu(張維), of the Joseon Dynasty, one of the four greatest Joseon Scholars in Han Chinese Literature, with a novel look, indicated that the literary outlook of Ou-Yang Hsiu (歐陽修)was expressed in “the representation of both Flowers and Their Fruits”, and expressed his identification with Ou-Yang Hsiu’s composition spirit in the profound contemplation. Kim Changhyeob(金昌協), of the Joseon Dynasty, gave analyses over the artful effect of “Feminine Delicacy (陰柔)” and “Literary Grace (風神)” in the prose of Ou-Yang Hsiu (歐陽修). He studied and took in textual structure and narrative techniques of the epitaphs of Ou-Yang Hsiu (歐陽修), and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 in converting the practicality of epitaphs into the literariness of epitaphs. Cheong-cho (正祖)in whose traditional thoughts literary style was considered to have much to do with rise and fall of a regime, and in whose literary concept “Coherent Expression(意順)” and “Accurate Wording(辭達)” were given much attention, longed for a character like Ou-Yang Hsiu (歐陽修) who could rectify literary style, in order to realize literary reformation and to establish a solid control system. Literary style rectification has made the prose of Ou-Yang Hsiu (歐陽修) a standard of writing for the Gwangak literary men such as Hong Shijoo (洪奭周)and Kim Maesun(金邁淳). They advocated that words should reflect “Literary Structure(骨骼)” and “Literary Style(風韻) through constant cultivating moral values and achieving Taoism, and through “Fusion of Literature & Taoism” where there is representation of true content and mindset visualization. In acknowledging the rising consciousness of independency in the article study, focusing on the period when prose and poem began to appear in contradictory style in Joseon Dynasty,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literary men of Joseon Dynasty took in what element from the prose of Ou-Yang Hsiu (歐陽修)for their own utilization.

      • KCI등재후보

        2009~2010년 미용회보에 나타난 여성 헤어스타일 분석 -커트 유형에 따른 질감을 중심으로-

        춘란 ( Choon Ran Park ),김서희 ( Seo Heui Kim ) 대한미용학회(구 대한미용과학회) 2013 대한미용학회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rend of women`s hair styles that were shown in the recent year according to focus on the texture quality to improve the ability of creating hair design depending on the expression of texture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when the hair design are planned. For this study, 155 photos of women`s hair styles were collected from the beauty bulletin published by Korean Society for Beauticians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0, and an analysis for the empirical and objective verification by a group of experts was conducted. Statistical analyses of frequency, crosstabs and correspondence were performed to know the change of texture quality by year, by nation, and by season. The frequency order of texture quality was combinative, inactivated, and activated both by nation and season. In the case of inside of Korea and F/W (fall and winter), texture quality had inactivated property. In the case of outside of Korea, texture quality had activated property regardless of season. In the case of inside of Korea and S/S (spring and summer), texture quality had combinative property. Texture quality showed a relationship with nation and season.

      • KCI등재

        박선석 소설연구 - 장편소설에 대한 대중적 호응의 양상과 의의를 중심으로 -

        춘란 한중인문학회 2013 한중인문학연구 Vol.39 No.-

        박선석은 중국 조선족문학사상 매우 특징적인 작가의 한 사람이다. 그는 1980년에 등단하 여 지금까지 30여 년간 조선족 문단에서 가장 지속적으로 꾸준하게 글을 써 온 몇 안 되는 다산작가중의 한 사람이다. 박선석은 대중의 시각으로 당대 중국사회의 정치변동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과 조선족 농 촌공동체의 역사적 변천과 농민들의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소설 속에 담아냈다. 때문에 수 많은 독자들의 열광적인 호응을 얻었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 박선석 문학에 대한 편향된 인식과 이해를 문제 삼고 1990년대에 들어 중국이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 진입할 때 조선족 사회에서 나타난 ‘박선석 현상’에 주목하여 개혁개방이후 조선족 사회에서 대중들로부터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소설인 박선석의 대표작 -<쓴웃음>, <재해>에 대한 대중적 호응의 양상과 의의에 대해 고찰했다. Park Seonseok is one of the distinguished features in the history of Korean Chinese minority(chaoxianzu) literature. started in 1980s, he is the one who consistently has been writing novels in the field over the thirty years. From the perspective of ordinary people, he severly criticized on the political change of contemporary Chinese society and also reflected of the life of farmers on the effect of the historical change of Korean Chinese rural community on his novels. Therefore, his novels obtained enthusiastic responses from enormous readers. Hitherto, rarely has the biased recognition and comprehension on his literature been problematiz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is most beloved two novels, Sseun-us-eum and Jaehae, on the basis of how to read and analyze Park Seonseok Syndrome when Korean Chinese society entered the late capitalist society during 1990s since China's reform and opening up(gaige kaifang) era. In addition to the process, I investigate the mass psychology of the Korean Chinese community in a transition from fluctuation of Chines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o the era of reform and opening 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