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교실에서 유아들이 경험하는 도덕교육의 의미

        오채선(Oh Chae S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실에서 유아들이 도덕교육의 내용으로 무엇을 경험하며, 유아들이 경험한 도덕 교육이 유아들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치원 만5세 유아들의 일과를 관찰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치원 학급에서 유아들이 경험하는 도덕교육의 내용으로 양보하기, 정직하기, 규칙 지키기, 공평하기를 기술하였으며, 유아들이 경험하는 도덕교육의 의미를 도덕적 판단을 경험하기, 도덕적 행동을 경험하기, 도덕적 정서를 경험하기로 해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at is the content of moral education and finds what is the meaning of moral experience in kindergarten classroom. The children's behavior is observed in kindergarten schedule. The research is performed by participant observation. As a result of research,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are described in the aspect of concession, honesty, conform to the rule, and equity. The meanings of experience of moral education are interpreted in the three topics such as judgement in moral, behavior in moral, and experience of moral emotion.

      • KCI등재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담론 형성을 위한 비판적 고찰

        오채선(Chae Sun Oh),염지숙(Ji Sook Yeo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영아보육교사 전문성과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선행연구에서 언급하고 있는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담론의 기저에 내재되어 있는 기본 가정이나 개념들로부터, 향후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담론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논쟁점을 이끌어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을 논하는데 있어서 전문성 소유의 주체를 1982년 이후부터 유아교사라는 더 광범위한 대상에 포함시켜 논의하다가 2003년 이후 영아보육교사를 고유의 전문성 주체로서 다루어 연구하였다. 이때 영아보육교사를 전문성 소유 주체로서 구분한 것은 의미가 있었으나, 영아보육교사가 가져야 할 전문성의 개념이나 실체에 대한 담론이 더 많이 형성될 필요가 있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 전문성과 관련된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 또한 유아교사의 전문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 도구에서 용어만을 변경한 것으로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을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셋째,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을 논하는 데 있어서, 영아보육교사에 대한 전문성 인식의 책임이 개인에게 있으며, 학력과 지식이 실천과 당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기계론적인 논리가 내포되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ceding research in the area of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in Korea and to investigate the theoretical assumptions which were carried by these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fant teachers as agencies have appeared in research since 2003. However, the concept of the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should have been more established. Secondly, the measurement instruments for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were almost the same as thos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Lastly, these studies contained the mechanistic logic; infant teachers’ academic backgrounds and their knowledge were closely related to practices;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s the personal responsibility.

      • 또래 문화에서 유아들이 사용하는 놀이감의 의미

        오채선(Oh Chae Sun)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5 韓國敎育論壇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s how children use the play materials and finds the meaning of play material that children have in peer culture. The children's behavior is observed in kindergarten schedule. The research is performed by participant observation. As a result of research, the methods of play material's use are described in the aspect of kindergarten daily schedule. The meanings of play material are interpreted in the four topics such as confirmation of inner sameness, sharing over the possession, formation of friendship, and reproduction of peer culture through the symbolic culture.

      • KCI등재후보
      • 유치원 원장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오채선(Oh Chae Sun)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6 韓國敎育論壇 Vol.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원장에 관한 연구물들의 내용을 재검토함으로써 원장에 관한 연구가 주로 어떤 측면에서 이루어졌는지 원장 관련 연구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원장연구에 대 내용과 연구 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연구대상은 국내 석ㆍ박사학위 논문과 학회지에 게재된 원장과 관련된 연구 논문 52편(석사학위논문 35편과 학회지에 게재된 원장관련 논문 17편)이다. 원장과 관련된 논문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원장 관련 연구와 유아교육 운영관리 서적을 토대로 이 연구자가 작성한 “원장관련 연구 내용 분석표”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방법 분석은 양적 연구, 질적 연구, 문헌연구를 기준하였다. 그 결과 원장과 관련된 논문의 연구 내용을 1. 원장의 지도성, 2. 원장의 직무와 역할, 3. 원장의 자질, 4. 원장의 유치원 경영, 5. 원장의 인식, 태도 및 신념의 다섯 가지 주제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원장 연구에 대한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trends of research about kindergarten director and to suggest new possibility in research of kindergarten director. The 52 articles were analyzed, those articles were 35 master's thesis and dissertation and 17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The articles about kindergarten director were analyzed by the content classification table of articles that was based in the book of kindergarten management. The research method of articles was analyzed to the criterion of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research review. As a result of research, the articles of kindergarten director were analyzed to 5 subjects which are 1. leadership of kindergarten director, 2. the duty and role of kindergarten director, 3. the natural disposition of kindergarten director, 4. the kindergarten management of director, and 5. the awareness, attitude, and belief of kindergarten director. It was discussed that the new possibility of the research about kindergarten director on the basis of 5 subjects.

      • KCI등재

        유치원 현장에서 교사가 체험한 배움의 의미 탐구

        박선우(Seonu Park),오채선(Chae Sun 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가 체험한 배움에는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탐색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는 자신이 경험한 배움을 심도 있게 공유할 수 있는 유치원 교사 B가 참여하였다. 연구의 수행을 위한 자료 수집은 총 22회의 심층 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면담은 참여자의 심도 있고 자유로운 생각을 이끌기 위하여 비구조적 대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고 분석하며 교사 배움 체험의 의미를 발견하고 해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첫째, B는 쓸모 있는 교사가 되기 위해서 교사로서 주어진, 사회적으로 당연하다고 여겨지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배웠다. 둘째, B는 유치원 교사로서 기존에 주어졌던 기준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을 배웠다. 셋째, B는 스스로가 원하는 자신의 모습에 도달하기 위해 배웠다. 이렇게 B가 체험한 배움의 모습 그 깊숙한 곳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의미들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B의 배움은 자신의 삶 속 사람들과 존재와 존재로서 만나고 싶어하는 욕구로부터 출발했다는 것이다. 둘째, B의 배움은 그의 삶 속에서 마주한 위기로부터 출발했다는 것이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배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배움을 바라보는 보다 유연한 시선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의 배움에 있어서 개개인의 존재적 의미를 존중해줄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Learning experienced by a kindergarten teacher. Methods Kindergarten teacher B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who was able to share their thoughts about the Learning experienced in-depth. For this research, the data was collected 22 times as an in-depth interview. The researcher did not follow guided or constructed questions to support the participant’s natural responses during the interview. The meaning of the Learning experienced by teacher B was discovered and comprehended by repeatedly reading and analysing collected data.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 B has been learned to become an eligible teacher and to perform the tasks that are considered as a norm to society. Second, B has learned a new perspective which is out of the ordinary viewpoint as a kindergarten teacher. Third, B has learned to become an ideal oneself. The following meanings are discovered in a recessed spot of learning experienced by B. First, B’s learning started with the desire to meet people at an existential level of the participant’s life. Second, B started the learning when B faced one’s crises in life, multiple unexpected situations not only as a teacher and but also as a person and has experienced obscurities and felt confusion and displeasures.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a flexible viewpoint is required to understand a teacher’s learning. Second, teacher’s learning needs to be respected as an existential meaning.

      • KCI등재

        R-러닝로봇기반 언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홍혜경(Hong, Hae-Kyung),채영란(Chae, Young-Ran),오채선(Oh, Chai-Sun),권귀염(Kwon, Kyee-Yum)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7

        본 연구는 R-러닝로봇기반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먼저 R-러닝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 고찰 및 요구조사를 통하여 로봇기반 교육의 필요성과 활용 및 교육적 효용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토대로 로봇의 특성과 언어 교수-학습의 특성의 관련성을 연구하여 R-러닝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위해 G시에 소재한 유치원 2곳의 만 5세 유아 93명(실험집단 48명, 통제집단 4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였으며, 제니보 로봇 플랫폼과 언어능력검사도구, 이야기이해력, 읽기태도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언어능력과 이야기 이해력 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점수와 사후 점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아의 읽기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사후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language education program based on R-Learning and to exam its effects on young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It was studied the necessity of R-Learning education through the review of related documents and leading research about R-Learning. The language learning activities with Genibo based on the survey of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and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were developed and applied in the classroom using pre- and posttests for verification of effic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3 five-year-old children from 2 kindergartens in G city(48 in the experiment group and 45 in the control group). Analysis of data was administered by t-test. This study used Genibo robot, linguistic ability evaluation scale, story comprehension ability, and reading attitude evaluation scale.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nguistic ability and story comprehension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high in reading attitude of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 KCI등재후보

        노래와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영어교육활동이 유아의 어휘력과 이야기회상에 미치는 효과

        마송희,오채선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30

        This study developed an English education activities for preschoolers based on songs and picture books, and explored the effect of those activities on their vocabulary acquisition and story recall. Two storybooks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part of the contents of the book were made into songs. Fifty one 4-5 year old childre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ee group sessions and free activities and a few transition activities were done on one book.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Story recall tests were done after the activities. Preschoolers' knowledge of Korean vocabularies and memory span were also examined before the activities. Results show that both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of preschoolers improved after the activities. Most of the subjects were able to recall the story which were made into songs very well, whereas they could hardly recall the part which were not made into songs. Their knowledge of English and Korean vocabulary was positively correlated, and it was discussed in terms of the interference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on mother tong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