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교사 선발에서의 수업실연 평가에 대한 내용 및 기준 제안:

        오지향(Oh, Jihy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음악교사를 선발하는 임용고시 평가항목 중 하나인 ‘수업실연 평가’에 대한 내용 및 기준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의 예비교사 평가체제인 edTPA와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평가영역과 평가요소를 도출한 후, 중등임용과 관련된 33명의 음악교육자를 대상으로 현행 중등 임용고시의 수업실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평가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수업실연 평가’를 위한 내용으로 9문항의 평가영역과 20문항의 평가요소가 중요하게 나타났다. 둘째, ‘수업실연 평가’를 통해 평가해야 하는 예비교사의 수업능력은 ‘구체적이고 명료한 학습목표 진술’, ‘학습목표 성취 위한 논리적이고 체계적인활동’, ‘음악요소 및 개념을 적절한 예시와 함께 학생 수준에 맞춰 설명할 수 있는 능 력’. ‘음악시범능력’ 과 ‘학습목표와 연결된 적절한 평가’ 요소가 가장 중요하다고 나타났다. 셋째, 특정 전공에 영향을 받지 않는 수행중심 평가방안의 필요성, 실음 중심의 실연이 바탕이 된 평가, 수업에 대한 교사의 반성이 포함된 평가 및 장기적으로 미국의 edTPA의 평가처럼 현장에서 직면한 문제를 다룰 수 있으며 학생과의 실제적인 수업상황에 대한 고려가 반영된 평가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음악교육 전문가간의 논의를 통해 ‘수업실연평가’를 위한 전국적으로 통일된 양식과 타당하고 합리적인 평가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장에서의 음악수업과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하고 있는 수업실연과 연계하여 ‘수업실연 평가’의 효과적인 방안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resent study proposes the evaluation of the content and criteria for a teaching demonstration, one of the Nationa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for music teachers by focusing edTPA(Teaching Performance Assessment). The 33 music educators perception of teaching demonstrations in the current secondary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were examined and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criteria per area were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s follows. First, 9 evaluation areas and 20 evaluation criteria were show to be important as the content for a teaching demonstration evaluation. Second, ‘detailed and concise lesson objectives’, ‘rational and systematic activities ti meet the lesson objectives’, ‘the ability to demonstrate music’ and ‘appropriate evaluation related to lesson objectives’ were shown to be the most important in evaluating the teaching demonstration of the student teachers. Third, there is a need for a performance-centered evaluation that is not affected by certain university majors and an evaluation method that can address on-site issues in the long-term, such as the edTPA in the US. Fourth, through a discussion among professionals in music educations, a uniform format and rational, appropriate criteria for evaluating teaching demonstrations should be put in place throughout the country. To this end, multifaceted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on effective methods of evaluating teaching demonstrations in conjunction with content for teaching demonstrations that are taught at teachers college.

      • KCI등재후보

        중등 음악과 예비교사들의 마이크로티칭 효과 분석

        오지향 ( Ji Hyang Oh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2 예술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음악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마이크로티칭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사범대학교 음악교육과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21명을 대상으로 2회의 마이크로티칭을 실시한 후의 효과를 분석하고 마이크로티칭 경험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마이크로티칭에 대한 자기평가 동료평가 및 교수평가의 상관관계도 알아보았다. 1차 마이크로티칭 후에 예비교사들은 교수평가 및 동료평가를 받았고 비디오 분석을 통한 자기평가를 통하여 본인의 수업을 반성하고 분석하였다. 21명중에 14명의 학생이 2차 마이크로티칭에서 향상된 점수를 보였으며, 특히 수업에 대한 자신감 있는 태도와 유연한 상황 대처 기술 학습동기 유발 및 구체적인 학습목표 제시 항목이 가장 크게 개선되었음을 볼 수 있다. 예비 음악교사들은 마이크로티칭을 계획하고 실행하면서 수업의 실제적인 부분들에 대해 생각할 수 있었던 점, 동료를 평가하면서 자신의 수업실연에 적용한 정과 비디오 녹화를 통한 반성을 통해 자신의 버릇과 개선점을 알 수 있다는 점을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가장 도움이 되는 실천적이고 반성적인 경험으로 생각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and contents of micro-teaching on the secondary pre-service music teachers. With 21 pre-service music teachers currently in their junior year as Music Education major al a teacher`s college, two micro-teaching sessions have been carried out and their effects and experience have been analyzed. The correlation among the own evaluation, peer evaluation, and instructor evaluation has also been examined. Those pre-service music teachers were evaluated by instructor and peers after the micro-leaching session, while their own teaching was critiqued and analyzed through self-evaluation based on video-taped analysis. 14 out of 21 students came up with better scores on the second micro-teaching, particularly showing improvement in categories of confidence about class, flexibility in coping with unexpected situations, learning motivation, and specification of learning goal. The correlations between self-evaluation, peer evaluation, and faculty evaluation appeared largely equal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found the most beneficial practical experience in the fact that they were able to think about actual aspects of a class while planning and performing the microteaching, and that while they evaluated their peers they were able to apply it to their class performance, and that the video recording ensured self-reflection, knowledge of their own habits, and improvements required

      • KCI등재

        융합인재교육(STEAM)의 중등 음악수업 적용 및 사례연구

        오지향(Oh,Jihyang),정재은(Jeong, Jaeeun),강선영(Kang, Sunyoung),하명진(Ha, Myeong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음악을중심으로 다른교과와의 연계를통해 다른영역에대한이해를돕고동시에음악적지식과음악활동경험의 심화를 통하여 학생들의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능력을 키울수 있도록 융합인재교육(STEAM)을 중등음악수업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STEAM의 중등교육에의 적용 및 음악교육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이론적 고찰을 수행 하였으며,이를 바탕으로 음악중심 융합 수업의 구성 및 방향을 제시 하였다.또한,수업의 구성 및방향을구체화하기 위하여 중학교와 고등학교 음악수업의 실제적용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음악을중심으로 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and suggest the examples of STEAM in secondary music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parts: STEAM and music education, the direction of construction and suggestion of the model of STEAM in Music, and lesson plan for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classroom. First of all, preceding research was analyzed for offering the logical basis for this study. STEAM and the case of applying STEAM to music education was examined and investigation of STEAM focu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was followed. Then the direction of construction and suggestion of the model of STEAM in music was demonstrated. The model of STEAM in music are emphasized on presentation of situation, creative design, emotional experience. Finally, lesson plans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music class were demonstrated for seeking the possibility of STEAM focused on music.

      • KCI등재

        교대근무자의 신체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오지향(Oh Jihyang),현미열(Hyun Mi-ye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교대근무자의 감정표현불능, 직무스트레스, 자원동원력과 신체화의 관계를 규명하고 신체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지역과 S지역에서 교대근무를 실시하는 간호사, 경찰공무원과 소방공무원이며, 자가보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11월 9일부터 2016년 1월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신체화는 성별(t=-2.49, p=.014)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감정표현불능(r=.56, p<.001), 직무스트레스(r=.35, p<.001)와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신체화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은 감정표현불능(β=.50, p<.001)으로, 설명력은 3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대근무자의 신체화에 감정표현불능이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결과를 토대로 감정표현불능 수준을 낮출 수 있는 중재를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신체화를 예방감소시키는 전략으로 활용되기를 제언한다. This study aimed to assess alexithymia, occupational stress, resourcefulness and somatization among shift workers and to evaluate their relationship. Data was collected from 180 shift workers included nurses, polices, and fire-fighters. For assessing alexithymia, occupational stress, resourcefulness, and somatization, they were evaluated with Toronto Alexithymia Scale (TAS-20),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 (KOSS-SF), Self-control schedule, and Symptom Check List-90-revision (SCL-90-R).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omatization were found in gender among shift workers(t=-2.49, p=.014). Significant relationship were found among alexithymia(r=.56, p<.001), occupational stress(r=.35, p<.001) and somatization. Alexithymia was only factor significantly predicted somatization(β=.50, p<.001) and its explanation power was 31%. In our study, Alexithymia was shown to be a potential risk factor for increased somatization among shift workers. Therefore, adjusting alexithymia with potential problems of the shift workers may reduce their somatization. Findings provid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omatization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shift workers.

      • KCI등재후보

        음악교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과 역할 강화 방안

        오지향 ( Oh Jihyang ) 미래음악교육학회 2018 미래음악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맞는 리터러시 개념이 재개념화 되고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이 재고되는 맥락 속에서, 음악교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과 역할 강화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양한 문헌조사, ‘인다바 뮤직’과 ‘프로젝트 스마트아트’의 사례와 관련연구들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은 개인적 역량 뿐 아니라 사회적 기술 및 문화적 역량함양의 측면에서 정의되기 때문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보다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현2015 국가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의사소통 역량’ 및 ‘정보처리역량’을 지원한다는 측면에서 음악교육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셋째, 디지털 기술의 변화가 음악, 특히 대중음악의 제작이나 배포방식에 영향을 주고, 사람들이 음악을 통해 사회적으로 상호작용하거나 공동 미디어 정신을 구축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넷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를 통한 실천적 행동을 통해 참여문화를 확산하고 음악제작의 방식을 확장하는 등의 교육적 의의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음악교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다각도의 이론적 연구와 더불어 실천을 통한 모범적인 사례를 만들어 나가면서 음악학습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in music as well as how to strengthen its role, especially given the need to reconceptualize literacy in a changing media environment and the growing importance of media literacy in education. With the evolution of modern media, musicians and teenagers now employ it to find connections, explore new types of music, work jointly on musical activities, as well as produce and distribute related media contents. Given this environment, music teachers meed to consider the benefits of incorporating digital media into the curricula, and the importanc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 order to explore these areas, this study investigated cases of ‘Project Smart Art’ and an online music platform ‘indaba music’ and made the following observations. First,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is defined in terms of social skills, as well as cultural and personal competencies, and thus, a systematic approach is needed to media literacy education. Second, media literacy education in music should be used to the development of‘communication competency’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which are promoted in the current 2015 national curriculum. Third, evolving digital technology affects music, particularly, how popular music is produced and distributed, and plays a significant role in people’s social interactions and shared understanding of music through media. Fourth, in music education, alternative and voluntary learning channels need to be explored, including cyber-space, community activities and informal learning. Lastly, this study discovered the educational valu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s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d and endeavored to spread participatory cultures and diversify in musical education. Given these findings, extensive theoretical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concerning media literacy education in music. In addition, best practices should be explored and employed to expand the boundaries of music education.

      • KCI등재

        음악교과에서 멀티리터러시 교육의 의미와 실천방안

        오지향 ( Oh Jihya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과에서 멀티리터러시 교육의 의미와 실천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문헌조사를 통해 음악수업에서 멀티리터러시 교육의 당위성을 확보하고 실제적인 교수학습 내용 및 수업유형을 제시하였다. 수업은 음악에 대한 기본 소양과 관련된 지식을 익히고 음악교과의 핵심역량과 멀티리터러시 개념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우리 주변에서 발생하는 환경문제를 인식하고 홍보음악을 만들어 문제해결에 참여한다는 취지로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음악 리터러시를 음악적 이해 능력으로서 학습자의 의미생성과정과 창조적 경험 과정을 강조해야 하며 이를 위해 멀티리터러시를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멀티리터러시를 여러 가지 의사소통 기술을 통한 새로운 형태의 텍스트 양식임을 인식해야 한다. 수업을 설계할 때는 학습자의 관심사, 표현 의도, 및 목적을 고려하고 학생들이 운영하는 다양한 매체와 방식에 반응해야 한다. 셋째, 음악교과에서 멀티리터러시를 활용할 때 매체 자체에 대한 지식, 매체를 활용하는 소비자로서의 지식 및 매체를 제작하고 확산하는 생산자로서의 지식이 통합된 내용으로 설계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시대에 맞는 멀티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앞으로 음악교과에서 변화하는 기술과 미디어의 발전으로 나타나는 의사소통방식에 관심을 두고, 학습자들이 음악을 비롯한 다양한 리터러시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학습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다각도의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multiliteracy education and methods of practicing multiliteracies in music education. The study includ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multiliteracy education in music and presents actual teaching-learning models and class types. The aim of the classes that were developed is to have students acquire basic and relevant knowledge about music and become equipped with core competency and an understanding of multiliteracy. The classes were designed so that students recognize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at are happening around them and participate in solving these by promoting music. The study reache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for music literacy that involves the learners’ abilities to comprehend music, multiliteracy can be used to emphasize the process of creating meaning and having creative experiences. Second, multiliteracy should be recognized as a new form of text that uses multiple communication skills. When designing classes, the concerns, goals, and intentions of the learners to express something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nd attention should be paid to diverse media and the different methods used by these media. Third, when applying multiliteracy to music education, knowledge about the media themselves, the consumers, and the producers should be integrated. Although this study is merely theoretical, it is meaningful because it presents a direction for multiliteracy education that is suitable for the digital era. The researcher anticipates that future multifaceted research will be undertaken to examine changes in the methods of communication in music that result from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media, with the recognition that learners’ comprehension and their use of diverse literacy, including music, may enhance their learning.

      • KCI등재

        한국 음악과 교육과정의 역사적 고찰

        오지향(Oh, JiHyang),문경숙(Moon, Kyungsuk),최미영(Choi, Mi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7

        본고는 제1차 교육과정에서 현행 2009 개정에 이르는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개념적 접근법’의 도입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살펴보고, ‘개념적 접근’으로 인한 음악교육과정의 체제 및 내용의 변화에 대해 역사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미국에 서 시작된 ‘개념적 접근법’은 음악의 내재적이고 본질적인 가치가 교과 목표로 강조되기 시작한 제4차 시기에 도입이 시도되어 제7차까지 ‘이해영역’으로서 지속적으로 계승 발전되었으며 한국의 음악교육에 중요하게 자리 잡았다. 그러나 음악의 외적 가치가 교과 목표로 주요하게 반영되기 시작한 2007 개정 이후 현행 2009 개정에 이르기까지 음악개념지도가 차지하는 비중은 하향 조정되는 추세에 있다. 이는, 현행교육과정에서 오랜 기간 동안 음악개념지도가 반영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음 악개념지도가 한국 음악교육에 완전하게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한국의 음악교육에 음악개념지도를 적용하는 문제는 단순히 교육과정의 문제로만 검토가 이루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음악 교과서와 같은 실제 적인 교수․학습 자료의 효율성 문제와 함께 면밀하게 살펴보고 검토가 이루어져야한다. ‘개념적 접근법’을 대체할 만한 대안적인 이론이 확립되지 않은 현 단계에서 이해 영역’의 취사선택은 성급한 시도이며, 교육과정이 바뀔 때마다 음악개념에 대 한 내용을 변경하기 보다는 한국의 음악교육환경에 맞는 음악개념을 선정하고 교수 학습방법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transition of the national music curriculum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current 2009 amendment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was examined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time period prior to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ceptual approach” and studied the changes in the system and the content of the music curriculum brought about by this conceptual approach.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ual approach”, which was first implemented in the U.S. ,was tried during the fourth curriculum period when the intrinsic and essential value of the music came to be emphasized as a curriculum objective. The approach was continuously developed as an “area of understanding” up to the seventh curriculum period and has been established as an important part of music education in Korea. Since the 2007 amendment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when the external value of music started to be viewed as a key curriculum objective, until the current 2009 amendment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music instruction using the conceptual approach has diminished. This seems to because music instruction using the conceptual approach has not fully taken root in Korean music education, although such instruction has been reflected in the current curriculum for a long time. Therefore, it is not desirable to consider the issue of applying the conceptual approach to Korean Music education simply as a matter of formulating the right curriculum; careful review of such an educational approach should be undertaken together with an examination of the efficiency of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uch as music textbooks. Currently, as an alternative theory to the conceptual approach has not been established, selecting another “area of understanding” would be a rash. Rather than changing the content of musical concepts every tine the curriculum changes,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musical concept appropriate for Korea’s music education environment and continuously investigate the releva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 KCI등재후보

        어린이들의 그림에 나타난 표제음악의 음악적 이미지 분석 연구

        오지향 ( Ji Hyang Oh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0 예술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표제음악을 듣고 생성하는 음악적 이미지와 음악에 대한 이해를 알아보기 위하여 어린이들에게 4곡의 표제음악을 감상한 후 그림을 그리고 그림을 설명하도록 하였다. 그림을 분석한 결과 어린이들은 음악에 대한 이해와 느낌을 비슷한 색, 선, 주제를 사용하여 시각적 상징으로 표현하였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추상적 표현(선, 도형, 상징)에서 형태적 표현(이미지, 이야기가 포함된 그림)으로 제시하였다. 설명을 분석해보면 음악과 음악특성에 관한 묘사, 관련적 설명, 감정적 설명의 3가지 형태로 분류되었다. 어린이들은 감정이나 감각적 묘사를 통해 음악으로 이야기를 만들었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음악 안에서 지각된 주요한 요소들을 연결하여 음악의 특성에 대해 창의적으로 상징 표현을 하였다. 4곡의 표제음악의 음악적 요소 중 리듬패턴, 짜임새, 악기와 조성이 생성하는 음악적 이미지가 어린이들의 공통적인 상징적 표현에 영향을 주었다. 어린이들의 상징적 표현은 표제음악의 관련적인 의미에 대한 이해를 보여주었으며 정서적 경험, 상상, 음악적 지식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어린이들의 그림을 음악감상수업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have the children to draw pictures and describe the pictures for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symbolic expression with the musical image evoked by program music.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rawing, children displayed the understanding and feeling on music in abstract symbols (line, drawing and symbol) and pictorial symbols (pictures including image and story) and the similar color, line, and theme are used to express in visual image. Analyzing the description, it is classified in four types in description of music and musical characteristics, referential description, emotional description and thinking and judgment on music. From the musical elements of the 4 piece of program music, rhythm pattern, texture, instrument and mode evoke musical image for children and it is symbolically expressed by linked to feeling, imagination and personal experience of each student. This study found general developmental trends in children`s symbolic expression: younger students make stories with the music through emotion or sensitive description, whereas older students link the key elements perceived in music to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in creative ways. Children`s symbolic representations displayed their understanding of referential meanings in program music and related to emotional experience, level of focused attention, and musical knowledge.

      • KCI등재후보

        2x2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성향에 관한 연구: 기악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김지현 ( Ji Hyun Kim ),오지향 ( Ji Hyang Oh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1 예술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음악대학 기악전공학생들의 2x2 성취목표지향성(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과 자기조절학습 성향(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에 대해 확인하고, 4가지의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성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악전공 1-4학년 2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악전공학생들의 2x2 성취목표지향성 성향은 숙달접근지향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수행접근, 숙달회피, 수행회피 순으로 나타났다. 2x2 성취목표지향성은 학년과 전공계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악전공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성향은 동기조절요인의 성취가치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인지조절요인의 정교화, 시연, 점검, 행동조절요인의 환경관리, 연습시간관리, 도움구하기, 동기조절요인의 자아효능감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과 전공계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x2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는 숙달접근지향일 때 자기조절학습에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달접근, 수행접근의 접근지향일수록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더 잘 사용하며, 숙달회피, 수행회피의 회피지향성일수록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악전공학생들이 대학교육기간 동안 자기조절 능력이 계발될 수 있도록 하여 효과적인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제언 및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the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he self-regulated learn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instrumental music,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four goal- orientations (mastery-approach, mastery-avoidance, performance-approach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tendency (cognitive, motiva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 For this purpose to be attained, 226 undergraduate students with majors in clavier, string, wind and percussion could b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st tendency of the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instrumental music is the mastery-approach goal, followed by performance-approach goal, then the mastery-avoidence goal, and finally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 These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varied according to student`s grade and instrumental majors. Second, the highest tendency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instrumental music is the achievement value of the motivational regulation, followed by elaboration, rehearsal, monitoring of cognitive regulation, environment management, practice-time management, help-seeking of behavioral regulation and self-efficacy of motivational regulation. This self-regulated learning varied according to the student`s grad and the students instrumental major.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he self-regulated learn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instrumental music is as follow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were the most positively affected by the orientation mastery-approach goal, followed by the performance-approach goal, then mastery-avoidance goal and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 In the case of the mastery-approach and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while the mastery-avoidance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s, were found to be the least used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analyzing the self-regulated learning tendencies of instrumental music majors according to the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howed that this method ultimately helped them recognize and improve weaknesses in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he result of this particular study can serve as a guide for effective practice and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omote the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he ability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instrumental music.

      • KCI등재

        코로나 시기 한국 중등 교사의 음악수업 경험과 음악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한 인식

        최은식 ( Choi Eunshik ),오지향 ( Oh Ji Hyang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2 미래음악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기간인 2020년도 1학기-2021년도 1학기 동안 한국의 중등학교에서 이루어진 온라인 원격 음악 교육의 실태와 중등 음악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응답한 272명의 중등 교사 중에 원격음악수업을 하였다고 응답한 26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다수의 중등 음악 교사들이 팬데믹 기간 동안 온라인 원격 음악수업의 준비에 어려움을 느꼈으며, 성별이나 경력, 그리고 세부 전공에 따른 어려움의 인식 정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온라인으로 제공한 학습의 영역에 대한 응답에서는 온라인 학습의 특성상 가장 실시가 용이한 감상 활동을 제외하고는 자신들의 세부전공에 해당하는 학습영역을 위주로 수업이 이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중등음악교사들이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해 상당히 높은 수준의 자신감을 보이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원격 음악 수업 준비에 대한 어려움의 정도와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의 여러 하위 요인들간에 상관관계가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포스트 팬데믹 시기 중등학교 현장의 음악 교육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하는 형태의 블렌디드 학습에 보다 체계적으로 대응하여야 할 필요성과 함께, 현장교사의 재교육과 예비 음악 교사의 교육에 있어서도 자신의 세부 전공 이외의 학습 영역에 대한 교수 역량을 증진시키고, 전통적인 테크놀로지뿐 아니라 디지털 뉴미디어를 음악수업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 역량교육이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status of online distance music education in Korea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0-2021,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perception of secondary music teachers on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Among 272 secondary school teachers, a detailed analysis was conducted on 264 teachers who responded that they had implemented remote music clas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any secondary music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online remote music classes during the pandemic,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gender, career, and perception of difficulties according to detailed majors. However, in response to the areas of learning provided online, classes were conducted focusing on the areas of learning corresponding to their detailed majors, except for the easiest appreciation activities to implement due to the nature of online learning. In addition, in this study, secondary music teachers showed a fairly high level of confidence in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Nevertheless, it was foun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difficulty in preparing for online remote music classes and several sub-factors of TPACK was not very hi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usic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during the post-pandemic period needs to respond more systematically to blended learning and TPACK competency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so that not only traditional technology but also digital new media can be effectively used in music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