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변이(alloiōsis) 개념: 배움(mathēsis)의 사례를 중심으로

        오지은 철학연구회 2018 哲學硏究 Vol.0 No.123

        In Plato’s Theaetetus, “alteration(alloiōsis)” means something’s change in its perceptible qualities. I think Aristotle might have taken over this word with some modification as his technical term because of its usefulness for distinguishing the qualitative change in a persistent substance from coming to be or ceasing to be of the substance. However, “alteration” might be unsuitable for the name of development of dispositions which perfect one’s nature such as learning. This is because “alteration” often means harmful changes, and we are not merely altered but realize our nature through learning. I argue that this is why Aristotle does not seem to be quite satisfied when he classifies learning as an alteration. 『테아이테토스』에서 플라톤은 “변이(alloiōsis)”라는 말로 감각되는 성질에서의 달라짐을 뜻한 바 있었는데, 본고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바로 이 용례에 착안하여 변이를 자신의 전문 용어로 정착시켰을 것이라 추측하고, 이는 ‘실체자체의 생성/소멸’과 ‘존속하는 실체의 달라짐’을 구분하기 위해서였을 것이라 주장한다. 이어서 본고는 변이 개념이 이 구분을 위해서는 유용한 반면에 배움처럼 본래적 능력을 계발하는 사태를 가리키는 용어로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음을 서술하고, 그 이유로 변이 관련 표현이 부정적 변화를 가리키는 때가 더 많았다는 사실과 배움은 단순한 달라짐이 아니라 자기다워짐이라는 것을 꼽으며, 이 때문에 아리스토텔레스가 ‘배우는 자에게 변이한다고 말해서는 안 되거나’라는 선택지를 제시했을 것이라 해석한다.

      • KCI등재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의 어휘 문항에 대한 정합성 분석

        오지은 한국국어교육학회 2020 새국어교육 Vol.0 No.122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 어휘 문항의 정합성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연구 대상은 중학교 3학년 및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실시된 국어과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의 어휘 문항이며, 연구 방법으로는 정합성 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범주로는 내용 범주와 행동 범주를, 분석 기준으로는 일치성과 균형성을 설정하였다. 결과:내용 범주의 일치성은 양호한 수준이었으며 균형성은 약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행동 범주의 일치성과 균형성은 모두 부족한 수준이었다. 그 원인으로 성취 기준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문항, 특정 교육 내용에 집중된 출제, 재생 수준 문항의 부적절함, 지나치게 많은 사용 수준의 문항 등을 지적하였다. 결론: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단순히 어휘를 소재로 하는 문항이 아닌 어휘 교육 내용에 대한 문항을 출제하고, 성취 기준별로 고른 출제를 지향하는 동시에 중요하지 않은 내용에 출제가 집중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성취도 평가에서 기초 학습 능력 평가 기능을 분리하고, 교육과정에 어휘 사용에 대한 내용을 강화할 것을 제언하였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 alignment between the vocabulary test item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and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KNC). Methods: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study, an alignment analysis was conducted. Data sources were NAEA vocabulary items from 2015 to 2017 based on the 2009 revised KNC. Results:The findings of the alignment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ontent category, the concurrence index value was acceptable, yet the balance index value was weakly met. In the behaviour category, both the concurrence index value and the balance index value were very low. Conclusion:To improve these problems, it was suggested to enhance the content concurrence of vocabulary items, to promote research pertaining to the core values of vocabulary education, to separate the diagnostic function of basic academic achievements from NAEA, and to specify the list of vocabulary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문법교육에서 개념적 자원 분석의 가능성과 유용성 - 문장의 문법성 판단 과정을 중심으로 -2)

        오지은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nalysis of ‘conceptual resource’ as a method of analyzing learners’ grammar knowledge.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necessity of conceptual resource analysis, its concept, and the analysis unit were theoretically reviewed. Resea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from 4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5th to 6th grades and 31 high school learners in 2nd to 3rd grades.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43 conceptual resources were identified,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use of terms’, ‘recognition of attributes’, and ‘modification of express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was argued that conceptual resource analysis can be useful for capturing the partial understanding of learners, confirming the effects before and after education, and selecting and organizing educational contents. 이 연구는 학습자의 문법 지식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개념적 자원’의 분석을 제안하고 그 가능성과 유용성을 예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먼저 개념적 자원 분석의 필요성을 오개념 연구와 자원 이론 관련 연구의 흐름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그리고 개념적 자원을 개념적으로는 ‘학습자 자원의 한 유형으로서 문법에 대한명제적 지식의 내용을 구성하는 세부 요소’로 정의하고 본고에서의 조작적 정의와 분석단위에 대해 논구하였다. 실제 분석을 위한 자료는 초등학교 5∼6학년 40명과 고등학교2∼3학년 학습자 3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이후 순환적인 질적코딩을 통해 문장의 문법성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개념적 자원을 식별하였다. 분석 결과, 총 43개의 개념적 자원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을 ‘용어의 사용’, ‘속성의 인식’, ‘표현의 수정’으로 범주화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공교육 시기 학습자의 문법 지식을 분석하는 데 개념적 자원이 두루 활용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나아가 개념적자원의 분석 결과가 학습자의 부분적인 이해를 포착하고, 교육 전후의 효과를 확인하며, 교육 내용을 선정⋅조직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국 현지 소비자들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세분화에 따른 식행동 연구

        오지은,윤혜려,Oh, Ji Eun,Yoon, Hei-Ryeo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7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2 No.5

        연구는 중국 소비자들의 식생활라이프 스타일 요인에 따른 인구학적 특성을 구분함으로써 중국소비자들의 식행동의 차별성을 소비자 집단에 따라 세분화 하여 분석하고, 향후 타겟 소비자의 식품과 음식에 대한 속성과 특성 요구를 수용하는 상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음식의 맛과 질을 중요시여기는 미식요인(Gourmet factor), 건강요인(Healthy factor), 편의요인(Convenience factor), 경제요인(Economic factor) 등 4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요인점수에 따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4개 그룹은 차별화된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유형으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그룹 1 미식경제군은 20대의 젊은이들의 구성비율이 높고 자취의 비율이 높으며, 외식횟수가 높으며 하루 세끼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들은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미식요인과 경제적 요인에 민감한 반면 건강요인과 편의요인에의 민감도가 낮았으며, 식행동에서도 규칙적이며 균형잡힌 식생활에 대한 실천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음식과 식품에 대하여 품질에 있어서 맛을 추구하지만 몸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식생활의 실천은 낮은 것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그룹 2 두루관심군은 30대 구성 비율이 높았고 고학력층과 고소득층이 다른 그룹에 비해 높았다. 식생활라이프 스타일 요인 전반에 대한 추구성향이 타 그룹들에 비해 높아, 다양하고 새로운 음식, 외식과 삶에 대한 즐거움을 즐기는 미식을 추구하고, 건강과 관련되는 웰빙 식재료와 식품에 대한 추구도 높았다. 그러나 경제적인 요인인 쿠폰 활용, 가성비 등을 따지고 상대적으로 편의 식품을 적게 소비하며, 식행동 및 식습관에서도 다른 그룹보다 규칙적이며, 특히 유제품과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가 높고, 균형 잡힌 건강식을 섭취하는 식생활 고관심의 스마트 컨슈머의 성향을 보인다. 그룹 3 건강경제군은 40대 이상의 남성비율과 주부의 구성 비율이 높으며 소득수준이 다른 그룹에 비해 낮은, 가족형의 소비자군을 구성한다. 즉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서도 건강식품, 자연식재료 등에 건강성을 추구하고 식품구매에 있어서 경제적인 가성비를 추구하는 성향을 보이나 식행동 및 식습관 분석 결과 가공식품의 섭취가 다른 그룹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그룹 4는 30대 이상, 여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대학 이상의 교육수준도 다른 그룹에 비해 높았다. 이들은 가격과 편의성보다는 건강과 맛을 추구하는 그룹으로 중국의 중년여성들의 로하스 지향성이 가장 많이 나타나며, 영양지식을 실생활에 직접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국인의 식생활은 최근 10년 사이 전통적인 농수산물의 소비에서 간편식이나, 서구식 식사 등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도시거주민 등을 중심으로 웰빙과 건강, 식생활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지고 있다. 미식과 웰빙, 가성비와 간편식 등을 추구하는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유럽 등에서도 보편적인 식행동 등으로 나타나며 따라서 중국인들은 높아진 소득과 더불어 건강과 미식 등을 지향하는 다양한 식생활 행동패턴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유형별 집단으로 구별되며 차별적 특성을 나타내었고, 이들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식행동 및 식습관은 유의적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etary lifestyle of local Chinese consumers and to classify dietar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ir dietary lifestyle factors and dietary behaviors. Thi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for 1 month from 1 January 2017 targeting 300 adult males and females living in China using the online survey company surveymonkey. Four factors relating to dietary lifestyle were identified, gourmet factor, healthy factor, convenience factor and economic factor, and these were grouped into 4 clusters according to their dietary lifestyle factor scores. Group 1, the gourmet economy group, showed a high percentage of living alone and a high frequency of eating out, but a relatively low percentage of three regular meals per day. Their dietary lifestyle was sensitive to gourmet factors and economic factors, but less sensitive to health and convenience factors. Group 2, the wide interest group, contained a high percentage of individuals in their 30s, as well as more highly educated individuals and a higher income than other groups. Because their dietary lifestyle scores tended to be high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they sought a variety of new foods and gourmet meals for enjoyment of dining and life, as well as well-being food materials and foods related to health. Group 3, the health economic group, constituted a family-type consumer group with lower income level than the other groups. Members of this group were seeking health food and natural food in their dietary lifestyle and tended to pursue a high economic profit ratio when purchasing food. Finally, group 4 showed a relatively higher percentage of women over 30 and individuals with a college level or higher education than the other groups. This group was more interested in health and taste than price and convenience, and showed the highest LOHAS orientation among middle aged Chinese women. Moreover, members of this group directly utilized their knowledge regarding nutrition in real life.

      • KCI등재후보

        한국 신생아에서 B군 사슬알균 감염증

        오지은,Oh, Chi Eun 대한소아감염학회 2012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9 No.2

        Group B streptococcus (GBS) is the leading cause of neonatal sepsis and meningitis in developed countries. This article reviews the neonatal invasive GBS disease, maternal GBS colonization, and prevention strategies in the context of recent epidemiological changes in Korea. Although Korean neonates had been supposed to have low incidence of invasive GBS disease, GBS has been recently reported to be the most common cause of invasive neonatal infection after 1990s. Among Korean pregnant women, GBS carriage rate in the vagina and rectum has been reported to be much lower than that in Western countries. However, it has increased in recent studies. For decision making about preventive strategy for neonatal GBS disease in Korea,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in terms of the incidence of neonatal GBS infection and serotype distribution. In addition, studies about maternal carriage rate and serotype distribution have to be continu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