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성용액을 이용한 아연산화물 반도체의 습식 식각 특성

        오정훈,이지면,Oh, Jung-Hoon,Lee, Ji-Myon 한국재료학회 2006 한국재료학회지 Vol.16 No.1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t-etching of ZnO thin films were investigated using hydrochloric and phosphoric acid solutions as etchants. The etch rate of ZnO films, using highly diluted hydrochloric acid solutions at a concentration of 0.25% in deionized water, was determined to be about 120 nm/min, and linear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acid concentration, resulting in $1.17{\mu}m/min$ when a 2% HCl solution was used. The surface of ZnO etched by an HCl solution,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howed a rough morphology with a high density of hexagonal pyramids or cones with sidewall angles of about ${\sim}45^{\circ}C$. Moreover, the sidewall angles of the masked area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pyramids on the surface. In comparison, the surface of ZnO etched by a phosphoric acid had a smooth surface morphology. The origin of this difference is from the very initial stage of etching, indicating that the etch-mechanism is different for each solution. Furthermore, when $H_3PO_4$ was added to the HCl aqueous solution, the morphology of the etched surface was greatly enhanced and the sidewall angle was also increased to about $65^{\circ}C$.

      • KCI등재

        RFID 시스템을 이용한 U-기숙사 관리 시스템

        오정훈,엄기환,Oh, Jeong-Hoon,Eom, Ki-Hwan 한국정보통신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11

        본 논문은 RFID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숙사사생의 인적 정보 관리, 출입관리, 식당 이용 관리 등의 기능을 가지는 U-기숙사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숙사 관리 시스템은 RFID 하드웨어 시스템과 미들웨어, 응용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RFID 하드웨어 시스템은 근접 거리에 적합한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미들웨어는 RFID 하드웨어 시스템의 입력 값을 RS-232c 통신 방식으로 받아들여 응용프로그램을 전달하며, 응용프로그램은 RFID 의 고유한 태그 값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처리한다. 제안하는 U-기숙사 관리 시스템을 설계 제작하여 대덕대학 생활관에 설치하여 실험한 결과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This parer propose a U-dormitory management system based on 13.56MHz RFID system. The proposed U-dormitory management system consists of three parts, the RFID hardware system, the middleware, and the application. RFID hardware system uses 13.56MHz frequency which is suitable for a close range. The middleware is implemented to accept the RFID hardware system values using RS-232c communication method and forward the values to the application. The application is designed to make the DB using the forwarded Haloes, and works based on the DB. The efficacy of the Proposed U-dormitory management system is verified by means of experiments. In the experiments, we set up the system to the dormitory of Daeduk College to show the improvement results of proposed system.

      • 전립선암 환자의 복부압박에 따른 표적 움직임 분석

        오정훈,정건아,정원석,조준영,김기철,최태규,Oh, Jeong Hun,Jung, Geon A,Jung, Won Seok,Jo, Jun Young,Kim, Gi Chul,Choi, Tae Kyu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4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6 No.1

        목 적 : 외부 압박을 통해 전립선암 환자의 복강 내 압력을 안정화시켜 움직임을 감소하여 치료 간(interfraction)과 치료 중(intrafraction)에 변화를 측정하여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0명의 전립선환자들은 전체 치료과정동안 MVCT 스캔을 통해 치료 전과 후에 걸쳐 환자 당 60개의 영상을 획득하였고 획득한 좌우방향(X), 상하방향(Y), 전후방향(Z), 회전방향(Roll)에 대한 Shift 값들을 이용하여 복부 압박 시 치료 간 치료준비 변화와 치료 중 표적 움직임의 상호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치료 간의 움직임 변화는 평균 좌우방향(X)에서 $0.65{\pm}2.32mm$, 상하방향(Y)에서 $1.41{\pm}4.83mm$, 전후방향(Z)에서 $0.73{\pm}0.52mm$, 회전방향(Roll)에서 $0.96{\pm}0.21^{\circ}$로 나타났다. 치료 중 움직임 변화는 평균 좌우방향(X)에서 $0.15{\pm}0.44mm$, 상하방향(Y)에서 $0.13{\pm}0.44mm$, 전후방향(Z)에서 $0.24{\pm}0.64mm$, 회전방향(Roll)에서 $0.1{\pm}0.9^{\circ}$로 나타났다. 결 론 : 전처치과정과 외부에서 복부압박을 통한 전복부의 움직임을 제한한다면 치료동안에 내부 장기와 환자의 움직임을 감소시켜 보다 적은 여유(margin)로 계획용 표적체적(PTV)을 생성할 수 있어서 정상조직의 부작용 증가 없이 더욱 이상적인 선량 체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changes of the motion of abdominal cavity between interfraction and intrafraction by using abdominal compression for reducing abdominal motion. Materials and Methods : 60 MVCT images were obtained before and after tomotherapy from 10 prostate cancer patients over the whole radiotherapy period. Shift values ( X -lateral Y -longitudinal Z -vertical and Roll ) were measured and from it, the correlation of between interfraction set up change and intrafraction target motion was analyzed when applying abdominal compression. Results : The motion changes of interfraction were X-average $0.65{\pm}2.32mm$, Y-average $1.41{\pm}4.83mm$, Z-average $0.73{\pm}0.52mm$ and Roll-average $0.96{\pm}0.21mm$. The motion changes of intrafraction were X-average $0.15{\pm}0.44mm$, Y-average $0.13{\pm}0.44mm$, Z-average $0.24{\pm}0.64mm$ and Roll-average $0.1{\pm}0.9mm$. The average PTV maximum dose difference was minimum for 10% phase and maximum for 70% phase. The average Spain cord maximum dose difference was minimum for 0% phase and maximum for 50% phase. The average difference of $V_{20}$, $V_{10}$, $V_5$ of Lung show bo certain trend. Conclusion : Abdominal compression can minimize the motion of internal organs and patients. So it is considered to be able to get more ideal dose volume without damage of normal structures from generating margin in small in producing PTV.

      • KCI등재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표준 Profile 데이터 상호운용을 위한 DDS 기반 BLE 어댑터

        오정훈 ( Jung-hoon Oh ),백문기 ( Moon-ki Back ),오길탁 ( Gil-tak Oh ),이규철 ( Kyu-chul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5 No.11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모든 것들 간 상호 운용을 통하여 기존에 제공하지 못 했던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의 발달을 통하여 기존 인터넷 기반 컴퓨터 모델에서 이기종 사물 간 분산 연결 모델로 진화하고 있다. 이기 종 사물 간 통신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 간 통신이 안 되는 이질성 문제를 해결해야만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들웨어 구조의 어댑터를 통해 각 사물의 데이터를 추상화하여 통일된 데이터 단위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각 사물 간 상호 연동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표준 미들웨어인 DDS(Data Distribution Service)를 기반으로 사물 간 데이터를 상호 연동하는 BLE(Bluetooth Low Energy) 어댑터를 제안한다. BLE 어댑터를 통하여 BLE 장치 간 데이터 연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프로토콜 장치와도 양방향데이터 연동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 BLE 장치 및 연구들은 Bluetooth SIG에서 제정한 표준 데이터 포맷인 프로파일을 사용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정의한 데이터 포맷을 사용하여 BLE 장치의 종류와 제조사에 따라 데이터 교환이 안 되는 문제가 있다. BLE 어댑터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12개의 프로파일을 분류 및 분석하여 프로파일 기반의 공통 데이터 포맷을 만들어 적용하였다. 프로파일 기반의 공통 데이터 포맷을 사용함에 따라 표준 프로파일 데이터 상호 운용을 위한 BLE 어댑터는 BLE 장치의 종류와 제조사에 영향 받지 않는 폭넓은 상호 운용성을 얻을 수 있다. IoT(Internet of Things) has purpose for providing new kind of service though interaction with everything. With development of IoT, computer model which is based on internet is changed to distributed connection model between heterogeneous thing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connect between each other different protocols. To solve this problem, we should abstract each of things of data through using adaptor of middleware structure in order to make consistent data unit. In this paper, we propose BLE(Bluetooth Low Energy) adaptor, which is interaction with things, based on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that is real-time standard middleware. It is possible to data interaction between BLE Devices as well as two-way data interaction with different protocol devices. Also existing BLE Devices and study have a problem that Data exchange without using a standard data format of a profile defined by the Bluetooth SIG. Using the data formats defined independently by a problem that should not exchange data according to the type and manufacturer of the device BLE. The BLE adapt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12 stand profile was applied to create a profile based on the standard data format. It is possible to get wide interoperability of not affected on the BLE devices type and manufacturer of the device because it is applied a profile that standard data format.

      • KCI등재

        언어철학적 관점에 입각한 이성복 시 읽기 방법

        오정훈(Oh, Jeong-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세상과 세상의 그림인 언어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는 구조적 동형성(同形性)은, 문학작품이 세상의 반영이며 문학 속의 세상은 실제 세상과 동일한 구조적 실체에 해당한다는 입장이다. Wittgenstein은 언어의 요소들이 특정한 방식으로 서로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은 실물들이 그렇게 관계 맺고 있다는 것의 표상이며, 언어는 현실과 연결된다고 본다. 이성복의 작품 역시 시적화자와 세계, 주체와 타자의 갈등 자체를 내면화함으로써 이분법적 대립의 무화를 시도한다거나, 치욕과 고통의 과정을 보여주기도 하며, 그러한 현실로부터 사랑을 발견하는 과정을 모색하기도 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반면, Wittgenstein은 언어 사용은 놀이의 규칙으로 언어 사용자가 준수해야 할 일종의 명령으로 볼 수 있으나, 실제 언어 상황에서 이러한 규칙은 연상 작용으로 대체되는 하나의 도구에 불과함을 강조한다. 그는 언어 규칙의 애매성을 부인하고 언어 놀이는 하나의 관습과 제도에 속하는 것이지만, 고정적인 활동일 수없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성복도 언어기호를 유희적 도구로 인식하고 기존의 시문법을 해체함으로써 새로운 규칙으로의 전회를 시도하는 놀이정신을 지향한다. 여기에 이성복 시 읽기의 방편으로 언어철학적 관점을 차용하는 것은 이유가 있다고 하겠다. The theory of structural homology indicating that the world and languages, which are the pictures of the world, have the same structure is in the position to believe that literary works are the reflection of the world and the world in literary works corresponds to the same structural substance as the real world. Wittgenstein regards that the fact that the elements of language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certain ways is the representation of the fact that real things are in such relationships and that languages are connected to the reality. Lee Seong-bok s works are similar in that they attempt the nihilation of dichotomous conflicts by internalizing the conflicts between the poetic speaker and the world and between the subject and others, show the processes of humiliation and pain, and seek the process of discovering love from such reality . On the other hand, Wittgenstein emphasizes that although languages are used according to the rules of plays which can be regarded to be a sort of orders that must be observed by language users, such rules are only a tool that is replaced by associations in actual language situations. He denies the ambiguity of language rules and makes it clear that although language plays belong to a custom and system, they cannot be a fixed activity. Lee Sung-bok also perceives language symbols as playful tools and dissolves existing poetic grammar, thereby pursuing a play spirit that attempts turning into new rules. This can be said to be the reason why the viewpoint of language philosophy is borrowed as a means of reading Lee Seong-bok s poems.

      • KCI등재

        "비판"과 "공존"의 시학으로서의 생태시 교육방법

        오정훈 ( Jeong Hun Oh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3 No.-

        본고에서는 생태시의 문학성과 현실 참여성을 동시에 주목하고, 이를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자연과 인간을 이원적으로 인식하는 사고로부터 배태된 환경오염과 인간소외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삶의 방식에 대한 개선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생태시를 매개로 수행되는 시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자연``과 ``인간``을 매개로 현실 문제에 대한 소극적인 수용의 태도에서 벗어나, 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비판을 수행하게 되며, 나아가 인식과 사고 체계의 전환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비판의 차원을 넘어 대상에 대한 새로운 인식 태도의 견지를 통해 이상적인 삶의 방식을 탐색함으로써 대안으로서의 해결책을 타진해 나갈 수 있다. 따라서 생태시 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현실 문제를 문학적으로 형상화시키는 방법을 보여줌으로써 미적 감수성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비판과 대안적 사고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식 체계의 전환과 행동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This essay focuses on the literary merits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real world in ecological poetry, and suggests ways to discuss them effectively in classrooms. In doing so, this study seeks to criticiz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human alienation caused by dichotomous thinking about nature and humankind, thereby exploring the alternatives to improve human lifestyle. By learning about poetry with the exemplar works of ecological poetry, students will outgrow their passive attitude about the problems in the real world involving nature and humankind, and may experience shifts in their paradigms by engaging in active criticisms of the real world. Furthermore, students will be encouraged to seek solutions and alternatives by exploring ideals by forming new conceptions of nature and humankind beyond criticism. Learning ecological poetry will not only stimulate students` aesthetic sensibilities, but may help to induce healthier, more positive changes in their attitudes and behavior by enabling them to think in critical, alternative ways.

      • 맥락 중심의 시 교육 방법 연구

        오정훈 ( Oh Jeong-hun )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8 중등교육연구 Vol.30 No.1

        시 감상의 초점은 학생의 자발성과 맥락 의존성에 있다고 하겠다. 작품을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정서와 의미를 발견하고 자기 삶과의 관련성 속에서 내면화를 지향해야만 시 교육의 본질에 부합하는 목표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감상의 자발성과 주체성을 강조하더라도 텍스트의 의미를 토대로 문학 감상이 이루어져야 담화공동체의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학 감상의 방식을 학생들이 체득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작품 내적 맥락과 외적 맥락의 형성을 통해 작품에 전제된 시적 의미를 파악하는 자발적인 방법을 구안해 보았으며, 나아가 작가적 맥락을 고려해 작가의 창작 의도나 가치관에 기반을 두어 명확한 의미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작품의 구성 요소로서의 시어나 이미지, 어조 등을 파악하고 이를 일정한 연쇄에 의해 상상력을 확장시킴은 물론, 관련된 유사 작품을 토대로 텍스트 내적 의미를 확장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작가의 가치관을 담은 메타 텍스트와 자료를 기반으로 작품에 전제된 작가 의도를 학생 자발적으로 탐색해 나가는 것도 시 감상의 주안점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It can be said that the focus of poetry appreciation is spontaneous and context-based. This is because if students aim to internalize, in relation to their own lives, the various emotions and meanings discovered through poetry, they will be able to realize the essence of poetry learning. However, even if emphasis is placed on spontaneous and subjective appreciation, literary appreciation should be based on textual meaning so that consensus may be brought about within the discourse community and students will be able to learn how to appreciate literary works. Hence, in this paper, we have come up with a spontaneous method to understand poetic meaning in literary work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ir inner and outer contexts. In addition, we took the poet's context into consideration and tried to work towards a clearer meaning based on the creative purpose and values of the poet. By identifying the essential components of literary works such as poetic language, image and tone, we were not only able to expand imagination in a fixed and successive manner, but also expand inner textual meaning based on related and similar works. A student's spontaneous exploration of the poet's values in a literary work through meta-texts and materials containing values of the poet may prove to be another focal point in poetry appreciation.

      • KCI등재

        ‘현실과 주체인식’으로서의 모더니즘시 교육방법 연구

        오정훈(Oh, Jeong-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5

        모더니즘은 현실 비판과 이상적 지향성을 추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미학적 태도를 거부하고 새로운 방법과 인식의 전환을 꾀하면서 문학의 지평을 확장해 나간다. ‘비판’과 ‘이상추구’라는 양자적 축을 작품 속에 구현하고자 하는 모더니즘적 가치인식은 그대로 모더니즘시에 형상화되어 있기에, 이를 교육적 상황으로 포섭할 수 있는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해 주목하였다. 또한, 비판적 거리 두기를 통한 현실 파악과 내면 탐색을 통한 주체의 현실태 파악, 대안 탐색을 통한 이상 파악은 모더니즘시만의 독자적인 교육 방법으로 기능함으로써 모더니즘의 인식적 가치의 중요성을 증대시킬 것으로 본다. 모더니즘시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 태도를 함양하며, 나아가 모순적 현실성을 극복한 당당한 주체로서의 삶을 자발적으로 영위해 나갈 수 있는 이상적인 인간으로 성장해 갈 것으로 기대한다. Modernism intends to pursue criticism on reality and idealistic orientation. For this purpose, it expands the horizon of literature by denying existing aesthetic attitudes and seeking new methods and a changeover of awareness. Because the modernism value awareness, which aims to realize its two axes, criticism and pursuit of an ideal , in a piece of work, is formed in modernism poetry as it is, this study focused on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bringing it under educational situations. Besides, it is expected that understanding reality by keeping critical distance, grasping the subject s actuality by means of internal exploration, and searching for an ideal by seeking alternatives can function as unique and independent teaching methods of modernism poetry and, therefore, would increase the importance of modernistic value awareness. It is also anticipated that modernism poetry education would not only help students have attitudes of critical awareness toward reality but also assist them in developing into ideal humans who can lead their lives voluntarily as dignified subjective bodies overcoming contradictory reality.

      • KCI등재

        ‘주체 비움’과 ‘타자 세움’을 통한 다문화詩 교육

        오정훈(Oh, Jeong-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8

        본고에서는 현대사회의 다문화적 경향에 주목하고, 그 속에 내재된 타자에 대한 주체의 일방적 억압과 착취, 그로 인해 초래된 타자 소외적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문화시 교육의 의의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다문화교육의 일환으로 기획 된 다문화시 교육을 위한 교육 요소로 ‘주체 비움’과 ‘타자 세움’을 설정하고, 이를 구체적 작품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주체의 자기 비움을 실천함으로써 타자에 대한 객관적 시선을 확보하고, 이러한 전제 하에 이루어지는 주체의 자신 에 대한 거리 늘이기로서의 자기반성과, 타자와의 동일시를 위한 거리 좁히기는 다문화주의 구현을 위한 필수 요건임을 보였다. 아울러 타자에 대한 주체의 공감, 소통, 연대를 통해 이상적 공동체 형성을 위한 동반자로서의 지위를 타자에 부여할 수 있 음을 강조하였다. 실질적인 차원에서 수행되는 타자에 대한 ‘다가 섬, 말 걸기, 연대하기’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이를 위한 교육 방법을 구체화해서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한 다문화시 교육이 주체와 타자가 서로 넘나들 수 있는 다문화주의의 구현 에 일조하리라 기대한다. This writing paid attention to modern society’s multi-cultural tendency and intended to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a multi-cultural Poem’ education as a measure to overcome a principal agent’s unilateral suppression and exploitation of others inherent in such a tendency, and its consequential alienating reality of others. This writing set up ‘a principal agent’s emptying’ and ‘Erecting others’ as an educational element for a multi-cultural Poem education which was planned as a part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elements to a concrete work. This writing demonstrated that securing objective eyes upon others by a principal agent’s practicing self-emptiness, self-reflection as distance-extension from a principal agent oneself which is done under such a premise, and distancenarrowing for identification with others were indispensable requisites for realization of multiculturalism. In addition, this writing put emphasis on the fact that it’s possible to invest others with a position as a companion for forming an ideal community through a principal agent’s sympathy,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with others. This writing put stress on the importance of ‘approaching’ ‘initiating a conversation’, ‘banding together’, which are carried out at a practical level for others and suggested the educational method to serve the purpose through its materialization. This writing hopes the multi-cultural Poem education suggested by this writing will play a part in realizing multiculturalism which makes it possible for a principal agent and others to move in an out each other.

      • KCI등재

        일반논문 : 모더니즘의 특징에 주목한 시 교육 방법

        오정훈 ( Jeong Hun Oh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5 문학교육학 Vol.47 No.-

        모더니즘 시 교육은 모더니즘 자체의 특징에 주목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될 필요가 있다. 문학 교과서에 실린 다양한 경향의 작품들을 유사한 방법으로 교육하는 관행에서 벗어나 특정 사조의 특징에 주목하고 그 속에서 교육적 요소를 도출하는 것이 작품 감상의 외연 확장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적 모더니즘 시의 경우 ‘어긋놓기’와 ‘짜임 꾸리기’라는 두 측면에 있어, 각각 비동일성과 다성성, 그리고 공간성 창조와 무기적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부정과 비판으로서의 어긋놓기가 구체적 작품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으며 그 속에 전제된 의미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 또한 실험적 시도로서의 짜임 꾸리기가 어떤 새로운 형식과 내용을 창조하고 있는지에 관심을 갖는 것은 시 교육의 폭을 넓혀 줄 것으로 기대한다. Modernist poetry education needs to be started from taking note of the characteristic of Modernism itself. It`s because taking note of the characteristic of a specific trend, away from the practice of teaching diverse tendencies of works included in literature textbooks in a similar way, from which drawing an educational element could be helpful to extension of the denotation of work appreciation. In case of Korean modernist poetry, in two aspects of ‘Laying a texture crisscross’ and ‘Texture Packing’, the former is characterized by non-identity and spatiality creation while the latter is characterized by polyphony and inorganic composition, respectively. It is hoped that grasping how ‘Laying a texture crisscross’ as negation and criticism is realized in a concrete work, and grasping what the premised meaning in the work is, and further, having concern for what new form and contents ‘Texture packing’ as an experimental attempt is creating could widen the breadth of poetr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