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urrent Cytology Practices in Korea: A Nationwide Survey by the Korean Society for Cytopathology

        오은지,정찬권,김동훈,김한겸,김완섭,진소영,윤혜경 대한병리학회 2017 Journal of Pathology and Translational Medicine Vol.51 No.6

        Background: Limited data are available on the current status of cytology practices in Korea. This nationwide study presents Korean cytology statistics from 2015. Methods: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in 2016 as a part of the mandatory quality-control program by the Korean Society for Cytopathology. The questionnaire was sent to 208 medical institutions performing cytopathologic examinations in Korea. Individual institutions were asked to submit their annual cytology statistical reports and gynecologic cytology-histology correlation data for 2015. Results: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206 medical institutions including 83 university hospitals, 87 general hospitals, and 36 commercial laboratories. A total of 8,284,952 cytologic examinations were performed in 2015, primarily in commercial laboratories (74.9%). The most common cytology specimens were gynecologic samples (81.3%). Conventional smears and liquid-based cytology were performed in 6,190,526 (74.7%) and 2,094,426 (25.3%) cases, respectively. The overall diagnostic concordance rate between cytologic and histologic diagnoses of uterine cervical samples was 70.5%. Discordant cas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category A (minimal clinical impact, 17.4%), category B (moderate clinical impact, 10.2%), and category C (major clinical impact, 1.9%). The ratio of atypical squamous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to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was 1.6 in university hospitals, 2.9 in general hospitals, and 4.9 in commercial laboratories. Conclusions: This survey reveals the current status and trend of cytology practice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nationwide cytopathology policies and quality improvement guidelines in Korean medical institutions.

      • KCI등재
      • KCI등재

        안경사의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섭취실태와 인식 연구

        오은지,김세미,최문성 한국안광학회 2019 한국안광학회지 Vol.24 No.4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consumption of general and ocular health functional foods by optometrists by identifying general and ocular health functional foods, the characteristics of optometrists, and analyzing their recognition. Method: A survey of 103 optometrists was conducted by visiting optician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General health functional foods were reclassified into 16 of the 37 groups currently prescribed as proclaimed health functional foods, and ocular health function food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which are defined as individually recognized health functional foods. The actual consumption of general and ocular health functional food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general characteristics of optometrist was evaluated using frequency analysis. The recogni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was analyzed using th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The number of optometrists who ate general and ocular health functional foods were 71 and 27, respectively. The most commonly consumed general and ocular health functional foods were nutritional supplements (84.5%) and lutein-containing products (66.7%). In optometrists, the recognition of ocular health functional foods was lower than that of general health functional foods. Consumption of general health functional foods was only important on working days (p≤.05), Consumption of ocular health functional foods was related to age (p≤.05), regular holiday (p≤.05), and years of practice (p≤.05).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need to remind optometrists of health functional foods. This will provide the basis for correct selection and healthy consumption of general and ocular health functional foods. 목적: 본 연구는 안경사의 일반 및 안구 관련 건강기능식품 섭취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인식을 분석하여 안 경사의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안경원을 방문하여 안경사 1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일반 건강기능식품의 분류는 현재 식약처에서 고시 원료로 규정된 37개 항목을 16개 그룹으로 재분류하였으며, 안구 관련 건강기능식품의 분류는 개별인정 원료로 규정된 5개 그룹으로 분 류하였다. 안경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반 및 안구 관련 건강기능식품 섭취실태는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인식 조사는 t-test,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일반 및 안구 관련 건강기 능식품을 섭취한 안경사는 각각 71명, 27명으로 섭취한 일반 및 안구 관련 건강기능식품의 종류는 각각 영양보충제 가 84.5%, 루테인 함유 제품이 6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안경사의 건강기능식품 인식은 일반 건강기능식품에 비 해 안구 관련 건강기능식품의 인식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건강기능식품은 일반적 특성 중 평균 근무 일수(p ≤ .05)에서 유일하게 유의하였으며, 안구 관련 건강기능식품은 연령(p ≤ .05), 정기휴일(p ≤ .05), 경력(p ≤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섭취실태 및 인식 분석을 통하여 안경사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을 상기시킬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일반 및 안구 관련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기초 자료로의 의의를 가질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불안정한 하악위를 가진 무치악 환자에서 치료의치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치료 증례

        오은지,장우형,박찬,윤귀덕,임현필,박상원 대한턱관절교합학회 2023 구강회복응용과학지 Vol.39 No.3

        Long-term use of inappropriate prosthesis often results in habitual closure or irregular mandibular movements. In that case, guide to the stable centric position is difficult. Therefore, by using a treatment denture, the muscles and TMJ should be stabilized and the jaw relation should be acquired with the treatment posi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digital technology in fabrication complete denture has the advantage of reproducing a stable tooth arrangement in cases of difficult tooth alignment, minimizing laboratory errors and reducing denture fabrication time. Therefore, in this case, the final denture was fabricated by digitally reproducing the stable treatment position, vertical dimension, and lip support with a treatment denture, and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 KCI등재

        음악 청취 시 나타나는 음악적 몰입 연구에 대한 고찰: 플로우(Flow) 이론을 중심으로

        오은지,박지은,최유진,이경면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23 음악이론포럼 Vol.30 No.2

        음악적 몰입은 음악 청취, 악기 연주 등의 음악 활동에 참여하는 동안 음악에 깊게 집중하고 있는 심리적 상태를 의미한다. 특히 음악을 청취하는 동안 나타나는 몰입은 청취자로 하여금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게 하며, 이때 몰입을 자주 경험하는 사람일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음악 청취 시 나타나는 음악적 몰입 상태를 어떻게 규정할 수 있으며, 청취자가 몰입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인지과학, 신경과학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들이 음악 청취자의 몰입 상태를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정량화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플로우(flow), 몰두(absorption), 참여(engagement) 등 몰입을 설명하는 여러 개념들이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어 음악적 몰입 현상을 개념화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몰입에 관한 다양한 논문 리뷰를 통해 음악 청취 활동 시 나타나는 몰입 모형이 선행요인-몰입 상태-결과의 3단계로 구분될 수 있음을 칙센트미하이(Csikszentmihalyi)의 플로우 이론에 기반하여 확인할 것이다. 또한, 음악 청취의 몰입을 행동적, 생리학적, 신경과학적으로 정량화할 수 있는 방법론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신입사원 이직과 대체가 집단 이직률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오은지,김용근,김영상 한국기업경영학회 2024 기업경영연구 Vol.31 No.1

        본 연구에서는 집단 이직률이 기업성과와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전체 이직 중 신입사원 이직 비율과 이직에 따른 내외부 인력 대체 방식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2006년부터 2016년까지 240개 기업의 데이터 세트(1,440개의 회사 연도 관찰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집단 이직률이 높은 기업은 일반적으로 기업성과가 낮지만, 특히 신입사원 이직자가 많을수록 집단 이직률의 부정적인 효과가 강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인력 대체 시 기존 직원을 활용한 내부 이동은 신입사원 이직률이 회사 성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내부 이동을 활용하는 것이 외부 채용보다 신입사원 이직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는 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집단 이직률에 관한 기존 연구에 기여하고자 하였으며, 집단 이직률의 부정적인 효과는 이직자 유형과 대체를 위한 인적자원관리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는 기업경영 측면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collective turnover rates relate to firm performance and how turnover properties such as newcomer turnover proportion of total turnover events and replacement of turnover through external hiring and internal mobility jointly influence the effect of collective turnover rates on firm performance. Using a dataset of 240 firms with 1,440 firm-year observations over 2006-2016, we find that firms with higher collective turnover rates generally have lower firm performance, but the negative effect of collective turnover is strengthened when firms have more newcomer departures of total turnover events (newcomer turnover proportion). Furthermore, our findings indicate that internal mobility utilizing existing employees buffers the disruptive effect of newcomer turnover proportion on firm performance, and the use of internal mobility is more effective at reducing the negative effect of newcomer turnover than external hiring. Our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collective turnover, suggesting that the disruptive effects of collective turnover rates are contingent upon who are leaving and the type of human capital flow.

      • KCI등재
      • KCI등재

        Final Thickness Reduction and Development of Goss texture in C- and Al-free Fe-3%Si-0.1%Mn-0.012%S Electrical Steel

        오은지,허남회,구양모 대한금속·재료학회 2017 METALS AND MATERIALS International Vol.23 No.6

        The correlation between final thickness reduction and development of Goss texture has been investigated in a CandAl-free Fe-3%Si electrical steel. During final annealing, the annealing texture is transited from {110}⊥ND to{100}⊥ND texture with increasing final thickness reduction. This is due to the decrease in primary grain size afterpre-annealing with increasing final thickness reduction which accelerates the selective growth rate of the {100}grains at the expense of the other {hkl} grains. At an optimal final thickness reduction of 75.8%, the high magneticinduction of 1.95 Tesla, which arises from the sharp {110}<001> Goss texture and is comparable to that of conventional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s, is obtained from the C- and Al-free Fe-3%Si-0.1%Mn electrical steel. Such a high magnetic property is produced through the surface-energy-induced selective grain growth of the Gossgrains under the lower surface-segregated condition of sulfur which makes the surface energy of the {110} planelowest among the {hkl} pla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