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기혼 근로 여성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영향 요인 분석

        오유라,송운기,김성훈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2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8 No.2

        코로나19 시기 학교의 폐쇄, 돌봄 서비스의 중단 등으로 인한 기혼 여성의 돌봄노동 증가가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기혼 여성의 가사노동시간 증가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제8차년도(2020년) 여성가족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인적요인, 근로환경요인, 가족요인에 해당하는 변수를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과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취학자녀수, 미취학자녀수, 나이, 근로시간, 성별분업인식 요인이 코로나19 시기 기혼 여성의 가사노동시간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본 연구결과 기혼여성의 성별분업인식은 전통적 성역할인식에서 벗어나 평등적인 인식으로 변화되어가고 있지만, 인식과는 달리 가사노동시간 분담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현실을 밝혀냈다. 특히, 성별분업인식과 달리 가사노동시간에 부담을 주는 요인은 자녀 존재의 유무였으며, 코로나19 시기 돌봄기관의 폐쇄가 결국 여성의 가사노동시간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가적 재난시기에서 돌봄 자녀가 있는 기혼 여성에 대한 지원 방안과 가족 내 가사노동 분담의 방향성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have affected the increase in housework hours by recognizing the increase in care work hours reported by married women during the COVID-19 period as a problem. Therefor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data from the 8th(2020)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KLoWF) data and inputting variables corresponding to individual factors, working environment factors, and family factors. As a result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number of school-aged children, the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age, working hours, and gender division of labor were the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in domestic work hours of married women during the COVID-19 period. The notabl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married women's perception of gender division of labor is changing from traditional gender role perception to egalitarian perception, but unlike perception, housework time sharing is not being achieved. In particular, unlike the recognition of gender division of labor, the factor that put a burden on housework time was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and it was found that the closure of care institutions during the COVID-19 period was ultimately affecting the increase in women's housework hou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measures for married women with caring children in times of national disaster and directions for sharing housework within the family were suggested in the future.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서비스 이용 유형 결정요인 분석

        오유라,윤예인,이정미 충북연구원 2022 지역정책연구 Vol.33 No.2

        우리나라는 빠른 고령화 진행 속도에 따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수요가 큰 폭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열악한 재정전망이 우려되는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급자의 장기요양서비스 결정요인을 검정함으로써 향후 장기요양서비스 정책적인 방향성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9년 장기요양실태조사를 활용(N=4,066)하여 Anderson의 의료서비스 행동모델을 근거로 수급자의 시설서비스와 재가서비스의 이용 결정요인을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인요인에서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시설서비스를 이용할 확률이 높아졌다. 둘째, 자원요인에서는 거주도시가 클수록, 유배우자의 경우, 자녀수가 많을수록,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재가서비스를 이용할 확률이 커졌다. 셋째, 욕구요인에서는 장기요양등급이 1등급에 비해 3~5등급일수록 재가서비스를 이용할 확률이 컸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의 확인적 역할을 하면서, 이용자의 서비스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기혼 근로 여성의 일자리 변화 영향 요인 분석

        오유라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2 아시아여성연구 Vol.61 No.2

        In light of the widespread shutdown of schools and other care facilities as a result of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aims to better understand its impact on the economy, particularly on married women’s job changes. Therefore, using data from the 8th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KLoWF), we divided married women’s job changes into three groups for this study: no job change, change in time and income, and resignation and re-employment after retirement.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observed that COVID-19 boosted transition probability in the group that experienced changes in time and income, including factors such as a certain number of regular employees, their working hours, working hours of women’s husbands,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school-aged children, and household work hours. Second, we discovered the same COVID-19-induced transition probability in the group that experienced resignation and subsequent re-employment, had a certain number of regular workers, and factors affecting housework hour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unresolved problems of women's labor market and housework hours significantly impacted the current labor market of women with COVID-19, and policy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address these issues. 코로나19 라는 전세계적인 팬데믹은 비교적 오랜기간 국경 폐쇄, 대면접촉 제한등의 상황을 초래하였고, 이로 인해 노동시장의 변화, 일상생활의 변화, 가족 내 관계의 변화 등 다양한 변화가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나타난경제상황의 변화와 학교 및 돌봄기관 등의 폐쇄로 인해 영향을 받은 기혼 여성의 일자리 변화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에 여성가족패널 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코로나19 로 인한 기혼 여성의 일자리 변화를 일자리 변화 없음, 시간 및 소득의 변화 있음, 퇴사및 퇴사 후 재취업으로 구분하여 일자리 변화 없음을 준거집단으로 삼아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 및 소득의변화를 경험한 집단의 경우 정규직 유무, 근로시간, 남편 근로시간, 가구원수, 취학자녀수, 코로나19로 인한 가사노동시간 변화 요인이 이행 확률을 높였다. 둘째, 퇴사 및퇴사 후 재취업으로의 변화를 경험한 집단의 경우 정규직 유무, 코로나19로 인한 가사노동시간 변화 요인이 이행 확률을 높였다. 셋째, 두 집단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정규직 유무와 코로나19로 인한 가사노동시간 변화 요인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기존에 해결되지 않은 여성의 노동시장 및 가사노동에 대한 문제가 코로나19 여성의노동시장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관련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