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헤드램프 SPOT 조명 기술 연구

        안병석(Byoungsuk Ahn),오영섭(Youngsub Oh),조후택(Hootaek Cho),방명극(Myunggug Bang),박선경(Sunkyoung Park) 한국자동차공학회 2011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1 No.11

        If pedestrian accidents occur in nighttime, the risk of being killed is higher than during daylight. Recognizing pedestrian at night is more difficult than during daylight. New light source, such as HID bulb, and new technology, such as AFLS, have improved a visibility while driving at night. Also using sensor, such as night-vision, it is possible to detect a pedestrian. But the driver has to see the display. In this study, Spot light is developed which illuminate the pedestrian directly detected by NIR sensor and image processing, this system help the driver avoid accident by recognizing the presence of the pedestrian early.

      • KCI등재

        내러티브 활용 인문융합치료 교수모형 적용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김영순(Youngsoon Kim),오영섭(Youngsub Oh)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0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를 활용한 인문융합치료 교수모형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예비임상치료사의 자질을 제고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Rita Charon의 서사의학을 이론적 배경으로 활용하여 인문융합치료학 교수모형을 도출하고 15주차를 5단계로 구분한 구체적인 교수안을 구성하여, I대학교 대학원의 인문융합치료학 전공 수업에 적용하였다. 본 수업에서 활용한 내러티브의 원자료는 이혼과 자립을 경험한 결혼이주여성을 인터뷰한 전사록이다. 연구방법은 질적 사례연구를 채택했고, 연구참여자들은 수업을 수강한 석·박사과정 대학원생이며, 이들의 성찰일지 및 수업과제물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입단계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이야기의 힘과 내러티브의 본질을 이해하였다. 둘째, 전개 1단계에서 연구참여자들은 결혼이주여성 내담자의 심리에 대한 유사성과 특이성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었다. 셋째, 전개 2단계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조별활동으로 연구와 토론을 하면서 소논문이라는 결과물을 성취하고 치료사 간의 연대감을 경험하였다. 넷째, 정리단계에서 연구참여자들은내담자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고 배경지식이 확장하였다. 다섯째, 성찰단계에서 연구참여자들은 개인의 서사능력의 성장을 확인하고 학문공동체 및 예비 상담사 자조모임과 같은 공동체를 형성하였다. 본 연구는 내담자의 내러티브를 활용하여 의료인, 임상치료사 및 상담사, 연구자를 양성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사례와 모형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teaching model of humanities therapy using narrative in order to foster pre-clinical therapists. This study used Rita Charon"s narrative medicine as theoretical background to derive a teaching model of humanities therapy, and formulated a five-step plan in the fifteenth week. The class used interview narratives of married migrant women who have experienced divorce and become independent. The research method was a qualitative case study, which analyzed reflection journals and assignments of graduate students who took classe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first phase of introduction, participants understood the power and nature of narratives. Second, in the first stage of development, participants deepen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similarities and specificities of married migrant women’s emotions. Third, in the second stage of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engaged in the research and discussion as a group working towards their journal dissertations and experienced solidarity among one another. Fourth, the participants deepen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lient and expanded their background knowledge. In the final stage of reflection, the participants confirmed individual growth of narrative ability and formed an academic and treatment commun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seen as a useful case and teaching model for nurturing medical professionals, clinical therapists, counselors, and researchers

      • KCI등재

        학교생활 관련 독서치료 연구동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2011년~2020년 석ㆍ박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이환주 ( Lee Hwanjoo ),오영섭 ( Oh Youngsub ) 한국독서학회 2021 독서연구 Vol.0 No.58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생활과 관련된 독서치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2011년부터 2020년 10월까지 학교생활과 관련된 독서치료 석 ㆍ 박사학위 논문 93편을 분석하여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 대상 독서치료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국내 독서치료 연구동향 분석 4편의 문헌에서 다룬 분석 준거를 검토하였고, 기본정보, 연구대상, 연구방법 및 치료프로그램의 범주에 따라 분석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생활과 관련된 독서치료는 석사학위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2014년부터 논문 편수가 감소하였다. 독서치료 전공 외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특히 심리 ㆍ 치료학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대상자는 초등학교 3~5학년에 집중되어있고, 고등학교로 갈수록 낮아졌다. 대상자 수는 11~20명 범위로 선정한 연구가 많으며, 주로 문제가 나타나지 않은 일반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와 혼합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발달적 ㆍ 예방적 치료프로그램 연구가 많고, 프로그램의 목적을 정의적 측면으로 설정한 연구가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아동 및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독서치료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bibliotherapy related to school lif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n bibliotherapy for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In doing so, it analyzes 93 dissertations published from 2011 to 2020 in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the criteria from four studies on domestic bibliotherapy research trends, and analyzed research trends according to criteria such as basic information,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treatment progra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ibliotherapy related to school life has been most actively studied in the course of master’s degrees, and the number of dissertations has decreased since 2014. Bibliotherap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education and psychotherapy. Second, research participants (i.e., clients) were mainly in the third to fif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ir number decreased as they went to high school. The client number in a therapy group was selected within the range of 11 to 20. Further, bibliotherapy has been mainly conducted for students who did not have clinical problems. Quantitative and mixed research were the most common research methods. Developmental and preventive programs were major, and the purpose of the programs was predominantly affective. Consequently, implications and future tasks related to bibliotherapy research for the school life adapt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presented.

      • KCI등재

        질적 연구데이터 기반 다문화 생활세계 아카이브 구축 사례 및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박종도 ( Park Jong Do ),오영섭 ( Oh Youngsub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다문화사회로 변모해 가는 한국사회를 이해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다문화 생활세계 아카이브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에스노그래피를 연구방법론으로 하는 다문화 생활세계 연구에서 생성된 질적연구 데이터를 활용한 다문화 생활세계 아카이브의 실제 구축 사례를 소개하고, 이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DSpace를 디지털 아카이브 플랫폼으로서 활용하였으며, 다문화생활세계 아카이브가 구축된 사례를 단계별로 제시한다. 더 나아가서 본 연구에서 구축한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방안, 향후 구축 단계별과제, 질적연구데이터의 활용과제를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It is needed to build digital archive for multi-cultural world of life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resources for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which is changing to multi-cultural societ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how to build a digital archive, which utilizes qualitative research data collected throughout ethnography research, for multi-cultural world of life, and proposes its utilization plan. In order to build the digital archive, we adopted Dspace, an open source software, as an content management tool and present its building steps. Furthermore, it is presented that the utilization plan of the newly created digital archive and future plan for developing this archive and utilizing qualitative research data.

      • 복합하중 조건하의 범퍼 최적설계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김준희(Joon hee Kim),조후택(Hootaek Cho),오영섭(Youngsub Oh),강성욱(Sunguk Ka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11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1 No.11

        Nowadays it is required for a car bumper system to meet the various impact safety regulations. Until now, bumper system is designed for satisfying each impact condition independently. So it is very difficult to design a bumper system tosatisfy all requirements simultaneously, and it has been done by trial and error until now. To overcome these problems, many studies on the optimization of bumper system are being performed. In this study, the bumper optimum design program is developed to optimize the bumper system satisfying the bumper barrier impact, pedestrian protection bumper impact and new IIHS(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 bumper impact conditions. For this bumper optimum design program, equivalent beam analysis model is developed for each bumper loading condition.

      • KCI등재

        필드웍 수업 참여 대학생의 협동학습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김기화(Kim, Gihwa),김영순(Kim, Youngsoon),오영섭(Oh, Youngsub)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사립 I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전공 선택과목이자 현장답사 과목인‘지역 문화의 탐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협동학습 경험을 탐색한 것이다. 특히, 현장답사는 모둠별로 수행되기 때문에 강의실에서만 이루어지는 협동학습의 양상과는 다를 것이라는 전제를 갖는다. 현장에서의 체험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협동학습 보다 학습자들 간의 긴밀한 소통과 책임의식이 요구된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연구문제를 첫째,‘필드웍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협동학습 경험은 어떤 의미인가?’, 둘째, 성공적인‘필드웍 협동학습의 요인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FGI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필드웍 협동학습 경험을 표상하는 의미는‘함께 성장하기’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소주제 는‘지식확장의 계기’,‘공동의 학습 목표 달성’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필드웍 협동학습 성공의 핵심요 인은 4가지로 도출되었으며, 집단 내적인 요인으로‘학습자 간의 상호작용’,‘긍정적인 의사소통’과 집단 외적 요인으로는‘교수자-학습자 간의 상호관계’,‘체계적인 수업 설계’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필드웍 학습이 지니는 현장성으로 인해 강의실에서 수행하는 일반적인 협동학습에 비해 학습자들은 상호 간의 친밀감을 높이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협동학습이 단순히 서로 의존하고 협력하여 학습효과를 증진시키는 방법을 넘어 학습자들로 하여금‘함께 성장하기’ 대열에 참가하여 동반 성장을 경험할 수있는 계기를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s of under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Exploring the Local Culture’ which was a field trip course in the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t ‘I’University. This study presupposes that it will b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ooperative learning aspect because it conducts the field work rather than cooperative learning which is performed only in the classroom. The course ‘Exploring the Local Culture’ is an experiential cooperative learning course aimed at exploring activities, so it requires more close communication and responsibility between the members of the cooperative group than most university classes. Based on this context, we set up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s of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ing in fieldwork class?” Second, “What do undergraduate students consider as successful factors of fieldwork cooperative learning?”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we collected data by conducting FGI interviews with under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experience of cooperative learning in fieldwork showed that they ‘grow together’. The sub-categories were derived from ‘opportunity of knowledge expansion’ and ‘achievement of common learning goals’. Second, the core factors of the success of fieldwork cooperative learning were derived from four factors: ‘interactions among learners’, ‘positive communication’ as internal factors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s’, ‘systemic instruction design’ as external factor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fieldwork learners have a strategy to increase the intimacy of learners’ mutuality compared to general cooperative learning, that is, coopera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In addition, we confirmed that cooperative learning provides an opportunity for learners to participate in the ‘growing together’ and experience coexistent growth beyond learning methods that simply rely on each other and cooperate to enhance learning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