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백적 글쓰기의 의미와 교육적 활용 방안 : 40인의 편지에 담긴 고백

        오영범(Young-Beom Oh)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1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고백적 글쓰기에 담긴 의미 분석을 통해 그 교육적 활용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기 고백이 담긴 편지 쓰기 공모 사업에 선정된 편지 40편, 인터넷 면담, 그리고 연구자의 성찰 일지와 같은 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고백적 글쓰기의 의미는 ‘나’를 과감히 드러내는 용기의 발현, 숨겨두었던 깊은 상처의 노출 및 치유, 소중함에 대한 인식 및 자기 정체성 확립, 삶에 대한 성찰로 성장의 길 걷기로 드러났다. 고백적 글쓰기의 교육적 활용 방안으로 학생의 내면을 표현하는 용기 부여, 학생 마음의 상처 치유와 마음을 정화하는 데 활용, 학생의 자기 인식 및 세상 다양성 인식의 수단, 성찰 유발을 통한 성장 촉진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application metho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eaning contained in confessional writ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qualitative data such as 40 letters selected for a letter writing contest containing self-confession, Internet interviews, and the researcher s reflection journal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meaning of confessional writing revealed through this study was revealed as the expression of self-overcoming will, exposure and healing of hidden deep wounds, re-awareness of precious existence and establishment of self-identity, and walking the path of growth through reflection on life. As an educational application method of confessional writing, it was suggested to give courage to express the inner side of students, to use it to heal wounds and purify the mind of students, as a means for students self-awareness and recognition of the diversity of the world, and to promote growth by inducing reflection.

      • KCI등재

        초등학교 원격수업 사례분석을 통한 원격수업의 가능성과 한계

        오영범 ( Oh¸ Young-beo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distance instruction developed in the context of Corona 19, and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distance education. To this e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istance instruction results reporting, interviews, free writing, and newspaper at elementary schools in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ceptual and categorized, structured, and themed four-step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mentioned by Saldaña(2009) to deriv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distance instruction. Three possibilities were derived: building a foundation for safe class prevention, expanding classroom space and changing instructional methods, reflection on basic learning rights and equal opportunities. In addition, due to the limitations of distance instruction, the duality of online: ethical problems inherent in the public nature of the class, management of the quality of learning: an unknown situation hidden in a limited screen, a sense of incongruity in distance learning: overcoming the learning gap and the difference in distance learning capability. Based on these limitations, a researcher proposed the direction of distance instructions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rona era. This direction can be a useful way to prepare for a new corona that may come again in the future.

      • KCI등재

        초등학교 수업컨설팅 사례연구를 통한 수업컨설팅 방향 탐색

        오영범 ( Young Beom Oh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in schools after observing problems of current instructional consultation. For this, this case study examined the following three topics. First, what are the specific aspects of open classes for instructional consultation?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Third, what are the directions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e following. Aspects of open classes were deployed in the pattern of Gagne`s instructional 9 events and most teachers with less teaching experience didn`t control instructional variables effectively. Open classes focused on the instruction contest and was affected by the shade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A researcher suggested the importance of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a consultant and a consultee, instructional consultation focused on the consultee, the operation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minimizing the intervention of an outside authority, and the procedure of executable instructional consultation on the schools to solve problems arising through this research. These suggestions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operated on the schools.

      • KCI등재

        생성형 인공지능과 교육에 관한 언론보도 토픽 분석

        오영범(Young Beom Oh),진영학(Young Hak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생성형 인공지능과 교육에 관한 언론보도 토픽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 기법의 하나인 토픽 모형을 활용하였다. 먼저, 빅카인즈 서비스를 통해 ‘생성형 인공지능과 교육’에 관한 언론 보도 자료를 수집한 후, 전처리 및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키워드 분석을 통해 언론보도 자료 내 상위 30개 빈출 단어를 제시하였다. 이후 통계적 수치와 모형의 해석 가능성을 고려해서 토픽 수를 추정하고 토픽별 상위 10개 단어를 도출함으로써 13개의 토픽으로 구성된 LDA 모형을 제시하고 설명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를 통해 제시한 13개의 토픽은 다음과 같다. 연구자들은 인공지능 주도권을 기르는 교육, 경기GPT와 공정한 예술교육, 디지털금융 전문인력 양성, 디지털 민주주의의 문제와 대처, 인공지능의 신뢰성과 윤리적 활용, 다양한 분야의 창작에 활용되는 인공지능, 경기도와 뉴욕주립대 간 연수 프로그램, 인공지능 융합교육 지역 협력모델, 인공지능 에듀테크 지원 사업과 핵심 인재 양성, 메타버스 랩 지원 사업, 지자체 행정업무 활용을 위한 직원 인공지능 역량 강화, 해외에서 주목하는 부산시교육청의 디지털 교육정책, 인공지능 시대의 문화예술교육 방식 변화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토픽을 바탕으로 생성형 인공지능을 교육에 적용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 가지 방안은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교사 역량 강화, 인공지능 개발과 사용에 대한 가이드라인 수립, 생성형 인공지능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학습자 역량 제고, 생성형 인공지능 수업 사례 개발 및 보급, 자발성에 기초한 인공지능 교사 연구회 지원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opics of media reports regard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nece and educ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topic model, one of the text mining techniques, was used. First, we collected newspaper article data on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ducation’ through the Big Kinds service and then performed pre-processing and morphological analysis. Based on this, 30 keywords were analyzed. By measuring the number of topics and deriving the top 10 words for each topic, 13 topics were presented and explained. Results The 13 topics presente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Researchers focus on education that fosters artificial intelligence leadership, Gyeonggi GPT and fair art education, digital finance professional training, problems and responses to digital democracy, reliability and ethical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ce used in creation in various fields, training programs between Gyeonggi-do and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regional cooperation model for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tech support project and core talent training, Metaverse Lab support project, strengthening employee artificial intelligence capabilities for use in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ve work, Bu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s digital program attracting attention from overseas and changes in cultural arts education methods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presented. Conclusions Based on the topics presented in this study, we proposed ways to apply and activate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The five measures are strengthening teacher capacity for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establishing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and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er capacity to use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correctly,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teaching cases, and based on spontaneity. This is support from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eacher Research Group.

      • KCI등재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방법적 특징 및 연구 절차 탐색

        오영범 ( Young Beom Oh ),김영천 ( Young Chun Kim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3 교육인류학연구 Vol.16 No.2

        이 글은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질적 연구의 한 방법인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특징과 연구 절차를 탐색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먼저, 우리는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개념과 발달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전통적 문화기술지와의 비교를 통해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방법적 특징을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인터넷 문화기술지를 수행하는 절차를 연구주제 정의하기, 온라인 커뮤니티 선택하기, 자료 수집하기, 자료 분석하기, 연구 결과 보고하기의 5단계로 제시하였으며, 각 단계에 따른 실천 전략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인터넷 문화기술지를 적용함에 있어 민감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윤리적 고려사항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하나의 문화적 현상인 인터넷 공간을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유용한 질적 연구 방법이 될 것이며 교육 문화 현상을 재조명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적용으로 밝혀진 문화 현상은 우리 삶의 모습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Internet ethnography as a new research method that has emerg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First, the concept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Internet ethnography were throughly researched. This was followed by an investigation into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ternet ethnography through a comparison with traditional ethnography. Finally, the procedure of Internet ethnography is suggested to comprise of four steps: definition of the research theme,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and the representation of research results. In addition, the ethical dimension of the application of research to Internet ethnography is also considered. This paper will provide a usefu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which to systematically research Internet space and contribute to a re-illumination of educational phenomena. Also, our cultural phenomena discovered through these efforts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our lives.

      • KCI등재

        원어민을 활용한 원격화상 수업설계 원리 -설계기반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오영범 ( Young Beom Oh ),이상수 ( Sang Soo Lee ),강정찬 ( Jung Chan K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일부 농.어촌 및 도서, 벽지 지역의 초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원어민 원격화상수업을 위한 수업설계 원리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계기반연구방법(Design Based Research)을 적용하여 1, 2차에 걸친 형성적 순환의 반복적인 과정을 거쳐 수업설계 원리를 도출하여 현장에 실천 가능성을 확대시키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전문가 검토, 수업관찰 분석, 한국 교사와 원어민 교사의 성찰 일지 자료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수업은 현장 수업 관찰과 동영상 녹화를 병행하였고, 한국교사와 원어민 교사의 성찰일지는 이메일을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노트(thematic note) 기법과 중요 사건 분석(critical incident analysis)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원어민을 활용한 원격화상수업 최종 설계 원리는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의 3단계로 제시되었다. 수업 전에는 한국 교사와 원어민 교사의 협력적 수업설계 원리와 수업설계의 공유 원리가 제시되었다. 수업 중에는 Gagne의 9가지 수업 사태에 따라 제시하였는데, 각 단계의 특징을 구현할 수 있는 수업설계 원리를 원어민 교사와 한국 교사의 역할에 따라 구분하였다. 수업 후에는 수업 과정에 대한 성찰, 사후 점검을 통한 안정성 유지의 원리를 제시함으로써 화상시스템 결함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최종 수업설계 원리는 원어민을 활용한 원격화상수업을 실행하는 현장 교사들에게 유용한 안내와 실천적 지침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the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 for videoconference class with a native English speaker which is currently implemented in some countryside elementary schools. Recursive design-based research twice was used to draw the principles and to make them applicable in real educational settings. Data were reviewed by subject matter experts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f class observation and reflective journals of korean and native English teachers through this repeated researching process. The class was videotaped and observed directly and reflective journals were collected by e-mails. Thematic notes were transcribed and critical incident analysis was done. The results were shown in three stages; pre-class, during-class and post-class. Shared and collaborative designing principles of class are suggested at the pre-class stage. The roles of Korean and native teachers are differentiated in accordance with Gagne` nine events at the during-class stage. Reflection on class and reviews were practiced to support stability during class and to minimize technical problems which might happen during video-conferencing at the post-class stage. The designing principles suggested by this study provide in-service teachers who implement videoconferening class with a native English speaker with valuable practical guidelines.

      • KCI등재

        교육지원청 초임 장학사의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혼란에서 마주한 성찰과 성장

        오영범(Young-Beom Oh)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1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교육지원청에서 근무하게 된 한 초임 장학사의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이다. 교사에서 장학사로 직위가 바뀌고, 학교에서 교육지원청으로 업무 수행 환경의 변화로 직면하게 된 혼란에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혼란을 구체화하기 위해 성찰일지, 동료 장학사와의 대화 내용, 관련 문헌 등과 같은 현장텍스트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초임 장학사가 경험하는 혼란은 직위 변화로 인한 정체성 혼란, 장학사 전문성에 대한 혼란, 교육지원청 문화 수용과 적응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환경에서 경험한 혼란은 그 자체가 낯선 것이었다. 그러나 혼란은 단순히 스트레스만을 유발하는 성가신 것이 아니었다. 혼란은 오히려 성찰을 촉진하고 성장으로 이끄는 자양분이 되고 있었다. 즉, 성찰적 글쓰기 과정에서 ‘나’ 자신을 돌아보게 되었고, 이러한 반성적 성찰은 성장에도 조금씩 작용하고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This study is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about the experience of a newly appointed supervisor working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The focus was on the confusion faced by the change of position from teacher to supervisor and of work environment from school to the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To materialize this confusion, field texts such as reflection diaries, conversations with fellow supervisors, and related literature were colle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fusion experienced by a newly appointed supervisor was identified as identity confusion due to position change, confusion in supervisor professionalism, and difficulty in accepting and adapting to the culture of the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The confusion experienced in the new environment was in itself strange. However, confusion wasn’t just annoying, causing only stress. Rather, confusion promoted reflection and became a nourishment leading to growth.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reflective writing, I began to look back on myself, and I came to recognize that this reflective reflection is also working little by little in my growth.

      • KCI등재

        국내 교육학 분야의 포토보이스 연구동향

        오영범(Young Beom 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교육학 분야의 포토보이스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문헌 수집, 분석 기준, 문헌 분석, 결과 도출의 네 단계에 따라 연구가 진행되었다. 먼저, 국내에서 발행된 학술등재지 논문 21편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8개(연구 목적, 연구참여자, 연구 기간, 질문 기법, 자료수집방법, 자료분석방법, 타당도 화보 방안, 연구 결과 활용) 분석 기준에 따라 수집한 문헌을 분석하였고, 최종적으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분석 기준에 따라 2014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논문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연구 목적은 주로 경험 분석, 인식 탐색 위주로 이루어졌다. 연구참여자는 소외 계층 혹은 주변인이 많았고, 연구참여자 수는 6명에서 10명 이하가 가장 많았으며, 주로 목적 표집 방법으로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14편의 연구에서 포커스 그룹 면담이 적용되었고, 자료분석방법은 3단계 분석 방법(사진 선정, 맥락화, 주제화)이 주로 사용되었다. 타당도 확보 방안으로는 많은 연구에서 동료 검토 및 전문가 검토가 이루어졌고, 연구 결과 활용은 많은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포토보이스 연구가 나아갈 방향 및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photovoice research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Korea. Methods For this purpose, 21 papers in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were selected. Eight analysis criteria used in this study (research purpose,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period, questioning technique, data collection method, data analysis method, validity pictorial method, and use of research results) were selected.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pers published from 2014 to 2022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the following main conclusions were obtaine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mainly focused on experience analysis and recognition exploration. Mos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from the underprivileged or marginalized, and the largest number of research participants was 6 to 10,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cruited mainly through the purposeful sampling method. As for the data collection metho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applied in 14 studies, and the three-step analysis method (selecting, contextualizing, and codifying) was mainly used for data analysis. As a way to secure validity, peer review and expert review were conducted in many studies, and the use of research results was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many studies.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on photovo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SNS 활용 특성에 관한 인터넷 질적 연구: “밴드”를 중심으로

        오영범 ( Young-beom Oh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2

        이 연구는 단위학교에서 함께 생활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SNS의 한 유형인 밴드를 사용하는 특징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자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방법으로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인터넷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구름초등학교 교사들이 구축하여 운영하는 밴드에 직접 참여 관찰하였고,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자의 필드노트를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는 등 삼각검증법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의 주요 이슈인 타당화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수집한 질적 자료의 관리와 분석을 위해 한국형 CAQDAS(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인 ‘파랑새2.0’을 활용하였다. 전사, 코딩, 주제 발견으로 이어지는 질적 자료의 유기적 분석 과정에서 연구자의 지속적인 반성적 성찰과 이론 탐색을 반복적인 비교, 분석, 재해석을 통해 의미 있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구름초등학교 교사들이 밴드를 사용하는 네가지 주요 특징으로는 첫째, 공유와 소통을 통한 관계의 확장 및 의사결정의 공간, 둘째, 학습과 성찰을 촉진하는 비형식적 온라인 연수 공간, 셋째, 마음 나누기로 신뢰를 구축하는 정서적 교감 공간, 넷째, 수평적 동질성과 초청에 의해 수용되는 폐쇄적 공간으로 드러났다. 연구자는 이러한 네 가지 특징이 연구가 수행되는 맥락, 역동성, 그리고 실제성이 풍부하고 사실적으로 드러날 수 있도록 기술하고 해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측면에서 바라본 밴드 사용의 구체적 아이디어로 효율적인 학교운영의 수단, 관계 증진의 유용한 도구, 온라인 학습 공간의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단위학교를 구성하는 교사들에게 밴드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과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Band’ as a type of SNS that teachers of one elementary school use. The researcher used internet qualitative research as a main research method. For this, a researcher collected various qualitative data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 Band, offline interview, and field note written by the researcher to consider triangulation in a qualitative research. And then, the researcher analyzed data gathered using 3 steps of transcription, coding, and theme finding. Management and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was used ‘Parangsae2.0’ which is one of CAQDAS(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The researcher determined four characteristics on Band usage of elementary teachers through repetitive reflection and theoretical search by researc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nd usage consists of 4 results, relationship expansion and space for decision making through sharing and communication, informal online study space facilitating learning and reflection, emotional communal space constructing belief through mind sharing, and closed space accommodated by homogeneity and invit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3 methods of Band usage that teachers can use Band efficiently in the educational aspect. Teachers can use Band as a means of efficient school operation, useful tool of relationship expansion, and online learning space.

      • KCI등재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 사례를 통한 성찰적 글쓰기의 수업개선 가능성

        오영범 ( Oh¸ Young-beo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nstructional improvement of reflective writing based on the case of operating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based on reflective writing. For this purpose, qualitative data such as reflective writing data and interview data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ding, categorization, and topic derivation using Bluebird 2.0, a Korean qualitative data analysis syste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four instruction improvement possibilities were derived. First, in-depth 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identification of classroom dynamics, second, strengthening class execution ability by healing wounds of communication and empathy, third, promoting voluntary intellectual inquiry and interaction for problem solving, fourth, building the foundation for teacher identity through growth through reflection.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necessity of spreading the reflective writing culture of teachers, providing a platform to share the effects of reflective writing,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operation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based on reflective writing, revitalization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utside of school, and creating an atmosphere of reflection through reflective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