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정자치부의 팀제 : 비전과 변화관리

        오영교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05 행정논총 Vol.43 No.4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MOGAHA) is a central government agency that executes the government innovation, local autonomy and law enforcement. MOGAHA has been playing the leading role in increasing the nation's competitiveness by way of making an innovative model on reorganization of government setups and improvement of working patterns Furthermore, with the launch of new paradigm focused on customers and performance for the first time in government agencies on January, 2005, the MOGAHA has been accelerating to achieve its vision and strategic objectives by Introduction of "team"system and Integrated Government Innovation System This paper attempts to review the "team" system for the first time in government agency. First, this study will review the background and basic object of the "team" system. Second, will also address the change management strategies and cases for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team system by overcoming the team members' resistanc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its introduction. Third, will analyze the team members' attitude for the "team" system by way of a survey. And then Lastly will suggest the overall accomplishments after introduction of "team" system and the future task that developing "team" system. 중앙행정기관과 지방행정의 조정 및 지원기능을 수행하는 정부의 중추 부처로서 정부혁신과 지방자치 내실화 등을 주요 기능으로 하고 있는 행정자치부는 그동안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정부혁신의 선도부처로서 공직사회에 변화의 바람을 주도하며 혁신의 모델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를 위해 행정자치부는 2005년 정부부처로는 최초로 고객과 성과중심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팀제 도입, 혁신의 시스템화를 위한 통합행정혁신시스템 도입, 고객만족행정 구현 등 고객과 성과중심 행정을 향해 숨가쁘게 달려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행정자치부의 총체적 혁신활동 중 정부기관으로는 최초로 도입한 팀제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행정자치부가 팀제를 도입하게 된 배경 및 기본방향을 살펴보고, 둘째 팀제 도입과정에 구성원들의 저항과 이를 극복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셋째 팀제 도입 이후 구성원들의 인식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팀제 도입 이후 고객만족도의 제고, 일하는 방식의 변화 등 전반적인 성과 및 향후 팀제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 필요한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중학생 영어 수업효과성 종단변화 관련 요인 분석: 영어 자기효능감과 내재적 동기를 중심으로

        오영교 한국교육개발원 2020 한국교육 Vol.47 No.4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change trends in English class effectiveness, which is composed of three subdomains; class comprehension, class concentration, the basic achievement in English subject. Methodology/data: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3rd to 5th year (2015-2017) of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to find out the trajectories in English class effectiveness, and analyzed the predicting variables, including English self-efficacy and intrinsic motivation after controlling relevant variables and their effect on English competency. As a method of analysis, a factor-of-curves model was employed. Findings: Both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of the English class effectiveness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showed a decreasing trajectory. English self-efficacy and intrinsic motivation only improved the initial value of English class effectiveness. In addition, both growth factors of English class effectiveness showed positive effects on English competency. Moreover, despite the negative the effect of English self-efficacy and intrinsic motivation, the growth factors of English class effectiveness during middle school enhanced the English competency of 2nd graders in high school. Values: This longitudinal study used an advanced analytical approach to perform rigorous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growth factors of English class effectiveness and their implications with covariates. 이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3~5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학교 영어 수업효과성 변화추이를 살펴보고, 예측변인으로 개인, 가정, 교사변인을 통제한 후 영어 자기효능감과 내재적 동기, 그리고 결과변인으로는 영어 전국연합 학력평가를 설정하여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고차잠재성장모형의 일종인 Factor-of-Curves Model(FCM)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영어 수업이해도와 집중도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감소추이를 나타내고, 영어 기초학력 척도점수는 상승하는 변화추이를 나타냈다. 영어 수업이해도와 집중도, 기초학력 세 변인으로 구성된 영어수업효과성은 중학교 3년 동안 감소추이를 나타내고, 중학교 1학년 때 영어 수업효과성이 높았던 학생들이 수업효과성이 가파르게 감소하고, 중1 때 수업효과성이 낮았던 학생들은 천천히 감소하여 서로의 격차가 줄어들었다. 영어 수업효과성 성장요인에 미치는 예측변인을 살펴보면, 영어 자기효능감과 내재적 동기는 영어 수업효과성의 초깃값에만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변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음으로 영어 수업효과성 성장요인의 일반 영어능력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면, 영어 수업효과성 초깃값과 변화율 모두 고2 학생의 일반 영어능력(숙달도)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어 수업효과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영어 효능감과 내재적 동기의 영어수업효과성 변화율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력을 고려하고도, 중학교 영어 수업효과성의 초깃값과 변화율은 모두 고등학교 2학년 영어 학력평가 등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어수업효과성 제고에 필요한 관련 이론 및 정책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한국학과 국내 지역학 : 연구방법론의 모방과 변주

        오영교 역사문화학회 2019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2 No.2

        The founding of research center for local studies at universities and regional communities has become a nationwide trend in Korea. They compete to produce a variety of studies on local culture, quality of life, and identities for theoretical establishment on the local. This academic movement came from local communities’ change of understanding on the local and their enhanced capacity. This trend also reflects their aspiration to reinforce local individuality and competitiveness. However, these studies have oriented towards the quantitative proliferation of research without any established methodology and frameworks. Countless books and articles on the local were immersed in enumerating fragmental information, which reflects the belief that ‘anything related to particular regions is a part of local studies.’ It seems that they followed and imitated the research system and approaches of existing Korean studies with no critical filtering process. In addition to the lack of original research methodology, many problems in local studies arise due to exclusive regionalism and a wide participation of non-specialists. It is time for both Korean studies and local studies, which imitated and transformed Korean studies, to explore comprehensive and original methodological frameworks, instead of staying only at collecting different research results of relevant disciplines. For new research on locality,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purposes and direction of the discipline, while extending accumulated findings. The explicit enunciation of disciplinary aims and direction will be helpful in preparing more sophisticated research methodology. Local studies should promote a more systematic discipline (‘-logy’), not just staying at superficial and miscellaneous ‘studies.’ A discipline can be systemized when it is equipped with unique methodologies based upon supporting philosophy. Otherwise, local studies will remain as simply ‘various research on particular regions.’ Professors in local universities can make the effort to conduct such systemized research on the local, but expert groups of local studies will be needed in the end. Finally, my expectation is that the academic circles can see more microscopic, empirical, and in-depth analyses of carefully written research articles, escaping from mechanical, superficial, and fragmental approaches. 전국적으로 대학과 지역별로 지역학 연구소가 건립되고 지역문화, 지역민의 삶의 질, 지 방의 정체성에 대한 이론적 체계화를 지향하는 연구를 쏟아내고 있다. 이는 지역민들의 인식 전환과 역량 증진의 결과로써 전개되는 학술문화운동이며 지역의 독자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 한 움직임으로 볼 수 있다. 문제는 국내 지역학 연구가 방법론과 체계가 확립되지 않은 채 양적으로만 방만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특정지역에 대한 모든 연구가 해당 지역학’ 이라고 전제하고 지역의 이름으로 단편적이고 나열적인 연구가 통제 없이 양적으로 늘어나는 상황을 보게 된다. 이는 기존 한국학 연구체계를 따르고 연구방법론을 모방하는데 따른 것으 로 보인다. 또한 지역학만의 독자적인 연구방법론의 결핍과 배타적인 지역주의, 비전문적인 요원들이 대거 참여함에 따른 비체계성까지 덧붙여져 있다고 여겨진다. 한국학과 이를 모방-변주한 지역학 공히 학제간 융합, 총체적이고 독자적인 연구방법론 과 틀이 모색되어야만 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관련 분과 학문들의 연구성과를 종합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제 새로운 지역학연구를 위해 이미 이룩한 성과를 더욱 확대하면서 기본 성격이나 방향 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지향하는 바가 분명한 기본 이론이 있어야 구체적인 방법론을 마 련하고 정책을 모색할 수 있으리라 본다. 지역학은 궁극적으로 현상적인 ‘Studies’에 머무르 지 않고 ‘-logy’를 지향하는 학문의 의지가 담겨있음을 보여주어야 한다. 하나의 학문이 학 문으로서의 모습을 완성하기 위해 연구대상을 확정해야 될 뿐 아니라 그를 지탱해주는 사상 적․방법적 기초를 근간으로 하는 독특한 방법론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지역 학은 단순히 ‘지역에 관한 다양한 학문연구’ 수준을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지역학을 담당할 당장의 연구인력은 지역소재 대학 연구자들이 나설 수 있지만 궁극적으 로는 지역학, 지방학 연구를 소명으로 하는 전문연구자의 존재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들이 연구자로 정착하고 뿌리내릴 수 있는 체계적인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이는 지방자치단체나 지역소재 대학만이 아닌 중앙 연구비 지원기관의 지역학분야 지원이 범주화되어야 한다. 소 장 연구자들이 지속적으로 해당 지역학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방안의 강구가 될 것이다. 또 한 지역학 연구자의 세대 간 균등한 연구력 배출을 위해 단계적․지속적인 지원 방안이 필요 하다. 인적 인프라 구축을 통해 연구 활동의 활동성 제고 및 연구자 간 교류 활성화가 중요 할 것이다. 이러한 여건 속에서 알찬 지역학 연구가 진행될 때 지역 내 비전문가들의 연구수 준의 제고도 견인해 낼 수 있으리라 본다. 우리 학계에서 지역학을 연구하는 기관과 연구자들은 기계적이고 평면적이고 단편적이기보다는 실증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지향하고 체계적인 논문의 완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학 문풍토를 조성하여 독자적인 방법론의 형성과 획기적인 변화 발전이 이룩되기를 기원해본다.

      • KCI등재

        임진왜란과 毅齋 金悌甲의 목민활동

        오영교 조선시대사학회 2013 朝鮮時代史學報 Vol.67 No.-

        As the society of the Choseon Dynasty underwent Imjinoiran (壬辰倭亂) and Jeongyujaeran (丁酉再亂)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1597), which lasted seven years from 1592, the entire land of Choseon became a battlefield, particularly the three southern provinces of Chungcheong, Jeonra, and Gyeongsang. The farmers, who were taxpayers and providers of agricultural labor, had to be separated from their farmland due to the war. The devastation of the farmland brought about a great collapse of the agricultural production system. In particular, due to the extreme collapse of the local societies in the country, the people in the country could not be appropriately governed just by dispatching a local governor. During wartime, a local governor had a significant role. In the individual counties and prefectures, a governor had to support the war by training soldiers, preparing armaments, and securing an efficient troop mobilization system. A governor was also given the assignments of supporting the agricultural production system, including famine relief and the promot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 and improving productivity and administration system by reinforcing the war-torn, devastated towns and preventing theft. During wartime, not only were the deaths of local governors often reported, but so were cases of surrendering to the enemy and abandonment. Governors who surrendered or ran away were captured and accused or put into another battle to contribute to the war, or made to work in the transfer of military provisions. Apart from the policy of punishing the local governors who failed to fulfill their duties, the Choseon Dynasty sought to encourage them to fulfill their assignments. One of such plans was “Regional defense Plan.” As a method of maintaining the local governor system during the war, a governor and some refugees were ordered to escape to a mountain fortress located on a rugged hill in the governor’s territory, and report their situation as they defended their fortress until the war ended. Some governors or generals strove to fulfill their given assignments during the war, as many people joined local loyal troops which were raised to save the nation, and sacrificed their lives in place of the government troops. One noticeable example is Local Governor Kim Jae-gap (1525-1592), who fulfilled his assignment and fought desperately against the Japanese army at the Yeongwon Fortress located in Wonju. Kim Jae-gap protected local residents and refugees from Seoul, and fought with them against the Japanese army according to the typical protocol of defending a castle or a fortress regulated by the Choseon Dynasty. On August 5, 1592, he wrote to his son, Kim Si-hyeon, “What can I do now? I just want to be able to keep my integrity,” expressing his own determination. He must have breathed his last breath feeling ashamed that he was not able to fulfill his assignment to defend the assigned land. The battle at Yeongwon Fortress has been recorded as a defeat on the part of the army of the Choseon Dynasty. However, the deeds of Wonju Local Governor Kim Jae-gap, who did his best to fulfill his assignment of caring for the people, indicate that Imjinoiran was a part of the history of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 원주에 소재한 역사유적인 鴒原山城은 나말여초 豪族의 시기 지역 세력이던 梁吉및 弓裔와 관련된 史蹟이며, 1291년(충렬왕 17) 元沖甲으로 대표되는 지역의 방위군이 카단[哈丹] 침략군을 무찌른 국난극복의 사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곳은 임진왜란 때 김제갑 목사의 지휘 아래 왜군에게 항전하다가 수많은 병사와 민들이 목숨을 잃은 현장이기도 하다. 조선사회는 1592년부터 7년간 전개된 壬辰倭亂과 丁酉再亂의 과정에서 三南을 중심으로 전국토가 戰場化되는 상황을 겪었다. 전쟁으로 인해 농업 노동력이자 부세 담당층인 농민들의 遊離는 심각한 문제였고 경작지의 황폐화는 농업 생산체계를 크게 붕괴시켰다. 특히 향촌사회의 조직 자체가 붕괴되는 상황에서 수령의 파견만으로는 통치가 이루어질 수 없음이 지적되었다. 수령제와 군현제의 절대적인 위기였다. 당시 수령이 수행해야 할 역할은 막중하였다. 생산력과 행정체계의 보완을 위한 각종 임무의 수행은 물론 개별 군현에서의 군사조련, 군비의 마련 및 효율적인 병력동원 지휘체계의 확보 등 전쟁의 지원업무가 부과되었다. 전시 하에 수령들의 사망소식이 거듭 알려졌고 수령들이 지역 士民들과 함께 산간이나 海濱으로 피난하는 사례도 빈번히 보고되었다. 조선왕조는 전쟁 시 패장 또는 투항자를 처벌함으로서 자체 단속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奔鼠逃脫’한 수령에 대해 ‘拿鞫 治罪’, ‘赴戰 立功’ 및 ‘納贖 運糧’의 처벌만을 거듭 지시하였다. 전쟁의 과정에서 救國을 위해 官軍을 대신하여 목숨을 바친 義兵들의 활동이 전개되고 자신에게 주어진 본분을 다하고자 최선을 다해 항전했던 수령ㆍ장수들의 모습도 보인다. 원주 영원산성에서 목민관의 사명을 수행하며 왜군과 결사항전한 목사 김제갑(1525~1592)의 사례도 주목된다. 김제갑은 조선왕조가 평소에 규정한 전형적인 守城, 保障策의 규약에 따라 영원산성에서 지역 내 士民父老들과 피난 온 한양의 유이민을 보호함과 함께 왜군에 맞서 싸웠다. 그는 ‘땅을 지키는 관리’의 사명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함을 못내 부끄러워하면서 마지막 숨을 몰아쉬었을 것이다. 영원산성 전투는 조선군의 패전으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목민관으로서 민을 安集해야하는 사명에 어떻게라도 부응하려 했던 모습, 원주목사 김제갑의 행적은 우리로 하여금 임진왜란이 국난극복의 항쟁사였음을 알 수 있게 한다.

      • KCI등재

        COVID-19 환경에서 영어교사의 수업역량이 학생 수업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 테크놀로지 활용능력의 매개효과

        오영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between English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and students' class comprehension in distance learning in the COVID-19 environment. Methods The data of 155 English teachers in the 6th Bus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in 2021 were used for teachers' teaching effectiveness and related variables.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nglish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as a predictor variable, student class comprehension as an outcome variable, and English teachers'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as a mediator were selected.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the English teachers' ability to use technolog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comprehension of English classes, and the English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the students' comprehension of English classes via the English teachers'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In particular, the ability to use educational content such as Edunet and T-CLEAR, among the sub-domains of English teachers'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showe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tudents' comprehension of English classes. Conclusions For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classes, the overall ability to use technology is important, but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using educational content was confirmed. Accordingly,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using Edunet and T-CLEAR for English teachers were suggested. 목적 이 연구에서는 COVID-19 원격수업 환경에서 중학교 영어교사들의 수업역량이 교사 테크놀로지 활용능력을 경유하여 학생수업이해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2021년 6차년도 부산교육종단연구 영어교사 155명 자료를 대상으로 교사의 수업 관련 변인을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예측변수로 영어교사 수업역량, 결과변수로 학생 수업이해도, 매개변수로는 영어교사 테크놀로지 활용능력을 선정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영어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능력이 학생의 영어 수업이해도에 정적 효과를 보였고, 영어교사 수업역량이 테크놀로지 활용능력을 경유하여 학생의 영어 수업이해도에 이르는 정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영어교사 테크놀로지 활용능력의 하위영역 중 에듀넷 등의 교육용 콘텐츠 활용 능력이 학생의 영어 수업이해도에 직접적인 정적효과를 보였다. 결론 영어 수업효과성을 위해서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능력 전반이 중요하지만 특히, 교육용 콘텐츠 활용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있었다. 이에 영어교사의 에듀넷⋅티-클리어 활용 방안 및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DEA를 활용한 광주광역시 특성화고등학교 효율성 분석

        오영교,차성현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8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ve efficiency and its chang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For this, the study employed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for the data of 2014~16 provided by the local educational finance system and school information system, which is operated electronically by the government. For the DEA approach, the study calculated technical efficiency,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exploring characteristics of highly efficient schools. Input variables for DEA included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school expenditure per student, while the employment rate and dropout rate were used for output variable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ative efficiency among schools exist, while 5 of 10 schools achieved 100% efficiency. Second, school inefficiency was mainly caused by pure technical efficiency rather scale efficiency.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ignificant efficiency by school ownership, academics, and mixed schoo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that tailored supports should be provided for higher efficiency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Gwangju. 이 연구는 자료포락기법(Data Envelopment Analysis)을 활용하여 광주광역시 특성화고등학교의 상대적 효율성 및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자료는 학교알리미와 지방교육재정알리미에서 제공하는 2014~16년 학교수준 자료를 활용하였다. DEA 분석을 위한 투입요소로는 수업교원 1인당 학생 수, 학급당 학생 수, 학생 1인당 교육비를 사용하였으며, 산출요소로는 취업률, 학업중단율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주광역시 특성화고등학교 간 상대적 효율성의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의 비효율성은 규모의 효율성보다는 주로 순수기술효율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00% 효율성 나타낸 학교는 5개 학교였으며, 학급당 학생 수는 44.4%, 수업교원 1인당 학생 수는 42.3~100%, 학생 1인당 교육비는 13.2~100%까지 효율성 달성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설립유형, 남녀공학, 계열 등 학교배경 특성에 따른 학교 간 상대적 효율치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 및 학과개편 등 특성화고등학교의 자체적인 효율성 제고 노력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교육청의 전문적 컨설팅 및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우수등재

        배움중심 영어수업 성장추이와 교사 전문성 개발활동 변인 간의 관계 분석

        오영교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change trends in learning-centered English class (LCEC), which is implemented in an innovation middle school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on the growth of LCEC. This study used the data with 938 students from the 1st to 3rd year (2012∼2014)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A Curve-of-Factors model was employe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both the initial value (level) and the rate of change of the LCEC were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predictors, subject teachers conference and voluntary teacher study group activities influenced positively on the initial value of the LCEC. However, both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subject study group run by local education office showed negative effects. Regarding the rate of change, instructional consulting showed increasing effects on the growth rate of the LCEC, but voluntary teacher study group activities showed a decreasing effect. In-service teacher training for curriculum showed positive, but training for teaching expertise showed a negative effect. Both teacher collaboration for teaching improvement and student guidance showed a positive effect, but collaboration for students’ class attitude and behavior showed a negative effect.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prevention policy for the development of LCEC an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y factors in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context. 이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 1-3차년도(2012-2014년) 중학생 938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혁신학교의 수업혁신인 배움중심 영어수업의 성장추이를 알아보고 그 성장추이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활동 변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고차잠재성장모형(Curve-of-Factors)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중학교의 배움중심 영어수업 평균의 초깃값과 변화율은 모두 정적인 방향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혁신중학교 1학년 때 배움중심 영어수업이 잘 시행되고 있고, 중학교 3년 과정에 걸쳐 배움중심 영어수업 시행 정도도 증가하고 있다고 학생들이 인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배움중심 영어수업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영어교사 전문성 개발 활동 변수들을 살펴보면, 단위학교 차원의 교과협의회와 교사의 자생적 연구단체 활동이 배움중심 영어수업의 초깃값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육청 차원의 수업컨설팅과 교과교육연구회 활동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3년 동안 변화율과 관련해서는, 교육청 차원의 수업컨설팅 활동은배움중심 영어수업 변화율을 증가시키지만, 자생적 연구단체 활동은 감소시킨다고 나타났다. 연수와관련해서는 교육과정 관련 연수는 배움중심 영어수업 초깃값에 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지만, 수업전문성 관련 연수는 오히려 부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교사협력 변수는 교수·학습방법과 학생들의 가정환경 및 생활지도에 관한 교사협력이 배움중심 영어수업 초깃값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학생들의 수업태도 및 행동에 관한 교사협력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혁신학교 중학교 배움중심 영어수업 발달에 필요한 교사 요인과 관련된 정책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洞契의 구조와 운영 ― 寧越 邀僊契를 중심으로 ―

        오영교 조선시대사학회 2003 朝鮮時代史學報 Vol.24 No.-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Late Chosn Dynasty's tonggye(洞契)Oh, Yeong-gyo*攀* Yonsei University攀攀

      • KCI우수등재

        새로운 연구방법의 정립을 위한 모색과 고투

        오영교 역사학회 2023 역사학보 Vol.- No.259

        회고와 전망은 2개년간의 고대, 고려, 조선 전기, 조선 후기 연구를 총괄하고 새로운 연구방향을 모색하고자 기획 구상되었다. 이를 위해 네 분의 집필자가 4,700편이 넘는 저서와 논문을 검토하였다. 본 고에서 살펴볼 2021년과 22년은 전 세계적으로 극심한 COVID-19가 진행되었고 국내에서도 공식적인 대면 학회 활동과 소규모 연구회 모임이 중단된 상황이었다. 따라서 이 시기 연구 성과는 성실한 연구자들의 ‘치열한 고투’의 산물임을 특기하고자 한다. 근대적 학문체계로서의 역사학이 연구되기 시작한 이래 한국사 연구자들은 각 시기마다 자신들이 처한 사회적 현실을 고민하고 그 시대의 학문적 내지 실천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오늘날 한국사 연구자들은 역사법칙의 체계화와 진전된 구조화의 연구에 힘쓰는 한편, 2000년대 이후 전지구적인 상황전개로 초래된 시의성을 지닌 과제 계발과 분과학으로서의 한국사 범주를 벗어나는 인접 인문·사회과학분야와의 접점을 고민해야 하며 국내 지역학 발흥에 대응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2021년~22년의 연구성과를 분석한 회고와 전망에서 각분야의 집필자들이 지적한 사실은 첫째, 공동연구, 가설과 통설에 대한 연구, 구조사에 대한 심화된 연구가 진행되며, 개별연구의 흐름이 대세라고 보았다. 둘째, 연구가 양적으로 증가하면서 다양한 방법론을 제기하는 효과도 있었으나 다른 한편 양적 증가가 연구성과의 질적인 성장으로 이어지지 못함이 다시 한번 지적되었다. 오래전부터 지적된 사안으로 신진연구자들이 새로운 소재에 대해 자기 영역을 구축하는 작업이 지난해 졌고 이를 타개할 방법, 새로운 연구 영역의 개척과 기초적인 연구에 대한 재검토, 그리고 방법론 개발의 필요성은 반복되며 제기되고 있다. 셋째, ‘암중모색’으로 표현되는 것처럼 조심스럽게 ‘화학적 결합’을 꿈꾸는 집단연구·공동연구의 희망과 21세기 새로운 역사 패러다임 구축을 위한 다양한 분야의 연구 영역이 등장되고 있음을 언급하고 있다. 오늘날 한국사 연구자들의 힘든 노력이 이어지고 있지만, 기계적이고 평면적이고 단편적이기 보다는 실증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지향하고 체계적인 논문의 완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학문풍토를 조성하고 독자적인 한국사 방법론의 형성과 변화에 힘을 쏟는 한국 사학계가 되기를 간절히 기원한다. Within the purview of “Retrospection and Prospect,” analyses of research findings from 2021 to 2022 reveal several notable trends. Firstly, scholars in various domains emphasize the intensification of collaborative research, reevaluation of hypothetical and traditional research paradigms, and the promotion of structural history. Simultaneously, there is a discernible trend towards individualized research pursuits. Secondly, the quantitative growth in research output has led to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ologies. However, it is worth reiterating that the mere increase in quantity has not invariably resulted in an enhancement of research quality. An enduring concern is the challenge faced by emerging researchers in establishing and expanding their unique research domains, exacerbated by limitations in accessing new source materials and research topics. To address this predicament, there is a pressing call to explore novel research avenues, revisit foundational scholarship, and develop innovative methodological approaches. Thirdly, the papers highlight the aspiration for collaborative and collective research endeavors that envisage a ‘chemical synergy,’ fostering the emergence of diverse research domains with the aim of forging a novel historical paradigm in the 21st century. Despite the ongoing earnest endeavors of Korean historians, the hope remains for historical research communities in Korea that prioritizes empirical and profound analyses over mechanistic, superficial, and fragmented pursu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