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가정환경의 매개효과

        오여진 ( Oh Yeojin ),한지수 ( Han Jisu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연구 Vol.44 No.4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창의적 가정환경 및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창의적 가정환경이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3~5세 자녀를 둔 어머니 2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과 PROCESS macro 4.2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과 Hayes의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확인을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놀이신념은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창의적 가정환경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창의적 가정환경은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칠 때 창의적 가정환경이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창의적 가정환경 조성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 예방 및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play beliefs, creative home environments, and young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Additionally, an observation was made on whether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lay beliefs and their children’s smart device overdependence.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224 mothers with children aged 3~5, residing in Gyeonggi Provinc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ayes’ medi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9.0 and PROCESS macro 4.2 statistical programs. Bootstrapping was also perform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ly, mothers’ play belief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while mothers’ play beliefs and creative home environ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Creative home environmen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Secondly,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mothers’ play beliefs on their children’s smart device overdependence.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others’ play beliefs and the creation of a creative home environment, providing the foundational data that can help in the prevention and reduction of young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 KCI등재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메이커교육 연구 동향 분석

        임종현 ( Jong-hyun Lim ),오여진 ( Yeojin Oh ),안미리 ( Milee Ah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키워드 분석과 LDA 기반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국내 메이커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교육공학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2015년 ~ 2020년 기간 동안의 메이커교육 관련 국내 학술 논문 200편(학술지 저널 122편, 학위 논문 78편)의 초록을 분석하였다. TF-IDF 기준 키워드 분석 결과 메이커스페이스, 도서관, 프로그램 등의 순으로 출현하였다. 다음으로 LDA 기반 토픽 모델링 분석을 통해 ‘유아 메이커교육과 교사연수 필요성’, ‘학생역량과 메이커수업모형’, ‘박물관 메이커교육’, ‘메이커문화 확산’, ‘초등 과학교과 메이커교육’, ‘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학교 교육과정 교과융합 메이커교육’으로 7개의 토픽을 추출하였다. LDA 분석 결과를 근거로 7개의 각 토픽별 시계열 추이를 분석하여 ‘유아 메이커교육과 교사연수 필요성’, ‘초등 과학교과 메이커교육’, ‘학교 교육과정 교과융합 메이커교육’이 지속적이면서도 큰 증가 추세를 보였고, 향후에도 증가할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학교 밖에서 관심을 받으며 시작된 메이커교육이 유아교육 및 초중고 교육과정에 적용을 시도하는 연구와 박물관 및 도서관 등의 비형식 교육기관의 메이커스페이스운영 및 메이커교육에 대한 연구가 급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LDA 기반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국내 메이커교육 연구 주제를 범주화 및 시각화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고, 연도별 토픽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한 교육공학적 시사점의 제시와 방법론적으로 토픽 모델링의 활용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정규 및 비정규 교육과정에서 메이커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trend in change in keywords and topics of the research of the Maker Education 2015~2020 in Korea. Abstracts of 200 academic papers related to Maker Education for the period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research trend using LDA-based Topic Modeling and suggest the implications of the Educational Technology field. As a result of the Keyword Analysis based on the value of the TF-IDF, ‘makerspace’, ‘library’, and ‘program’ appeared at the top. Next LDA-based Topic Modeling Analysis extracted seven topics which were ‘1) Make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Teacher Re-education’, ‘2) Student Competency and Instructional Model of Maker Education’, ‘3) Maker Education at the Museum’, ‘4) Spread of Maker Culture’, ‘5) Maker Education in Science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6) Makerspace in Library’, and ‘7) Maker Education with a Convergence of subjects in the Regular Curriculum’. And then time-series trends were analyzed for each of the seven topics with the result of the LDA-based Topic Modeling Analysis, and ‘Make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Teacher Re-education’, ‘Maker Education in Science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and ‘Maker Education with a Convergence of subjects in the Regular Curriculum’ showed a continuous increase. These three topics could be predi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too.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ts implications and the research methodology by using LDA-based Topic Modeling to analyze trends in the research of the Mak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ect follow-up researchers could use as primary data for the research of Maker Educatio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