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측성 신발생이상 환아에 동반된 반대측 방광요관역류

        오성욱,이재승,김명준,한상원,배기수,Oh Sung-Wook,Lee Jae-Seung,Kim Myoung-Jun,Han Sang-Won,Bae Ki-Soo 대한소아신장학회 1997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 No.1

        목적 : 한쪽 신장이 완전히 기능이 없는 무형성신이나 거의 기능이 없는 다낭성이형성신 환아에서 하나 남은 신장마저 방광요관역류가 동반되어 손상되는 사례가 최근 많이 보고되고 있어 일측성 무형성신, 저형성신, 다낭성이형성신을 일측성 신발생 이상이라는 하나의 군으로 묶어 일측성 신발생 이상 반대측으로 방광요관역류가 잘 동반되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87년 1월 1일부터 1996년 12월 31일까지 세브란스 병원, 영동 세브란스 병원에서, 또 1994년 1월1일부터 1996년 12월 31일까지 아주대학 병원에서 일측성 무형성신, 저형성신, 다낭성이형성신으로 진단받은 96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진단은 방사선 소견에 근거하였으며, 96명의 대상 환아 중 48명의 환아가 배뇨성 방광요도조영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 1. 일측성 신발생 이상을 가진 96명 환아군의 성별 분포는 남아가 58명으로 60%였고, 여아가 38명으로 40%였다. 2. 일측성 신발생 이상의 분포는 좌측이 45례로 47%였고, 우측이 51례로 53%였다. 3. 일측성 신발생 이상을 진단받게 된 동기를 보면 총 96례 중 산전 진단에 의한 경우가 41례로 가장 많았으며, 요로 감염의 검사 도중이나 다른 동반 기형의 평가 도중 발견된 경우가 각각 18례, 16례로 많았다. 질환별로 볼 때 일측성 무형성신이나 저형성신은 요로 감염의 검사 도중이나 다른 동반 기형의 평가 도중 발견된 경우가 많았으나 다낭성이형성신은 산전 진단으로 발견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4. 배뇨성 방광요도조영술을 시행한 환아들의 경우 일측성 신발생 이상의 진단 연령은 $1.8{\pm}3.3$세였고, 배뇨성방광요도 조영술의 시행 연령은 $2.5{\pm}3.8$세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격차가 있었다(P<0.01). 5. 일측성 무형성신으로 진단받은 18명의 환아 중 9명, 일측성 저형성신으로 진단받은 11명의 환아 중 5명, 일측성 다낭성이형성신으로 진단받은 19명의 환아 중 3명에서 반대측 방광요관역류가 있었다. 6. 방광요관역류가 있었던 환아들은 역류의 정도가 평균 3등급 이상으로 중등도 이상이었다. 반대측 방광요관역류가 있었던 17명의 환아 중 3명은 만성 신부전 상태에 있었고, 6명은 방광요관문합술을 시행받았다. 결론 :한쪽 신장의 기능이 없거나 거의 없다고 여겨지는 일측성 신발생 이상 환아에서 반대측 방광요관역류를 조기에 발견하기위해 선별적 검사로 배뇨성 방광요도조영술을 반드시 시행해야 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There have been many recent reports that unilateral renal agenesis and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s are accompanied by contralateral vesicoureteral reflux leading to its injury. We grouped the children with unilateral renal agenesis, renal hypoplasia,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 into abnormal unilateral renal development and investigated whether it was accompanied with contralateral vesicoureteral reflux. We retrospectively reviewed 96 pediatric cases of unilateral renal agenesis, hypoplasia,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 diagnosed at Shinchon Severance Hospital, Yongdong Severance Hospital from 1987 to 1996 and Ajou University Hospital from 1994 to 1996. Diagnosis was based on radiological findings, renal hypoplasia being defined as small renal size with no apparent renal scarring and no irregularity of the calyceopelvic system on abdominal sonography or intravenous pyelography. Among the 96 cases,48 cases carried out voiding cystourethrography. 58 cases were male(60%) and 38 cases were female(40%). The cases of abnormal unilateral development on the left side were 45(47%) and that on the right side were 51(53%). Although there were diverse reasons leading to diagnosis, the major ones included were prenatal sonography, urinary tract infection, and other congenital anomalies. In cases of unilateral renal agenesis & hypoplasia the leading factors were urinary tract infection & other congenital anomalies and in cases of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 that was prenatal sonography. There was a chronological gap between the mean age of diagnosis(1.8 year) and voiding cystouerthrography(2.5 year, P < 0.01). 9 of the 18 unilateral renal agenesis cases, 5 of the 11 unilateral renal hypoplasia cases, and 3 of the 19 unilateral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 cases showed contralateral vesicoureteral reflux. Average reflux grade was above G III.Among the 17 children who had contralateral vesicoureteral reflux, 3 children had chronic renal failure and ureteroneocystostomy was carried out in 6 children. From the above results we conclude that screening voiding cystourethrography should be performed in children with abnormal unilateral renal development for early detection of vesicoureteral reflux in the contralateral kidney.

      • KCI등재

        사중복음 표제어의 기원으로서 미국 각성운동과 부흥운동 일고: 윌리엄 맥클로플린(William G. McLoughlin)의 『부흥, 각성, 그리고 개혁』을 중심으로

        오성욱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2 영산신학저널 Vol.- No.62

        This thesis explores the origins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healing, and the Second coming, which are the headwords of the Fourfold Gospel. Generally, the origin of the Fourfold Gospel is traced back to A.B. Simpson. However, while acknowledging that Simpson was the first person to combine the four headings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healing, and the Second coming into the heading of the Fourfold Gospel, these four headings are key conceptual words that summarize the American awakening and revival movements. William G. McLoughlin’s Revival, Awakenings, and Reform strongly suggests this fact. As already implied by Donald W. Dayton, in Theological Roots of Pentecostalism, the Fourfold Gospel in the form of a fourfold structure is not the exclusive product of any individual or individual denomination but the revival of the holiness-Pentecostal movement. It was a religious asset jointly owned by these movements. McLoughlin’s historical narrative clearly reveals that the origin of the Fourfold Gospel, an asset of common faith, was the core concept of the revival that permeated the American awakenings and revival movements. 본 논문은 사중복음의 표제어인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의 기원에 관하여 탐구하는 논문이다. 일반적으로 사중복음의 기원은 심슨(A.B. Simpson)으로 소급된다. 그러나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이라는 네 가지의 표제를 사중복음 이라는 표제어로 묶어낸 최초의 인물이 심슨이었다는 사실은 인정하지만, 이 네 가지의 표제어는 미국의 각성운동과 부흥운동을 요약하는 핵심 개념어라는 사실을 맥클로플린(William G. McLoughlin)의 부흥, 각성, 그리고 개혁은 강력하게 시사해 주고 있다. 이미, 데이턴(Donald W. Dayton)의 오순절운동의 신학적 뿌리가 넌지시 암시해 주고 있듯이, 사중구조 형태의 사중복음은 어느개인이나 개별 교단의 독점적인 산물이 아니라, 성결-오순절 운동에 속한 부흥운동들이 공동으로 소유했던 신앙자산이었다. 이러한 공동신앙자산인 사중복음의 기원이 미국 각성운동과 부흥운동을 관류했던 부흥의 핵심 개념이었다는것을 맥클로플린의 역사적 서사는 매우 분명하게 드러내 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이 졸업 후 첫 직업에 대한 만족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오성욱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0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졸업자의 대학 재학 중 취업준비행동 유형을 분류하고 첫 직업에 대한 적성 흥미 및 대학전공 직무일치도의 관계와 대학 졸업 후 취업한 첫 직장에서의 고용안정성과 개인발전가능성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한국고용정보원의 ‘2017 대졸자취업진로조사(GOMS)’의 패널(코호트조사)자료로서 2016년 2월에 졸업한 모집단 520,547명이며, 대학 졸업 후 약 18개월 후에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활용하였다. 통계는 AMOS(21.0)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재학 중경험한 취업준비행동의 만족도는 적성흥미와 대학전공의 직무일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첫 직업에 대한 적성흥미직무일치도가 높으면 대학전공직무일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첫 직업에 대한 적성흥미직무일치도가 높으면 고용안정성과 개인발전가능성의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첫 직업에 대한 대학전공직무일치도가 높으면 개인발전가능성의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고용안정성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영향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다섯째, 첫 직업에 대한 고용안정성 직무만족도는 개인발전가능성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첫 직업의 고용형태 유형으로 기한이 정함이 없는 계약과 정함이 있는 계약에 따라 경로계수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유의미한 x 2 차이를 나타낸 개념들 간의 경로계수 즉 대학재학 중 경험한 취업지원활동과 일자리 만족도 →적성흥미직무일치도 간의 관계, 적성흥미직무일치도 → 대학전공직무일치도, 고용안정성, 개인발전가능성의 직무만족도 간 관계, 대학전공직무일치도 → 고용안정성, 개인발전가능성의 직무만족도 간 관계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a panel data of 2017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of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hich is a population of 520,547 who graduated in February 2016. The result of the survey conducted about 18 months after university graduation Respectively. Statistics were verified using AMOS (21.0).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satisfaction during colleg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ptitude and interest fit, university major fit. Second, a high degree of fit on aptitude interest in the first job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major fit. Third, high level of fit on aptitude interest in the first job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stability and individual development potential satisfaction in the job satisfaction.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fit of university major for first job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dividual development potential satisfaction. Fifth, employment stability satisfaction for the first job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dividual development potential satisfaction. Finally, according to whether the time limit of the contract term is fixed or not in the employment type of the first job, the differences in the path coefficients were conformed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A Clock Regenerator using Two 2nd Order Sigma-Delta Modulators for Wide Range of Dividing Ratio

        오성욱,김상호,임상순,안용성,강진구 대한전자공학회 2012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Vol.12 No.1

        This paper presents a clock regenerator using two 2nd order Σ-Δ (sigma-delta) modulators for wide range of dividing ratio as defined in HDMI standard. The proposed circuit adopts a fractional-N frequency synthesis architecture for PLL-based clock regeneration. By converting the integer and decimal part of the N and CTS values in HDMI format and processing separately at two different Σ-Δ modulators,the proposed circuit covers a very wide range of the dividing ratio as HDMI standard. The circuit is fabricated using 0.18 m CMOS and shows 13 mW power consumption with an on-chip loop filter implementation.

      • KCI등재후보

        구직자의 고용가능성요인 탐색 및 취업효과 측정에 관한 연구 - 인천지역 고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오성욱,이승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008 진로교육연구 Vol.21 No.3

        Employment service which made key function of active labour market policy provide job-seekers with the extension of job opportunity. The jobless who lack of competence provide the opportunity to develop the competence as well as the job information. The definition of employability is the competence for getting the re-employment and enable the employed to get sustainable job mobility and integrating the labour demand and job search conditions as well as capability and tactics of recruiting in the labour supply conditions. This paper aim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employability of job-seekers and confirm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iveness making effects of job-seeking behaviors, shortening seeking work period and the employment of each employability factors. Data from 197 job-seekers were us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Confirmatory/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ment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was adopt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and research hypotheses. This study has derived significant findings on making practical activities increase by confirming the increasing factors of employability and the cause and effect of employablilty factors, job-seeking behaviors, shortening seeking work period and the employment. 적극적 노동시장정책(active labor market policies)의 핵심기능인 고용지원서비스는 구직자(실업자)에게 일할 수 있는 기회와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취업능력이 부족한 구직자에게 능력개발의 기회를 제공하며, 고용정보와 취업기술이 부족한 구직자에게는 관련 정보와 노하우를 제공하는 고용지원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고용가능성이란 구직자가 노동시장에서 (재)취업 할 수 있는 직업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고용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노동수요 및 직업탐색 조건뿐만 아니라 노동공급측면에서의 고용능력과 속성 등이 결합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직자의 고용가능성의 향상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고용가능성의 각 요인이 구직행동과 구직기간단축 및 취업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인천지역 고용지원센터를 직접 방문하여 고용서비스를 받은 구직자 19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고용가능성 구성요소를 체계화하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서 적합도가 검증된 고용가능성 구성요소와 특성을 확인한 결과, 구직자의 고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핵심요인으로 대응이동성, 구직활동성, 적용기술력, 일의 적합성 및 신체적 건강 요인 등이 확인되었다. 시사점으로는 고용지원센터 등 직업안정기관에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구직자의 고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취업능력 향상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구직자에게 적용한다면 진로개발과 취업률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공공고용서비스 선진국의 고용서비스 종사자 성과관리 특성 비교

        오성욱 직업과고용서비스연구학회 2018 직업과 고용서비스 연구 Vol.13 No.1

        공공고용서비스의 효율성 및 효과성 제고를 위해 민간 기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다양 한 성과관리체계 접근방법들이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공공부문의 성과측정은 민간기 업에서 다루어지는 생산성 위주의 성과측정과 달리 공공부문의 성과는 관리적인측면, 사회적인 측면 등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는 측면이 있다. 성과관리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는 요소가 조직구성원인데 조직구성원의 역량은 성과관리를 소화할 수 있는 지식 의 확보와 조직적 지원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개인단위 성과측정은 조직의 성과향상으로 이어지지 못하거나 그 기여도가 미미한 경우에는 성과관리가 조직의 성과 향상을 위한 도구로서 작동하기 보다는 조직차원에서의 성과를 왜곡할 수 있어 사려 깊 은 접근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고용서비스 선진국의 성과관리사례를 통해서 취업알선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한 고용서비스 종사자에 대한 성과관리 특성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적용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개인단위의 효과적인 성과평가 이용을 위해서는 성과비교를 통해서 취업이 용이한 구 직자를 선택하려는 역기능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저성과자의 동기를 상실시킬 수 있기 때 문에 건전한 경쟁을 유도하고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을 촉진하며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 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조직단위의 성공적인 성과관리 체계 구축방법은 첫째, 성과관리의 주요 핵심 도구는 매년노동시장정책 목표와 BSC(Balnce Scorecard)에 기반한 벤치마팅시스템이다. 둘째, 목표기반 예산 설정 및 성취기반 인센티브가 성과향상에 기여하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목표설정은 공공고용서비스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어야 한다. 넷째 수용 가능한 좋은 성과지표의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