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 한국어 교사의TPACK에 대한 교육요구분석 -사이버대학교 한국어교육 전공생을 중심으로-

        오선경 이중언어학회 2021 이중언어학 Vol.84 No.-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pre-service Korean teachers for TPACK. The survey on TPACK was conducted for 62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he Cyber University. The survey consisted of 39 items in 7 domains of TPACK. After that, the current level and importance of TPACK were analyzed using the Borich need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d then priorities were derived. The results show that PK, TPK, TCK and TPACK domains should be prioritized in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quirements for each detailed item, 2 items in the PK domain were selected as the highest priority, and 11 items were selected as the second priority. This result can give practical guidance to curriculum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TPACK of pre-service Korean teachers. 이 연구는 예비 한국어 교사의 TPACK에 대한 요구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사이버대학교 한국어교육 전공생 62명을 대상으로 TPACK의 7개 영역, 39개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TPACK에 대한 현재 실행 수준과 중요도에 대해 분석하고 교육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결과를 보면 PK, TPK, TCK, TPACK 영역을 교육의 우선순위에 두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항목별 요구도 분석 결과로는 최우선 순위로 PK 영역의 2개 항목이 선정되었으며, 차순위로 11개의 항목이 선정되었다. 이 결과는 예비 교사의 TPACK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에 실제적인 지침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광역대표도서관 법정업무의 웹서비스 분석

        오선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2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8 No.2

        2006년 12월에 전부 개정된 「도서관법」 제22조 제1항은 지역대표도서관을 법정기구로 규정하였고, 2021년 말에 재개정된 「도서관법」 제25조 제1항은 그 명칭을 광역대표도서관으로 개칭하고 수행해야 할 업무도 확장하였다. 시․도가 광역대표도서관을 지정 또는 설립 운영해야 하는 이유는 동법 제23조에 규정된 공중의 정보이용, 문화활동, 평생학습 등 공공도서관으로서의 역할에 더하여 제26조에 규정된 광역대표도서관의 법정업무를 주관하고 시․도 내 모든 공공도서관을 위한 정책도서관, 종합지식정보센터, 지원․협력 구심체, 조사연구, 공동보존서고 운영 등을 수행하여 도서관 및 지식문화 발전을 견인하는데 있다. 그렇다면 지난 15년간(2009-2023) 광역대표도서관은 법정 업무를 충실하게 수행하여 왔는가, 특히 디지털․모바일 시대에 부응하기 위해 법정업무의 계획 및 추진실적을 웹사이트에서 제대로 제공하고 있는지를 분석․진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광역대표도서관의 현행 법정 업무를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수행실적을 조사․분석한 후 웹사이트를 통해 어느 정도로 제공하는지를 평가하여 웹서비스 강화를 위한 보완책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광역대표도서관이 수행해야 하는 법정업무에 대한 웹서비스는 상당히 부족하고 부실한 것으로 분석되어 홈페이지에서 법정업무를 위한 웹사이트 구축, 독립된 웹사이트 제공을 통한 접근 편의성 및 가시성 제고, 다양한 정책정보 및 웹서비스(포털검색, 상호대차와 원문제공, 공동DB 구축, 자료이관 및 보존 등) 방안, 지식정보 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성 보장 등을 보완책으로 제시하였다. Article 22(1) of the Library Act, which was completely revised in December 2006, stipulated that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ies are statutory organizations, and Article 25(1) of the Library Act, which was revised again in late 2021, renamed them as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ies and expanded their duties. The reason why cities and provinces are required to specify or establish and operate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ies is that in addition to their role as public libraries for public information use, cultural activities, and lifelong learning as stipulated in Article 23 of the Act, they are also responsible for the legal works of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ies as stipulated in Article 26, and lead the development of libraries and knowledge culture by serving as policy libraries, comprehensive knowledge information centers, support and cooperation centers, research centers, and joint preservation libraries for all public libraries in the city or provi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diagnose whether the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y has been faithfully fulfilling its legal works for the past 15 years(2009-2023), and whether it is properly providing the results of its statutory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n its website to meet the digital and mobile era.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performance of the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y for the last two years based on the current statutory tasks and evaluated the extent to which it provides them through its website, and suggested complementary measures to strengthen its web services.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web services for legal works that the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y should perform are quite insufficient and inadequate, so it suggested complementary measures such as building a website for legal works on the homepage, enhancing accessibility and visibility through providing an independent website, providing various policy information and web services (portal search, inter-library loan, one-to-one consultation, joint DB construction, data transfer and preservation, etc.), and ensuring digital accessibility of knowledge information for the vulnerable.

      • KCI등재

        Evaluation of Gastric Motility with Ultrasonography in Conscious Minipigs

        오선경,최민철,장진화,정주현 한국임상수의학회 2009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2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gastric motility of conscious minipigs with ultrasonography from contraction number of the pyloric antrum and gastric emptying time (GET). Five-month-old, clinically healthy minipigs weighing 13.5-15 kg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Assessment of gastric motility was performed using saline (10 ml/ kg) in all five minipigs. Contraction number of the pyloric antrum for 3 minutes and gastric emptying time were calculated. Gastric emptying time was considered to be the time at which the antral area returned to the basal value. The mean value of contraction number of the pyloric antrum before feeding was 1.60 ± 2.30 (mean ± SD) for 3 min and the overall mean value after saline administration was 5.40 ± 3.62 for 3 min. The mean value of GET by area was 58.06 ± 5.23 min. This data can be used as basic database for evaluation of gastric motility in minipigs as normal and various experimental models.

      • KCI등재

        충청남도 공공도서관 현황 및 격차 분석 연구

        오선경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3 No.2

        All public libraries are local public goods and cultural infrastructures whose ideological pillars are publicly operated, free, and open to all. This identity is justified when the public library provides various knowledge information, various programs, and community space to local residents within the service area, and ultimately contributes to the cultural development of the nation and society. To this end, the country and local governments must exp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that meet legal standards, deploy competent professionals, and provide facilities and spaces that are easy to access and use. However, if there is a gap in infrastructure and services between regional public libraries, it causes inequality in access and use of residents, which inevitably leads to information gap and cultural welfare gap. Therefore, this study was analyzed the relative gap using the location quotient, key infrastructure indicators and service indicators of public libraries of regional government in Korea and basic local government in the Chungnam region from the viewpoint that the balanced development and capacity building of public libraries must precede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library in Chungnam region as a life-friendly knowledge information service institution, culture enjoyment and lifelong learning space. Based on the results, a method to resolve the gap was suggested by dividing the elements of gaps in public libraries into accessibility, core infrastructure, and services, focusing on vulnerable cities and counties in the Chungnam region. 모든 공공도서관은 공비운영, 무료공개, 만인제공을 이념적 지주로 삼는 지방공공재이며 문화기반시설이다. 이러한 정체성은 공공도서관이 서비스 권역 내의 지역주민에게 각종 지식정보, 다양한 프로그램, 커뮤니티 공간 등을 제공하는 동시에 궁극적으로 국가 및 사회의 문화발전에 이바지할 때 정당화된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법적 기준에 부합하는 개체수를 확충하고, 유능한 전문인력을 배치하며, 접근․이용이 편리한 시설과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그런데 지역별 공공도서관 상호간에 인프라와 서비스에 격차가 존재하면 주민의 접근․이용에 불평등을 초래하고 이는 정보격차 및 문화복지 격차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충남지역 공공도서관이 생활밀착형 지식정보서비스 기관, 문화향유 및 평생학습 공간으로 자리매김하려면 공공도서관의 균형발전 및 역량강화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시도별 및 충남지역 시군별 입지계수, 핵심 인프라 및 서비스 지표를 이용하여 상대적 격차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충남지역의 취약한 시군을 중심으로 공공도서관 격차 요소를 접근성, 핵심 인프라, 서비스로 나누어 격차 해소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시간강사들의 교육학술정보 이용행태 분석

        오선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2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4 No.3

        Part-time instructors are contributing to the production of excellent human resources through education and research, strengthening research competitiveness, and national and social knowledge and academic development. Therefore, academic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for part-time instructors are essential for their educational and research activities. In this study, researcher suggested various methods for providing efficient educational and academic information services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eir inform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needs, and educational and academic information recognition and usage behavior by applying the survey method to part-time instructors. 대학에서 시간강사는 교육과 연구를 통해 유능한 인재 배출, 연구 경쟁력 강화, 그리고 국가와 사회의 지식 및 학문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므로 시간강사를 위한 국가 및 대학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는 그들의 교육․연구 활동에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간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식을 적용하여 그들이 처한 정보환경과 정보요구 그리고 교육학술정보에 대한 인식도와 이용행태 등을 조사․분석하여 효율적인 교육학술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법랑질에 대한 total etching과 self-etching 접착제의 산부식 효과와 미세인장결합강도

        오선경,허복,김현철 大韓齒科保存學會 2004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tching effects and bond strength of total etching and self-etching adhesive system on unground enamel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microtensile bond strength test. The buccal coronal unground enamel from human extracted molars were prepared using low-speed diamond saw. Scotchbond Multi-Purpose (group SM), Clearfil SE Bond (group SE), or Adper Prompt L-Pop (group LP) were applied to the prepared teeth, and the blocks of resin composite (Filtek Z250) were built up incrementally. Resin tag formation was evalu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fter removal of enamel surface by acid dissolution and dehydration. For microtensile bond strength test, resin-bonded teeth were sectioned to give a bonded surface area of 1㎟. Microtensile bond strength test was perfo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 definite etching pattern was observed in Scotchbond Multi-Purpose group. 2. Self-etching groups were characterized as shallow and irregular etching patterns. 3. The results (mean) of microtensile bond strength were SM; 26.55 MPa, SE; 18.15 MPa, LP; 15.57 MPa. SM had significantly higher microtensile bond strength than SE and PL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 and PL.

      • KCI등재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온라인 실시간 방식과 비실시간 방식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의 인식 비교

        오선경,이아름,유민애,박정은,장미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4

        This study aimed to find more effective ways to conduct online classes by comparing the foreign students’ perceptions regarding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lasses in a liberal arts writing course. While asynchronous online writing classes ran in the first semester, synchronous classes ran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t A university. The survey of satisfaction, which included the perceptions of the foreign students, was given to students studying Korean at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after each semester. As a result of this survey, we learn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style of the student’s online classes did not affect their perception of the teaching contents, nor their perception of their instructors. However, students perceived synchronous classes more positively than asynchronous classes. In particula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it came to interactions. For instance, the advanced students were more positive about the synchronous classes regarding their concentration levels, their “sense of presence,” and their overall understanding of their instructor’s feedback. However, both levels of students were positive about the asynchronous classes when it came to their management of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synchronous class is suitable for liberal arts writing courses, which implement writing practice and feedback. However, additional materials, such as prerecorded lectures,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students’ Korean level and other considerations. 본 연구는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이루어진 온라인 실시간 강의 방식과 비실시간 강의 방식에 대한외국인 학부생들의 만족도와 인식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비대면 상황에서 보다 효과적인 수업 방식을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A대학의 외국인 학부생 대상 교양 글쓰기 수업은 2020년1학기에는 동영상 녹화 강의로 진행되었으나 2학기에는 실시간 강의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각 학기의 중급과 고급 수강생을 대상으로 강의에 대한 만족도 및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강의 방식의 차이는 세부 교육 내용과 교수자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비실시간 강의보다 실시간 방식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있었다. 특히 상호작용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급에서는 강의 집중, 현장감, 교수자 피드백이해 항목에서도 실시간 강의 방식에 더 긍정적이었다. 반면 중고급 모두 학습 과정 조절 항목에서는비실시간 강의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이를 통해 실습과 피드백을 주요 활동으로 하는 교양 글쓰기수업에는 실시간 강의 방식이 적합하나,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과 특성에 따라 녹화 동영상 제공 등의부가적인 장치를 마련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