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KCI등재

        Bacillus sp . 에 의한 inulin fructotransferase 의 생산

        오석진,김수일 한국농화학회 1992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35 No.5

        Inulin을 di-D-fructofuranose dianhydride(DFA)로 변환시키는 효소인 inulin fructotransferase (depolymerizing)를 생산하는 Bacillus sp.를 토양으로부터 선발, 분리하였으며, 생산된 DFA는 TLC와 HPLC에 의하여 di-D-fructofuranose-1,2' : 2,3'-dianhydride(DFAIII)로 동정되었다. Bacillus sp.는 탄소원으로 J.A. extract, 유기질소원으로 pepton, 무기질소원으로 NH₄H₂PO₄를 사용할 때 가장 높은 효소생산을 나타내었고, 이 균주의 배양 시간에 따른 효소 생산과, 배양액내의 DFAIII 함량을 조사한 결과, 효소생산은 72시간에서 3.1 U/ml, DFAIII는 18시간에서 5.6(g/l)로 각각 최고에 달하였다. 그러나 DFAIII는 배양 18시간부터는 그 함량이 계속 감소하여 72시간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본 균주가 DFAIII를 분해, 이용하는 효소를 보유한다고 추정할 수 있으며, 이는 intracellular enzyme에 DFAIII를 F₂와 F로 가수분해하는 효소가 존재함을 확인함으로써 검증할 수 있었다.

      • KCI등재

        Dissolved Organic Phosphorus Utilization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the Dinoflagellate Gymnodinium impudicum Isolated from the South Sea of Korea

        오석진,노일현,양한섭,권형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0 Ocean science journal Vol.45 No.3

        This study investigated alkaline phosphatase (APase) activity and dissolved organic and inorganic phosphorus utilization by the harmful dinoflagellate Gymnodinium impudicum (Fraga et Bravo) Hansen et Moestrup isolated from the South Sea of Korea. Under conditions of limited phosphorus, observation of growth kinetics in batch culture yielded a maximum growth rate (μmax) of 0.41 /day and a half saturation constant (Ks) of 0.71 μM. In time-course experiments, APase was induced as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P) concentrations fell below 0.83 μM, a threshold near the estimated Ks; APase activity increased with further DIP depletion to a maximum of 0.70 pmol/cell/h in the senescent phase. Thus, Ks may be an important index of the threshold DIP concentration for APase induction. G. impudicum utilizes a wide variety of dissolved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in addition to DIP.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P limitation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may have led to the spread of G. impudicum along with the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in recent years.

      • KCI등재

        수치모델을 활용한 자란만에서 유해 와편모조류 Cochlodinium polykrikoides와 규조류 Skeletonema sp.의 경쟁에 미치는 영양염의 영향

        오석진,김현정,권형규,양한섭,김석윤,Oh, Seok Jin,Kim, Hyun Jung,Kwon, Hyeong Kyu,Yang, Han-Soeb,Kim, Seok Yoon 한국해양학회 2015 바다 Vol.20 No.2

        수치모델을 활용한 Cochlodinium polykrikoides와 Skeletonema sp.의 영양염에 대한 종간경쟁을 바탕으로 2013년 하계 자란만에서 C. polykrikoides의 적조 미발생 원인을 고찰하였다. 2013년 하계 자란만의 영양염 조건을 모델에 적용시킨 결과, 실제 현장과 유사하게 Skeletonema sp.의 세포밀도는 C. polykrikoides보다 높았다. 또한 다양한 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에서, C. polykrikoides는 어떠한 변수의 변화에도 일정한 세포밀도를 보였으며, Skeletonema sp.의 세포밀도는 영양염 농도의 증 감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C. polykrikoides는 급격한 환경변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생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영양염 공급이 변화하는 연안환경에서는 Skeletonema sp.의 생장이 촉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영양염의 공급이 크게 변화하는 자란만에서 Skeletonema sp.와 같은 규조류의 번무에 따라서 C. polykrikoides의 출현이 억제된 것으로 보인다. We investigated cause of non-outbreak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in the western coast of Jaran Bay during summer, 2013, based on the species competition among C. polykrikoides and Skeletonema sp. using a mathematical model. As a result of the model simulation where the nutrient conditions in Jaran Bay was applied during summer, the cell density of Skeletonema sp. was higher than that of C. polykrikoides. In the sensitivity analyses by doubling and halving the parameters, any parameter had little effect on the cell density of C. polykrikoides. The cell density of Skeletonema sp.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changes in the parameter valu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rowth of C. polykrikoides could be unaffected by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However, the growth of Skeletonema sp. may have been promoted by the changing nutrient supply of coast environments. Therefore, C. polykrikoides might have been suppressed by diatom blooms, such as Skeletonema sp., in changing nutrient supply condition of Jaran Bay.

      • SCIESCOPUSKCI등재

        일본 Kochi현 Uranouchi만의 와편모조류, Heterocapsa circularisquama (Dinophyceae) 적조발생에 대한 환경 고찰

        오석진,마쯔야마유키히코,오다수미오,모리야마타카미쯔,우찌다타쿠지,O, Seok-Jin,Ma,,O,,Mo,,U, 한국조류학회(藻類) 2003 ALGAE Vol.18 No.4

        To study the environmental features causing a bloom of the novel dinoflagellate Heterocapsa circularisquama (Dinophyceae), hydrographic and chemical aspects were measured in the Uranouchi Bay, Kochi Prefecture, Japan, from January to December, 1997. The cell density of H. circularisquama increased rapidly in early October, and dropped sharply in mid-October. Growth rate of H, circularisquama during bloom period appeared 1.50 division day$^{-1}$ under high water temperature (25$^{\circ}C$) and salinity (32 psu) conditions. Althought the result from hydrographic aspect indicated good condition for their growth,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P) concentration in surface layer before bloom formation was less than 0.70uM, which is lower than their half saturation constant(Ks). Dissolved inorganic nitrogen(DIN): DIP ratio was > 30, indicating potential P-limitation. However, before bloom formation period of H. circularisquama, DIP concentrations were high in bottom layer (> 4.0 uM). Some studies reported that H. circularisquama had the ability to migrate vertically and to utilize dissolved organic phosphorus (DOP). Thus, DIP in bottom layer might have been utilized by H. circularisquama for their growth.DOP might have weakly affected their growth because of low reactive DOP concentrations owing to low DOP concentration (ca. 0.39 uM). Thus, if nutrient condition of bottom layer in Uranuchi Bay is not improved, the outbreaks of H. circularisquama red tides may became an annual feature.

      • KCI우수등재

        교통환경 및 도로기하구조를 고려한 도로교통소음 예측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오석진,박제진,최건수,하태준 대한토목학회 201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8 No.4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도로교통소음 예측프로그램들은 국외 예측모형을 바탕으로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도로교통환경에 적합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국외 예측모형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또한, 예측모형마다 도로교통소음 발생에 대한 영향요인이 다르기 때문에 주요 요인들에 대한 분석 및 고찰을 선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교통소음 예측 시 사용되고 있는 영향인자와 기존 예측모형에 대하여 고찰하고, 교통환경 및 도로기하구조를 고려하여 주행차량의 발생 소음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인자와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예측 모형으로 도출하였다. 나아가 기존의 도로교통소음 예측모형(국립환경과학원(NIER), 독일의 RLS-90)과 도출된 도로교통소음 예측모형의 실측값을 적용하여 비교·검증 결과, 오차의 절대값 합은 NIER, RLS-90, 모형값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모형식이 향후 도로교통소음 예측 모델링에 대한 연구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기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current road traffic noise prediction programs of Korea, which are widely used, are based upon foreign prediction model. Thus, it is necessary to verify foreign prediction models to find out whether they are suitable for the domestic road traffic environment. In addition, an analysis and an in-depth study on the main factors should be conducted in advance as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occurrence of traffic noise vary for each prediction model.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factors and the existing prediction models used to forecast road traffic noise. Also, analyze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oise generated by driving vehicle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a prediction model,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traffic environment and the road geometric structure. In addition, this study will apply experimental values to the existing road traffic noise prediction model (NIER, RLS-90) and the deducted road traffic noise prediction model. As a result, the order of the absolute value sum of the errors are NIER, RLS-90, model value. Through comparison and verification, developed models are to be analyzed for providing basic research results for future study on road traffic noise prediction modeling.

      • KCI등재후보

        북부 가막만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동 해석

        오석진,박종식,윤양호,양한섭,Oh, Seok-Jin,Park, Jong-Sik,Yoon, Yang-Ho,Yang, Han-Soeb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5 No.4

        북부 가막만에서 해양환경의 변화에 따라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기존에 발표된 식물플랑크톤 생리학적 자료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해양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조사는 2007년 11월부터 2008년 9월까지 2개 정점에서 관측하였다. 조사 동안 10%이상 점유율을 나타내는 우점종은 와편모조류 1종, 규조류 11종 등 총 12종이었다. 우점종의 출현 시기를 보면 규조류 Skeletonema costatum이 하계(7월과 8월)를 제외하고 우점하였으며, 특히 12월은 90% 이상의 매우 높은 우점율을 보였다. 그리고 나머지 기간은 규조류 Eucampia zodiacus와 Chaetoceros속이 우점하였다. 따라서 2008년 7월과 8월에 S. costatum이 우점하지 않는 이유를 생리학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1) S. costatum과 E. zodiacus는 모두 광온 광염성 종이지만, 하계의 수온에서는 E. zodiacus가 S. costatum보다 높은 성장속도를 보였고, 2) 7월에 낮은 부유물질의 농도는 높은 광량이 수중에 도달할 수 있어 E. zodiacus와 같이 광에 대한 친화성이 낮은 종도 우점할 수 있다. 또한 3) 인산염이 비교적 낮은 시기에는 성장전략을 보이는 S. costatum이, 높은 인산염 농도일 때 저장전략을 보이는 E. zodiacus종이 우점할 수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더 구체적인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계절별로 우점하는 대표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생리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Using physiological data which had been already published, we investigated vari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due to changes of marine environmental factor at 2 stations of northern Gamak Bay from November 2007 to September 2008. Dominant species (occupied species above 10%) were dinoflagellates 1 species and diatom 11 species. Diatom Skeletonema costatum was observed as dominant species during the periods except in summer (i.e. July and August), especially, which occupied above 90% in December. On the other hand, dominant species during summer were diatom Eucampia zodiacus and Chaetoceros spp., Considering the results of other physiological studies, S. costatum might be non-dominant species during summer by following reasons 1) growth rate of E. zodiacus might be taster than that of S. costatum under the temperature during summer although both S. costatum and E. zodiacus are eurythermal and euryhaline species. 2) Species as E. zodiacus characterized by low affinity with light might have a chance to be dominant with increasing optical transparency due to low suspended solids in July. 3) In aspect of nutrition, species of growth strategist as S. costatum could be dominant in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of phosphate and species of storage strategist as E. zodiacus could be dominant in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phosphate during summer in this study area. In order to understand the phytoplankton dynamics in detail, the physiological informations about strains isolated from this study area are necessary because physiological conditions are different depending on isolated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