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한 한국어 교육용 분류사 선정 연구

        오상언 慶熙大學校 大學院 2010 高凰論集 Vol.47 No.-

        본고에서는 절충적 방법으로 분류사 목록을 뽑고 학습 단계별 학습해야 할 분류사 목록을 정리해보았다. 이는 분류사를 효율적으로 가르치는 데와 한국어 교재를 편집하 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교재마다 제시하고 있는 분류사가 일견 비슷하다고 할 수 있지만, 아직 초급, 중급, 고급에서 제시된 분류가 학습자들에게 충분한 학습효과가 고 려된 분류사 제시라고 보기 어려운 점이 있다. 교재마다 특정이 있고 개성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하지만 한국어 교육의 권위와 통일성을 위하여, 교재 편찬시에 분류사에 대한 난이도 별 제시에 대한 통일적인 논의를 하고, 일부분은 자율적으로 선 정하여 심화 교육을 하는 방향으로 편찬을 하는 방법도 고려할 만 하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 교육자들과 외국인 학습자들의 상호작용확인과, 그에 따른 조사가 광범위하게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당 논문은 외래어 전형 도량 분류사는 대상으로 하지 않은 점, 일상대화의 경우 상 황에 따라 많이 쓰이는 분류사가 다르고, 선행 명사와는 관계없이 중립적인 분류사 ‘개’가 많이 사용되어 정확한 빈도 측정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류사 교육 단계를 정하는 점을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앞으로 보다 더 이론적인 근거를 찾아서 더 합리적인 분류사 목록을 작성하기 위하 여 많은 보완과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그레이레벨과 영역 성장법을 이용한 CT 복부 영상의 장기 자동 분할

        오상언,강성관,장민혁,박종안 한국정보기술학회 2014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 No.

        In this paper, we propose a useful method to devide the organs automatically in the abdominal CT images. The proposed method is using that each organs in the abdominal CT images has the different gray-level and calculating the accumulation. We extract the organ’s seed point by calculating the 1/4 accumulation on the basis of the histogram of the foreground by Otsu method. Based on the extracted seed points, we detect liver area and kidney/spine area by using the automatic region growing method for image segmentation. Finally, It re-extract the seed points through a process of thinning in the detected area and apply it to a adjacent slice by doing so, it detect another liver area and kidney/spine area. For accuracy assessment of the proposed method, we compare it with the manual segmentation result, and that we verify that the result of the proposed method for liver and kedney/spine segmentation is sufficiently accurate based on 5.7% VOE and 2.3% AVME. 본 논문에서는 신체 복부의 단층촬영 영상에서 여러 장기들을 자동으로 분할하는 효율적인 기법을 제안한다. 알고리즘은 CT 복부 영상의 각 장기들이 각기 다른 그레이레벨을 가진다는 점을 이용해 Otsu 방법에 의한 전경의 히스토그램을 바탕으로 누적치를 계산하여 누적치의 1/4로 장기들의 씨앗점을 추출한다. 추출한 씨앗점을 바탕으로 자동 영역 성장법을 사용하여 간 영역과 콩팥 및 척추 영역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한 영역에서 세선화 과정을 거쳐 씨앗점을 재추출하고 인접 슬라이스에 이를 적용하여 또 다른 간 영역과 콩팥 및 척추 영역을 검출한다. 제안된 기법의 정확성 평가를 위해 제안 기법의 결과를 수동 분할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제안한 기법이 간, 콩팥 그리고 척추 영역 분할에서 VOE는 5.7%, AVME는 2.3%로 보다 정확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정현웅과 1950년대 북한의 장정가들

        상언 미술사학연구회 2018 美術史學報 Vol.- No.51

        From July 3, 2018, Han Sang Eon Cinema Institute, Chung-Ang University and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in Contact Zones Research Center and Seoul Metropolitan Library held a 15-day exhibition titled “Pyongyang Bookshop” in Seoul Metropolitan Library’s Special Exhibition Room. The exhibition featured a total of 250 items held by Han Sang Eon Cinema Institute and published in North Korea from the time of national liberation to the late 1960s, including books, magazines, postcards and posters. As such, it can be described as the biggest exhibition of North Korean books held in South Korea since national division. This study first uses the Pyongyang Bookshop exhibition to introduce the artistic work, including Goguryeo tomb mural replicas, and publishing achievements of Jung Hyunwoong, who, as the figure in overall charge of printed art in North Korea in the 1950s and 1960s, was a leading source of influence in the field. In addition, the study offers a glimpse of printed art in North Korea under Jung’s leadership. Jung produced a large number of picture books, book cover designs and propaganda images in the 1950s and 1960s, starting with his illustrations for the magazine Uri joguk (“Our fatherland”), published in 1954. Book artist Eom Do-man was in charge of printed art from the mid-1950s at the North Korean Art Alliance Publishing House, which published the majority of literature and art-related books in North Korea. Eom produced a wide variety of works, including collections of poetry, fiction, plays, essays and criticism, and musical scores. As a rule, artists like Eom would be assigned to North Korean publishers to oversee aspects of printed art such as binding and illustration. However, there were also times when famous artists participated in book art production instead of publishers’ inhouse artists. Examples include renowned artists Park Mun-won, Jeong Gwan-cheol and Ri Seokho, who took part in the artwork and design for books published by leading North Korean writers. In addition, the works of Kim Yong-jun, Choe Eun-seok and Kim Jin-hang, key figures in the North Korean art world, help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country’s art. Though they may only constitute book art and design, digging up and studying such hidden works may offer clues in the search for North Korean art in the 1950s and 60s, little of which is remembered today. 한상언영화연구소와 중앙대·한국외대 접경인문학연구단, 서울도서관에서는 2018년 7월 3일부터 15 일까지 서울도서관 기획전시실에서 “평양책방”이라는 이름의 도서전시회를 열었다. 이 전시는 한상언영화연구소에서 소장하고 있는 해방 후부터 1960년대 후반까지 북한에서 출판한 도서, 잡지, 엽서, 포스터등 총 250점을 전시하는 기획으로 분단 후 최대의 북한도서전시회라 할 수 있다. 본고는 “평양책방”의전시물들을 통해 먼저 1950-60년대 북한 출판미술의 총책임자로서 지도적 영향력을 행사했던 정현웅의 고분벽화 모사작업을 포함한 활동과 출판 사업의 성과를 소개하고 그 외 정현웅이 이끌던 출판미술계의 일면을 알아본 것이다. 정현웅은 1954년 발행된 잡지 『우리조국』의 삽화를 담당한 것을 시작으로1950-60년대에 다수의 그림책, 표지 디자인, 선전용 그림들을 제작했다. 문학, 예술관련 책들 중 다수를 발행한 조선작가동맹출판사에서 1950년대 중반부터 출판미술을 담당했던 장정가 엄도만은 시집, 소설집, 희곡집, 수필집, 평론집, 악보 등 다양한 범위를 아우르는 작품들을제작했다. 엄도만의 경우처럼 북한의 각 출판사에서는 장정과 삽화 등의 출판미술을 담당하는 미술가가배치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 반면 소속된 미술가 대신 유명 미술가들이 장정가로 참여하는 경우들도 종종 있었다. 주로 북한 문단의 최고 권력자들이 펴낸 책들의 장정에 참여했던 박문원, 정관철, 리석호와 같은 유명 미술가들을 들 수 있다. 그 외 북한 미술계의 핵심적인 인물들인 김용준, 최은석과 김진항 등 여러 장정화가들의 작품들도 북한미술의 이해에 도움을 준다. 비록 출판미술에 불과하지만 이와같은 숨겨진 작품들을 발굴하여 연구하는 것은 제대로 기억되지 못하고 있는 1950-60년대 북한미술을찾아가는 데에 실마리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국어 1학년의 연필 잡는 법 연구

        오판진(Oh, Pan-jin),상언(Yoo, Sang-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o hold a pencil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Korean and to find ways to help students write correctly. Methods A case study method was used among the qualitative studies, and interviews with Yoo Sang-eon for a single case of how to hold a pencil, Hangul files related to his claims, YouTube materials, student handwriting materials, and testimonials were used in this study. Textbooks and teacher s guides were analyzed in a multi-layered manner, along with texts and letters.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position of the finger guiding in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first grade textbook. In other words, if you look at the position of your fingers when writing, holding a pencil while holding your thumb and index finger in a circle is not the optimal way. Also, it is not appropriate to place your elbows on the desk when writing, so it is a guideline that needs to be corrected. On the other hand, Yoo Sang-eon s method of holding a pencil is a better way to help students write correctly. Here s how to hold a pencil correctly, as he suggests. First, put the tip of the thumb and middle finger together to make a round shape, and then place the pencil on the nail area of the middle finger and the area next to the bone where the index finger begins. Second, lift your thumb upwards, bend it at a right angle, and press the pencil gently from above. Third, bend the forefinger close to a right angle and put it lightly between the thumb and middle finger without straining. Fourth, write in such a way that the wrist or arm where you are writing extends slightly over the edge of the desk. Conclusions If you write according to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finger holding the pencil as suggested by Yoo Sang-eon, the force of the finger applied to the pencil is maintained evenly, so that you can write more correctly.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국어 1학년의 연필 잡는 법을 분석하고, 학생들이 바른 글씨를 쓰도록 돕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가운데 사례 연구라는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고, 유상언의 연필 잡는 법이라는 단일 사례를 대상으로 그와의 인터뷰 자료와 그가 주장하는 내용과 관련한 한글 파일, 유튜브 자료, 학생들의 글씨 자료, 소감문이나 편지글 등과 함께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를 다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1학년 교과서에서 안내하고 있는 손가락의 위치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글씨를 쓸 때 손가락의 위치를 보면, 엄지와 검지를 둥그렇게 모으면서 연필을 잡는 방법은 최적의 방법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리고 글씨를 쓸 때 팔꿈치를 책상 위에 올리도록 한 것도 적절하지 못해서 수정해야 할 지침이다. 이와 달리 유상언이 제안하는 연필을 바르게 잡는 방법은 학생들이 글씨를 바르게 쓰는 데 도움을 주는 더 나은 방법이다. 그가 제안하는 연필을 바르게 잡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엄지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 끝을 맞잡아 둥글게 만든 후 가운뎃손가락의 손톱 부위와 집게손가락이 시작되는 뼈 옆 부위에 연필을 올린다. 둘째, 엄지손가락을 위로 들어서 직각으로 꺾은 후 연필을 위에서 지그시 눌러 준다. 셋째, 집게손가락도 직각 가깝게 꺾어서 엄지와 가운뎃손가락의 사이에 힘주지 않고 살짝 붙여만 준다. 넷째, 글씨 쓰는 손목이나 팔이 책상 모서리에 약간 걸치는 정도로 해서 글씨를 쓴다. 결론 유상언이 제안하는 연필 잡는 손가락의 모양과 위치에 따라 글씨를 쓰면, 연필에 가해지는 손가락의 힘이 균등하게 유지되어 편안한 자세로 글씨를 더 바르고 쉽게 쓸 수 있다.

      • KCI등재

        田家の企業者活動

        由井 常彦(Tsunehiko Yui) 한국경영사학회 2005 經營史學 Vol.40 No.-

        1. Toyoda Sakichi, inventor – entrepreneur S. Toyoda(1868-1930), father of K. Toyoda, as well known distinguished industrial inventor and entrepreneur in Japan. After visiting Industrial Exhibition in the 1880, He became mania of invention, and being successful in improving and inventing small power loom in the 1890s-1900s. Although Mitsui gave assistance to him to establish Toyota Loom Co., S. Toyada was thoroughly personal entrepreneur in his life. 2. Career of Toyoda Kiichiro K. Toyoda(1884 – 1952), an eldest son of S. Toyoda, after graduation from Tokyo University, Engineering Department, entered into father’s business. He joined with invention of power loom, finally invented Toyota Automatic Loom in the late 1920s. Visiting England in 1929, K. Toyoda was shocked by seeing decline of textiles industry. 3. Challenge to making passenger car In the 1829’s import of automobile made in USA, had been rapidly increasing in Japan. Believing in coming of the age of car, he made his decision to advance into passengers car production in the early 1930’s. Government gave licence on motor vehicle production to Toyoda and Nissann. He persuaded T. Risabuto (brother in low. Toyota Loom Co.) on this. 4. Founding Toyoda Motor Co. In 1937, K. Toyoda established TMC, financed by Toyoda’s assets, and constructed the large Koromo(present Toyoda) plant near Nagoya. He advocated the original ideas of “Just on Time”. “Creation on Shop Floor” and “ Adaptation on Management”, from which the definite practices of Toyada Stystem have developed. Management of TMC was contrasting to Nissan, emulated American management. 5. Set-back of K. Toyoda’s entrepreneurship in the War Initial development of TMC was broken down by the coming of economic control. Since 1939, production of military truck was forced by allocated materials. 6. Reconstruction of TMC after the Second War In 1948, passenger car production in TMC under the leadership of K. Toyoda reconstructed. But, TMC faced serious difficulties, such as short of materials as well as capital and labour disputed, K. Toyada was forced the resign in 1950 and passed away in 1952. However TMC has rapidly successfully its Toyota System.

      • KCI등재

        1910년대 중반 조선에서 유니버설 영화에 관한 연구

        상언(Han, Sang-eo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6 씨네포럼 Vol.0 No.23

        이 논문은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이후 유니버설의 영화가 조선에 유입되어 상영된 사실들을 조사한 것이다. 일제 강점 이전 조선에서 상영된 영화는 미국, 프랑스, 일본 등 다양한 방면에서 수입되었다. 특히 싱가포르에 설립된 파테의 대리점에서 저가의 필름을 대량 공급하면서 1907년 이후 조선에 파테 필름이 유행했다. 1910년을 전후한 시기 일본의 영화회사들은 영국에 지사를 두고 필름을 수입했다. 일제에 강점된 조선에는 닛카츠와 텐카츠의 대리점을 통해 필름을 공급받았다. 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유럽에서 유입되는 필름의 양이 줄어들게 되면서 조선에는 미국에서 직수입된 필름이 유입된다. 1916년 12월 조선인 상설관 우미관이, 1917년 3월, 일본인 상설관 유락관이 유니버설과 특약 계약을 맺었다. 이 두 곳의 상설관을 통해 조선에 유니버설에서 제작한 연속영화와 장편영화들이 수입되었다. 1910년대 중반 유니버셜로 대표되는 헐리우드영화의 본격적인 배급과 상영은 헐리우드 영화의 전지구적 확산이라는 국제적인 차원의 움직임을 통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국경을 넘은 영화사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fact that the universal films after the outbreak of the First World War have been screened to flow into Korea. Before Japanese occupation, in Korea the movie was imported from various fields, including America, France and Japan. In particular, the film distributor Pathé which was established in Singapore supplied large amount of low-cost film. This film was popular in Korea since 1907. Before and after 1910 when the Japanese film companies have offices in the United Kingdom and imported films. Under Japanese occupation, they have received the film through a distributor of Nikkatsu and Tenkatsu . However, as the first World War broke out and reduce the amount of film coming from Europe, Film was imported directly from America. December 1916 The Korean movie theater Umigwan has signed a special agreement contract with Universal. March 1917 Japanese movie theater Yurakkwan has signed a special agreement contract with Universal, too. Through these two movie theaters, serial films and feature films which were produced by Universal were imported in Korea. During the mid-1910s, hollywood major studio’s movies such as Univeral the regular distribution and screening needs to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global proliferation of hollywood movies. In this regard, a historical research beyond geographical boundaries is necessary.

      • KCI등재

        1910년대 경성의 극장과 극장문화에 관한 연구

        상언(Han, Sang Eon) 한국영화학회 2012 영화연구 Vol.0 No.53

        This thesis includes : Keijyo(seoul) where was divided into Joseon town and Japan town, was built theaters and was transplanted from Japan Show business. I searched a influx Japan city culture through city parks and houses of ill fame. Especially the 1910"s Keijyo(seoul) map confirmed the location of the theaters during the Japanese Ruling era, which were misunderstood or not became known. This is a worthy achievement of this thesis. In 1910"s Joseon Show business was influenced by Japan Show business directly. Japanese who moved to Joseon during the invading Joseon took the lead to influence Joseon Show business. Japan Show business had a long tradition. Promoters who moved to Joseon built theaters and started Show business. In the process of invading Joseon, Japan Show business was a standard of Joseon Show business. It signifies the ideology production system which rested on Japanese imperialism interests constructed through Japanese theaters. This is a important fact to understand Joseon film.

      • KCI등재

        식민지 조선에서 테크니컬러 상영에 관한 연구

        상언(Han, Sang-eon) 한국영화학회 2017 영화연구 Vol.0 No.72

        컬러영화는 영화 탄생 직후 프린트용 필름에 채색을 통해 색을 구현했던 방식으로 시작한다. 이후 필름의 일부를 염색하거나 특수한 화학물질을 통해 색을 드러내는 식의 방식을 거쳐 광학적 방식으로 색을 구현해 내는 천연색컬러로 발전해 갔다. 이렇듯 토키가 등장하기 이전 이미 다양한 컬러구현 방법이 고안되었지만 질 높은 컬러영화의 제작에 있어 가장 큰 문제는 제작비였다. 1920년대 후반 토키영화가 표준으로 자리 잡으면서 영화제작비는 크게 상승했다. 색을 구현하는 탁월한 기술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비용과 기술적 제약으로 인해 크게 활용되지 않던 테크니컬러는 크게 상승한 영화제작비로 인해 본격적으로 제작에 활용된다. 조선에도 테크니컬러 기술은 토키영화의 수입과 함께 처음 소개되었다. 1931년 수입된 ‘2색테크니컬러’는 조선에 토키영화가 정착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대공황의 여파로 할리우드에서 테크니컬러영화 제작이 줄어들면서 이후 수입되지 않았다. 그러던 상황에서 1937년 ‘뉴테크니컬러’로 불리는 ‘3색테크니컬러’가 상용화 되고 이렇게 만들어진 영화들이 다시 조선에 소개된다. 그러나 조선에 할리우드 영화를 공급하는 일종의 수입 창구였던 일본이 중일전쟁으로 인해 외국영화수입을 제한하면서 테크니컬러는 더 이상 상영되지 않았다. 이처럼 1930년대 조선에 소개된 테크니컬러는 중일전쟁으로 더 이상 관람할 수는 없었지만 컬러영화를 조선의 관객들에게 소개하고 컬러영화에 대한 관심을 북돋는 중요한 촉매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Color technology starts with a method that implements color through coloring on the print film immediately after the birth of a movie. Since then, it has developed into a technique such as Kinemacolor that uses a method of dyeing a part of a film or revealing a color through a special chemical to realize the color in an optical way. Prior to the introduction of Talkie movies, various color mounting methods were already invented, but the biggest problem in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color movies was production cost. In the late 1920s, the cost of film production rose sharply as Talkie movies became standard. Despite the excellent technical achievement of color, Technicolor has not been widely used due to cost and technical constraints. Technicolor was used for full-scale production due to the greatly rising film production cost. Joseon also introduced technicolor technology for the first time, importing Talkie movies. In 1931, imported two-color technicolor helped settled the Talkie movies in Joseon. However, in the aftermath of the Great Depression, technicolor film production has been reduced in Hollywood and it was not imported afterwards, but a three-color Technicolor called New Technicolor in 1937 was commercialized and the movies made in this way were introduced to Joseon again. However, Japan, which was a kind of importer of Hollywood movies to Joseon, restricted imports of foreign films due to the Sino-Japanese War and technicolors were no longer screened. As such, it was not possible to watch technicolors any more during the Sino-Japanese War, which was introduced to Joseon in the 1930s, but it can be evaluated as an important catalyst for introducing color films to Joseon audiences and fostering interest in color films.

      • KCI등재

        6.25전쟁기 북한 영화와 전쟁 재현

        상언 ( Sang Eon Han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1 현대영화연구 Vol.7 No.1

        This article is on North Korean films of 1950s produced during the Korean War: what kinds of films there were and how they reenacted the war for political purposes. In North Korea on a war footing, the most important was militarizing civilians to support the national mobilization system. Film was mobilized to imprint righteousness of the war on civilians and arouse the animosity towards their enemies. It was a tool of bringing back their memories of war and repression. The documentary films such as <The Righteous War> and <Announcing to the Whole World> were produced to deliver a message that it was the war of aggression of the American imperialist and they were fighting for emancipation of South Korea from American colonial rule. Characters which reminded bad memories of Japanese colonial period, such as police and landowner, were used in the films to emphasize that the South was under the domination of the American imperialist. North Korean civilians joined the army not to lose their land which had been distributed due to the land reform, because for them the American colonialism meant a threat of returning to repressed tenants. Farmers became partisans and joined the People`s Army to fight against Americans. In the films, scenes related to the land reform were used as flashbacks to stress the value for them to protect through the war. And scenes of air strikes and carnage used in the films also infused them with a combative spirit. They represented the brutality of the American imperialist. In short, these symbols and scenes of the films produced during the war were propaganda for militarizing civilians, reminding them of what they should protect and how brutal their enemy w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