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한 한국어 교육용 분류사 선정 연구
오상언 慶熙大學校 大學院 2010 高凰論集 Vol.47 No.-
본고에서는 절충적 방법으로 분류사 목록을 뽑고 학습 단계별 학습해야 할 분류사 목록을 정리해보았다. 이는 분류사를 효율적으로 가르치는 데와 한국어 교재를 편집하 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교재마다 제시하고 있는 분류사가 일견 비슷하다고 할 수 있지만, 아직 초급, 중급, 고급에서 제시된 분류가 학습자들에게 충분한 학습효과가 고 려된 분류사 제시라고 보기 어려운 점이 있다. 교재마다 특정이 있고 개성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하지만 한국어 교육의 권위와 통일성을 위하여, 교재 편찬시에 분류사에 대한 난이도 별 제시에 대한 통일적인 논의를 하고, 일부분은 자율적으로 선 정하여 심화 교육을 하는 방향으로 편찬을 하는 방법도 고려할 만 하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 교육자들과 외국인 학습자들의 상호작용확인과, 그에 따른 조사가 광범위하게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당 논문은 외래어 전형 도량 분류사는 대상으로 하지 않은 점, 일상대화의 경우 상 황에 따라 많이 쓰이는 분류사가 다르고, 선행 명사와는 관계없이 중립적인 분류사 ‘개’가 많이 사용되어 정확한 빈도 측정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류사 교육 단계를 정하는 점을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앞으로 보다 더 이론적인 근거를 찾아서 더 합리적인 분류사 목록을 작성하기 위하 여 많은 보완과 연구가 필요하다.
그레이레벨과 영역 성장법을 이용한 CT 복부 영상의 장기 자동 분할
오상언,강성관,장민혁,박종안 한국정보기술학회 2014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 No.
In this paper, we propose a useful method to devide the organs automatically in the abdominal CT images. The proposed method is using that each organs in the abdominal CT images has the different gray-level and calculating the accumulation. We extract the organ’s seed point by calculating the 1/4 accumulation on the basis of the histogram of the foreground by Otsu method. Based on the extracted seed points, we detect liver area and kidney/spine area by using the automatic region growing method for image segmentation. Finally, It re-extract the seed points through a process of thinning in the detected area and apply it to a adjacent slice by doing so, it detect another liver area and kidney/spine area. For accuracy assessment of the proposed method, we compare it with the manual segmentation result, and that we verify that the result of the proposed method for liver and kedney/spine segmentation is sufficiently accurate based on 5.7% VOE and 2.3% AVME. 본 논문에서는 신체 복부의 단층촬영 영상에서 여러 장기들을 자동으로 분할하는 효율적인 기법을 제안한다. 알고리즘은 CT 복부 영상의 각 장기들이 각기 다른 그레이레벨을 가진다는 점을 이용해 Otsu 방법에 의한 전경의 히스토그램을 바탕으로 누적치를 계산하여 누적치의 1/4로 장기들의 씨앗점을 추출한다. 추출한 씨앗점을 바탕으로 자동 영역 성장법을 사용하여 간 영역과 콩팥 및 척추 영역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한 영역에서 세선화 과정을 거쳐 씨앗점을 재추출하고 인접 슬라이스에 이를 적용하여 또 다른 간 영역과 콩팥 및 척추 영역을 검출한다. 제안된 기법의 정확성 평가를 위해 제안 기법의 결과를 수동 분할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제안한 기법이 간, 콩팥 그리고 척추 영역 분할에서 VOE는 5.7%, AVME는 2.3%로 보다 정확함을 확인하였다.
한상언 미술사학연구회 2018 美術史學報 Vol.- No.51
From July 3, 2018, Han Sang Eon Cinema Institute, Chung-Ang University and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in Contact Zones Research Center and Seoul Metropolitan Library held a 15-day exhibition titled “Pyongyang Bookshop” in Seoul Metropolitan Library’s Special Exhibition Room. The exhibition featured a total of 250 items held by Han Sang Eon Cinema Institute and published in North Korea from the time of national liberation to the late 1960s, including books, magazines, postcards and posters. As such, it can be described as the biggest exhibition of North Korean books held in South Korea since national division. This study first uses the Pyongyang Bookshop exhibition to introduce the artistic work, including Goguryeo tomb mural replicas, and publishing achievements of Jung Hyunwoong, who, as the figure in overall charge of printed art in North Korea in the 1950s and 1960s, was a leading source of influence in the field. In addition, the study offers a glimpse of printed art in North Korea under Jung’s leadership. Jung produced a large number of picture books, book cover designs and propaganda images in the 1950s and 1960s, starting with his illustrations for the magazine Uri joguk (“Our fatherland”), published in 1954. Book artist Eom Do-man was in charge of printed art from the mid-1950s at the North Korean Art Alliance Publishing House, which published the majority of literature and art-related books in North Korea. Eom produced a wide variety of works, including collections of poetry, fiction, plays, essays and criticism, and musical scores. As a rule, artists like Eom would be assigned to North Korean publishers to oversee aspects of printed art such as binding and illustration. However, there were also times when famous artists participated in book art production instead of publishers’ inhouse artists. Examples include renowned artists Park Mun-won, Jeong Gwan-cheol and Ri Seokho, who took part in the artwork and design for books published by leading North Korean writers. In addition, the works of Kim Yong-jun, Choe Eun-seok and Kim Jin-hang, key figures in the North Korean art world, help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country’s art. Though they may only constitute book art and design, digging up and studying such hidden works may offer clues in the search for North Korean art in the 1950s and 60s, little of which is remembered today. 한상언영화연구소와 중앙대·한국외대 접경인문학연구단, 서울도서관에서는 2018년 7월 3일부터 15 일까지 서울도서관 기획전시실에서 “평양책방”이라는 이름의 도서전시회를 열었다. 이 전시는 한상언영화연구소에서 소장하고 있는 해방 후부터 1960년대 후반까지 북한에서 출판한 도서, 잡지, 엽서, 포스터등 총 250점을 전시하는 기획으로 분단 후 최대의 북한도서전시회라 할 수 있다. 본고는 “평양책방”의전시물들을 통해 먼저 1950-60년대 북한 출판미술의 총책임자로서 지도적 영향력을 행사했던 정현웅의 고분벽화 모사작업을 포함한 활동과 출판 사업의 성과를 소개하고 그 외 정현웅이 이끌던 출판미술계의 일면을 알아본 것이다. 정현웅은 1954년 발행된 잡지 『우리조국』의 삽화를 담당한 것을 시작으로1950-60년대에 다수의 그림책, 표지 디자인, 선전용 그림들을 제작했다. 문학, 예술관련 책들 중 다수를 발행한 조선작가동맹출판사에서 1950년대 중반부터 출판미술을 담당했던 장정가 엄도만은 시집, 소설집, 희곡집, 수필집, 평론집, 악보 등 다양한 범위를 아우르는 작품들을제작했다. 엄도만의 경우처럼 북한의 각 출판사에서는 장정과 삽화 등의 출판미술을 담당하는 미술가가배치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 반면 소속된 미술가 대신 유명 미술가들이 장정가로 참여하는 경우들도 종종 있었다. 주로 북한 문단의 최고 권력자들이 펴낸 책들의 장정에 참여했던 박문원, 정관철, 리석호와 같은 유명 미술가들을 들 수 있다. 그 외 북한 미술계의 핵심적인 인물들인 김용준, 최은석과 김진항 등 여러 장정화가들의 작품들도 북한미술의 이해에 도움을 준다. 비록 출판미술에 불과하지만 이와같은 숨겨진 작품들을 발굴하여 연구하는 것은 제대로 기억되지 못하고 있는 1950-60년대 북한미술을찾아가는 데에 실마리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오판진(Oh, Pan-jin),유상언(Yoo, Sang-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o hold a pencil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Korean and to find ways to help students write correctly. Methods A case study method was used among the qualitative studies, and interviews with Yoo Sang-eon for a single case of how to hold a pencil, Hangul files related to his claims, YouTube materials, student handwriting materials, and testimonials were used in this study. Textbooks and teacher s guides were analyzed in a multi-layered manner, along with texts and letters.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position of the finger guiding in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first grade textbook. In other words, if you look at the position of your fingers when writing, holding a pencil while holding your thumb and index finger in a circle is not the optimal way. Also, it is not appropriate to place your elbows on the desk when writing, so it is a guideline that needs to be corrected. On the other hand, Yoo Sang-eon s method of holding a pencil is a better way to help students write correctly. Here s how to hold a pencil correctly, as he suggests. First, put the tip of the thumb and middle finger together to make a round shape, and then place the pencil on the nail area of the middle finger and the area next to the bone where the index finger begins. Second, lift your thumb upwards, bend it at a right angle, and press the pencil gently from above. Third, bend the forefinger close to a right angle and put it lightly between the thumb and middle finger without straining. Fourth, write in such a way that the wrist or arm where you are writing extends slightly over the edge of the desk. Conclusions If you write according to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finger holding the pencil as suggested by Yoo Sang-eon, the force of the finger applied to the pencil is maintained evenly, so that you can write more correctly.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국어 1학년의 연필 잡는 법을 분석하고, 학생들이 바른 글씨를 쓰도록 돕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가운데 사례 연구라는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고, 유상언의 연필 잡는 법이라는 단일 사례를 대상으로 그와의 인터뷰 자료와 그가 주장하는 내용과 관련한 한글 파일, 유튜브 자료, 학생들의 글씨 자료, 소감문이나 편지글 등과 함께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를 다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1학년 교과서에서 안내하고 있는 손가락의 위치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글씨를 쓸 때 손가락의 위치를 보면, 엄지와 검지를 둥그렇게 모으면서 연필을 잡는 방법은 최적의 방법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리고 글씨를 쓸 때 팔꿈치를 책상 위에 올리도록 한 것도 적절하지 못해서 수정해야 할 지침이다. 이와 달리 유상언이 제안하는 연필을 바르게 잡는 방법은 학생들이 글씨를 바르게 쓰는 데 도움을 주는 더 나은 방법이다. 그가 제안하는 연필을 바르게 잡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엄지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 끝을 맞잡아 둥글게 만든 후 가운뎃손가락의 손톱 부위와 집게손가락이 시작되는 뼈 옆 부위에 연필을 올린다. 둘째, 엄지손가락을 위로 들어서 직각으로 꺾은 후 연필을 위에서 지그시 눌러 준다. 셋째, 집게손가락도 직각 가깝게 꺾어서 엄지와 가운뎃손가락의 사이에 힘주지 않고 살짝 붙여만 준다. 넷째, 글씨 쓰는 손목이나 팔이 책상 모서리에 약간 걸치는 정도로 해서 글씨를 쓴다. 결론 유상언이 제안하는 연필 잡는 손가락의 모양과 위치에 따라 글씨를 쓰면, 연필에 가해지는 손가락의 힘이 균등하게 유지되어 편안한 자세로 글씨를 더 바르고 쉽게 쓸 수 있다.
由井 常彦(Tsunehiko Yui) 한국경영사학회 2005 經營史學 Vol.40 No.-
1. Toyoda Sakichi, inventor – entrepreneur S. Toyoda(1868-1930), father of K. Toyoda, as well known distinguished industrial inventor and entrepreneur in Japan. After visiting Industrial Exhibition in the 1880, He became mania of invention, and being successful in improving and inventing small power loom in the 1890s-1900s. Although Mitsui gave assistance to him to establish Toyota Loom Co., S. Toyada was thoroughly personal entrepreneur in his life. 2. Career of Toyoda Kiichiro K. Toyoda(1884 – 1952), an eldest son of S. Toyoda, after graduation from Tokyo University, Engineering Department, entered into father’s business. He joined with invention of power loom, finally invented Toyota Automatic Loom in the late 1920s. Visiting England in 1929, K. Toyoda was shocked by seeing decline of textiles industry. 3. Challenge to making passenger car In the 1829’s import of automobile made in USA, had been rapidly increasing in Japan. Believing in coming of the age of car, he made his decision to advance into passengers car production in the early 1930’s. Government gave licence on motor vehicle production to Toyoda and Nissann. He persuaded T. Risabuto (brother in low. Toyota Loom Co.) on this. 4. Founding Toyoda Motor Co. In 1937, K. Toyoda established TMC, financed by Toyoda’s assets, and constructed the large Koromo(present Toyoda) plant near Nagoya. He advocated the original ideas of “Just on Time”. “Creation on Shop Floor” and “ Adaptation on Management”, from which the definite practices of Toyada Stystem have developed. Management of TMC was contrasting to Nissan, emulated American management. 5. Set-back of K. Toyoda’s entrepreneurship in the War Initial development of TMC was broken down by the coming of economic control. Since 1939, production of military truck was forced by allocated materials. 6. Reconstruction of TMC after the Second War In 1948, passenger car production in TMC under the leadership of K. Toyoda reconstructed. But, TMC faced serious difficulties, such as short of materials as well as capital and labour disputed, K. Toyada was forced the resign in 1950 and passed away in 1952. However TMC has rapidly successfully its Toyota System.
한상언 호남대학교 2001 호남대학교 학술논문집 Vol.22 No.2
디지털 영상 X0 ⊂ X 에 대하여 X 가 X0 의 디지털 확대이기위한 필요하고 충분한 조건은 모든 디지털 영상 Y 에 대하여 모든 디지털 연속 함수 f0: X0 → Y 가 디지털 연속 확대함수 f : X → Y 를 갖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위상 동형사상은 디지털확대성질을 보존함을 증명한다.
방향과 위치에 따른 배관 엘보우의 기계적 물성 불균일성 평가
김상언(Sang Eon Kim),김진원(Jin Weon Kim),이대영(Dae Yong Lee),박흥배(Heung Bae Park) 대한기계학회 2021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45 No.2
배관 엘보우에서 기계적 물성의 불균일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SA403 WP316 스테인리스강(SS)과 SA234 WPB 탄소강(CS) 엘보우를 대상으로 시편 방향과 원주방향 위치에 따른 인장시험을 상온과 운전온도에서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 시험온도와 엘보우 종류에 관계없이 방향에 따른 기계적 물성 차이는 크지 않지만, 엘보우에서 원주방향 위치에 따른 기계적 물성 차이는 뚜렷하였다. SA403 WP316 SS 엘보우는 곡관부 측면에서 최대 항복강도와 최소 연신율을 보였으며, 외륜에서 최소 항복강도와 최대 연신율을 보였다. SA234 WPB CS 엘보우는 측면과 외륜에 비해 내륜에서 뚜렷이 높은 항복강도와 낮은 연신율을 보였으며, SA403 WP316 SS 엘보우에 비해 원주방향 위치에 따른 기계적 물성의 편차가 컸다. 원주방향 위치에 따른 기계적 물성의 차이는 각 엘보우의 제작 공정에 따른 미세조직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o investigate the nonuniformities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in pipe elbows, tensile tests were conducted using specimens machined from different orientations and locations of SA403 WP316 stainless steel (SS) and SA234 WPB carbon steel (CS) elbows. Regardless of the test temperature and elbow type, the mechanical properties were nearly independent of specimen orientations but highly dependent on the circumferential locations. In the SA403 WP316 SS elbows, the highest yield strength and lowest elongation were observed at the crown, and the minimum yield strength and maximum elongation were observed at extrados. In the SA234 WPB CS elbows, the intrados showed the highest yield strength and lowest elongation, while the properties at the crown and extrados were almost similar. The difference in mechanical properties along the circumferential locations was more pronounced in the SA234 WPB CS elbows than SA403 WP316 SS elbows. Moreover, these differences are associated with local differences in the microstructures of elbows, which depend on their manufacturing processes.
해삼 Apostichopus japonicus의 장 내에서 분리된 Rhodobacteraceae sp. SC52의 전장유전체
김상언,김영삼,김경호 한국미생물학회 2020 미생물학회지 Vol.56 No.2
A novel Rhodobacteraceae bacterium, strain SC52 was isolated from the gut content of a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collected from the coastal sea near Namhae, Republic of Korea. The strain was distantly related to known species within the family Rhodobacteraceae (below 95.9% in 16S rRNA gene comparison). One chromosome (2.6 Mbp), seven circular plasmids (15 kb~391 kb), and one linear plasmid (7 kb) sequences (a total of 3,893,634 bp) were obtained by using PacBio RS II platform. A total of 3,853 genes, 3,794 CDSs, 49 tRNAs, and 9 rRNAs were annotated in the contigs. Genome annotation identified genes related to biosynthesis of possible nutrient sources such as various vitamins and amino acids, which will contribute to investigate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Rhodobacteraceae group that was frequently detected in the sea cucumbers. 신종 균주 SC52는 한국의 남해 연안에서 채집된 해삼Apostichopus japonicus의 장에서 분리되었다. 이 균주는 기존에 알려진 Rhodobacteraceae 과에 속하는 균주들과 유사도가낮은 것(16S rRNA 유전자 유사도 95.9% 이하)으로 확인되었다. 유전체 서열을 PacBio RS II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하나의 염색체(2.6 Mbp)와 일곱 개의 원형 플라스미드(15 kb~391 kb) 그리고 한 개의 선형(7 kb) 플라스미드 서열이 확인되었으며, 총 3,853개의 유전자, 3,794개의 CDS, 49개의 tRNA 그리고 9개의 rRNA 서열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체 분석결과 영양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비타민과 아미노산의생합성 관련 유전자들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해삼에서 자주 발견되는 Rhodobacteraceae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을 연구하는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