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MOOC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 교수실재감이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오미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20 평생학습사회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K-MOOC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변인과교수자의 교수실재감 변인이 인지된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K-MOOC 개발․운영 시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으며, 서울 소재의 K대학에서 운영중인 K-MOOC 3개 강좌를 수료한 106명의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3단계에 걸쳐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변인의 조절요인이 p=0.008로 p<0.01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교수실재감 변인의 수업설계, 학습점검 요인모두 p=0.000로 p<0.001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두 가지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K-MOOC 학습자의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내용에 대해 스스로질문하고, 자신의 속도에 맞춰 내용과 속도 조절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제공하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체계적인 교수설계와 지속적인 학습점검을 통해 학습자가 느끼는 교수실재감을 높여야 한다. 이와 같은 시사점을 통해 학습자의 중도탈락을 방지하고, 미래 교육을 주도할 수 있는K-MOOC로의 발전을 기대한다.

      • KCI등재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 분석

        오미자,김미량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2

        universities have newly opened general education courses for software education to meet industrial demands, designating the newly-offered software education as required courses not only for majors but also for non-major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scratch programming education as part of software education after conducting 15-week programming lessons for first-year undergraduate non-majors. When asked about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of the programming and its effectiveness, 68% of male students and 90% of female students, respectively, answered the programming lessons were difficult, showing that the female students found the programming more difficult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When examined by college, 83% of students in the college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67 % of students in the college of natural and engineering sciences, and 100% of students in the college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answered the programming lessons were difficult, showing that students in the college of natural and engineering sciences adjusted well to the programming lessons. As to their perceptions of effectiveness, including improvement of interest, thinking, and achievement, only students in the college of natural and engineering sciences perceived the programming education effective a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s in this college and students in the other two colleg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aise their perceptions of necessity for the programming lessons before offering the lessons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for non-majors. It is also necessary to change teaching methods by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and other methods rather than conventional ways of teaching programming.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기초 소양으로 컴퓨팅 사고력 향상이 중요해짐에 따라 소프트웨어 교육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 대학 역시 산업 수요에 맞도록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교양 교육을 신설하고 있고, 신설된 소프트웨어 관련 교육은 전공자 뿐만 아니라 비전공자들도 필수적으로 들어야 하는 교과목으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일환으로 스크래치라는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15주간 프로그래밍 수업을 받는 대학교 1학년 비전공자를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받고 난 후 프로그래밍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효과성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15주 프로그래밍 수업 후 남자는 68%, 여자는 90%가 어렵다고 답해, 여자가 어렵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열별로는 인문․사회 계열(83%), 자연․공학계열(67%), 예체능(100%)로 자연․공학계열의 학생들이 프로그래밍 수업에 대해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과성(흥미, 사고력, 성취도 향상)인식에서는 자연․공학계열이 인문․사회계열과 예체능 계열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인문사회와 예체능 계열 간에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아, 자연․공학계열에서만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따라서,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컴퓨팅 사고력을 위한 프로그래밍 수업을 진행하기 전에는 수업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기존의 프로그래밍을 가르치는 방식이 아닌 PBL(Problem based learning)적용 등의 교수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계열별 차이를 인식하고, 적절한 교수학습 지원이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정신지체아동의 자기표현을 위한 발달적 미술치료 사례연구

        오미자,최은영,공마리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0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5 No.1

        This case study was an application of the developmental art therapy to a mentally retarded chil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his(or her) self-expression. Subject was a child who diagnosed mental retardation at K university hospital and showed lack of self-expression. His(or her) developmental level was preoperational stage, and He(or she) attended at kindergarten. Art therapy session has been conducted total of 28 sessions, two or three times per week form February 12th 2007 to May 10th, 2007, and each session was 40 minute. This program was designed with two parts: first term was the preparation stage that designed to arouse the subject's interest, and the second term was the stage in which the subject could fully express himself(of herself) through the given tools. The assessment tools were Development Assessment(Aach-Feldman & Kunkle -Miller, 1987)and the HTP(House-Tree-Person) Drawing Test. The study results were followed, `First, the developmental art therapy increased a mentally retarded child's self-expression. Second, the developmental art therapy increased a mentally retarded child's self-expression. Third, the developmental art therapy changed the outcomes of self-expression item in HTP tests. This study had a limitation of generalization as a case study, but it could be ident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mental art therapy for self-expression of a mentally retarded child.

      • KCI등재

        관광목적지 방문 전․후 이미지 차이에 관한 연구 - 재미교포 관광객을 대상으로 -

        오미자,박시사,최병길 한국관광학회 2011 관광학연구 Vol.35 No.1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visit image of Jeju island as a tourist destin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47 Korean- Americans on April 2010. The respondents filled out their questionnaires two times: Just before they started their package tours and right before they finished the tours. Results did show any change on affective image of Jeju island among the respondents. However,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spondents cognitive image of Jeju island dramatically decreased after their tours. Specifically. respondents' cognitive image on food, accommodation, and tourism facilit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y had before their tours. It might means that the tourists experience on food, accommodation and tour facility were far below than they expected.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discussed. 관광목적지 이미지는 관광목적지와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도 형성되기 때문에 관광객이 관광목적지를 선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마련이다. 본 연구는 제주도를 방문한 관광객이 관광 전과 후에 관광이미지에 차이가 있는가를 재미교포 관광객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재미교포를 대상으로 한 이유는 비교적 제주를 처음 방문한 관광객의 구성이 높고, 내국인 보다는 제주관광에 대한 이미지의 형성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즉, 관광이미지에 있어서 간접적인 정보만을 가지고 형성된 이미지가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이미 형성된 이미지에 변화를 주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관광이미지의 구성요인을 인지적 이미지와 정서적 이미지로 나누어 살펴볼 때 제주관광의 정서적 이미지 즉, 관광목적지가 가지고 있는 환경적 요소는 관광 전과 관광 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객들은 관광 전에 가지고 있던 정서적 이미지가 관광을 통해 확인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식음료, 숙박시설 그리고 문화콘텐츠와 같은 인위적 요소에 해당되는 인지적 이미지는 관광 전보다 관광후가 더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제주관광의 만족도가 기대수준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키워드 분석을 통한 정보윤리 연구 동향 탐색

        오미자 한국인터넷윤리학회 2020 The Digital Ethics(디지털 윤리)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future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by exploring trends in information ethic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in the last 10 years (2010~2019) using academic data provided by KCI. Through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116 titles of 'information ethics' and 35 cas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were obtained as title search keywords. Additionally, 112 papers were selected as final analysis papers by deleting duplicate papers. The research method used TF (Term Frequency), DF(Document Frequency) and TF-IDF(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were used for keyword analysis and topic modeling was used. As a result, the most used keywords were research(240), information(209), education(153), ethics(151), and information ethics(138). And text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learning-model, cyber-space, and information ethics educationcontents were the closest words. Topic modeling was derived from topics 1 and 5 in terms of humanity and culture in the moral aspe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in topic 2, ethical awareness on the Internet in topic 3, behavior and practical aspects in topic 4.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Korea's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 KCI등재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의 물리적 환경과 인지적 체험이 기능적 일치성, 추천 의도,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오미자,김홍길 한국관광연구학회 2022 관광연구저널 Vol.36 No.2

        본 연구는 커피산업의 경쟁으로 인하여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은 차별화로 경영을 하고 있다. 본연의 커피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는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은 기존 커피전문점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을 방문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에 대한 물리적 환경의 인지적 체험 및 기능적 일치성을 통하여 추천의도와 재방문의도에 대한 연구이다.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의 물리적 환경인 인테리어, 전문적 시설, 환경적 시설과 인지적 체험인 메뉴 맛과 향, 메뉴 가격, 메뉴 다양성이 기능적 일치성, 추천 의도 그리고 재방문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기능적 일치성과 추천 의도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따른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환경인 인테리어, 전문적 시설과 인지적체험인 메뉴 맛향, 메뉴 가격, 메뉴 독창성이 기능적 일치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리적 환경의 환경적 시설은 기능적 일치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체험인 메뉴 맛과 향, 메뉴 가격, 메뉴 독창성이 추천 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리적 환경인 인테리어, 전문적 시설, 환경적 시설은 추천 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체험인 메뉴 맛과 향, 메뉴 가격, 메뉴 독창성이 재방문 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리적 환경인 인테리어, 전문적 시설, 환경적 시설은 재방문 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능적 일치성이 추천 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능적 일치성과 추천 의도가 재방문 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향후 라이프스타일과 같은 또 다른 변수 적용으로 실무적이며 학술적인 연구가 이뤄질 수 있다.

      • KCI등재

        비대면 원격교육 환경에서의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인식 분석

        오미자,남영옥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that have been operated in the form of untact distance education, and to seek the direction of operating extracurricular programs the form of untact distance education. To this end, the study stated three research problems and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First, special lecture-type programs that simply provide information were suitable for operating extracurricular programs in the form of untact distance education. Second, the students counted decreased concentration as the biggest difficulty when participating in the programs in the untact distance education. Third, when operating extracurricular programs in the form of untact distan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to include teaching strategies including the quality of content and interaction, which are program factors.

      • KCI등재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인증 지표 설계 연구

        오미자(Oh, MiJa),박수미(Park Su M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본 연구는 대학 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질 관리와 대학교육기관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accreditation) 지표를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2회의 내부 검토, 1회의 내·외부 전문가 검토를 거쳐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 지표를 마련하였다. 최종 인증 지표는 5개 영역, 9개의 세부기준, 18개의 평가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5개 영역에는 프로그램 목표, 프로그램 구성, 프로그램 운영, 프로그램 평가 및 활용, 프로그램 성과 영역이 포함되었다. 본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지표 연구 결과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 혹은 교육기관에서 비교과 프로그램 질 관리 표준안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제 운영을 위한 관련 부서 전담 부서 설치, 비교과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대학 내 정책 마련, 비교과 인증제 시행 전 워크숍 및 교육, 컨설팅 등의 필요성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ccreditation indicators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in order to manage the quality of extracurricular programs operating in universities and raise the competitivenes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o this end, this study prepared accreditation indicators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by conducting a literature study as well as two rounds of insider review and a round of review by internal and external experts. Final accreditation indicators of this study consist of five areas, nine detailed criteria, and 18 assessment questions. The five areas include program goals, program structure, program operation, program evaluation and use, and program performanc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draft standard for the quality management of extracurricular programs in universities or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run extracurricular programs. It is also suggested that a body in charge of departments related to operation of the accreditation system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be established; that a policy be prepared in universities for the sustainable operation of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that workshops, education and consulting are needed before implementing the accreditation system.

      • KCI등재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오미자 ( Mi Ja Oh ),김미량 ( Mi Ryang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라는 새로운 서비스를 교육에 활용함에 있어 학습자의 인식을 탐색 하고자 하였다. 학습자 특성을 고려하고자 학습자 혁신성을 독립변수로 하여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의 속성(개인적, 기능적, 사회적 가치)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해당 서비스가 가진 속성이 학습 수월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혁신성은 개인적, 사회적 가치에만 유의하였으며,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가 가진 속성(개인적, 기능적, 사회적 가치)은 학습 수월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가 친숙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면 해당 서비스를 통해 타인과의 정보 공유나 상호 작용을 하려는 의지를 가진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는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차이는 혁신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개인적 가치 속성만 유의하였으며, 높은 집단에서는 모든 속성이 유의하였다. 이는 혁신성이 낮은 학습자는 신속성, 접근성 등의 기능적 가치나 타인과의 상호 작용 등의 사회적 가치보다는 서비스의 친숙성과 신뢰성 등의 개인적 가치를 중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서비스가 정보의 신뢰를 높일 수 있도록 정보 평가 등의 시스템적 장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erceptions of learners in using the new service called social curation service for education. To consider learner traits, the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relations between learner innovativeness and properties of social curation service (personal, functional, social values), with learner innovativeness as an independent variable. It also attempted to see what impact the properties of the service have on learning excellence. As a result, innovative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personal and social values, and properties of social curation service (personal, functional, social values) had all positive impact on learning excellence. This means that if social curation service provides familiar and reliable information, the service will enhance the will to share information or to interact with others. Also, it was found that social curation service was believed to be useful for learning. Differences between groups showed that only personal valu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group with low innovativeness, but all personal, functional, and social values were significant in the group with high learner innovativeness. This means that learners with low innovativeness attach more importance to personal value, including familiarity and reliability, than to functional value, including speediness and accessibility, or social value, including interaction with other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systemic devices, including information assessment, are needed to raise the reliability of service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