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방언에 나타난 AXAB 중첩어의 분포적 특성 연구

        오문의 ( Oh Mooneui ),최선희 ( Choi Sunhee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7 中國文學 Vol.93 No.-

        본 논문은 A裏AB로 대표되는 AXAB 중첩어 출현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 알타이어의 영향이며 元代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면, 이러한 어휘는 북방 방언에 주로 분포하고, 남방 방언으로 갈수록 그 사용분포가 줄어들 것이라는 ‘AXAB 중첩어 확산 가설’을 중국 방언에서의 AXAB 중첩어의 분포를 통해 증명하고자 한다. 10개의 방언구 가운데 官話, 晉語, 吳語, 徽語, 湘語, ?語, 平話는 AXAB의 존재 가능성이 모두 50% 이상이며, 이 가운데 湘語는 92%에 달한다. 그러나 남방방언에 속하는 客家語, ?語, ?語에 AXAB 중첩어의 존재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방언구에 속하는 방언지점 가운데 客家語의 安遠과 ?語의 石陂, ?語의 玉林은 모두 AXAB가 존재하는 감어, 오어, 평화와 인접해 있는 특징을 보이며, 특히 玉林은 AXAB의 존재 가능성 자체가 매우 낮다고 봐서 AXAB가 존재하지 않는 방언지점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客家語의 下洋은 하문 부근 연해지역에 위치하지만, 외국에 거주했던 화교들의 귀국으로 인한 언어접촉이라는 사회적 요인으로 AXAB 중첩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本文試圖通過對漢語方言的分布情況考察來闡明作爲 “AXAB”式典型的 “A裏AB”重疊形式, 如糊裏糊塗、古裏古怪等, 幷不是漢語自身發展的産物, 而是受到金元時期阿爾泰語中 “AXAB”形式的影響而發展起來的。也就是說, 如果導致 “AXAB”重疊式出現的最重要的原因是阿爾泰語的影響, 那?這種形式的詞匯就會主要分布在北方方言中, 而且越往南越少。中國的方言中, 除了“A裏AB”以外還有 “A的AB”(老的老實: 官話, 湖北天門)、“A知AB”(忽知忽露: 晋語, 山西?州)、“A連AB”(糊連糊塗: 晋語, 河南安陽)、“A個AB”(結個結實: ?語, 江西新余)、“A古AB”(?古?硬: ?語, 江西吉州)、“A肌AB”(著肌著眞: ?語, 湖北大冶)等形式, 本文的硏究對象爲所有的“AXAB”重疊式。 爲了論證本文的論點, 本文將漢語方言分爲官話、晋語、吳語、徽語、湘語、?語、客家語、?語、?語、平話10種, 對212個方言點中 “AXAB”形式的存在狀況做了調査, 結果如下圖顯示, 幷將存在 “AXAB”形式的地區在地圖上作出了標記。 通過上面的圖表可知, “AXAB”形式在南方方言的客家語、?語、?語中的分布?少(17%以下), 而在晋語、官話地區及與官話區臨近的中部吳語、湘語、徽語、?語中的分布占到了57-92%。這樣的事實, 可以被視爲 “AXAB”形式的重疊詞匯是受到阿爾泰語的影響, 在中國北方最初開始使用的旁證。

      • KCI등재

        한국의 중국어학 연구자 통계 및 연구경향 분석 ―《中國文學》을 중심으로

        오문의 ( Oh Mooneui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9 中國文學 Vol.100 No.-

        This paper studied a research trend and traits of reachers in the field of Chinese literature and linguistics in Korea since 1945 by analyzing their statistical materials. Also, we found out research achieve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journal 《Chinese Literature》 by investigating the articles published from the volume number 1 to the 99. Namely, from 1973 to 2019.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ly, a result of analyzing only the number of researchers of whose birth year was before 1990 (the researchers are over 29 years old) showed the composition ratio of researchers in Chinese linguistics and in Chinese literature was 1:1.4. Also, it revealed that the number of researchers in Chinese literature outnumbers those in Chinese linguistics as a rate of 40%. Second, we made a list of researchers in Chinese linguistics, born from 1945 to late 1960s and analyzed their research trend. We could figure out the majority of them engaged in a bibliographical and historical study on Chinese Confucian classics in a traditional meaning, which was so called a Taiwanese school tradition. However since then, the researchers who were born after 1960 and earned their Ph.D. in Korea as well as in China have been leading the research trend. In the case of Chinese literature, articles that are difficult to classify following the current methodology of classifying research field were published in the late 2000s. On the contrary, articles in Chinese linguistics have represented no noticeable change except that articles in the field of modern Chinese grammar have been published in large numbers since in 2000s. Third, this study classified papers in the field of Chinese linguistics into several sub research fields and finally reasoned out its research trend from 1973 to this year, by examining papers published in 《Chinese Literature》_ from volume number 1 to 99.

      • KCI등재

        중한사전 단음절형용사 사동 용법의 기술에 관한 연구

        오문의 ( Oh Mooneui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6 中國文學 Vol.89 No.-

        이 논문은 사동 용법으로 쓰이는 51개 단음절형용사의 사동 의미항이 다섯 권의 중한사전에 어떤 기준에 의거하여 어떻게 기술되어 있는지를 고찰하고, 보다 합리적인 기술 방식을 모색한다. 다섯 권의 중한사전과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①《中韓辭典》, 高大民族文化硏究院, 2002. ②《進明中韓辭典》, 進明出版社, 2001. ③《民衆엣센스中漢辭典》(第3版), 民衆書林, 2001. ④《現代中漢辭典》, 敎學社, 2009. ⑤《Prime東亞中漢辭典》, 두산동아, 2007. 첫째, 단음절형용사의 사동 의미항을 《現代漢語詞典》은 “동태조사 `了, 着, 過` 없이 AO가 가능해야만 사동 의미항을 설정할 수 있다”(형용사 사동 의미항 설정 기준)는 원칙에 의거하여 기술한 반면, 중한사전은 일정한 기준이 없어 `형용사 사동 의미항 설정 기준`에 의거하여 기술할 필요가 있다. AO 형식으로 쓰일 수 없지만, `A+了/着/過+O`로 쓰일 수 있는 형용사는 사동 의미항을 설정할 수 없고, 형용사 의미항 뒤에 `A+了/着/過+O`가 포함된 예문을 제시하고 “`A+了/着/過+O` 뒤에 명사성목적어가 올 수 있음”이라는 통사 정보를 제시할 것은 제안한다. 둘째, AO가 표제어로 제시되어 있으면 사동 의미항을 설정하지 않는다. 셋째, 형용사의 사동목적어로 쓰일 수 있는 명사는 매우 제한적인데, 가장 많이 쓰이는 명사는 `人`이며, 그 다음은 신체부위를 나타내는 명사, 대명사 순이다. 넷째, 중한사전에 단어로 쓰일 수 있는 것만 품사 표시를 하며, 뜻풀이에 제시하는 한국어 대응어는 가능한 사동 용법임을 알 수 있도록 `…하게 하다`나 `-히-, -이-` 등의 사동 접미사를 쓴 표현을 첫 번째로 제시한다.

      • KCI등재

        현대중국어 복수동사구문 유형 연구

        오문의 ( Oh Mooneui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7 No.-

        본 논문은 문장의 난이도 발생의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가 술어로 쓰일 수 있는 동사의 출현 개수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전제 하에 동사가 두 개 이상 출현하는 복수동사구문(Plural Verb Constructions)의 유형을 분류하고, 복수동사구문의 유형별 출현빈도와 그 변별난이도, 복수동사구문 유형의 출현 개수와 문장의 복잡도의 상관 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18가지 복수동사구문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A류 복수동사구문: 連動文, 兼語文, 축약문, 동사중첩문, 동사병렬문, 긍정부정의문문, 동사 복사문 B류 복수동사구문: 명사 수식, 동사의 목적어, 개사의 목적어, 주어, 결과보어, 방향보어, 가능보어, 정도보어, 부사어, ‘是’ 강조구문, 조동사 복수동사구문 가운데 출현빈도가 높은 유형을 먼저 학생에게 가르칠 필요가 있다.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복수동사구문은 동사가 관형어로 쓰여 명사를 수식하는 유형이고, 그 다음으로 높은 것은 동사가 직접목적어로 쓰인 유형이다. 복수동사구문의 약 1/5(19.18%)이 명사를 수식하는 관형어이므로 관형어를 쉽게 구분할 수만 있어도 문장구조 파악이 쉬워진다. 또한 서술식 문장이 대화식 문장보다 그 구조가 복잡한데, 11가지 복수동사구문의 유형이 한 문장에 쓰인 예도 보인다. 이 논문은 복수동사구문이라는 새로운 문장 유형의 개념과 동사를 중심으로 한 중국어의 문장 복잡도 개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복수동사구문과 문장 복잡도 개념은 중국어 교수법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앞으로 보다 많은 문장을 대상으로 한 중국어 텍스트의 복잡도 연구로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paper analyzes the types of Plural Verb Constructions, in which two or more verbs appear in one sentence, in order to find out a desirable methodology of reading comprehension in modern chinese texts. The target of analysis is intermediate and upper level texts composed of 805 phrases or sentences classified by punctuation ma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ome scientific implications for reading comprehension in Chinese by examining the frequency of each type of Plural Verb Constructions and the level of difficulty between those types. The 18 types of plural verb phrases and sentences are as follows. ·A-type plural verb sentences serial-verb sentences, pivotal sentences, compressed sentences, verb reduplication sentences, “shi” emphatic sentences, juxtapositional verb sentences, “ma” interrogative sentences, verb repeating sentences. ·B-type plural verb sentences adnominal phrase, object of verb, object of preposition, subject, resultative complement, directional complement, potential complement, degree complement, adverbial, auxiliary verbs. We should teach students high frequency types in Plural Verb Constructions among the 18 types for the first. The most frequent occurrence in Plural Verb Constructions is that the verb is being used as an adnominal phrase which modify a noun. The next highest is the type used by the verb as a direct object. Because around 1/4(24.6%) of Plural Verb Constructions is an adnominal phrase, it is easy to grasp the sentence structure once students could distinguish adnominal phrases. Also, the educational method for reading comprehension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sentence and the interactive sentence. The structure of interactive sentence is more complicated than that of the narrative sentence. The most complicated case is that 11 types of Plural Verb Constructions appear at a time only in one sentence. I consider this paper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ethodology for Chinese reading comprehension in many ways. First, the concept of a new sentence type of plural verb phrase was clearly discerned. Secondly, the method of reading comprehension based on verb types in Chinese text was systematically presented. I also hope that I would be able to more develop to analyse the complexity of Chinese texts by studying much more sentences.

      • KCI등재

        중한사전 쌍음절형용사 사동 용법의 기술에 관한 연구

        오문의 ( Oh Mooneui ) 한국중국학회 2017 중국학보 Vol.82 No.-

        본 논문은 67개 쌍음절형용사의 사동 용법이 중한사전에 어떻게 기술되어 있는지를 중중사전인 『現漢』, 『規范』과 비교 고찰하여 품사 설정과 한국어 대응어를 중심으로 보다 합리적인 사전 기술 방식을 고찰한다. 67개 쌍음절형용사 가운데 다음의 7개 형용사의 사동 용법으로 쓰이지 않는다. 첫째, ‘動搖·分散·感動·興奮’은 기본품사가 형용사가 아니라 동사이며, 이들 어휘는 사동용법으로 쓰일 수 있는데 동사의 사동 용법으로 처리해야 한다. 둘째, ‘發達·公開·勉强’은 사동 용법으로 쓰이지 않는다. ‘發達’는 형용사로만 쓰이며, ‘公開’는 일반적인 타동사 ‘공개하다’의 의미로 쓰이며, ‘勉强’은 부사, 형용사, 동사로 쓰이는데 이때 동사는 ‘강요하다’는 의미이다. 쌍음절형용사의 품사 설정과 한국어 대응어 제시 면에서 볼 때, 5종의 중한사전이 각각 장단점이 있으나, 교학사의 『現代中漢辭典』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aimed to draw more scientific way of description in Chinese-Korean dictionary by comparing how the causative usage of 67 disyllablic adjectives in chinese is described in Chinese-Chines dictionary and that in Chinese-Korean dictionary. These following 7 adjectives ‘動搖·分散·感動·興奮·發達·公開·勉强’ out of 67 disyllablic adjectives are not used as causative usage. Firstly, ‘動搖·分散·感動·興奮’ is not adjective but verb. These words have causative usage. Hence, they must be described as causative usage of verb in the dictionary. Secondly, ‘發達·公開·勉强’ are not used as causative usage. ‘公開’ is used as a general transitive verb of which meaning is ‘to open in pubic’, and ‘勉强’ is used as an adverb, an adjective, and a verb of which meaning is ‘force’. For the conclusion, the five Chinese-Korean dictionaries compared in this paper have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respectively in terms of the definition of parts of speech of those Chinese disyllablic adjectives and their description. However, the dictionary 『現代中漢辭典』 by Gyohaksa could be considered the best among the five dictionaries compared through the study of this paper.

      • 중국 언어 정책의 국가간 비교 연구

        오문의 ( Mooneui Oh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23 통합인문학연구 Vol.15 No.2

        이 논문은 다민족 국가인 중국, 스페인, 모로코, 미국, 싱가포르, 인도에 대한 국가간 비교를 통해 각 국가의 언어 정책의 역사와 특징을 고찰한다. 중국은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이지만, 최근 소수민족에 대한 강력한 동화정책을 견지하고 있다. 한편 미국은 이민형 다민족 국가로서 이중언어 교육 정책을 실시하다가 영어전용주의의 동화정책으로 전환되었다. 스페인은 공용어로 카스티야어를 유지하면서 지방어를 공용어로 허용하는 정책을 채택했고, 모로코는 아랍어와 아마지그어를 공용어로 인정하였으나 아마지그어의 역할은 제한적이다. 싱가포르는 영어, 표준중국어, 말레이어, 타밀어를 공용어로 선택했으며, 인도는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다언어국가로서 다양성을 인정하는 정책을 채택하였다. 단일 공용어 정책이 다양한 문화와 지역의 고유성을 억압할 가능성이 있으며, 특정 문화와 지역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다문화주의로 포장되었지만 중국, 미국과 같은 단일 공용어 정책은 특정 문화와 지역의 고유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 스페인, 모로코, 싱가포르, 인도와 같은 국가들은 다양성을 존중하고 다양한 언어를 인정하는 정책을 통해 문화적 공존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3개 언어 정칙’을 변함없이 실천하고 있는 인도의 언어 정책이 가장 모범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compares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language policies in multi-ethnic countries such as China, Spain, Morocco, USA, Singapore and India. Although China is a multi-ethnic country composed of various ethnic groups, it has recently maintained a strong assimilation policy for minorities. 011 the other hand, the United States, as an immigration-type multi-ethnic country, has been implementing a bilingual education policy, but has been converted to an English-only assimilation policy. Spain adopted a policy of allowing dialects as official languages while maintaining Castilian as an official language, and Morocco recognized Arabic and Amazig as official languages, but the role of Amazig is limited. Singapore has chosen English, Mandarin Chinese, Malay, and Tamil as its official languages, and India, as a multilingual country using a variety of languages, has adopted a policy of recognizing diversity. A single official language policy may suppress the uniqueness of different cultures and regions, and policies that respect the diversity of specific cultures and regions are needed. Although it is wrapped in multiculturalism, a single official language policy such as China and the United States has the potential to undermine the uniqueness of certain cultures and regions. Countries such as Spain, Morocco, Singapore, and India are seeking cultural coexistence through policies that respect diversity and recognize multiple languages. In particular, India's language policy, which consistently practices the ‘Three Language Formula’, can be said to be the most exemplary c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