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Effects of Mo additions on the room-temperature deformation behavior of polysynthetically twinned (PST) crystals of TiAl

        오명훈,김민철,위당문,O, Myeong-Hun,Kim, Min-Cheol,Wi, Dang-Mun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1995 한국재료학회지 Vol.5 No.2

        The effects of Mo additions on the microstructure and the room temperature deformation behavior of polysynthetically twinned (PST) crystals of TiAl were studied in order to get a basic conception for alloying additions on the two-phase TiAl compounds with the lamellar structure. It was found that the Mo additions in TiAl PST crystals increase both the yield stress and tensile elongation to fracture but the increase in yield stress deppend on the angle $\Phi$at which the lamellar boundaries lie from the loading axis. The large difference in yield stress between specimens deformed parallel($\Phi = 0^\circ$)or perpendicular($\Phi = 90^\circ$) to the loading axis and those deformed in intermediate orientations could be plained by the difference in Mo content between the TiAl and the $$Ti_{3}Al$ phases. It was also found that the Mo-doped specimens with intermediate orientation fail by cracking zigzag across to the lamellar boundaris, which is the same fracture mode as that of binary specimens with intermediate orientations tested in vacuum This suggests that Mo atoms are thought to play a role to reduce the environmental embrittlement of binary PST crystals, resulting in increasing the tensile ductility.

      • 멀티미디어 확장 프로세서의 명령어 집합 구조에 관한 연구

        오명훈,이동익,박성모,O, Myeong-Hun,Lee, Dong-Ik,Park, Seong-Mo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38 No.6

        최근의 멀티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범용 프로세서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려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범용 프로세서 안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명령어들과 그 프로세서의 구조를 제안하고 이를 HDL(Hardware Description Language)로 행위 레벨에서 기술하고 시뮬레이션 하였다. 제안된 멀티미디어 명령어는 특성에 따라 7개의 그룹에 총 48개의 명령어로 구성되며 64비트 데이터 안에서 각각 8비트의 8바이트, 16비트의 4하프워드, 32비트의 2워드의 subword 데이터들을 병렬 처리한다. 모델링된 프로세서는 오픈 아키텍처(Open Architecture)인 SPARC V.9의 정수연산장치에 기반을 두었으며 하바드 구조를 지닌 5단 파이프라인 RISC 형태이다. As multimedia technology has rapidly grown recently, many researches to process multimedia data efficiently using general-purpose processors have been studied. In this paper, we proposed multimedia instructions which can process multimedia data effectively, and suggested a processor architecture for those instructions. The processor was described with Verilog-HDL in the behavioral level and simulated with CADENCE$^{TM}$ tool. Proposed multimedia instructions are total 48 instructions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7 groups. Multimedia data have 64-bit format and are processed as parallel subwords of 8-bit 8 bytes, 16-bit 4 half words or 32-bit 2 words. Modeled processor is developed based on the Integer Unit of SPARC V.9. It has five-stage pipeline RISC architecture with Harvard principle.e.

      • SCOPUSKCI등재

        Cr 첨가 $\textrm{Ll}_2\textrm{Al}_3\textrm{Ti}$기 2상 금속간화합물의 시효처리 효과

        이재경,박정용,오명훈,위당문,Lee, Jae-Gyeong,Park, Jeong-Yong,O, Myeong-Hun,Wi, Dang-Mun 한국재료학회 1999 한국재료학회지 Vol.9 No.10

        $Ll_2$기지에 20 vol.% $\textrm{Cr}_{2}\textrm{Al}$이 석출된 Al-21Ti-23Cr 2상합금은 $1150^{\circ}C$에서는 2상영역에 위치하지만 $1000^{\circ}C$에서는 3상영역에 위치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Al-21Ti-23Cr 2상합금의 시효처리시 $800^{\circ}C$ 및 $1000^{\circ}C$이하에서 시효처리하여 $Ll_2$기지에 제3상을 미세하게 석출시켜, 기계적성질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Al-21Ti-23Cr 2상합금의 시효처리시 $800^{\circ}C$ 및 $1000^{\circ}C$에서는 $Ll_2$기지부분에 수 $\mu\textrm{m}$ 크기의 제3상이 다량 석출되지만 $600^{\circ}C$이하에서는 제3상이 석출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제3상의 석출형태는 $1000^{\circ}C$보다 $800^{\circ}C$에서 시효처리할 경우 더욱 미세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효온도 상승에 따른 Al-21Ti-23Cr 2상합금의 항복강도는 $800^{\circ}C$에서 급격히 증가 후 다시 급격히 감소하는경향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항복강도의 급격한 증가는 $Ll_2$기지 부분에 수 $\mu\textrm{m}$ 크기의 미세한 제3상이 다량 석출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Al-21Ti-23Cr 2상합금의 시효처리시 $Ll_2$기지에 석출되는 제3상은 TiAlCr으로 확인되엇으며, 이러한 TiAlCr 석출상의 이용은 $Ll_2$기지의 균열전파에 대한 저항성를 향상시켜 합금의 기계적성질의 개선에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Two-phase Al-21Ti-23Cr alloy containing 20 vol.% $\textrm{Cr}_{2}\textrm{Al}$ as a second phase in the $Ll_2$ matrix is located in the two- phase region of the Al- Ti- Cr phase diagram at $1150^{\circ}C$, while in the three-phase region at $1000^{\circ}C$. Based on this resul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1-21Ti-23Cr alloy were enhanced through the refined precipitation of the third phase in the $Ll_2$ matrix by aging the alloy below $1000^{\circ}C$. It was observed that a several ,m of the third phase precipitated in the $Ll_2$ matrix through aging at $800^{\circ}C$ and $1000^{\circ}C$, but the precipitation was not observed below $600^{\circ}C$. Furthermore, the third phase was more finely precipitated at $800^{\circ}C$ than at $1000^{\circ}C$. Although the third phase precipitated at $800^{\circ}C$ and at $1000^{\circ}C$, the compressive yield strength increased rapidly at $800^{\circ}C$ only. This is probably attributable to the refined precipitation of the third phase in the $Ll_2$ matrix. It is expected that the precipitation of the third phase. which was confirmed to be the TiAlCr phase, improves the mechanical properties by preventing crack propagation in the $Ll_2$ matrix.

      • SCOPUSKCI등재

        B, Hf, Zr첨가에 따른 $\textrm{L1}_{2}\textrm{Ni}$-20Al-10Fe 금속간화합물의 소성거동

        김민철,황승준,오명훈,위당문,Kim, Min-Cheol,Hwang, Seung,O, Myeong-Hun,Wi, Dang-Mun 한국재료학회 1997 한국재료학회지 Vol.7 No.7

        LI$_{2}$형 결정구조를 갖는 Ni-20at.%AI-10at%Fe 금속간화합물에 boron, zirconium 과 hafnium을 최고 0.5at.% 까지 첨가하여 항복강도, 연성, 파괴 등 기계적 성질의 변화를 인장시험과 X선분석 및 XPS분석 등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Ni-20at.% AI-10at.% Fe금속간화합물에 boron을 첨가하였을 때는 연신율의 현저한 증가가 나타났으나 zirconium이나 hafnium첨가의 경우에는 별다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Ni-20at.%AI-10at%Fe 금속간화합물의 경우, boron의 양이 증가할수록 인장연신율이 증가하였으며 0.1at.%의 boron을 첨가한 경우 최고 48.5%의 상온인장연신율을 나타내었다. 첨가물을 넣지 않은 경우와 zirconium과 hafnium을 첨가한 경우, 파괴모드는 입계파괴의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boron을 첨가한 경우에는 파괴모드가 입계파괴에서 입내파괴로 변화되었다. XPS분석을 통하여 boron이 입계에 편석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이미 제시된 여러가지 해석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로부터 boron의 첨가에 따른 인장연신율의 증가는 boron의 입계편석거동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SCOPUSKCI등재

        RF Magnetron Sputtering에 의한 금속간화합물 TiAI 모재위의 AI-21Ti-23Cr 고온내산화코팅

        박상욱,박정용,이호년,오명훈,위당문,Park, Sang-Uk,Park, Jeong-Yong,Lee, Ho-Nyeon,O, Myeong-Hun,Wi, Dang-Mun 한국재료학회 1996 한국재료학회지 Vol.6 No.7

        Ti-48AI(at.%) 모재위에 RF magnetron sputtering을 이용하여 AI-21Ti-23Cr(at.%) 조성의 박막을 코팅하였다. RF power 200W, 증착압력 0.8Pa, 증착온도 573k에서 증착된 시편의 가장 우수한 고온재산화성을 나타내었다. 573K에서 증착된 AI-21Ti-23Cr 코팅층은 증착시에는 비정질을 형성하나 산화시험동안 결정화가 진행되며, 표면에는 치밀한 ${Al}_{2}{O}_{3}$층이 형성되었다. 573K에서 코팅된 시편에 대하여 1073K, 1173K 및 1273K에서 100시간동안 등온산화시험을 실시하였다. 무게증량곡선은 모든 온도에서 parabolic law를 따르는 안정된 산화거동을 보였으며 이와같은 산화특성은 표면에 치밀한 ${Al}_{2}{O}_{3}$층이 형성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1273K에서 산화시험 후 코팅층의 기지는 고온산화에 따른 AI원자의 소모와 모재로부터의 Ti원자의 확산에 의해 TiAICr상을 형성하였으며, 무게증량은 낮은 온도에 비해 다소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i-48Al(at.%) specimens were coated with Al-21Ti-23Cr(at.%) film by RF magnetron sputtering. Ti-48Al specimen coated at 200, 0.8Pa and 573K showed the best oxidation resistance property in the isothermal oxidation test. Al-21Ti-23Cr film was amophous after depostion, but crystallized and fromed a protective ${Al}_{2}{O}_{3}$ layer on the surface during oxidation. Ti-48Al specimens coated at 573K have been sassessed by isothermal oxidation test for 100 hours at 1073K, 1173K and 1273K. The mass gain curves showed that parabolic stage continued at al tested temperature range in isothermal oxidation test, and the excellent oxidation resistance is attriutable to the formation of a protective ${Al}_{2}{O}_{3}$ layer on the surface of Al-21Ti-23Cr film. After oxidation test at 1273K, the matrix of Al-21Ti-23Cr film had transformed into TiAlCr phase due to the depletion of Al during oxidation and the diffusion of Ti from the substrate, and the extent of mass gain of the specimen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specimens tested at lower temperature.

      • SCOPUSKCI등재

        열간단조된 $\gamma$-TiAl 합금의 이방성에 관한 연구

        이재승,박노진,김성진,김승언,오명훈,Lee, Jae-Seung,Park, No-Jin,Kim, Seong-Jin,Kim, Seung-Eon,O, Myeong-Hun 한국재료학회 2000 한국재료학회지 Vol.10 No.9

        본 논문에서는 Ti-48.5at%Al-0.96at%Mo 조성을 갖는 $\gamma$-TiAl 합금은 항온 단조 및 후속 조직제어 열처리 시 발달하는 집합조직의 변화에 관해 연구하였다. 특히, 동적 재결정 후 조직제어 열처리 온도와 시간의 증가에 따라 발생하는 lamellar volume fraction 과 집합조직 변화에 주목하여 관찰하였다. 동적 재결정 후 집합조직은 ND$\perp${302) 선분과, TD$\perp${100) 및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소 약한{111) 성분들이 발달하였으며, 열처리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lameller volume fraction 은 증가했고 동일한 성분의 집합조직도 점차 강하게 발달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상온인장시험 결과는 lameller volume fraction이 증가할수록 낮은 상온 연신을 보였는데, 이는 준 층상조직을 갖는 $\gamma$-TiAl합금의 상온인장특성이 집합조직의 영향보다는 lameller volume fractio과 같은 미세조직 특성에 더욱 강하게 영향을 받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The texture evolution during isothermal forging and subsequent heat treatment in Ti-48.5at%Al-0.6at%Mo alloy was investigated. Especially, in the present study, research interest was focused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lamellar volume fraction and textures varied with the change of heat-treated time and temperature. It was found that texture components having ND┴{302) and TD$\perp${100} with minor TD$\perp${111} were developed by isothermal forging. In addition, when the followed heat-treatment time and temperature increased from $1330^{\circ}C$/10h to $1350^{\circ}C$/20h respectively, both the lamellar volume fraction and the intensity of textures mentioned above also gradually increased. However, the tensile elongation at room temperature decreased oppositely, as the lamellar volume fraction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ensile properties of $\gamma$-TiAl with the nearly lamellar microstructure at room temperature were affected more strongly by the microstructural features such as lamellar volume fraction rather than by tex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