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Analysis of the GOP Border security systems of the ROK Army by Using ABMS and NOLH design

        오경택,Oh, Kyungtack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2014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23 No.2

        본 논문은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개념과 그 플랫폼인 MANA를 적용한 연구이다. 유전학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획득한 근사 최적화된 침투하는 적의 행동을 바탕으로 병력, 감시, 통신 시스템들로 이루어진 GOP 경계시스템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경계시스템의 효과 분석을 위해 4가지의 효과척도를 이용하였고, 모델을 구성하는 다수의 경계 자산을 고려하기 위해 NOLH 디자인을 적용하였다. NOLH 디자인을 적용함으로써, 시뮬레이션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경계시스템을 구성하는 경계자산의 효과적인 구성과 소초에 적정한 병력배치 등을 결정하는데 좋은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the border security problem of the ROK Army is examined by applying the agent-based modeling and simulation (ABMS) concept as well as its platform, MANA. Based on the approximately optimized behavior of the infiltrator obtained using genetic algorithm (GA), we evaluate the GOP border security system which consists of human resources, surveillance, as well as command and control (C2) systems. We use four measures of effectiveness (MOEs) to evaluate its performance, and we apply a near optimal latin hypercube (NOLH) design to deal with the large number of factors of interest in our model. By using a NOLH design, our simulation runs are implemented efficiently. We hop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valuable data for decid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rder security system structure and the number of soldiers assigned in the platoon.

      • 한국형 항법위성의 정밀추적감시를 위한 하드웨어 실험모델

        오경택,정승윤,김윤중,한범구,서승모,김유단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11

        한국형 항법위성의 정밀추적감시를 위하여 하드웨어 실험모델을 구성하였다. 항법정보의 품질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항법위성의 위치와 궤도를 정밀하게 추적하고 감시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실제 운용상황과 유사한 환경에서 궤도결정 기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하드웨어 실험을 수행하고, 소프트웨어 실험모델과의 비교를 통해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성된 하드웨어 실험모델은 실제 운용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사전에 파악하고 대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n experimental hardware model is constructed for precise tracking and monitoring of Korean Navigation Satellite. To maintain high level quality of navigation information, a precise tracking and monitoring algorithm is required. Especially, hardware experiments should be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algorithm in the realistic environment. The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hardware model is compared with the result of software simulation. The hardware system will be utilized to analyze the system in actual operation in advance as well as to provide countermeasures.

      • KCI등재후보

        Conflicting Coalitions and the Role of Korea i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Negotiations: The Climate Change Case

        오경택 한국학술연구원 2003 Korea Observer Vol.34 No.2

        Among several difficulties that have complicated international negotiations to mitigate dangerous climate change due to human intervention, the North-South division has proved most intractable. Accordingly, limitations on greenhouse gas emissions set forth in the 1997 Kyoto Protocol initially applied only to developed countries. In post-Kyoto discussions, Korea was expected to play an exemplary role among developing countries by committing to mandatory greenhouse gas reductions as would befit the developed nation it increasingly appears to be. Instead, Korea has clung to its voluntary reduction plan and pledge to ratify the Kyoto Protocol as a developing nation, fearing economic disaster were it to embrace identification as an industrialized nation and attendant responsibilities.

      • KCI등재

        Transnational Cooperation of NGOs in Northeast Asia: The Campaign Against Shipment of Taiwanese Nuclear Waste to North Korea

        오경택 한국학술연구원 2004 Korea Observer Vol.35 No.4

        Originally delivered at the 2002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August 29-September 1, 2002.  Kyung-Taek Oh, Assistant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received his Ph.D. in Political Sci-ence from th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in 1998. His recent publica-tions include “Conflicting Coalitions and the Role of Korea i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Negotiations” (2003), “Evaluation of the Post-Rio Decade and WSSD” (2002, in Korean), and “Partnership between the United Nations and NGOs in Global Governance”Transnational cooperation among environmental NGOs in South Korea, Taiwan, and other parts of the world frustrated Taiwan’s plan to transport nuclear waste to North Korea between 1997 and 1998. This study explores identity, stages, and successful condi-tions of the NGOs activities on the issue. First, the NGOs functioned as social movements. Second, NGOs placed the problem on the international public agenda by identifying the danger and players clearly and gaining public and policymaker attention. Also, acting in solidarity enhanced the credibility of their arguments and weakened that of the Taiwanese gov-ernment in public debate. Third, NGOs in Northeast Asia were effective because the issue raised the spec-ter of physical harm to vulnerable peopl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neighboring countries; states im-plicated in the threat were easily identified; and Taiwan’s desire to end its isolation and expand dip-lomatic relations left it vulnerable to international ob-jection to the apparent gap between rhetoric and prac-tice.

      • KCI등재

        Exploration of Border Security Systems of the ROK Army Using ABMS and GA Algorithm

        오경택,이재영,Oh, Kyungtack,Lee, Jae-Yeong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2013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22 No.2

        본 논문은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바탕으로 한 한국군 GOP 경계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기반 소프트웨어인 MANA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나리오를 모델링하고 유전학적 알고리즘을 통해 침투 양상이 변화하는 적에 대해 분석하였다. 우리는 유전학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침투하는 적의 최적화된 행동에 근사하는 값을 구하기 위해 최적화 모델을 구성하였다. 그 결과는 GOP 경계시스템에서 침투하는 적의 행동에 대한 최적화가 경계시스템의 효과성에 현저한 차이를 가져온다는 점과 침투하는 적의 아군 자산에 대한 회피 정도는 각각의 자산의 중요성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두 가지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This paper explores a border security system based on agent-based modeling and simulation (ABMS). The ABMS software platform, map aware non-uniform automata, is used to model various scenarios and evaluate the border security system given a set of infiltrators who have evolutionary behavior governed by genetic algorithm (GA). we formulated an optimization model and approximately solved it using a GA in order to capture near optimal behavior of an infiltrating force. The results presented give two significant insights for our border security system in that optimizing the infiltrator's behavior can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quantitative results regarding the infiltrator's avoidance of each asset can be viewed as capturing their relative importance.

      • 발사체 1단 비행구간 하중경감을 위한 개/폐회로 제어기법 성능분석

        오경택,박정하,박종호,안재명,조상범,김유단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4

        발사체 1 단 구간에서는 공력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하중을 경감하는 제어를 수행하지 않으면 구조파괴로 이어질 수 있다. 하중경감 제어기법은 크게 개루프와 폐루프로 나뉘는데,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루프 하중경감 제어기와 폐루프 하중경감 제어기를 설계하고,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해 바람이 존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성능분석을 수행하였다. Launch operation without load relief control may be failed during ascent phase by structural damage of a launch vehicle because of significant aerodynamic force on the vehicle. There are two general methods for load relief: open-loop and closed-loop load relief controller. In this study, classical open-loop and closed-loop controllers are designed. Numerical simulation is performed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controllers for the launch vehicle considering wind effect.

      • KCI등재후보

        17세기 政局動向과 南人系 宋尙周의 정치활동

        오경택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논총 Vol.3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political activity of Seokye Song Sang-Ju, one of Sajoks, Namin from Jeonju area and its political meaning in the 17th century. Song Sang-ju came from Inew and his forefather had long lived in Taein. But his great-grandfather, Song Kye-Nyeon had moved to Jeonju, his wife's hometown, who was one of the descendants of Manyuk Choi Yang. Afterwards,Song Se-Young, Song Sang-Ju's father, participated in Awakening Justice Movement called Chang Eu Hwaldong in the year of Byung Ja. It helped Song Se-Young and his family associate with powerful Sajoks in Jeonju area and strenghten their social status. Based on this strong relationship with Sajoks,his family produced Song Sang-Ju and the other family members who passed the highest public examination in consecutive years. In addition, his family played a crucial role in Sajoks rooted in Namin, Jeonju. Song Sang-ju set foot in the public office as a Hakyew(學諭) in SungKyunKwan (成均館) with the start of passing the higher governmental service in 1663,fourth year of King Hyeo-Jong. Since then, he worked in local areas as a public servant called BeIn, Mankyeoung, DongBok, Hyeongam, respectively. In addition, he held important posts in central areas as Jeonjeok(典籍), KamChal (監察), YejoJungRang(禮曹正郞), Saye(司藝). Nevertheless, Song Sang-Ju lived different lives depending on the political situations of the time of King SukJong. However, the fact that he had led Sajoks of Namin from Honam area attracted the attention of all. First of all, he was sent into exile far away for the reason that he was one of important figures leading Namin of Honam area after Seoin held power over the country with the political upheaval in 1680. Besides, he continued asking the authorities to get a permission from China that Jang He-Bin(張禧嬪), the biological mother of King KyungJong, be the Queen under the regime of Namin since the political upheaval in 1689. However, his political activity was severely criticized for his pressure on the Queen by Seoin, who took power since the political upheaval in 1984. After all, Song Sang-ju, accused as disloyalist to human duty, was confined in Wewon, HamKyung province and died there miserably. As mentioned above, Sajok of Namin such as Song Sang-ju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olitics of the time not only in KeunKi and YoungNam but also in Jeonju area. In this respect, great attention should be paid on them in order to understand Sajok of Namin in the 17th century. 이 글은 17세기 정국의 동향 하에 전주출신의 남인계 사족인 西溪 宋尙周의 정치활동과 그것이 갖는 정치적 의미 등을 살펴보려는 데 목적을 두었다. 관련 자료의 분석을 통해 파악하게 된 사실은 아래와 같다. 송상주의 본관은 仁義로서 선대에는 泰仁에 세거하다가, 그의 曾祖 宋桂年이전주최씨 晩六 崔瀁의 후손과 혼인하는 것을 계기로 妻鄕인 전주로 거주지를 옮겼다. 이후 송상주의 父인 宋世英이 병자년 창의활동에 참가하면서 전주권의 유력사족들과 폭넓게 교유하는 등 가문의 사회적 입지를 강화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기반을 토대로 17세기 송상주를 비롯해 3인의 문과 급제자를 연속적으로 배출하면서 전주지역 남인계 사족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송상주는 현종 4년(1663) 문과급제와 더불어 성균관 학유를 初職으로 관직에진출하였다. 이후 庇仁ㆍ萬頃ㆍ同福 현감 등의 外職과 전적ㆍ감찰ㆍ예조정랑ㆍ사예 등의 京職을 역임하는 등 중견관료로 활동하는데 그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송상주는 숙종대 정국의 변동에 따라 상반되는 삶을 살았으며 한편으로 호남지역남인계 사족을 주도하는 인물 중의 하나로 활동하였다는 사실에 주목할 수 있다. 먼저 송상주는 경신환국으로 서인정권이 등장하면서 호남지역 남인계 주모자로몰려 유배를 당하였다. 그러나 기사환국 이후의 남인정국 하에서는 경종의 생모인張禧嬪의 중전 등극을 중국에 주청해야 한다는 상소를 주도하는 등 남인정국의주요 구성원으로 활약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송상주의 활동은 갑술환국과 더불어정권을 장악한 서인세력으로부터 국모를 핍박했다는 연유로 집중적인 성토 대상이 되고 말았다. 결국 서인들에 의해‘名義罪人’으로 지목된 송상주는 함경도 渭源에 안치되어 그곳에서 죽음을 맞기에 이르렀다. 이상의 논의과정을 통해 17세기남인계 사족의 면모를 파악하는 데 있어 종전과는 달리 근기와 영남지역 뿐만 아니라 송상주와 같은 전주지역 남인계 사족들의 활동에도 주목해야 한다는 점을새롭게 확인하였다.

      • KCI등재

        디아스포라 음악, 미국의 음악, 세계의 음악 - 재즈(Jazz)의 정체성에 관한 정치사회적 이해

        오경택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23 디아스포라 연구 Vol.17 No.1

        Jazz started as the music of the diaspora from Africa and has spread from the southern United States to the entire United States, from the United States to Europe, and from the West to the world. In this process, jazz allowed very rich symbolism out of the three elements of jazz, ‘America,’ ‘Black,’ and ‘music.’ Along with these elements of jazz, various political and social definitions of its identity have been created. Jazz was defined as a diaspora culture, an expression of American freedom and modernity, a symbol of resistance to freedom, a cultural asset of Americanism against Communism, and a universal culture in which various cultures converged. The sociopolitical environments that have influenced the identities of jazz are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advent of modernty, urbanization, the two World Wars, the Cold War, decolonization, racial conflict, the post-Cold War, and globalization. However, the reason why jazz has become a global music in the 21st century can be seen as a result of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artistic value of jazz as the political meaning of jazz given in the last century has been discolored along with the legitimacy building and institutionalization of jazz. 재즈는 아프리카에서 온 디아스포라의 음악으로 출발하여 미국 남부에서 미국 전체로, 미국에서 유럽으로, 서구에서 세계로 확대되어 왔다. 이 과정에서 재즈는 무엇인가, 재즈는 누구의 음악인가하는 재즈의 정체성은 그 정치사회적 의미가 다양하게 변해왔다. 재즈의 음악적 특성, 탄생과 성장의 배경, 확산 과정이 매우 풍부한 상징성을 허용하고 있고, 그에 따라 실제로 다양한 정치사회적 해석이 입혀져 온 것이다. 재즈는 디아스포라 문화이기도 했으며, 미국의 자유와 현대성의 표현이기도 했고, 자유를 향한 저항의 상징으로 의식화되기도 했고, 공산주의와 경쟁하는 미국주의의 공인된 문화자산의 역할도 했고, 다양한 문화가 융합된 보편적 세계 문화이기도 했다. 재즈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친 환경들은 과학기술의 발전, 현대화, 도시화, 전쟁, 냉전, 탈식민화, 인종갈등, 탈냉전, 세계화 등이다. 이에 따라 재즈는 자유의 상징이며 동시에 자유를 향한 저항의 상징이기도 했고, 그것은 미국주의를 상징하며 동시에 반미의 근거가 되기도 했다. 그것은 또한 다양한 문화가 융합된 보편적 세계 문화로 수용되기도 했다. 재즈가 특히 다양한 상징성을 지닌 예술이고 때로는 그 정체성이 모순되게 정의될 수 있었던 이유는 재즈의 탄생과 음악적 특징이 지닌 세 가지 요소 때문이다. 흑인이 창조한 음악이라는 점, 미국에서 태어났다는 점, 재즈의 독특한 음악적 특징 등의 세 가지 요소가 결합 또는 충돌하며 작용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재즈가 21세기에 이르러 세계의 음악으로 자리매김하게 된 것은 재즈의 정통성 수립, 제도화와 더불어 지난 세기에 재즈에 부여된 정치적 의미가 어느 정도 탈색되어 재즈가 지닌 음악 본연의 가치에 좀 더 주목하게 된 결과로 볼 수도 있다.

      • KCI등재

        인사동 출토 금속유물 발굴 성과와 금속활자의 유형

        오경택,이승철,남권희,옥영정 한국서지학회 2023 서지학연구 Vol.93 No.-

        The excavation of the historic site in Insadong (within the urba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site of the 15th and 16th zones of Gongpyeong-dong, Seoul) is one of the important achievements of the excavation conducted in 2021. The building sites and metal artifacts discovered from the cultural layer of the 16th century are important materials that shed light on the cultural aspect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Metal artifacts that reveal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knowledge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hich were previously only known through documents, were excavated, and among them, the over 1,600 metal printing blocks have significant bibliographic value because they clarify the reality of metal printing blocks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types of metal printing blocks excavated are broadly divided into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 and are further classified into large, medium, and small size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dimensions. They can also be categorized by the shape on the back of the printing block, including the low ‘∧’ shape, deep ‘∩’ shape, square groove shape, long tunnel shape, divided leg shape, and flat base shape. If we examine them by type of printing block, they can be further divided into Gyongja-ja (estimated), Gapin-ja, Eulhae-ja, Eulyu-ja, and Hangul-ja. This article provides a general overview of the significant content from a bibliographic perspective based on the preliminary review of the types of metal printing blocks. The excavated printing blocks are mixed with various types of printing blocks, and further detailed research may reveal new types of printing blocks. Moreover,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existing metal printing blocks through scientific analysis and precise investigation of human culture and history is necessary. Continuous research is also needed to evaluate the value of artifacts that can provide insight into daily life, such as the metallic artifacts that were previously only known through records, such as Ilseongjeongsi (the astronomical clock) and Jujun (the military arrow). 인사동 유적(서울 공평구역 제15․16지구 도시환경정비사업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은 2021년에 조사된 유적 중 중요한 발굴 성과 중에 하나다. 16세기 문화층에서 조사된 건물지와 금속유물은 조선 전기의 문화 양상을 밝히는데 중요한 자료다. 문헌으로만 알려진 조선 전기의 과학 기술을 알 수 있는 금속유물들이 출토되어 이 시기의 과학기술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1600여점에 이르는 금속활자는 조선전기 금속활자의 실체를 규명할 수 있어서 서지학적 가치가 매우 크다. 출토된 금속활자의 유형은 한자와 한글로 크게 나뉘며 각 크기에 따라 대, 중, 소로 구분된다. 또한 활자 뒷면의 모양에 따라 낮은 ‘∧’형, 깊은 ‘∩’형, 사각홈형, 긴터널형, 네다리형(분할형), 평저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를 활자 유형별로 살펴보면 경자자(추정), 갑인자, 을해자, 을유자, 그리고 한글활자 등으로 다시 구분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1차 검토된 내용을 바탕으로 서지학적으로 의미있는 내용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유형을 크게 구분해본 것이다. 출토 활자에는 여러 종류의 활자들이 혼합되어 있으며, 앞으로 좀 더 상세한 연구를 통해서 새로운 유형의 활자가 등장할 수도 있다. 또한, 활자에 대한 과학적 분석과 인본 등에 대한 정밀한 조사를 통해 현재 전해지고 있는 금속활자들과의 비교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자격루 장치인 주전(籌箭) 등 기록으로만 존재를 알 수 있던 금속 유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생활상을 살펴볼 수 있는 유물에 대한 가치 검토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