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ifferential Analysis between English and Korean: Focusing on Pronominals and Anaphors

        오경미(Kyung Mi O)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硏究 Vol.23 No.-

        지금까지의 수많은 연구들이 영어독해와 언어구조에 대한 이해라는 이 두 가지 측면의 연관성을 주장해왔다. Demel (1990)의 하위구조의 중요성에 대한 주장 이 후, 다수의 영어구조 중 공지시적 관계(대명사와 대용사)는 영어독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 중 하나로 인식되어왔다. 이러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영어학습자들은 대명사와 대용사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은, 부분적으로는, 영어와 학습자 모국어의 구조적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대명사와 대용사가 성과 수와 같이 매우 한정적인 정보만을 전달하고, 게다가 문맥을 기반으로 한 화자의 추정에 의존하고 있어, 영어학습자가 이를 이해하는데 겪을 어려움을 짐작하기란 사실 그다지 어렵지 않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모국어의 구조가 영어의 구조와 상이한 집단인 한국인 그룹과 영어의 구조와 비교적 비슷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타 언어 그룹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인 그룹이 보다 많은 어려움을 겪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Jacobs의 일반화와 Lasnik의 k-command이론을 통한 몇 가지 언어구조 분석을 통하여 영어학습자가 보다 명확하게 공지시사의 체계를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A great deal of research suggests that reading comprehension is closely linked to the understanding of linguistic structures. Among many structural features, since Demel (1990)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bottom-level structure, the area of coreferential ties (i.e., pronominals and anaphors) has been understood as one of crucial dimensions in reading comprehension. Despite the importance, many ESL leaners seem to experienc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m. This challenge is considered to have come from, at least to some extent, th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English language and the learners' mother tongues. Since pronominals and anaphors convey limited amount of information such as gender and plurality relying heavily on the communicators' presumptions in the given contexts, it is likely that the ESL learners may find them difficult to follow. Given that, this paper investigates if the students from L1 with a different coreferential system experience mor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system than the other ESL students who have a similar co-referential system. Additionally, the paper attempts to assist the ESL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referential system in explicit ways through the analyses of Jacobs's generalization and Lasnik's k-command theory.

      • A Progress Achievement Test of Reading Comprehension

        오경미(Kyung-Mi O)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科學硏究 Vol.19 No.-

        영어교육에서 영어평가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경우, 그 준비, 제작, 분석의 과정에서 충분한 검토를 거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Community English Program이라는 실제 수업에 대한 관찰을 통하여 수업에 직접 사용되는 성취고사를 그 이론적 틀, 세부정의, 문항개발, 문항분석, 신뢰도 그리고 타당도 검사 등을 거쳐 시험의 제작, 사용, 분석의 전반과정을 단계별로 기술한다. 연구를 통해 비교적 체계적인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평가지의 시행과 분석을 진행을 진행하였으나, 매우 한정된 수의 연구참여자 및 평가문항 등의 문제점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문항이 피평가자의 읽기 능력을 정확히 측정하였다고 보기에는 다소의 어려움이 있음을 발견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그 자세한 기술과 분석을 통해 실생활에 사용되는 평가문항 및 평가도구에 대한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find out whether the instruction of reading about the theme “Job” in a Community English Program class was effective and whether the students comprehended the material presented. The test was plann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on the constructs of the areas that the researcher wished to measure; defining and operationalizing these constructs; writing test specifications for the entire test as well as item specifications; and analyzing the results from the test. Though the test administration, it was unable to determine to a large extent whether or not the test measured the reading ability of the test takers. This was partly because of the small sample size and the few number of test items. Although the test in the study was quite limited in displaying the test takers' reading ability, with the analysis of each step of test design, test usage, test analysis, etc., the study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the educators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with some understandings of testing procedures and the analyses.

      • KCI등재
      • KCI등재

        성적 인플레이션 연구: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성적배분에 대한 규제의 영향을 중심으로

        오경미(O Kyung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2000년대 이후, 한국 정부는 한국 대학에 성적인플레이션이 존재한다는 인식 하에 대 학 차원의 성적배분규제(상대평가)를 실시하도록 다양한 시책을 마련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대학에 성적인플레이션이 존재하는지, 또 정부 시책에 따른 성적배분규 제 실시가 대학에서의 성적배분에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과연 그 유효성이 존재하는 것 인지 등을 따져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성적인플레이션의 존재 여부를 실증 적으로 살피기 위해 성적배분규제 실시 전후 모두 수업에 참여했던 대학생 1600명의 성 적 데이터를 분석하였고, 1208명의 학생·39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삼아 성적인플레이션 과 성적 등의 인식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내용을 통계 분석의 자료로 삼았다. 분석의 결과에 따르자면, 대부분의 교사는 성적인플레이션이 존재한다고 답변한 반 면, 학생들은 이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하지만, 한국 대학에서 성적이란 온 전히 수강생의 학습 성취도만 따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 또한 교수와 학생의 공통된 입 장이다. 이에 따르자면, 핑클마이어의 견해--성적인플레이션은 학생의 평점인상에 상 응하는 학력성취도의 부재--에 입각하여 현재의 성적인플레이션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 은, 성적과 성적 인플레이션 등에 여러 차원의 문제와 고민 등이 결부되어 있는 현재 한 국 대학의 상황을 고려하였을 때 매우 일차원적인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instructors’ and students’ perceptions toward grade inflation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regulation on grade distributions, and to explore the two stakeholders’ definitions of grades. For the analyses, two sets of questionnaire with rough Likert-scale format were given to 1208 university students and 39 instructors for each.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grade regulation, 1660 student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sed. The study outcomes suggest that the majority of instructors perceived the existence of grade inflation while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took a neutral position. To the inquiry examining about the impact of regulation on grade distributions, the study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ades before and after the regulation conditions were implemented. To the last question exploring what grades mean to the instructors and the students, the two stakeholders seemed to exhibit fairly different definitions of grades. Most instructors answered that grades meant hard work and academic achievement whereas the students seemed to have somewhat negative perceptions toward those meanings of grades.

      • KCI등재

        Extensive Listening and Intensive Listening in Blended Mobile Learning Environments

        O, Kyung-Mi(오경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8

        본고는 확장형 듣기(Extensive Listening)과 집중형 듣기(Intensive Listening) 각각이 영어 듣기 및 읽기 이해도 제고와 어휘 능력 향상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72명의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을 각각 EL 그룹(35명)과 IL 그룹(37명)으로 나누고, 각각 14주 동안 EL과 IL에 기반하는, 1) 수준별 오디오북, 2) 교과서 오디오 파일, 3) 모바일 학습 커뮤니티 등을 이용한 학습활동에 참여 하게 한 후, 이들의 영어 실력 향상 정도를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실험 전후 두 그 룹의 영어 실력 향상 정도 측정을 위해서 VLT(Vocabulary Levels Test)와 토익(TOEIC) 연습문제를 이용하였다. 또한 각 학습 활동에 관한 그룹 성원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 해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대응표본 t -검정을 통해, 두 그룹 모두 세 가지 영역의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실력 향상이 이루어졌음이 드러났다. 설문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두 그룹 모두에서 대부분의 성원이 영어 실력 향상에 각각 EL과 IL이 효과적이라는 인식을 보여주는데, 이것은 영어 실력 평가에서 나타난 결과를 뒷받침하는 것이다. 다만, EL그룹이 모바일 학습 커뮤니티를 이용한 학습 활동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 IL 그룹은 이에 중립적인 입장을 취한다는 점 또한 결과를 통해 드러났다. This study aims to 1) investigate if the EL(extensive listening)/IL (intensive listening) in a blended mobile learning environment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EFL university students’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and vocabulary knowledge, and 2) examine how the participants perceive their experiences of each EL and IL activities. For the study, 72 EFL university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35 students in the EL group and 37 students in the IL group. During a 14 week period, the two groups were engaged in 1) graded audiobook(s), 2) audio files of a textbook, and 3) a mobile-based learning community with different EL and IL activities for each. To measure the two groups’ language development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s, a Vocabulary Levels Test and a TOEIC practice test was employed. Questionnaire data were also utilized to investigate each group’s perceptions toward the effects of each approach. The paired t-test analyse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three areas for both groups. The questionnaire data substantiated the test results by displaying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in each group perceived both EL and IL approach as effective for their language improvement. However, the results also have discovered that the EL group perceived the mobile-based EL activities positively, whereas the IL group took a neutral stance toward the mobile-based IL activities.

      • KCI등재

        Web-based Autonomous Assessment Study for Students" Language Learning

        Kyung-Mi O(오경미)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8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5 No.2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autonomous assessment results and the teacher"s summative assessment scores, and to explore to what extent a series of autonomous assessments can help the students" self-studies. For the data collection, the study employs 34 participants (16 in the autonomous assessment group and 18 in the comparison group) and uses a student and teacher discussion session, six web-based autonomous assessments, students" online journals, an online diagnostic assessment, and two online teacher"s summative assessments. Through the analysis, the paper suggests that the autonomous assessment result can be dissimilar from the teacher"s summative scores because the processes of evaluation and language learning involve many other variables including the assessed content, the teacher"s role, the students" attitudes, etc. The paper cautiously concludes that it may be difficult to expect that the autonomous assessment alone can help the students learn languages autonomous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