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 체험은 어떻게 형상화되는가? -임길택 동시를 중심으로-

        염창권 ( Changgwon Yeom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6 동화와 번역 Vol.31 No.-

        어린이글에 나타난 체험의 양상을 ‘어린이 생활현실’로, 임길택 동시에 나타난 양상을 ‘작품 속 허구적 현실’로 가정하여 작가의 형상화 과정에서 개입될 수 있는 요소들을 귀납하여 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서술대상에 대한 인식적인 측면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어린이글에서 주체는 경험적 한계 내에서 자신을 직접적, 자연발생적으로 드러낸다면, 작가의 글에서는 작가의 세계관과 주제의식의 영향을 받는다. 이때, 어린이들의 행동과 경험세계는 선택되어 간접화된 방식으로 전달된다. 둘째로, 어린이글에 나타난 체험의 양상은 범주성의 제약을 받는 다. 작가의 글에서는 두 겹의 의미 층위를 발견할 수 있는데, 어린이 체험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1차적 의미가 발생하고 이를 다시 주제의식에 결부시켜 해석할 때 2차적 의미가 발생한다. 셋째로, 임길택 동시에 나타난 체험은 어린이글에 나타난 양상과 유사하거나 근접해 있다. 이것은 제재 자체를 통해 발휘되는 현장성 또는 진정성의 국면이다. 임길택의 동시에는 모두 당위의 세계가 제시된다는 점에서, 작가의 세계관을 “어린이의 체험의 건강성을 긍정하는”, ‘현실적 이상주의’로 명명할 수 있다. In this study, I focu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ife reality and the fictional reality. The elemnents involved in the process of the imagery are reasoned inductedly by comparing the writings of the children and those of the writers.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First, the difference occurs in the cognitive aspects of the subject for description. In the writings of the children, the subject reveals itself directly and spontaneously. In the writings of the writers, it is affected by the outlook and subject consciousness of the writers. At this point, the behavior and experience world of the children are selected and transferred indirectly. Secondly, experience apearing at the writings of the children has the restrictions of the spectrum. The writings of the writers have two layers of meaning. The primary meaning occurs in the process of the children``s experience selection. The secondly meaning occurs when the first meaning is interpreted with the subject consciousness. Third, Im Giltaek’s Poetry similarly or closely represents children``s experience with the writings of the children. This is the reality or the truth displayed by the subject itself. Im Giltaek’s works can be named as “Affirming the healthy experience of children,” ‘realistic idealism’. Because all his writings suggest the desirable world.

      • KCI등재

        정완영 동시조의 화용적 특성과 지도 방안

        염창권(Yeom, Chang-Gwon) 한국시조학회 2021 시조학논총 Vol.55 No.-

        이 글은 상황 연동소를 중심으로 정완영 동시조에 나타나는 어린이화자의 목소리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 해석적 방법과 교과서 수록작품의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완영 동시조집에서, 표제작 4편을 일관성 있게 통과하는 주체의 목소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엄마의 양육적 공간 내에서 활동하면서 정서적으로 통합된 어린이화자의 모습(『꽃가지를 흔들듯이』, 『엄마 목소리』)에서, 엄마와 가족을 관찰 대상으로 하는 어린이화자(『가랑비 가랑가랑 가랑파 가랑가랑』, 『사비약 사비약 사비약눈』)의 모습으로 성장국면이 이동한다. 정완영 동시조 전반에 주요하게 나타나는 목소리는 유아기, 유년기의 어린이화자이다. 이들의 성장기 공간은 자연과 가족을 중심으로 주체의 정서가 통합된 전일(全一)한 세계이자, 애착 대상이다. 정완영 동시조에 나타나는 자연은 엄마의 품과 같이 신체화 되어 있으며 어린이화자와 유기체적으로 결속되어 있다. 작품 속 어린이상은 관조적, 회고적 관점을 취할만한 나이가 아니며, 어법으로 나타나는 구술적 특성은 성장기 어린이의 특성을 반영한다. 구어적인 표현을 통해, 어린이화자는 ‘내’가 속한 세계에 대한 강한 애착을 보여준다. 지도 방안에서는, 어린이화자의 구술적 세계, 경험 세계의 동원, 비유적 효과와 표현하기 등에서 상호텍스트적으로 연결 가능한 작품을 예시적으로 열거하였다. This article seeks to analyze the voices of children narrators appearing in the children’s sijo of Jeong Wan-yeong, with a focus on the context shifter(embrayeur), and then suggests an interpretative method and teaching strategies for textbooks. In JeongWan-young’s works, the voices of the speakers who consistently pass through the four title works are as follows. From the image of a child speaker who is emotionally integrated while working within the mother’s nurturing space(『As If Shaking a Spray of Flowers (꽃가지를 흔들듯이)』, 『Mother"s Voice (엄마 목소리)』), the speaker shifts during the growth phase to a child observing the mother and family members(『A Mist Rain Drizzling, garang-garang (가랑비 가랑가랑 가랑파 가랑가랑)』, 『Snow Flutters, sabiyag-sabiyag snow (사비약 사비약 사비약눈)』. As examples of teaching strategies, the works which can be intertextuality linked with the oral world of the children speakers, the projection of the experiential world, and figurative effects and expressions were listed.

      • KCI등재후보

        동화에 제시된 죽음 모티프와 교육적 함의

        염창권(Yeom, Chang-Gwo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1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9

        The major themes and the authors' world views of the five fairy tales select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Two of the fairy tales, <The Salmon> and <River Boy>, are similar in that they depend on the image of the river as the death motif. In these two works, the death does not end in itself; rather, it is transmitted through genetic traits or internalized through the same experiences. In another two fairy tales, <Charlotte's Web> and <A Hen Outside the Court>, the meaning of life is accomplished and expanded through the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Protagonists in these two tales never stop pursuing the meaning of life to the end of their life and their death embodies sacrifice for other people. The last fairy tale, <Turk Everlasting> represents two different world views; one is embodied in Turk's family where the circulation of life stands still and the other is portrayed in Winny's family in which life goes on with its circulatory pattern and finally reaches death as its end-point. The protagonist of the work, Winny, taking Turk's advice, completes his holistic life and meets death, surrounded by his loving family. Seen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insight on the completion of life can be drawn through the reflection on death that presents opposing world views.

      • KCI등재후보

        신형건 동시에 나타난 유희성 연구

        염창권(Yeom, Chang-gwon) 한국아동문학학회 2017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32

        이 글은 신형건의 동시에 나타나는 상상력과 의미의 결속 방식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비평적 논제를 생성해 냄을 목적으로 하였다. 아동문학은 본질적으로 아동적인 것, 혹은 아동기의 발달적 속성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어린이의 심리는 ‘유희성’과 ‘관계성’ 간의 상호적 교섭이 진행되는 역동적인 작용태이다. 이때 ‘유희성’이 자아 내부에서 발생하여 외부를 지향한다면, ‘관계성’은 타자 관념에서 비롯되어 자아의 내부로 되돌려진다. 신형건 동시에서 의미의 결속 양상은 두 가지로 나타난다. 하나는, 어린이의 ‘유희성’을 바탕으로 하여 ‘관계성’의 영역으로 확장된다. 다른 하나는, ‘자아 관념’에서 출발하여 ‘대타적 자아’를 형성한다. 이는 ‘자아 발견’에서 ‘자아 성장’에 이르는 연속적인 발달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다. 먼저, ‘생활 속의 유희성과 자아 발견’의 항목을 통해, ‘놀이와 생활에서 오는 유희’의 예로 「30센티미터 자를 산 까닭」, 「누구세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판타지적 유희와 알레고리’의 예로 「거인들이 사는 나라」, 「도깨비방망이」를 분석하였다. 어린이들은 억압된 심리적 상태에서 유희적이며 상상적 공간을 통해 일상의 관념을 전복시키고 탈출구를 찾아내어 심리적 안정감을 찾아간다. 다음으로, ‘관계 맺기의 유희성과 자아 성장’의 항목을 통해, ‘관계의 유희’에 속한다고 보이는 「네가 온다면」, 「발뒤꿈치」, 「입김」등을 분석하였고, ‘대타적 자아’에 대한 관념을 나타내는 작품으로 「넌 바보다」, 「의자」 등을 분석하였다. ‘너’의 행위가 갖는 의미는 “그럼 난 뭐냐?”와 같은 반문을 통하여 나에게 되돌려지며, 이를 통해 ‘나’를 넘어선 통합된 자아를 형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바, 신형건 동시에 나타난 ‘유희성’은 어린이 성장 과정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신형건 동시의 새로움과 유쾌함은 이와 같은 관점에서 해석하였을 때 미학적, 교육적 가치를 분명히 할 수 있을 것이다. Discussing the children’s poetry written by Sin-Heonggun, this paper creates a new critical approach that explains how to bind imagination and meaning. Children’s literature is intrinsically enable to be free in the attribute of child or in the developmental nature of childhood. Children’s psychology is a dynamic interaction that negotiates between playfulness and relationship. At this moment, if playfulness occurs inside the self and aims outside, relationships begun from the other’s ideas returns to the self inside. There are two aspects of cohesion that appear in the children’s poetry by Sin-Heonggun. One extends to the area of relationships based on children’s playfulness. The other starts from ideas of self and forms a reflective-self. This can be explained as a continuous development from self-discovery to self-growth. First, I analyzed “Why I Bought a 30-centimeter Ruler” and “Who Are You”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playfulness and self-discovery as examples of play and life. Then, I analyzed “The Country Where Giants Live” and “Bogle Bats” as examples of “fantasy play and allegory.” Children are playful in opposed psychological states, and they subvert commonplace ideas. Finally, they find exits and psychological stability. Second, I analyzed “If You Come,” “Heel,” and “Breathe,” which include playfulness of relationships within the category of “playfulness and self-growth from relationships.” Then, I analyzed “You Are Stupid” and “Chair,” which express the reflective self by showing how “your” actions are returned to me through self-reflective questions like “What am I?” This creates an integrated ego that exceeds “me.” As described above, in Sin-Heonggun’s children’s poetry, playfulness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children’s growth. From this point of view, novelty and joyfulness in his children’s poetry can help clarify aesthetic and educational values.

      • KCI등재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에서, 한족 학생들의 한국어 습득 양상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 학습 심리와 수업의 형식을 중심으로 -

        염창권 ( Yeom Chang-gwon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2 No.-

        중국 YT 대학의 한국어학과에서, 한족 학생들의 한국어 습득 양상에 대하여 문화기 술적으로 접근하였다. 연구 결과 중에서, 학습 심리와 한국어 수업의 형식에 관련된 문화적 주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 심리의 측면에서는, “현실 지향의 입학 동기”와 “모어에 의한 착청(錯聽) 현상과 문자의 구어 조정 효과” 등 두 가지가 주요한 동인으로 추론되었다. 한국어 수업의 형식면에서는, “교정자 및 통역사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문화적 주제로 선정하였다. 학생들의 현실 지향적 추구는 대학 생활의 목표를 인생의 가치 실현에 두기보다는 현실적인 문제인 취업 해결에 중점을 두게 됨을 말한다. 언어적 측면은, 모어의 간섭에 의한 착청(錯聽) 현상과 문자에 의한 조정 효과이다. 수업의 형식과 관련된 주제는 “교정자이자 통역사로서 교사의 역할”이다. 대화문 수업에서 나타나는 수업 담화 형식을 간단히 유형화 하면, “교사 질문(Teacher's Question)→ 학생 응답(Student's Answer) → 교사 교정(Teacher's Revision)”과 같은 형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강화된 교정 연습의 유형은 읽기에서도 나타난다. 즉, "TQ → SA→ TR → SRA"과 같은 형태이다. The findings of the study with a focus on cultural them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light of psychology of learning, two major language learning motives were identified, which include "students' selection of the department for pragmatic reasons" and "false hearing by the first language interference and written language's corrective role in the use of spoken language." Teachers in the Korean classes serve as "revisors and interpreters."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the lesson, most of the dialogues found in the classroom reveal the following discourse pattern: "Teacher's Question" followed by "Student's Answer" followed by "Teacher's Revision."

      • KCI등재

        미적 정서의 특성과 문학교육적 함의

        염창권 ( Yeom Chang-gwon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6 No.-

        이 연구는 문학수업 중 어떤 장면이 구체적으로 미와 정서 교육에 관련되는지를 설명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시도되었다. 문학텍스트 및 문학수업 현상 중에서 미적 정서의 국면을 설명할 수 없다면, 이에 대한 목표 설정이나 수업 설계가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라는 판단에 기인한다. 연구 방향은, 문학에서 미적 정서의 특성에 해당하는 이론 연구와 실제 문학교육적 적용을 통한 타당성 점검 등, 두 가지 측면에서 진행되었다. 문학 감상에서 미적 체험의 주체는 독자이고, 독자는 미적 체험이 가능할 수 있도록 문학작품의 부분과 전체, 형식과 내용, 독서 과정에 관여하는 지향적 의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정서는 사고와 마찬가지로 언어를 매체로 하여 소통될 수 있다. 언어화 되지 않은 정서는 시간과 공간의 장애를 극복할 수 없다. 또한 정서는 개인적이며 주관적인 상태에 있지만, 언어를 통과함으로써 주체로부터 벗어나 객관화될 수 있다. 문학교육과 관련지을 수 있는 미적 체험의 특성을 9개 항목으로, 정서 체험의 특성을 7개 항목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문학교육에서 적용 가능한, “미적 정서의 인식 및 평가 목록”을 두 가지 관점에서 작성하였다. 하나는 “미적 체험의 소통과 완전성의 기준”이고, 다른 하나는 “정서 체험으로서의 반응과 감응의 미적 수준” 이다. 최종적으로, 앞의 “미적 정서의 인식 및 평가 목록”을 동화 교재 가마솥 과 시 교재 성탄제 등의 교과서 현상에 대입하여 보았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plain the ways in which the instructional situations in literature education are related with aesthetic and emotional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function of aesthetic emotion in literature text and literature instruction, which makes it possible to set up the objectives and the instructional design of literature education. I have proceeded this research in two directions: the theoretical inquiry on the characteristic nature of aesthetic emotion and the practical examination of the validity through actual applic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I have elaborated 9 characteristic traits of aesthetic experience and 7 characteristic traits of emotional experience in relation to literature education. Based upon these traits, I have worked out "the itemized list for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aesthetic emotion", which is to be applied in literature education. They are arranged under the two categories of "the standard of communication and consummation of aesthetic experience" and "the aesthetic level of response and sympathy in emotional experience". Finally, I have applied and examined "the list for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aesthetic emotion" with the actual cases in the textbook, 「The iron pot(가마솥)」 as a children's tale text and 「The Christmas holiday(성탄제)」 as a poetry text.

      • KCI등재

        문학동인회 <원탁시(圓卓詩)>의 전개 과정

        염창권(Yeom, Chang-gwon)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5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8

        이 연구는 범대순 시인의 논평에 나타나는 문학관과 동인 활동을 중심으로, 지역 문학동인지 《원탁시》의 전개 과정을 심층적으로 재구성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원탁시》와 관련하여 이 글에서 논의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동인회 〈원탁시〉는 등단 작가를 중심으로 구성된 단체이며, 〈원탁〉은 평등과 구원의 이상을 표상한다. 1967년 1월에 범대순을 포함하여 11인의 등단 작가를 발기인으로 하여 창립 회의를 하였다. 이 모임의 주창자인 범대순은 초대 대표를 맡아 소식 전달과 동인지 편집 등의 일을 하였다. 1967년 5월 1일자로 《원탁문학》창간호가 팸플릿 형식으로 발간되었다. 1969년 제10집에 「〈원탁〉발언」을 게재한 이후로 ‘원탁시회’라는 명칭으로 정착되면서 시인 중심의 동인회로 재편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제10집에서 수록된 「〈원탁〉발언」에서 에콜을 명시화하지 않고 “잠재된 에꼴르”를 표방하였다. 여기서 “非에꼴르” 혹은 “잠재된 에꼴르”는 하나의 중심을 거부하는 것이며, 이는 〈원탁〉의 정신대로 각자의 개성을 보호하고 존중하여야 한다는 회원들의 입장을 드러낸 것이다. “不定形”은 어떤 객관적이며 고정된 진리치가 있을 수 없다는 사회 구성주의적 입장을 일찍이 표현한 것으로 이즘이나 에콜을 선언하지 않았던 지적인 맥락을 함축한다. 〈원탁시〉는 에콜(ecole) 커뮤니티이기보다는 소셜(social) 커뮤니티에 가깝다. 소셜(social) 문학그룹 〈원탁시〉에서 범대순 시인은 좌장 역할을 하였다. 2014년 범대순 시인의 타계와 함께 동인회 〈원탁시〉의 제1세대는 막을 내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history of the 〈Wontak-Si〉group development based on the literary activity of Bom Dae-Soon. The things covered by this study about the 〈Wonrak-Si〉are following. At first, The 〈Wontak-Si〉is a literary association of the professional authors and presenting the equality and ideality. In January 1967, 11 authors including Bom Dae-Soon had a foundation conference. Bom Dae-Soon, the main founder of the group, reported the news and edited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 At may 1st 1967, the first issue of 〈Wontak Literature〉was published as a booklet form. From 11st issue at 1970, the name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was changed to 〈Wontak-Si〉until now. At the 10<SUP>th</SUP> issue at 1969, 「〈Wontak〉remark」 didn’t state their ecole and claimed to stand for “latent Ecole”. The “non-Ecole” or “latent Ecole” meant refusing one pivot, and it presented that all member’s personality is protected and respected. “Atypical” meant social constructivism that there is no objective and fixed truth and can be understood as “non-ism” and “non-ecole” concept. 〈Wontak-Si〉is close to social community rather than ecole community. Bom Dae-Soon was a principal of the 〈Wontak-Si〉, the social cultural community. With the death of Bom Dae-Soon at 2014, the first generation of the literary coterie party 〈Wontak-Si〉was finished.

      • KCI등재

        시조의 명칭과 전망에 관한 계보적 고찰

        염창권(Yeom, Chang-gwon) 한국언어문학회 2013 한국언어문학 Vol.87 No.-

        The contents and purpose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At first, the historical process of using 'Sijo' as a term of genre was examined. Lyrics associated with Sijo-song were sung to the varies musical tunes since the late Koryo dynasty, and Sijo melody was originated around the reign of king Youngjo's era musical. The Sijo, the term itself means one aspect of melody with the words of a song. Next, the method of progressive succession of Sijo ganre was found in the 3 Jang concept of formality, based on its modern meanings. This study said that If 3 Jang form is used as a smallest unit of the text construction, the cohesion and completion of the meaning can be expressed.

      • KCI등재

        시조의 기원과 형식의 정착 과정 연구

        염창권(Yeom, Chang-G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시조의 정형율 자체가 처음부터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간을 두고 형성되어온 실체라는 관점에서 시조의 기원설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 다음으로는 악곡의 전개양상과 관련하여 시조 노랫말(歌詞)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였다. 먼저, 기원설과 관련하여 이전의 논의가 부분적 일치를 보여준 것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우리말을 통한 기존 악곡 종합설’을 제기하였다. 그 근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조의 정격 형식은 4음보 율격과 의미 단락이 3분절된다는 양자를 충족시켜야 한다. 시조는 그 발생기에는 구비전승의 방식으로 구연되었던 시가형식의 특성상, 노랫가락이 우리말의 언어적 운용 및 사유 구조에 알맞게 형상화되었다. 다음으로는, 앞에서 언급한 우리 노랫말의 특성에 따른 구조 분석과 확산 과정을 통해 발생기 시조 형식의 정착 과정을 설명하였다. 연창의 환경을 고려한 구조 분석에서, 장별 서술시간으로 ‘[초・중장 : 事件時] → [종장 : 論評時]’의 구조 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노랫말의 특성상 상호텍스트성의 확대를 통해 정착과 확산의 과정을 거쳤다. This study tried to explain the origin and form settlement of Sijo with the viewpoint that Sijo’s fixed form is not a fixed one from the beginning but a substantial existence developed with time. The contents and purpose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ly, ‘through Korean Language synthesize’ was suggested because previous discussion was only partly correct. The summarized basises are following. Sijo’s fixed form needs to satisfy two things; 4 musical foot rule and paragraph divided in 3 parts. It is the form of recited poem song different from written literature and the melody is well shaped suitably for Korean’s linguistic use. Nextly, the study also mentioned that we need to analyse the structure of Sijo considering the circumstance of performance. So, narrational point as [beginning․middle Jang: emergence-time]→[final Jang: commentation-time] was suggested. And, the study concluded that on the property of lyrics, Sijo’s Form settlement goes through expansion process by intertextuality.

      • KCI등재

        문인수의 시에서 ‘동백’과 ‘염소’, 그리고 ‘기러기’의 시적 변주 - 하위갈래 간의 경계 넘기

        염창권 ( Yeom Chang-gwon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3

        서정장르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특성은, “동화, 투사, 회감” 등의 방식으로 주체와 대상 세계가 통합되거나 분열된다는 점이다. 가치판단에 있어 언제나 주체 우위이며, 주체 스스로가 내린 반성적 사고에 의하지 않는 한 주체의 목소리는 부정되지 않는다. 성인문학(시, 시조)과 아동문학(동시, 동시조)은 소통에 참여하는 대상에 따라 갈래 분화가 이루어지므로, 세계관의 변화에 비견될 만큼 내용 면에서 큰 차이를 가져온다. 시(자유시)와 시조(정형시) 간의 차이점은 ‘율격적 규칙’이라는 형식적 규약의 사용 유무에서 발견할 수 있다. 세계관의 차이라기보다는 표현의 양식적 차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갈래 간의 경계 넘기가 용이해진다. 문인수의 시에서는 ‘시적 자질’이 하위갈래의 차별화 요소를 압도하는 양상을 보인다. 그에 따르면 공통적 특성으로 언급되는 시적 발상의 성공 여부가, 갈래 넘어서기에서 성공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the lyrical genre is that the subject and object worlds are integrated or divided in the ways such as “assimilation, projection, and unification”. The lyrical subject always has the upper hand in value judgment, and the subject's voice is not denied unless it is based on his own reflective thinking. As adult literature(poetry, Sijo) and children's literature (children's poetry, children's Sijo)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oetic subject involved in communication, the difference in content is so great that it is comparable to the change in worldview. The difference between poetry(freeform poetry) and Sijo(Korean sonnet) can be found in the use of formal conventions called ‘formal rules’. This is a difference in the style of expression rather than a difference in worldview, making it easier to cross the boundaries of sub-genres. In Insu Moon's poetry, the 'poetic qualities' overwhelm the differentiating factors of the sub-genre. According to him, the success of the poetic idea, which is considered a common characteristic, is successfully expanded even in crossing the boundaries of sub-gen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