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지하와 안병무로부터 파생된 고정희 ‘살림’의식과 계보학적 접근

        염선옥 국제한인문학회 2022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3

        고정희(高靜熙, 1948~1991)의 ‘살림’ 정신을 제안하고 그의 후기 시에 드러난 민중을 검토함으로써, 고정희에게 ‘살림’이 끼친 민중 의식이 최종적인 심급에서 어떤 모습으로 드러나는지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민중, 여성, 기독교 세 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시 분석에 치우쳐 있던 종래 방식을 지양하고 세 개의 키워드를 통합하면서 동시에 여태 제출되지 않은 ‘살림’이 끼친 민중 의식을 살펴, 일원론적 통합체로서의 민중에 관한 유의미한 지점을 발견하고자 함이다. 1980년대 그가 주력한 <또 하나의 문화>나 『여성신문』 활동과 시적 활동이 여성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읽히는 부분과 여성주의적으로 그의 시를 전유하려는 상황이 한 몫 거들어 그의 민중 의식이 총체적 안목으로 읽히지 못하는 결과를 낳았다. 고정희의 민중 의식은 기독교 텃밭이자 항쟁의 터인 해남에서 배태되었고 이후 한신대와 한국신학연구소의 안병무‧서남동과 한완상‧김지하를 사숙하면서 변주되어 전경화되었다. 고정희의 ‘살림’ 의식은 스승 안병무에게서 직간접적으로 받은 영향이 크다. 그러나 안병무의 살림 의식 본령이 김지하의 사유에 근거한다는 점에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다. 고정희는 안병무의 기독교적 세계관과 그의 ‘살림’ 의식을 살펴 민중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고 여성 민중 내부에 자리한 고질적 계급 질서를 발견했다. 또한 고정희는 김지하의 밥과 생명 정신을 통해 살림의 정신을 파악하고 괄호 안에 놓인 여성 민중과 여성 문학인의 현주소를 파악했다. 이를 통해 그는 대자적 여성 민중과 여성 문학인으로 나아간다. 말년에 보여준 시적 결과물과 삶의 자취는 살림 정신의 요체이자 정수다. 고정희의 여성 민중은 김지하의 ‘살림’과 민중 의식을 변증법적으로 검토하여 완성된 개념이라는 점에서, 고정희의 민중의식을 살피기 위해 김지하와 안병무의 ‘살림’과 민중을 검토해 그들의 것과 어떤 층위에서 인접하고 분리되는지 살펴야 한다. 고정희는 김지하와 안병무의 살림은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설명된다는 점, 죽음과 죽임의 역사가 개인의 죽음 사건이 아닌 민중의 사건임을 환기하며 죽음이 씨앗이 되어 민중을 대자적 주체로 나아가게 했다며 ‘살림’을 검토했다. 고정희는 김지하와 안병무를 검토하여 그들의 민중 속에 여성 민중이 부재함을 발견해냈고 그것이 기실 사회‧정치적 맥락 외에도 여성 민중의 즉자적 태도에 문제가 있었음을 찾아냈다. 그러므로 김지하·안병무·고정희 세 층위에서 ‘살림’을 살피는 일은 그들의 ‘살림’ 의식이 고정희의 ‘민중’을 어떻게 형상화했는가를 살피는 일이자 고정희의 기독교‧민중‧여성을 통합적 안목으로 바라보는 작업이다.

      • KCI등재

        고정희 시에 나타난 민중의식의 태동과 심상지리

        염선옥 동학학회 2022 동학학보 Vol.- No.6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beginning of consciousness about the ‘people’ and the topography of the public view in Koh Jeong-hee’s poetry. Poet Koh Jeong-hee’s work of examining the consciousness about the people is to identify the poetic speaker she has been using as a subject and to understand how the subject of the people was formed. When it comes to Koh Jeong-hee, she has grasped her poems by using Christian worldviews, women, and (Gwangju) people as filters. Koh Jeong- hee confessed that the content of life had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opography. Gwangju, Suyu-ri, and <Another Culture>. Researchers have begun to examine her people around 3 filters above, but these led to the submission of fragmented results rather than integrating her public consciousness. Such discourses can be recognized as important research achievements in that they originated from her confession, but since human existence is completed based on the fundamental sense of attribution in space and place, grasping the public consciousness of fixedness in the absence of place studies on Haenam and Heterotopia Mt. Jiri. I would like to examine Haenam and Mt. Jiri, which have not been discussed in research on Koh Jeong- hee, in relation to “the consciousness about the people.” For Koh Jeong-hee, the spiritual and maternal spaces were Haenam and Mt. Jiri, but this study began in that there was almost no research on Haenam and Mt. Jiri. Koh Jeong-hee’s public consciousness was not established in a confrontational structure that examines the otherized female people in the male-centered ideology. Her public consciousness meant the atomization of domination and governance that distinguished it from the distinction, and later, in addition to Ahn Byung-moo’s “Jacob Story” or “Sara Story,” which discusses liberation from vested interests, it is summarized in a way that urges the liberation of the immediate female people. This is a method of seeking the people excluded in a way of memory and anti-memory, that is, a method of urging from Being in itself(卽自) to Being for itself(對 自). Prior to the discussion that there was the birth of people’s consciousness based on Suyu-ri, looking at the cultural and social environment of Haenam and Mt. Jiri and looking at Koh Jeong-hee’s public consciousness, which has been discussed so far. 본고는 고정희 시에 나타난 민중의식의 태동과 그 심상지리를 파악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고정희 시인의 민중의식을 살피는 작업은 그가 소재로 삼아왔던 시적 화자를 파악하고 민중의 주체가 어떻게 형성되 었는지 파악하는 일이다. 고정희 하면 기독교적 세계관, 여성, (광주) 민중을 필터 삼아 그의 시를 파악해 왔다. 고정희는 지형 변화에 따라 삶의 내용이 달라졌다고 고백한 바 있다. 광주와 수유리, <또 하나의 문화>가 그것이다. 연구자들은 이를 중심으로 그의 민중을 살피기 시 작했으나 이로 인해 그의 민중의식이 통합되기보다는 파편화된 결과물 을 제출하기 시작했다. 그러한 담론들이 그의 고백을 토대로 비롯되었 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 성과로 인정될 수 있으나 공히 인간의 존재는 공간과 장소에 존재하는 근원적인 귀속감을 기초로 정체성이 완성되기 때문에, 고정희가 나고 자란 땅 해남과 헤테로토피아로 여기던 지리산 에 관한 장소 연구가 부재한 가운데 고정의의 민중의식을 파악하는 것 은 파편적으로 그의 민중의식의 조직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간 고정 희 시에 관한 연구에서 논의되지 못한 해남과 지리산을 ‘민중의식’과 관련해 살펴보고자 한다. 고정희에게 정신적 공간이자, 모성애적 공간은 해남과 지리산이었으나 해남과 지리산의 연구가 거의 전무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고정희의 민중의식은 남성 중심 이데올 로기에서 타자화된 여성 민중을 살피는 대립적 구도에서 발족된 것이 아니다. 그의 민중의식은 구분과 구별을 이루는 지배와 피지배 구조의 무화를 의미했고, 이후 기득권자로부터의 해방을 논하는 안병무의 ‘야 곱 이야기’나 ‘사라 이야기’에 더해져 즉자적 여성 민중의 해방을 촉구 하는 방식으로 정리된다. 이는 기억과 반기억의 방식으로 배제된 민중 을 찾으며, 즉자적 민중에서 대자적 민중으로의 촉구의 방식이다. 수 유리를 거점으로 민중의식의 태동이 있었다는 논의에 앞서 해남과 지 리산이라는 공간과 장소의 문화적, 사회적 환경을 살펴 고정희의 민중 의식을 살피는 것은 그간 논의된 고정희의 민중의식을 하나로 통합하 는 데 장을 마련하는 일이라고 본다.

      • KCI등재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기억하는 문화적․문학적 방식: 고정희 시와 ‘국풍81’을 중심으로

        염선옥 한국종교교육학회 2022 宗敎敎育學硏究 Vol.68 No.-

        본 연구는 70~80년대 안팎을 살펴 고정희의 시적 실천 방식, 그중에서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지우려는 ‘국풍81’에 대항하는 독특한 방식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 고정희의 정치 참여시는 한신대와 기독교계의 세속화와 연관이 있으므로 먼저 살피고 이후 광주민주화운동의 흔적을 지우려는 ‘국풍81’에 대항하는 고정희의 방식을 알라이다 아스만의 저작을 통해 고찰했다. 기독교적 세계관, 민중과 여성해방이라는 키워드 외에도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기억하는 독보적 시인으로 간주되는 고정희임에도 불구하고 국가가 기억을 지우는 방식에 대하여 각인의 방식을 살핀 연구가 미진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고정희가 한신대에 입학하던 1975년 전후는 국가의 경제 사회적으로도 민주화, 자본주의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시기였을 뿐만 아니라 막강한 공권력의 이름을 얹어 기독교계 탄압과 민중 탄압 그리고 언론 통제가 자행되던 시기였다.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이 있은 지 1년 뒤, 국가는 ‘국풍81’을 KBS 한국방송공사 주관으로 진행했다. ‘국풍81’을 통해 5․18 광주민주화운동 추모식 집중을 막고 진실과 ‘기억을 지우는 방식’으로 전통과 언론을 수단 삼았다. 다시 말해 ‘국풍81’은 정치적 목적을 숨긴 국가적 차원의 ‘축제’였다는 점이다. 연구 결과, 국가가 집단 기억을 지우는 방식에 고정희가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기억하는 방식’으로 맞불을 놓았고 초석을 세웠다는 것이다. 그 이후 문학계 및 문화계가 각기 다양한 목적과 방식으로 5․18 기억을 소환해왔고 문화적․문학적 기억의 기념비가 되었을 뿐 아니라 집단 ‘기억’의 중추적 역할을 하게 했다. 문학계와 문화계의 기억 소환 방식이나 기억의 양각화에 관한 비교 논의는 이후 연구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 KCI등재

        ‘이월가치’ 생산 조건으로서의 『창작과비평』(제1기)과 작품 연구33) ― 이호철, 서기원, 이청준, 방영웅의 첫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염선옥 국제한인문학회 2020 국제한인문학연구 Vol.28 No.-

        본고는 기존 잡지의 틀을 전면 재배치한 잡지 『창작과비평』의 가치를 평가 하고, 당대에 『창작과비평』이 ‘이월가치’를 지닌 작품을 생산해내는 매체로 사용되었음을 백낙청의 글과 수록된 작품을 토대로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 방영웅의 『분례기』, 서기원의 「아리랑」,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같 은 작품을 ‘이월가치’를 지닌 작품으로 평가하고 연구하는 것이 의미 있는가 라는 의문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공히 풍경의 성립은 체계적이고 방대한 영 역에서 진행된 변동을 동반해야 생산된다. 이미 ‘결정’된 풍경이 있다는 것, 다양한 분석이 가능한 대상이 되었다는 것이 ‘이월가치’를 획득했다는 반증이 아닐 수 없다. 『창작과비평』은 ‘이월가치’ 개념을 통해 그동안 정전의 목록에 오르려면 거 쳐야 하는 단계들을 간소화했고 신인도 충분히 정전대열에 합류할 수 있도록 했다. 1966년 『창작과비평』에 소설을 수록한 이청준은 1965년 『사상계』에서 「퇴원」으로 신인문학상을 받은 신인 작가이며, 방영웅은 『창작과비평』 통권 6~8호에 장편을 연재하면서 등단한 신인이다. 1955년 『문학예술』 7월호에 「탈향」으로 등단한 이호철은 초기 고향 상실에서 비롯된 작가적 체험을 재현 했지만, 60년대부터 전후(戰後) 남북한의 실상과 이데올로기를 둘러싼 단편을 창작하기 시작했다. 『창작과비평』 창간호에 수록된 이호철의 「고여 있는 바닥 ―어느 理髮所에서」는 전후 남북한 소시민들의 심상 지리를 적나라하게 보여 주며, 자기 검열하는 시대상을 적시한다. 오늘날 이호철의 문학적 가치를 대 표하는 작품의 탄생이 『창작과비평』으로 견인되었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창작과비평』은 뛰어난 신인의 작품을 선별, 이를 감상할 수 있 도록 만드는 풍경과 사회적 담론을 동시에 제시해 이들 작품에 ‘이월적 가치’ 를 부여함으로써 정전이라는 감상공간의 대열에 올라설 수 있도록 했다. 이어 『창작과비평』은 기존 잡지 형태를 완전히 바꿈으로 인식의 틀, 미학 적 담론, 실천의 장으로 역할을 하면서, 사회와 인간 삶의 리듬과 조응하는 매체 플랫폼의 변화를 가져온다. 편집체계에 변화를 단행, 정태적이며 평면적 인 잡지가 아닌 동적이며 입체적 공간으로 잡지들의 이월적 가치를 지닌 ‘모 델’이 되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value of the magazine Creation and Criticism, which completely rearranged the framework of the existing magazines and to evaluate it on the basis of Baek Nak-cheong’s writings and works contained in the magazine, saying that Creation and Criticism was used as a medium for producing works with ‘carry-over value’. One might wonder if it is meaningful to evaluate and study works with carry-over value such as Bang Young-woong’s Bunyegi, Seo Gi-won’s Arirang, and Lee Chung-joon’s Byeongshin and Idiot, which are sufficiently composed of audiences and can be analyzed. The reputation is produced only when accompanied by systematic and extensive changes. The fact that there is already a “decided” landscape in Creation and Criticism and that it has been subject to various analyses is proof that it has already acquired a “carry-over value.” Creation and Criticism simplifies the steps that must be taken in order to be on the list of canon through the concept of ‘carry-over value’, and allows the less experienced or new writers to sufficiently join the canon. Lee Chung-jun, who included his novel in Creation and Criticism in 1966, won the New Literary Award in 1965 in Sasang-Gye , and Bang Young-woong started his literary career by publishing a series of novels in Creation and Criticism in six to eight volumes. Lee Ho-cheol, who started his career as Escape from the hometown in 1955, recreated the writer’s experience that originated from the loss of his hometown in the early years, and began to create short stories about the citizens’ mental geography surrounding the realities and ideologies of the two Koreas before and after the 1960s. Lee Ho-cheol’s A Pooled Floor―at a Barber’s Shop in the first issue of Creation and Criticism clearly showed the mental geography of the citizens on the settlement of ideology between the two Koreas after the Korean war and indicated the era of self-censorship. It is worth remembering that the birth of a work representing the literary value of Lee Ho-cheol today was towed to Creation and Criticism. Creation and Criticism selected the works of outstanding new writers or less experienced writers, and presented landscapes and social discourses that enabled them to appreciate them at the same time, giving them ‘carry-over value’, so that they could reach the ranks of canon. Creation and Criticism then brings about changes in the media platform that adjusts with the rhythm of society and human life, serving as a venue for recognition, aesthetic discourse and practice by completely changing the existing magazine form. Creation and Criticism has become models for today’s magazines not as a static and flat magazine but as a dynamic and three-dimensional space.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의 사이언스픽션 속 AI 표상 분석 ― 박금산의 『AI가 쓴 소설』과 2010년대 SF 작품을 중심으로

        염선옥 국제한인문학회 2024 국제한인문학연구 Vol.0 No.39

        이 글은 2010년대 이후 출간된 사이언스픽션에 나타나는 인간-아닌 대지의 타자들을 레비나스의 향유와 환대, 윤리의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 포스트휴먼의 현주소와 문제의식, 화해 가능성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0년대는 AI 와 의 공존과 공생을 공식화한 해이기도 한 만큼 국내에서도 다양한 캐릭터들이 쏟아졌다. 이 글에서는 박금산의 『AI가 쓴 소설』을 중심으로 하고 윤이형의 『러 브 레플리카』(문학동네, 2016) 에 수록된 「대니」와 천선란의 『천 개의 파랑』(허블, 2020), 정소연의 「옆집의 영희 씨」(창비, 2015), 김보영의『멀리 가는 이야기』( 행복한책읽기, 2010) 에 수록된 「종의 기원」을 살폈다. 진리가 신에서 인간으로 옮겨 오면서부터 인간은 지식과 경험, 수학적 도구를 이용해 산업혁명과정보혁명, 생명공학의 혁명을 이루었다. 유발 하라리는 인류의 과학기술 종교가“인간의 성능을 높이는 기술”( 호모 데우스) 을 창조해야 한다고 주장하거나 인간-아닌 타자의 출현을 예고한 바 있다. 1장에서는 다양한 몸에 대한 담론과 포스트휴먼에 관한 연구 방식이 어떻게 진행됐는지를 통해 향후 연구의 방향을 확인했고 2장에서는 레비나스의 ‘향유’ 개념을 통해 윤이형의 「대니」, 정소연의「옆집의 영희 씨」, 박금산의『AI 가 쓴 소설』을 살폈다. 인간-아닌 대지의 타자들이 향유의 주체가 된다면, ‘ 나’ 의 존재를 존재하게 하는 윤리적 타자로 이들을 볼 수 있음을 확인했다. 모라벡은 인간의 본질을 정보로 보고 컴퓨터 속 데이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몸’ 없이 정보화된 ‘ 인간’ 은 향유할 수없는 나쁜 ‘ 몸’ 인가. 인간의 ‘ 몸’에 대한 판단 중지와 포스트휴먼이 타자가 아닌‘ 주체’ 의 문제임을 확인했다. 레비나스에 따르면 ‘ 몸’으로 우리는 요소의 세계를 향유할 수 있다. 그렇다면 포스트휴먼의 ‘ 몸’은 향유의 주체가 될 수 없는가? ‘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을 끌어온 도나 해러웨이는 이원론적 지배구조에서 벗어나야 인간-아닌 대지의 타자와 공생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포스트휴먼 캐릭터가 등장하는 텍스트에서는 여전히 인간중심주의의 위계적 이항대립 질서가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 비판과 대안을 모색하려 했다. 3장에서는 인간 중심의 위계적 문화 방식이 가져오는 모순을 박금산의『AI 가 쓴 소설』, 김보영의 「종의 기원」을 통해 살폈다. 문화란 절대적이지도 않으며 불변의 것도아니어서 언어 역시 시대를 반영하는 형태로 변화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확인하였고 인간 중심의 ‘우리의 시대’ 가 아닌 ‘ 반딧불의 잔존’ 처럼 너머의 존재를 인정하여 혼종의 사회로 나아가야 함을 고찰했다. 4장에서는 레비나스의 환대 개념과 ‘ 윤리’ 적 측면을 중심으로 천선란의 『천 개의 파랑』과 김보영의 「종의 기원」, 박금산의 『AI 가 쓴 소설』, 정소연의 「옆집의 영희 씨」를 살폈다. 소설 속포스트휴먼과 휴먼, 장애와 비장애, 인간과 비인간의 검토는 윤리적 측면이지 ‘ 몸’ 이 아니라는 것을 고찰했다. 레비나스가 말한 것처럼 타자는 ‘ 나’ 의 존재를 증명하고 존재하게 하는 존재다. 여전히 서사 속 포스트휴먼의 ‘ 몸’은 푸코 방 식으로 보자면 정치적이고 계급적이며, 젠더적으로 배제되거나 소외된 채 자유 롭지 못한 상태였다. 그러나 이들과의 화해를 모색하고 공생의 가능성을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non-human earthly others in the science fictions published since the 2010s, focusing on Levinas’s concepts of jouissance, hospitality and ethics, and to discuss the current status of posthumans and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As the 2010s was also the year when coexistence and symbiosis with AI were formalized, various characters were released in Korea as well. In this article, we will focus on Park Geum-san’s Novel Written by AI, Yun Yi-hyung’s Danny in Love Replica (Munhakdongne, 2016), Cheon Seon-ran’s A Thousand Blues (Hubble, 2020), Jeong So-yeon’s Next Door Mr. Younghee (Changbi, 2015) and Kim Bo-young’s The Origin of Species in A Story of Going Far (Happy Reading, 2010). Since the truth moved from God to humans, humans have used knowledge, experience, and mathematical tools to achieve the industrial revolution, information revolution, and biotechnology revolution. Yuval Harari argued that humanity’s science, technology, and religion should create “technology that enhances human performance”(Homo Deus) or predicted the emergence of non-human others. In Chapter 1,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as identified through how the discourses on the‘body’ and research methods on the posthuman have progressed. In Chapter 2, we looked at Yun I-hyung’s Danny, Jeong So-yeon’s Next Door Mr. Younghee, and Park Geum-san’s Novel Written by AI through Levinas’ concept of ‘Jouissance’. It was confirmed that if non-human earthly others become subjects of jouissance, they can be seen as ethical others who bring the existence of ‘I’ into existence. Moravec viewed the essence of humans as information and said that they could become data in a computer. So, is an informationized ‘human’ without a ‘body’ a bad ‘body’ that cannot be enjoyed? We confirmed that we had to stop judging the ‘body’ and that posthumanity is a matter of the ‘subject’ rather than the other. According to Levinas, we can enjoy the world of elements through the ‘body’. Then, can’t the posthuman ‘body’ be the subject of enjoyment? Donna Haraway, who brought up critical posthumanism, argued that symbiosis with the non-human earthly others is possible only when we break away from the dualistic governance structure. In the texts featuring posthuman characters, we could see that the hierarchical binary opposition order of anthropocentrism still appears strongly, and we attempted to criticize it and seek alternatives. In Chapter 3, the contradictions brought about by the human-centered hierarchical cultural method were examined through Park Geum-san’s Novel Written by AI and Kim Bo-young’s The Origin of Species. Culture is neither absolute nor immutable, so we confirmed the necessity that language should also change in a form that reflects the times and we also recognized the existence of the beyond like the remnants of fireflies, rather than the human-centered ‘our era’. In Chapter 4, focusing on Levinas’s concept of hospitality and ethical aspects, I have studied Cheon Seon-ran’s A Thousand Blues, Kim Bo-young’s The Origin of Species, Park Geum-san’s Novel Written by AI, and Jeong So-yeon’s Next Door Mr. Young-hee. We considered that the examination of posthuman and human, disability and non-disability, human and non-human in these novels is an ethical aspect, not a ‘body’. As Levinas said, the other is a being that proves the existence of ‘I’ and makes it exist. Still, in the Foucaultian way, the posthuman ‘body’ in the narrative was political, class-based, and gender-excluded or alienated and was not free. However, it became an opportunity to seek reconciliation with them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By continuing to pay attention to posthuman discourse and character analysis, we will expand the literary...

      • KCI등재

        ‘이월가치’ 생산 조건으로서의 『창작과비평』(제1기)과 작품 연구33) ― 이호철, 서기원, 이청준, 방영웅의 첫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염선옥 국제한인문학회 2020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28

        본고는 기존 잡지의 틀을 전면 재배치한 잡지 『창작과비평』의 가치를 평가 하고, 당대에 『창작과비평』이 ‘이월가치’를 지닌 작품을 생산해내는 매체로 사용되었음을 백낙청의 글과 수록된 작품을 토대로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 방영웅의 『분례기』, 서기원의 「아리랑」,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같 은 작품을 ‘이월가치’를 지닌 작품으로 평가하고 연구하는 것이 의미 있는가 라는 의문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공히 풍경의 성립은 체계적이고 방대한 영 역에서 진행된 변동을 동반해야 생산된다. 이미 ‘결정’된 풍경이 있다는 것, 다양한 분석이 가능한 대상이 되었다는 것이 ‘이월가치’를 획득했다는 반증이 아닐 수 없다. 『창작과비평』은 ‘이월가치’ 개념을 통해 그동안 정전의 목록에 오르려면 거 쳐야 하는 단계들을 간소화했고 신인도 충분히 정전대열에 합류할 수 있도록 했다. 1966년 『창작과비평』에 소설을 수록한 이청준은 1965년 『사상계』에서 「퇴원」으로 신인문학상을 받은 신인 작가이며, 방영웅은 『창작과비평』 통권 6~8호에 장편을 연재하면서 등단한 신인이다. 1955년 『문학예술』 7월호에 「탈향」으로 등단한 이호철은 초기 고향 상실에서 비롯된 작가적 체험을 재현 했지만, 60년대부터 전후(戰後) 남북한의 실상과 이데올로기를 둘러싼 단편을 창작하기 시작했다. 『창작과비평』 창간호에 수록된 이호철의 「고여 있는 바닥 ―어느 理髮所에서」는 전후 남북한 소시민들의 심상 지리를 적나라하게 보여 주며, 자기 검열하는 시대상을 적시한다. 오늘날 이호철의 문학적 가치를 대 표하는 작품의 탄생이 『창작과비평』으로 견인되었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창작과비평』은 뛰어난 신인의 작품을 선별, 이를 감상할 수 있 도록 만드는 풍경과 사회적 담론을 동시에 제시해 이들 작품에 ‘이월적 가치’ 를 부여함으로써 정전이라는 감상공간의 대열에 올라설 수 있도록 했다. 이어 『창작과비평』은 기존 잡지 형태를 완전히 바꿈으로 인식의 틀, 미학 적 담론, 실천의 장으로 역할을 하면서, 사회와 인간 삶의 리듬과 조응하는 매체 플랫폼의 변화를 가져온다. 편집체계에 변화를 단행, 정태적이며 평면적 인 잡지가 아닌 동적이며 입체적 공간으로 잡지들의 이월적 가치를 지닌 ‘모 델’이 되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value of the magazine Creation and Criticism, which completely rearranged the framework of the existing magazines and to evaluate it on the basis of Baek Nak-cheong’s writings and works contained in the magazine, saying that Creation and Criticism was used as a medium for producing works with ‘carry-over value’. One might wonder if it is meaningful to evaluate and study works with carry-over value such as Bang Young-woong’s Bunyegi, Seo Gi-won’s Arirang, and Lee Chung-joon’s Byeongshin and Idiot, which are sufficiently composed of audiences and can be analyzed. The reputation is produced only when accompanied by systematic and extensive changes. The fact that there is already a “decided” landscape in Creation and Criticism and that it has been subject to various analyses is proof that it has already acquired a “carry-over value.” Creation and Criticism simplifies the steps that must be taken in order to be on the list of canon through the concept of ‘carry-over value’, and allows the less experienced or new writers to sufficiently join the canon. Lee Chung-jun, who included his novel in Creation and Criticism in 1966, won the New Literary Award in 1965 in Sasang-Gye , and Bang Young-woong started his literary career by publishing a series of novels in Creation and Criticism in six to eight volumes. Lee Ho-cheol, who started his career as Escape from the hometown in 1955, recreated the writer’s experience that originated from the loss of his hometown in the early years, and began to create short stories about the citizens’ mental geography surrounding the realities and ideologies of the two Koreas before and after the 1960s. Lee Ho-cheol’s A Pooled Floor―at a Barber’s Shop in the first issue of Creation and Criticism clearly showed the mental geography of the citizens on the settlement of ideology between the two Koreas after the Korean war and indicated the era of self-censorship. It is worth remembering that the birth of a work representing the literary value of Lee Ho-cheol today was towed to Creation and Criticism. Creation and Criticism selected the works of outstanding new writers or less experienced writers, and presented landscapes and social discourses that enabled them to appreciate them at the same time, giving them ‘carry-over value’, so that they could reach the ranks of canon. Creation and Criticism then brings about changes in the media platform that adjusts with the rhythm of society and human life, serving as a venue for recognition, aesthetic discourse and practice by completely changing the existing magazine form. Creation and Criticism has become models for today’s magazines not as a static and flat magazine but as a dynamic and three-dimensional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