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언어재활 환경에서의 AAC 평가 사례 보고:뇌병변 유아를 중심으로

        연석정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7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5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often require a comprehensiv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ssessment to optimize their communication.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the AAC assessment process in a speech-language clinical setting and analyzes a case report of a young child with cerebral palsy. Method: This study first presents the AAC assessment process, including the following: case history; language and communication assessment; symbol assessment; device trial; alternative access; multi-modality approach; and AAC instruction. This study then presents a case report on a young child with cerebral palsy. Results: The young child with cerebral palsy spontaneously initiated her communicative intensions after AAC intervention. Conclusion: For developing the appropriate AAC system, the overall AAC assessment process is required. 배경 및 목적: 복합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필요와 요구에 맞는 AAC 체계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평가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뇌병변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전반적인 AAC 평가과정과 AAC 적용 이후의 의사소통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언어재활 환경에서 AAC 적용을 위해 실시하는 언어 및 의사소통 평가, 대체접근 평가, 다양한 양식 평가, AAC 설명, 상징평가, 및 도구의 시범 적용의 전반적인 AAC 평가과정을 설명하였고, 뇌병변 유아의 평가 결과 및 AAC 적용 이후의 아동의 반응을 제시하였다. 결과: 본 사례의 유아는 AAC 평가과정을 통해 적절한 AAC 체계가 적용되었고 이후 놀이상황에서 자발적인 선택하기와 의사소통 시도가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대상자에게 맞는 AAC 체계 적용을 위해서는 전반적인 AAC 평가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복합 의사소통 요구가 있는 아동의 의사소통적 상호작용 능력을 촉진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성인기 발달장애인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에서 필요한 팬데믹 상황 어휘와 그림상징 개발

        연석정,김정연,박은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3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11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andemic situational vocabulary and graphic symbols needed in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validate them. Methods: FGI(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amili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rofessionals working with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explore the need for developing AAC vocabulary and graphic symbols. A vocabulary list was developed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graphic symbols were developed. The vocabulary and graphic symbols were evaluated for validity by 20 family member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pecial educator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10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ults: The FGI results indicated a need to develop vocabulary and graphic symbols for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participation in telepractice activities and self-care, as well as home, time, date, weather, work life, and emotional expression. Design guidelines for graphic symbols were developed, graphic symbols were developed through a council of illustrators, and some vocabulary for movement and motion was developed as graphics interchange format (GIF) symbols. The suitability of the developed graphic symbols was validated.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AAC graphic symbols representing infection-specific prevention, telepractice activities, and social networking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in the pandemic era. 배경 및 목적: 본 연구 목적은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에서 필요한팬데믹 상황어휘와 그림상징을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방법: 발달장애인 가족, 발달장애 관련 종사자, 언어재활사 및 특수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FGI 실시하여 AAC 어휘와 그림상징 개발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았고, 내용분석 통해 어휘목록 도출 후 그림상징을 개발하였다. 이후 발달장애인 가족, 언어재활사, 및 특수교사 20 명, 발달장애인 당사자 10 명을 대상으로 어휘타당도와 그림상징 타당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FGI 결과 감염병 예방, 비대면 활동 참여, 자기관리와 주거환경, 시간, 날짜와날씨, 직장생활과 감정표현의 어휘와 그림상징 개발의 요구가 나타났다. 그림상징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일러스트 디자이너 협의회를 통해 그림상징을 개발하였으며, 동작 표현, 움직임을 나타내는 일부 어휘는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형식의 그림상징으로 개발하였다. 개발한 그림상징은 타당도 검증을 통해 적합성을 평가받았다. 논의 및 결론: 전 세계적인 팬데믹 시대에 감염병 예방, 비대면 활동, SNS 등을표상하는 AAC 그림상징 개발은 활용의 기대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이화-AAC 상징체계의 상징투명도와 명명일치도 특성 비교연구: 명사, 동사, 형용사를 중심으로

        연석정,김영태,박은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6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4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described the preliminary outcome data of transparency and name agreement of Korean Ewha-AAC Symbols, developed for individuals who speak Korea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ddress the following question: Is there any difference as a type of grammatical classes(noun, verb, and adjective) on percent correct transparency and name agreement? Method: Twenty individuals who speak Korean composed of preschool children with normally developing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e experimental task, a total of 66 items (26 nouns, 23 verbs, and 17 adjectives) wereselected from list of words frequently used by young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each target symbol on 3×2 inch card at a time. Each participants were asked to guess the meaning of the symbols. Results: For transparency, Ewha-AAC symbols representing nouns were more transparent than symbols representing verbs and adjectiv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erbs and adjectives. For name agreement, Ewha-AAC symbols representing nouns were named more accurately than symbols representing verbs and adjectives. And symbols representing verbs were named more accurately than symbols representing adjectives.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어휘 품사에 따른 이화-AAC 상징체계의 상징투명도와 명명일치도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으로 3세~6세 사이의 취학전 일반아동 20명이 참여하였고, 연구과제로 상징 이름대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상징은 명사, 동사, 형용사를 표상하는 총 66개의 이화-AAC 상징을 사용하였으며, 어휘 품사에 따른 상징투명도와 명명일치도 비교분석을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결과 상징투명도의 경우 명사의 상징투명도가 동사나 형용사의 상징투명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사와 형용사간의 상징투명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명명일치도의 경우 명사의 상징 명명일치도가 동사나 형용사의 상징 명명일치도와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사의 상징 명명일치도가 형용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어휘품사에 따른 이화-AAC 상징체계의 상징투명도와 명명일치도 특징을 제시하였으며, 동사와 형용사의 상징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그림상징에서 글자상징 체계 전이를 위한 자폐범주성장애 청소년의 AAC 중재 사례 연구

        연석정,이영미,서현정,이주영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8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6 No.2

        배경 및 목적: 최소발화 자폐범주성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의 적용이 제안되고 있다. 방법: 본 연구는 자폐범주성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림상징에서 글자상징체계 전이를 위한 글자상징 학습 중재를 실시하여글자상징 이해 정확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학습한 상징체계를 기반으로 의사소통판을 제작하여 스크립트 맥락에서 AAC 의사소통 중재를 실시하여 의사소통 성공률의변화를 살펴보았다. 결과: 사전-사후 평가 결과 글자상징체계 이해 정확도가 중재 전에비해 중재 이후에 명사, 동사, 문장에서 모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크립트활동에서 의사소통 성공률도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자폐범주성장애 청소년에게 그림상징에서 글자상징체계로의 전이를 위한 중재효과가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글자상징 기반의 AAC 체계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살펴볼 수있었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is needed to improve the social communication ability of minimally verbal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o the text-symbol learning intervention for picture-text symbol transition in the AAC intervention for 15 year-old adolesc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Method: We examined the change of accuracy of text-symbol comprehension abilities and picture-text symbol matching abilities and the change of correct communication behaviors using by text-symbols, gestures, and vocalizations. Results: The pre-post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accuracy of the text-symbol comprehension and picture-text matching abilities was improved in nouns, verbs, and sentences after intervention. Communication behaviors using by text symbols, gestures, and vocalizations also tend to increase in the script context. Conclusion: There was positive effects on symbol learning intervention for the transition from the picture-based symbol to the text-based symbol system for the adolesc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KCI등재

        한국어 기반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분석 연구

        연석정(Yeon, SeokJeo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AAC 중재 시 대상자에 적절한 앱을 찾을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자 국내에서 개발된 한국어 기반의 AAC 모바일 앱의 기술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주요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애플의 iOS 기반의 모바일 앱을 검색하여 총 15개의 한국어 기반의 AAC 모바일 앱을 선정하였으며, AAC 체계 유형, 운영 체계, 상징유형, 음성 출력, 디스플레이, 피드백, 속도향상 전략, 접근기법 및 운동에 대한 분석기준과 세부 분류체계로 AAC 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 한국어 기반의 AAC 앱 가운데 그림상징형의 앱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운영 체계는 안드로이드 기반 앱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상징형 앱에서 사용한 상징유형은 대부분 개발사에서 자체 제작한 그림상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한국형 상징타당성이 검증된 그래픽 그림상징체계는 이화-AAC 상징체계가 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출력은 합성음성 기반이 많았으며, 역동형 디스플레이와 시․청각적 피드백, 메시지 피드백 기능제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접근기법은 대부분은 터치(눌렀다떼기)의 직접선택이 많았으며 스캐닝 기능도 다양한 앱에서 사용이 가능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로 특수교육 및 언어재활 현장에서 대상자에게 맞는 AAC 모바일 앱을 선정을 위한 주요 특징을 제시하였고, 추후 AAC 앱 개발관련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Purpose: To select the best matching apps for people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so that special educator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or AAC specialists should know the available AAC apps and should be able to compare the technology options for AAC app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key features of Korean-based AAC mobile applications and presented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app’s specifications. Method: For this purpose, a review of 15 Korean AAC mobile applications which me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as conducted. The key features(AAC system type, operating system, symbol type, speech output, display, feedback, rate enhancement, and access op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pictureand android-based AAC apps were the most commonly available in Korea. TTS-based synthesized speech, dynamic display, visual feedback, bookmark and direct selection were also commonly availabl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 critical and fundamental considerations of the AAC apps selection for people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Also, several directions for developing technology options for AAC mobile ap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AAC 그림상징 크기와 수에 따른 일반 아동의 반응속도 특성

        홍서아,연석정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1

        배경 및 목적: AAC 체계는 제한된 구어능력을 보완하고 대체하는 체계로 복합 의사소통장애인이 다양한 사람들과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하게 하고, 많은 활동에 참여를 촉진하고 나아가 독립적인 삶을 촉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5세와 6세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그림상징의 크기와 수에 따른 그림상징 선택 반응속도를 측정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고, 연령, 어휘능력, 비언어성 지능, 반응속도와의 상관관계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참여자는 5세 일반 아동 16명, 6세 일반 아동 17명, 총 33명으로 하였다. 그림상징 크기와 수에 따른 5가지의 AAC 보드를 개발하여 검사자가 말한 그림상징을 선택하게 하여 그 반응속도를 측정하였다. AAC 보드 유형에 따른 집단 간 반응속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령, 어휘능력, 비언어적 지능과 그림상징 선택 반응속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 5세와 6세 집단 간 그림상징 선택 반응속도의 주효과가 유의하였고, 그림상징의 크기와 수에 따른 의사소통 보드 유형에서도 반응속도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연령, 수용어휘능력, 비언어성 지능이 그림상징 크기와 수에 따라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AAC 사용자의 연령, 어휘능력, 및 지능에 따른 AAC 보드 유형을 고려하여 제작 및 제공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복합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AAC 핵심어휘와 개인어휘 특성

        박혜연,연석정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0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8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e vocabulary and fringe vocabular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using the checklist for 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vocabulary selection. Method: Participants were parents of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under 6 years and 11 months. Results: The most frequently-needed vocabulary out of the total 426 words - meal, water, grandmother, dad, mom, brush the teeth, toys, bread, and pee had a response rate of over 90%. The environment with the highest response rate was the home, with preschool having the lowest rate. After analyzing a child’s fringe vocabulary, his or her individual interests, preferences, and unique vocabulary were identified.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AC core vocabulary and fringe vocabulary of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and provided valuable information about frequently-used words and phrases, environmental influence, and children's individual vocabularies.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AAC 어휘선정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복합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AAC 핵심어휘와 개인어휘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복합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보호자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응답에 대하여 체크리스트의 범주별 응답빈도와 비율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전체 426개 핵심어휘 가운데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인 어휘는 ‘엄마’, ‘아빠’, ‘밥’, ‘쉬’로 90%의 응답률이 나타났다. 응답률이 가장 높은 의사소통 환경은 가정환경이었으며, 개인어휘를 통해 아동의 흥미나 관심, 참여활동, 신조어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사용한 AAC 어휘선정 체크리스트가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 연령에 적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또한 연구의 참여자가 아동이 아닌 아동의 보호자였으므로, 응답자의 요구나 주관적 판단이 반영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복합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AAC 핵심어휘와 개인어휘의 특징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한 모바일 앱 분석

        김환희,연석정,이영선,홍기형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3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11

        This study included 37 mobile apps based on the selection procedure and inclusion criteria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based learning and training apps developed to enhance th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se apps were categorized by their learning types, objectives, characteristics, and learner support strateg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these apps focused on improving social skills. Additionally, the evaluation-type was the largest category of learning types. Notably, apps featuring user-customization, i.e., allowing direct data attachment or editing, were most prevalent. Furthermore, the facilitation of sharing or saving learning outcomes was determined to be the primary learner support strategy. Discussions were held based on thes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