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방문요양 서비스의 품질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양보호사 및 사회복지사와의 관계의 다중매개 효과

        조한라,여영훈 한국노인복지학회 2019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11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요양 서비스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품질이 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요양보호사 및 사회복지사의 관계가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방문요양 서비스 이용자 213명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구조모형 분석결과 품질, 요양보호사 관계, 성과 사이의 경로와 품질, 사회복지사 관계, 성과 사이의 경로가 모두 유의하였다. 둘재, Bootstrap 방법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요양보호사와 사회복지사의 관계는 품질과 성과 사이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팬텀변수를 활용하여 요양보호사 관계와 사회복지사 관계 각각의 특정간섭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복지사 관계만 품질과 성과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그동안 노인돌봄 영역에서는 요양보호사와의 관계만 강조되어왔지만 사회복지사화의 관계 및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서도 주목해야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근로장애인의 대인관계능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오지원,여영훈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3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9 No.5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n effects the self-esteem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ir online capabilitie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o informatization.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nd wave of the 2021 Employment Panel for the Disabled, the 6th, and 1,246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responded were the subjects of the study.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moderating effect was appli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was verified by a simple slope test. As control variables, general and job-related variable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digital literacy of the workers with disabilities, the higher the self-esteem. Second, the effect of the workers with disabilities' interpersonal competence on self-esteem had a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digital literacy. And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ability to higher the self-esteem. In that group, digital literacy showed the effect of rapidly increasing self-este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and institutional support measures that can strengthen offlin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online digital literacy competence were suggested to improve self-esteem of the worker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현대사회가 정보화로 급격히 변화하는 가운데, 근로장애인의 타인과 소통하는 능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가 온라인 관련 능력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2021년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 6차 자료를 활용하여, 이에 응답한 근로장애인 1,24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하고, 단순 기울기 검증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통제변수는 일반적 및 일자리 관련 변수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장애인의 대인관계능력 및 디지털 리터러시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았으며, 둘째, 근로장애인의 대인관계능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디지털 리터러시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대인관계능력이 높은 집단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는 자아존중감을 급격히 상승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근로장애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 오프라인의 대인관계능력과 온라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실천 및 제도적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직업선택 동기, 직무만족, 서비스 질의 관계

        이지현,여영훈 한국노인복지학회 2022 노인복지연구 Vol.7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care workers’ job satisfaction in the effect of job selection motivation on service quality. Job selection motivation is divide into three factors; economic motivation, social motivation, self-realization and self-development motivation as suggested by Alderfer’s ERG theory. Based on the 354 responses of care workers recruited by regional quota sampling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in Jeollabuk-do, this study utilized Baron and Kenny’s steps for mediation analysi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social motivation of care workers produces higher job satisfaction. Second, the social motivation of care workers positively affects service quality. Third, job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i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otivation and service qua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re made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of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본 연구는 Alderfer의 ERG이론에 근거하여 직업선택 동기를 경제적 동기, 사회적 동기, 자아실현 및 자기발전 동기로 나누어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직업선택 동기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직무만족이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할당표집을 통한 전라북도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 응답자료 354부를 대상으로 Baron & Kenny(1986)의 단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선택 동기 하위요인 중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동기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동기가 높을수록 서비스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은 사회적 동기와 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COVID-19 시대 소득그룹 간 디지털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 디지털서비스 역량, 인식변화, 이용량변화를 중심으로

        이지현,여영훈,오지원,학해군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3

        우리사회의 급격한 정보화시대로의 변화로 디지털 정보 빈곤 및 정보격차가 중요한 사회문제로 부각된다. 특히 COVID-19로 인해 디지털서비스는 일상생활 영위를 위한 중요조건으로 대두되었고, 정보격차 해소의 효율적 방안 모색을 위해 소득 빈곤과 정보 빈곤의 연관성에 대해 주목할 시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시기, 소득그룹 간 디지털서비스 정보격차가 상이한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디지털서비스 정보격차는 디지털서비스 역량, 인식변화 그리고 이용량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20년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의 일반국민 만 18세 이상 6,521명을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서비스 역량, 인식변화, 이용량변화 모두 고소득, 중간소득, 저소득의 순서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서비스 역량, 인식변화, 이용량변화의 상관계수는 저소득, 중간소득, 고소득의 순서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서비스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직급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소진 영향요인 : Alderfer의 ERG이론에 기반하여

        조한라,여영훈,김준수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19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1 No.3

        본 연구는 Alderfer의 ERG이론에 근거하여 직급별 사회복지사의 소진정도와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가인권위원회(2013)에서 실시한 ‘사회복지사 인권상황 실태조사’의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차이분석을 통해 주요변수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둘째,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소진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였으며 셋째, ERG 각 요인(존재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의 설명력을 확인하기 위해 R2 변화량을 확인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소진 수준은 실무자와 중간관리자가 최고관리자 보다 높았으며, 실무자, 중간관리자, 최고관리자 그룹 모두에게 관계욕구(R)의 설명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무자와 중간관리자의 경우에는 성장욕구(G)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사 소진의 주요 원인이 직급에 따라 다르며, 직급별로 차별화된 방법으로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화 결정요인

        박선주,여영훈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1

        Parenting experience in which a child takes the role of a paren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growth of the child. In the case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need for children to perform the roles of parents who are unfamiliar with Korean society due to language and culture problems is higher than that of normal childre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stimate the degree of parentification among the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and to identify the predictive factors of paretification. To achieve the purposes, descriptive statics and OLS regression were performed based on the 283 respon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grades 4-6), attending primary schools in Jeollabukdo province. This study found that the determining variables in parentificaion were birth order, shane and guild, attachment to parents, parenting attitude, and economic status. The results suggest the needs to an integrated program which highlights both improvement of inner/personal nature of a child and of the function of home. 아동이 부모의 역할을 대신하는 부모화 경험은 아동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다문화가정 아동의 경우, 언어 및 문화의 문제로 한국사회가 익숙하지 못한 부모의 역할을 자녀가 수행하는 부모화 부담이 일반아동보다 더욱 가중된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가 미진했던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화 정도와 이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라북도 내 소재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아동(4-6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83명의 다문화가정 아동의 정보를 바탕으로 차이검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부모화는 세 하위요인인 물리적 부모화, 정서적 부모화, 불공정성에 대해 각각 조사하였으며, 독립변수로써 아동의 일반적 특성, 아동심리요인, 가정환경요인, 다문화 특성을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 아동의 부모화 주요 결정요인으로는 출생순위, 수치심·죄책감, 애착, 부모양육태도, 경제적 수준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개별적이고 내면적인 부분과 가정의 순기능적인 기능 향상을 위한 통합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