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근대 일본사회의 교육제도와 이념 - 幕府설립의 官學, 昌平坂學問所를 중심으로 -

        여신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9 교육문화연구 Vol.15 No.2

        昌平坂學問所(Shouheizaka Study house) which considered the highest school among modern Japanese educational system was founded by 林羅 山(Hayasi Razan) the founder of 家塾(family teaching house). It was originated from the house and became official organization after authorization by 幕府(Bakuhu). In the beginning the house was personally employed in the family of commanders and strengthened its position taking care of various administration, diplomacy and ceremonial related practices. But, after the second generation and the third with the scholarly influence of Lim's house getting shrinked it seemed that the position was handed over other school party. Owing to 老中 松平定信(prime minister Matudaira) who had led reformation during 寬政期(Kansei Period) Hayasi family's teaching house could renew educational system and contents and also be born again as a government school which based on Hayasi's family teaching namely ; 朱子學 (Zhu's Confucianism ). It was mainly established for study house to educate 幕臣(officers for Bakuhu) and make them officialdom taking care of all the practices. However it opened the door to 諸藩(feudal lords) and could also became a good role of transmitting the studies of Makbu when the graduates of study house return to their manor(藩). It played for study house a great role not only in the education but also in the hand copying of 「本朝通鑑」and 「續本朝通鑑」during early stage and in publishing and arranging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such as 「寛政重修諸家譜」「編脩地誌備用典籍解題」. There could be pointed out several things that Zhu's Confucianism at study house influenced to the Edo society. First of all it teached the humanity and justice centering on human moralities in the days of secular Bakuhu-regime. Secondly it strictly parted high and low classes and made each personal's own social status understand born natual. Thirdly it felt for the warrior class to take responsibilities in public world. Fourth it gave political centers raising 尊王論(king respecting theory) during the late Bakuhu's confusing period. Fifthly it became as a mother's body adapting western natural science due to Confucianism's resonable speculation enhancing the thought of thing's principle side. And also it became partly the bases adapting western national equality ideas due to the conception of Confucianism's 理(Reason) roles base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ion of natural law during the late period of Bakuhu's Renovation. Study house roled as the starting point of all these thought and as the original point of official education which provided Japanese society with the social value in the pre-modern society. 일본근세의 교육시스템 중에서 최고학부라 할 昌平坂學問所는 林羅山이 창설한 家塾이 막부로부터 인정을 받으며 공설기관화 한 것이다. 家塾의 초기에는 將軍家에 사적으로 고용되어 각종 행정, 외교, 전례관계의 실무를 맡으며 입지를 공고히 했다. 그러나 二代 鵞峰과 三代 鳳岡 이후부터는 林家의 학문적 역량이 점차 쇠하면서 일시 그 위치를 타 학파에게 내어주는 듯했다. 그러나 寬政期의 改革을 주도한 老中 松平定信의 배려에 의해 林家塾은 教育制度와 内容을 일신하고 林家의 家學인 朱子學을 正統으로 하는 官學校로 거듭나게 되었다. 學問所는 幕臣을 주 대상으로 교육해 실무를 담당할 관료를 양성할 목적으로 했으나, 오히려 諸藩에까지 문호를 개방해 學問所 출신이 후일 각 번에 돌아가 幕府의 학문을 전파하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했다. 또한 學問所는 교육뿐 만아니라, 羅山과 鵞峯 시대에『本朝通鑑』과『續本朝通鑑』등의 수사사업 이래로「寛政重修諸家譜」「編脩地誌備用典籍解題」등 각종 사료의 편찬과 자료의 정리 작업에도 일정한 공헌이 있다. 學問所에서 교육한 주자학이 江戶社會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가 지적될 수 있겠지만, 우선, 막부정권의 세속화에 기여해 仁義를 중핵으로 하는 인륜을 가르쳤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둘째는 상하의 定分을 공고히 해 개인이 자신의 신분을 선천적인 것으로 이해하게 만들었다. 셋째는 무사계층에게 공적세계에 대한 책임감을 자각하게 만들었다. 넷째로는 막부 말기의 혼란기에 尊王論을 불러 일으켜 정치적 구심점을 제공했다. 다섯째로는 주자학의 합리적 사변성이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는 측면을 조장해 서양의 자연과학을 수용하는 모태가 되었다. 그리고 幕末의 維新期에는 주자학의 理 개념이 자연법적 개념의 이해에 기반이 되어 서양의 국가평등사상을 수용하는 기반이 된 측면도 있다. 學問所는 이 모든 사고의 출발점이자, 전근대 일본 사회를 지탱하는 사회적 가치관을 제공한 公教育의 원점이라 할 것이다.

      • KCI등재

        전근대 일본사회의 교육제도와 이념 -서민교육의 중심 사자옥(寺子屋)-

        여신호 ( Sin Ho Year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문화연구 Vol.16 No.2

        에도사회가 안정기에 접어들면서, 상업자본이 등장해 근세의 봉건적 分國制下의 일본 전역을 대상으로, 사회체제가 변화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이 과정에서 도시에 거주를 둔 町人뿐 아니라 농어민에 이르기까지 서민의 일상생활에 경제적 개념이 침투하게 되어, 고용과 계약 또는 물건의 거래에 영수증과 계약서 등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막부 권력하의 諸藩은 사회통제에 필요한 조치로, 諸法度·お觸書·ご高?·五人組帳前書와 같은 법령 등을 널리 일반에 알려야 할 필요를 느끼고 있었고, 서민들 역시 청원이나 요망을 신청하는 수단으로 官이 정한 일정 양식의 문서를 사용해야 했다. 즉, 상업자본의 대두와 문서주의의 확산은 문자를 읽고 쓰고 셈하는 교육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정에 의해 京都·江?·大坂 등과 같은 대도시에 실용을 위주로 하는 대중교육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그 중에 寺子屋은 서민자녀에게 문자를 읽고, 쓰고, 셈하는 것을 가르쳤던 시설이다. 긴 세월, 문자와 인연이 멀었던 서민들에게 寺子屋과 같은 교육시설이 근세후기에서 막말에 걸쳐 급속히 확산되었다. 寺子屋의 기원은 16세기 전반의 室釘時代까지 소급해 볼 수는 있으나, 寬永·寬文期(1624-1672)에 들면서 모양이 갖추어 지고, 元祿期(1688-1703)에는『寺子制誨之拭目』과 같은 寺子屋 전문 교과서가 등장하게 된다. 그러나 寺子屋 교육이 본격화 된 것은 역시 근세 중엽부터 幕末에 이르는 기간이라 해야 할 것이다. 이 시기는 막부가 중앙집권적 정책에 힘을 기울여 서민층에 이르기 까지 막부의 令이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던 시기다. 寺子屋의 就學年?은 대략 5-6歲에 취학해서 13-14歲또는 18歲 정도까지 수학하는 예가 일반적이었고, 대개는 남녀공학이었다. 嘉永年間(1850年頃)江護府의 就學率은 70~86%에 달했다 하며, 幕末期에 江?에는 約 1500교, 全國적으로는 약 15,000개교의 寺子屋이 있었다. 한 寺子屋에는 10人에서 100人에 이르는 생도가 취학하고 있었다. 寺子屋에서 학동의 학습순차는『이로하 四十八文字』『名頭字盡(역사상의 주요인물)』『村名盡(학동 거주 지역 근방의 마을 이름)』『國盡(五畿七道)』『近道子寶(사계, 방위, 십이간지)』『消息文例(편지 쓰는 법)』『妙義詣(여행안내)』『商賣往來(상업 용어)』『古今和歌集』『泰平江戶往來』의 순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학습과정은『古今和歌集』을 제외한 모든 내용이 생활중심의 실용성을 중시하고 있다. 위의 예는 상업지역의 경우이지만, 농촌지역에서는 역시 지역 사정에 알맞도록『農業往來』『田舍往來』『百姓往來』등 농지나 농구의 이용이나 곡물의 재배, 경작 등 농사에 필요한 지식을 중심으로 꾸며진교재를 가르쳤다. 이런 예는 상업이나 농업에 국한 된 것이 아니고 漁夫와 工匠 등에 이르는 각 직업군에도 마찬가지였다. 서민경제의 성립과 발전과 함께 직업이 다양화하고 사람과 물자의 도시 간 이동이 빈번해진 환경에서는 자신의 경우뿐 아니라 상대의 경우에 대한 지식도 요구 되었다. 따라서 일정 직업군에 공통되는 이해를 사전에 알아두어야 할 필요가 실용적이고 생활중심적인 교재를 만들어 내게 된 것이다. 幕府나 諸藩이 寺子屋을 다소 감독하고 통제했다 해도, 결국 그 설립은 민간에 의한 자발적인 것이었으므로 그 설립과 운영에는 원칙과 조건이 따로 없었다. 따라서 누구나 형편에 맞으면 寺子屋을 설립 운영할 수 있었다. 寺子屋을 개설하고 경영하는 사람의 신분은 도시부에서는 서민이나 상인 또는 생활고에 시달리는 하급 무사, 농촌 지역에서는 庄屋, 名主 또는 승려 등이 주류였던 것 같다. 더구나 근대 이첩기에 각지의 寺子屋은「학제」실시와 동시에 점차 신식학교로 흡수, 재편되며, 이 과정에서 寺子屋의 사장들도 신식학교의 훈도(교사)가 되어 계속 교육에 종사하게 된다. 이러한 이야기는 일본 근대의 신학제가 서양의 교육제도를 전적으로 이식한 것이 아니라, 종래의 寺子屋 교육이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이상의 내용을 동 시기 조선사회의 서당과 대비하여 연구한다면, 근대 이전에 양 사회가 지향하던 대중교육의 근간을 파악할 좋은 재료가 될 것이며, 근대 이첩기에 사회적 변화를 겪는 양 사회의 대응을 분석할 수 있는 좋은 재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Owing to the stability of Edo-society and the appreance of commercial capitals, social system became to be a wide-range change to the modern Japanese of feudal branch government. In this process, not only 町人(chounin) living in the city but also farmer and fisherman the idea of economy penetrated in the mind of ordinary person`s daly life. They needed employment and its contract or receipt for material trade and letter for contract. In addition, it was necessary for the Various feudal clans under the The Shogunate`s government authority to announce the laws: 諸法度(The degree of all things), お?書(Announcement), ご高札(Notice board), 五人組帳前書(A fifth group of Curtain introduction). It was needed also for the Ordinary persons to use officially approved documents of the means for request and requirement. In other words, It was necessary to educate writing and counting letters with the showing of commercial capitals and the spread of principle of documents. For this reason, it was widely spreaded with programatic popular education in the big city like 京都(Kyoto) 江戶(Edo) 大坂(Osaka). Among them Terakoya(寺子屋) was the facility for reading writing and counting letters to the children of ordinary person. For a long time it was rapidly spreaded for the ordinary persons who had no educational chance like Terakoya(寺子屋) from the late modern era until the late period of 幕府(The Shogunate). The origin of Terakoya(寺子屋) can be considered back up to the era of 室町Muromachi(실정), early half of 16 century. But in the era of 寬永·寬文期(Kanei/Kanmon period 1624-1672) it had its own form. In the era of 元祿期(Genroku period 1688-1703) it was appeared the professional textbook like 『寺子制誨之拭目』. But it was considered the time of full-education of Terakoya(寺子屋) was from the middle of modern until the last The Shogunate(幕府). During this period The Shogunate paid all the effort of the centralized authoritarian policy. it was directly effected to ordinary class for the orders of The Shogunate. It was general for the school age of Sajaok from about the 5-6 to 13-14 or 18. It was mostly co-educational. It was up to the 70-86 percentage of school for the Edo-hu(江?府) in 嘉永年間 (Kaei period, about 1850). There was about 1500 school in Edo. There was about 15,000 Terakoya(寺子屋) school. In each school from 10 to 100 students studied. The educational process for the students at Terakoya(寺子屋) in the order named, 『いろは 48 letters』『名頭字盡 (historically important person)』『村名盡 (village names of student`s neighboring area)』『國盡(Center site area)』『近道子寶(four seasons, direction, twelves animals)』『消息文例(how to write a letter)』『妙義詣(travel introduction)』『商賣往來(commercial terminology)』『古今和歌集(The Collection of Old and New Japanese Poetry)』『泰平江戶往來(Peacefull Edo)』. These educational process was mainly layed emphasis on the life centered practicality except『古今和歌集(The Collection of Old and New Japanese Poetry)』. Above examples were for the case of commercial area. For the country area it also adjusted for the regional circumstances:『農業往來(Agriculture Readers)』『田舍往來(The country Readers)』『百姓往來(Farmer`s Readers)』etc. The usage of farm land or agricultural tools growing crops and cultivations etc. it was thoughted all the necessary knowledges for the agricultures. This kind of examples were not just for farming but for other job fields like for fisherman, engineer etc. With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popular economy job had many varieties. And under the frequent transportation circumstances of people and materials it was also requested the knowledge not just for his own case but for others. Therefore it was needed to catch some common interests in the certain jobs in advance. For this reason all the practical and life centered textbooks had been made. Even though 幕府(The Shogunate)authority and 諸藩Various feudal clans took supervision and control over Terakoya(寺子屋) the establishment was volunteering eventually. There was no other principles and conditions for its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So Anyone if circumstances permit he could establish and manage Terakoya(寺子屋). The social status of establishing and managing Terakoya(寺子屋) in the city side were ordinary person and merchant or lower class warrior suffering from the life, in the country were mainly 庄屋, 名主 (Village headman and village head) or monk. Moreover Terakoya(寺子屋) of each region was gradually joined or reorganized to new type school in the transferring era of modern. During this process the president of Terakoya(寺子屋) also became a trainer(teacher) and continuously engaged in the education. These manifests that the Japanese new school system was not absolutely transplanted from western educational system but influenced to some degree by previous education of Terakoya(寺子屋). If it was studied above contents in contrast with 書堂(Seo-dang) of Chosun society it could be a good material for grasping the foundation of popular education which both society was aiming before modern age. And it could also be expected a good material for analyzing both society`s action which got social conversion in the transferring age toward the modern.

      • KCI등재

        子女凝视 (child’s gaze) 与母职的代际逆向再生产— 以电影《你好,李焕英》为例

        여신 한국중국소설학회 2022 中國小說論叢 Vol.68 No.-

        이 연구는 ‘자녀응시’ 개념을 통해 <니하오, 리환잉>(2021)을 비판적으로 재고한다. 영화는 표면적으로 어머니를 독립적인 인격체로 구성하고 자율성을 부여하지만, 그 배후에는 늘 무의식적으로 자녀의 입장에서 어머니를 응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영화는 여성에 의해 만들어진 여성 중심의 이야기이지만, 여성을 구속하는 전통적인 모성 규범에 도전함과 동시에 오히려 가부장제를 강화하는 역효과도 낳게 된다. 텍스트는 하나의 사례로서 가부장 사회에서 ‘자녀’로 매개하는 모성 기대가 어떻게 여성/어머니와 상호작용하고, 마침내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세대간 역방향 모성 재생산을 이루는지를 보여준다.

      • KCI등재
      • KCI등재

        프룻 챈의 ‘창녀’들: ‘창녀3부작(妓女三部曲)’의 캐릭터 재현과 이데올로기

        여신,임대근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0 현대영화연구 Vol.16 No.2

        This paper argues the characters of three prostitutes that were represented in director Fruit Chan(陳果)’s ‘The Prostitute Trilogy(妓女三部曲)’ from the feminist perspective. It explored the symbolism observed in the prostitutes for the three films to understand the texts based on the special soci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of Hong Kong and Mainland China. The results of the analyses on the characters of prostitutes illustrated that they were proactive, self-reliant, independent, and defiant, and were far from the traditional passive, dependent, vulnerable, or submissive female. Despite the director’s conscious endeavors involving ‘de-patriarchal effort’ or ‘de-feminizing attempt’ in portraying the characters of prostitutes, there were male-centered value judgments regarding ‘prostitutes’ and women’s ‘nature(天性)’ - for example, patriarchal expectations and demands for ‘maternal love’ and ‘purity’ - still hidden in the unconscious minds of the director as well as audience. In summary, although the advent of ‘the age of equality’ may be apparent on the surface in various aspects, ranging from so-called feministic films to the advocacy of ‘gender equality’ in Hong Kong and Mainland China, the underlying male-centered power structure remains persistent and is more covertly controlling people’s unconsciousness than ever before. 이 글은 페미니즘의 입장에서 프룻 챈(陳果, Fruit Chan) 감독의 ‘창녀3부작(妓女三部曲)’에 재현된 ‘창녀’의 캐릭터(인물 형상)를 분석하였다. 우선 홍콩-대륙 중국이라는 특수한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텍스트를 파악하기 위해 영화에서 ‘창녀’가 지닌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창녀’ 인물 형상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을 통해 그녀들이 모두 능동적이고 주체적이며 독립적이고 저항적인 인물이며, 전통적인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여성상과는 거리가 멀었음을 밝혔다. 그러나 ‘창녀’ 형상에 대한 감독의 의식적인 ‘탈가부장적 노력’ 또는 ‘탈여성화 작업’에도 불구하고, 감독과 관객의 무의식 속에 여전히 ‘창녀’에 대한 남성중심적인 가치 판단과 여성의 ‘천성’, 이를테면 ‘모성애’와 ‘순결성’등에 대한 가부장적인 기대와 요구가 숨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이른바 페미니즘 경향을 보이는 영화 텍스트에서, 나아가 ‘남녀평등’을 표방하는 홍콩-대륙 중국에서, 비록 많은 면에서 평등의 시대가 도래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 배후에 남성중심적 권력구조가 사라지지 않고 예전보다 더 은밀하게 사람들의 무의식을 통제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 KCI등재

        동아시아의 관제신앙과 신의(信義) 정신의 현대적 의미

        여신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2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66

        이 글은 지금까지 이루어진 관제신앙 연구가 하나의 지역에만 국한되었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 관제신앙의 역사와 현황을 동아시아라는 보다 넓은 범위에서 다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관제신앙의 전래와 확산 방식, 관제의 신격과 신자에 있어서 한국은 중국과 유사한 측면이 다소 있지만, 동남아시아 국가들 및 일본과는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첫째, 관제신앙의 전래에 있어 다른 동아시아 국가는 중국인의 이주에 따라 자연스레 유입된 반면, 한국은 외세에 의해 강요된 것이다. 둘째, 관제신앙의 민간 확산에 있어 동남아와 일본에서는 아래서부터 수평적으로 전파된 반면, 한국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확산되었다. 셋째, 관제의 신격에 있어 다른 동아시아 국가는 중국과 마찬가지로 관제를 재신(財神)으로 숭배한 반면, 한국은 사회 집단에 따라 다른 신으로 숭배한다. 넷째, 관제의 신자에 있어서, 다른 국가는 주로 화교∙화인이 신자인 반면, 한국의 관제 신자는 소수 현지인에 불과하며 관제의 영향력 또한 상대적으로 약한 편이다.

      • KCI등재

        우리가 주성치 영화에서 놓쳤던 것들 - 영화 <식신(食神)>의 중국 광둥어 원작과 표준어 더빙 및 한글 자막 간의 괴리 문제

        여신,임대근 중국문화연구학회 2019 중국문화연구 Vol.0 No.46

        This paper aims to provide solutions based on the linguistical and cultural analysis of why Stephen Chow films have not been recognized in Korea unlike in Hong Kong and China. After analyzing The God of Cookery (1996), one of the best Stephen Chow films, and comparing its original Cantonese dialogue, dubbed Mandarin dialogue, and Korean subtitles created using the Cantonese and Mandarin dialogue, this paper concluded as follows: the subtitles hindering the understanding of audience are created because of the errors in translation of language and signs as well as the lack of understanding in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While the translation errors can be solved through the use of appropriate language and strategic change of signs, the background knowledge is the biggest and toughest problem requiring the cooperation between translators and researchers. Unlike many previous studies, this paper analyzed the comparison between Mandarin and Korean, a language comparison that has been rarely discussed. Also, this paper provided solutions for the errors appeared in the subtitle of The God of Cookery, denied the conclusions of the many studies indicating the im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language barrier between Mandarin and Korean, and argued that dialogues from movies were also important research materials reflecting society and showing minds of members of the public. This paper will give Korean audience and researchers a chance to get closer to texts and contexts of Stephen Chow films as well as to Hong Kong and Chinese societies through historical and cultur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dialogue, scenes, and subtitles of the films. 이 논문은 주성치 영화가 중국이나 홍콩보다 한국에서 평가 절하되는 원인을 언어적, 문화적인 측면에서 밝히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성치의 대표작인 <식신(食神: 1996)>의 광둥어 원본 대사, 중국 표준어 더빙 대사, 그리고 두 가지 버전을 바탕으로 제작된 한글자막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관객의 이해를 방해하는 자막의 문제는 주로 언어와 기호 번역의 오류, 그리고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배경에 대한 몰이해로 요약할 수 있다. 전자는 언어의 적절한 사용과 기호의 전략적 변환을 통해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지만, 배경 지식이 요구되는 부분은 번역자와 연구자가 함께 돌파해야 할 가장 큰 난점이다. 이 문제들은 이미 많은 선행연구에서 지적되었지만, 광둥어-한국어라는 비교적 드물게 다루어진 언어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이 글의 새로운 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식신>에서 나타난 자막 오류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주성치 영화 내지 홍콩 영화 연구에서 자주 지적되는 ‘광둥어’라는 언어장벽의 해결 불가능성을 부정하고, 이 논문은 자막을 분석하면서 관련 대사와 장면에 대한 역사, 문화적 해석을 통해, 한국 관객과 연구자에게 주성치 영화의 텍스트와 콘텍스트, 홍콩사회 내지 중국사회에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KCI등재

        <코핀 홈스(COFFIN HOMES)>에 나타난 카니발 그로테스크와 정치적 무의식

        여신 한국중국소설학회 2023 中國小說論叢 Vol.70 No.-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political unconscious by analyzing the grotesque imagery of Coffin Homes and its symbolic meaning. Through the tragedy of three ghosts, the film represents various social contradictions about housing. The tragedy of the upper-class ghosts illustrates the paradox that a house for family cohesion can lead to family destruction, while the tragedy of the middle class ghosts exposes man’s excessive obsession with real estate. The tragedy of the poor ghost reveals the survival crisis of the underprivileged, who have no place to stay even if they live or die. Despite its social and critical significance, this movie has clear ideological limitations. First, the morality of the ghosts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ir economic capital. This is an unconscious social symptom, suggests social prejudice against certain classes. Secondly, the tragedy of the upper class is deliberately weighted. This has the ideological effect of providing a kind of psychological comfort to the lower classes, weakening their chances of challenging the social structure. Thirdly, the female victims are all guilty of ‘betrayal of men’. This reveals the patriarchal ideology of the film and acts as an ideological device to bind men together in sympathetic bonds. Fourthly, the victims killed by the demons all violated "ethical norms that children/women are expected to uphold. This reveals an unconscious fear of the loss of rights of the vested interests. Last but not least, although the film aspires to subvert reality, neoliberal logic and capitalist mythology remain firmly entrenched in the utopia it aspires to. In other words, unlike the intention to criticize social inequality, movies have limitations in reproducing the dominant ideology of their society. 이 연구는 <코핀 홈스>의 그로테스크 이미지와 그것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영화의 정치적 무의식을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둔다. 영화는 세 귀신의 비극을 통해 주거의 다양한 사회적 모순을 형상화한다. 귀신에도 계층이 나뉘는데, 상류층은 가족 결속을 위한 집이 오히려 가족 파멸을 초래하는 역설을 보여주고, 중산층은 부동산에 대한 인간의 병적인 집착과 그 허구성을 비극적으로 드러낸다. 빈곤층은 살아서도 죽어서도 머물 곳이 없는 소외계층의 생존 위기를 폭로한다. 영화는 계층적 구분으로 만들어낸 사회비판적 성격에도 불구하고 분명한 이데올로기적 한계를 지닌다. 첫째, 귀신의 도덕성이 경제적 자본과 정비례한다. 이것은 특정 계층에 대한 사회적 편견의 무의식적 재현이다. 둘째, 상류층의 비극을 의도적으로 비중 있게 다룬다. 이것은 하위계층에 일종의 심리적 위안을 심어줄 뿐 아니라, 사회구조 자체에 문제제기할 가능성을 약화시킨다. 셋째, 여성 희생자의 죄목이 모두 ‘남성에 대한 배신’으로 설정된다. 이것은 영화의 남성중심적 이데올로기를 드러내며 남성을 동병상련적 유대감으로 묶는 이데올로기 장치로 작용한다. 넷째, 귀신의 제거 대상은 모두 부모 혹은 남성에 대한 사회윤리적 규범을 어긴 인물이다. 이것은 기득권층의 권리 상실에 대한 두려움이다. 마지막으로, 영화는 현실 전복을 욕망하지만, 그것이 지향하는 유토피아에는 신자유주의 논리와 자본주의 신화의 굳건함을 보여준다. 즉 영화는 사회불평등을 비판하고자 하는 의도와 달리, 사회의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다시 재생산하는 한계를 지닌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