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블릿PC를 활용한 유아의 미술 놀이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엄정애,김민진,강민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교육과학연구 Vol.5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engaging in art play with tablet PCs. An art application suitable for young children was chosen and a total of three tablet PCs were installed in the classroom to provide an environment where the children could engage in art pla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 5-year-old children in Sky Class in an affiliated kindergarten in Korea and data were collected for 7 weeks.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experienced the joy of art play by expressing themselves freely with tablet PCs. Second, they used the functions: Remove and Return on the tablet PC and recognized how it allowed them to turn it back if they want, which made them feel mentally relieved. Third, they explored a range of colors and tools offered by the application and utilized them to express a feeling or idea. Fourth, the children played freely without recognizing boundaries between the digital and non-digital in the classroom, for example, not distinguishing between tablet PCs and traditional toys. This study showed the experiences of children with digital play and cases of adapting tablet PCs to art play to help educational institutions view playing with tablet PCs in a positive light. 본 연구는 태블릿PC를 사용하여 미술 놀이를 할 때 나타나는 유아의 경험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에게 적합한 미술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였고, 학급 내 태블릿PC 3대를 비치하여유아들이 미술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병설유치원 하늘반 만 5세 유아 25명이며, 7주간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들은 태블릿PC를 사용하여 내 마음대로 자유롭게 표현하는 경험을 통해 미술 놀이의 즐거움을 경험하였다. 둘째, 유아들은 태블릿PC의 지우기와되돌리기 기능을 사용하면서 자유롭게 되돌아 갈 수 있다는 특성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심리적 편안함을 경험하였다. 셋째, 유아들은 어플리케이션에 있는 다양한 색과 도구를 탐색하고 이를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경험을 하였다. 넷째, 유아들은 교실 공간에서 디지털과 탈 디지털의 경계를 인식하지 않고 자유롭게 놀이하며, 태블릿PC와 실제 놀잇감 사이를 넘나드는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놀이에 대한 유아의 경험을 보여주며, 태블릿PC를 미술 놀이에 접목한 실제적 사례를보여줌에 따라 유아교육기관에서 태블릿PC를 활용한 놀이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제공하는데 의의가있다.

      • 우아교육과정과 연계된 극놀이 운영전략

        엄정애 대한어린이교육협회 2003 어린이교육 Vol.- No.5

        유아교육에서 놀이는 중요한 하나의 학습원리로 여겨져 왔다. 유아는 놀이를 통해서 가장 잘 학습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자유롭게 놀 수 있는 교육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유아를 교육시키는데 있어서 놀이를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곧 놀이가 완벽한'교육적 도구'임을 의미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재고의 여지가 충분히 있다. 즉,'유아가 하는 모든 놀이가 교육적으로 가치가 있는가?'또는 '놀이롸 교육이 과연 얼마나 쉽게 조화를 이룰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어진다.

      • KCI등재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Preschoolers' Use of Mental State Terms Depending on Intersubjective Cooperation Patterns in Pretend Play and Task-Oriented Work Situations

        엄정애 한국유아교육학회 2008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4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tterns of preschool children’s intersubjective cooperation and their use of mental state terms in pretend play and task-oriented work situations and to examine their mental state terms in both situations when the pattern of intersubjective cooperation varies. For this study, the linguistic behaviors of 40 four -year-old children enrolled in three different preschools were recorded on video both in pretend play and task-oriented work situations. The entire transcription of the videotaped content was analyzed with the use of measuring devices for intersubjective cooperation patterns and mental state terms.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pretend play and task-oriented work situations entailed differences in children’s patterns of intersubjective cooperation and use of mental state terms. They also show that, in the two situation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use of children’s mental state terms depending on their intersubjective cooperation patterns.

      • KCI등재

        가상놀이(Pretend Play) 훈련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고찰

        엄정애,오영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5

        가상놀이 기술에 대한 특별한 훈련이 유아의 사회적 가상놀이의 수준과 빈도를 증가시키는지, 또한 그것이 유아의 발달에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지, 그렇다면 어떤 훈련 유형이 효과적인지 등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 연구자와 이론가들은 가상놀이와 유아의 발달과의 긍정적인 관계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 이러한 흥미는 가상놀이가 유아의 다양한 발달측면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는 수많은 연구들을 이끌어 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고에서는 우선 전조작기 유아 놀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상놀이의 특성 및 기능을 살펴보고, 가상놀이 훈련에 관한 연구물들을 종합하여 논의해 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가상놀이란 가작화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놀이의 어떤 측면 - 사물, 역할, 주제 - 이 유아의 상징적 전이에 의존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가상놀이의 효과 탐색을 위한 많은 연구들은 사회적 가상놀이 기술을 지도하고 나서 유아의 인지적, 사회적 발달에 대한 훈련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관련 연구들을 종합해 본 결과, 가상놀이 훈련은 지능과 창의성 점수에서부터 이타주의, 또래간의 상호작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지적, 사회·정서적인 특성과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반면 최근에는 가상놀이 훈련 효과의 존재 여부보다는 가상놀이가 어떻게 이러한 효과를 산출해 내는지에 대해 더 관심이 집중되어지고 있다. 몇몇 학자들은 훈련된 유아의 사회적 이해 증가에 결정적인 것은 가상놀이 그 자체가 아니라 가상놀이를 구성해 나가는 또래간의 상호작용이라고 주장했다. 더불어 연구결과들을 통해 볼 때, 가상놀이 유형을 너무나 단순화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단 하나의 유일한 가상놀이 방법이 있는 것이 아니며, 항상 동일한 방법의 가상놀이가 다양한 모든 발달측면에 기여하는 것을 아니다. 예를 들면 사회극화놀이와 주제환상놀이가 IQ검사에서는 유사한 효과를 보였을지라도, 충동통제에 있어서는 그 효과가 매우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 사회·정서적 기능의 변화를 산출해 내는데 있어서 가상놀이 훈련기간은 어떠한가? 연구들이 보고한 훈련의 범위는 꽤 다양하다. 본 고에서 고찰되어진 많은 연구들은 위에서 제시하는 논쟁점들이 해결되어지지 않은 채로 진행되어진 것들이다. 하지만 가상놀이 훈련에 대한 축적적인 연구결과들은 가상놀이 훈련이 유아의 발달에 있어 다양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지적해 줌으로써, 유아교육과정에서 가상놀이를 격려하는 것은 중요한 기초 중에 하나가 될 것임을 시사해 준다.

      • KCI등재

        중국 조선족 유치원 교사들의 한국 전통놀이에 대한 인식 및 적용실태에 관한 연구

        엄정애 한국유아교육학회 2000 유아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조선족 유아들을 위한 전통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중국 조선족 유치원 교사들의 한국 전통놀이에 대한 인식과 교육적 적용실태를 파악해 보는 것이다. 중국 길림성에 거주하는 조선족 유치원 교사 453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 연구한 결과, 조선족 교사들은 제시되어진 14가지의 한국 전통놀이를 많이 알고 있고 직접 놀아본 적이 있었으며, 한국 문화에 대한 자긍심과 정체성 확립을 위해 유치원 현장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대다수의 교사들이 유치원 교육과정에 놀이를 적용하는 방법을 모르거나 전통놀이 자료를 구할 수 없어서 실제 교육현장에 한국 전통놀이를 적용하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유치원 교육과정내에 전통놀이를 삽입하는 교육방법의 소개, 전통놀이 도구 제작 워크숍, 유아에게 적합한 한국 전통놀이방법의 소개가 교사연수를 통해 제시되어지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Korean kindergarten teachers in China have knowledge of Korean traditional play and whether or not they use such play in the educational settings. Four hundred fifty three Korean kindergarten teachers in China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ajority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knew 14 Korean traditional forms of play appropriate for kindergarten children and had played them. They also thought that Korean traditional play should be included in educational curriculum as a means of establishing the children's identity as Korean. On the other hand, the majority of teachers didn't include Korean traditional play in their kindergarten curriculum. The chief reason given was that they didn't know how to apply play in educational curriculum and further, they had difficulties due to lack of Korean traditional play materials So, the teachers indicated that they would like training in the use of appropriate Korean traditional play in the educational setting and they also would like to know how they might construct Korean traditional play materials.

      • KCI등재

        만 5세 학급에서의 역사교육을 통한 인성 함양 방안에 대한 실행연구

        엄정애,김은수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만 5세 학급에서의 역사교육을 통한 인성 함양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이에 따른 유아와 교사의 반응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서울시에 위치한 대학부속유치원 만 5세 학급 유아 28명과 연구자를 포함한 교사 2명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2013년 12월부터 2014년 5월까지 활동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결과를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 5세 학급에서의 역사교육을 통한 인성 함양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지난 3년간의 만 5세 학급교육과정과 2013학년도 만 4세 학급 교육과정 점검 등을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1차 실행을 계획․실시했다. 1차 실행에서는 유아들의 역사 개념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활동과 역사교육을 통해 존중의 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활동을 실시했다. 1차 실행 후 평가를 반영하여 2차 실행에서는 유아주도적인 활동 실시를 통해 역사적 탐구능력을 배양하고 역사교육을 통해 공동체의식 함양을 지 원하는 활동을 실시했다. 이를 통해 유아들은 역사의 기본 개념을 습득했으며 존중하는 태도가 향 상되었고 화합하는 분위기를 형성했다. 교사들은 역사 개념을 통한 인성 함양의 중요성을 인식했 으며 역사교과 내용지식의 확장을 통해 교수법과 상호작용능력을 발전시켰다. 또한 유아들의 인성 함양을 위한 본보기로서 자신의 태도를 성찰했다. 본 연구는 만 5세 학급에서의 역사교육을 통한 인성 함양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제기했으며 최근 교육계의 화두인 인성교육과 교과교육을 통합하여 현장에 적용하는 것의 교육적 의미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seek and implement effective ways to cultivate and nurture character through history education in a class of five year old children, and to observe the reactions of children and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NeulSarang kindergarten, attached to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with 28 five-year-olds under the instruction of two teachers. It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13 to May 2014,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by performed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Based on a previously counducted problem analysis of methods to foster character through history education, the researchers planned and executed the first implementation. The first implementation session consisted of activities that develop concepts of history and other activities used to promote the concept of respect through history education. In the second implementation session, activities were aimed at cultivating the ability to explore history and increasing the sense of community through history education, reflecting what had been learned from the first performance evaluation. Through this process, children learned fundamental history concepts, while showing improvements in respecting others, expressing love, and harmonizing with others in the class.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fostering character through history education and developed teaching skills and interaction skills through expanding their own knowledge in history. In addition, teachers changed their own attitudes through self-reflection, as an example for children in terms of fostering character.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s the possibility and the necessity of history education to foster children's character in kindergarten class. In addition, it shows an educational value of integrating character education and subject matter educ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