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캡스톤 디자인 수업 운영에 대한 대학교원의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엄우용(Eom, Wooyong),김종현(Kim, Jonghyun),김화경(Kim, Hwakyung) 한국공학교육학회 2022 공학교육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the university faculties in charge of capstone design cours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100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the faculties nationwide with teaching experience in capstone design cours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he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facultie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heir roles in the following order: coaching student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show their abilities, motivating and encouraging, and building trusting relationships with students. The biggest challenges that the faculties perceived in capstone design classes were the lack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and project execution time. In the analysis of the needs for the capstone design proces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eam-building, core task development and analysis, deriving problem-solving ideas, building prototypes, and comprehensive reflection ranked the top prior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he design of the courses and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faculty support programs by analyzing the faculties perceptions and needs for capstone design classes.

      • KCI등재

        초등교원이 지각하는 플립드러닝 수용 및 활용 의도 분석

        엄우용 ( Eom Wooyong ),이희명 ( Lee Heemyeong ),이성아 ( Lee Seonga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초등교원의 플립드러닝에 대하여 지각하는 수용 및 활용 의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인 변인에 따라 초등교원이 지각하는 플립드러닝의 수용 및 활용 의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교원이 지각하는 플립드러닝의 수용 및 활용 의도가 지속적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항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플립드러닝 관련 연수에 참여하였거나, 실제 플립드러닝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초등교원 2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상대적 유용성, 적합성, 복잡성, 관찰가능성, 시도가능성, 지속적 수용 의도, 자기효능감 척도와 플립드러닝 운영 현황,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살펴보기 위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독립표본 t 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입력방식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립드러닝을 운영하는 초등교원은 스마트기기의 앱이나 PC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제작한 플립드러닝 사전학습자료를 YouTube나 클래스팅, 밴드 등을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SNS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사전학습 여부를 확인하고, 수업 중 활동으로 모둠별 문제해결학습을 실시하는 비율이 높았다. 둘째, 플립드러닝의 운영 경험이 많은 초등교원일수록 플립드러닝의 수용 및 활용 의도가 높다. 또한, 초등교원이 지각하는 플립드러닝 수용 및 활용 의도는 성별, 학력,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다. 반면, 경력에 따른 플립드러닝의 수용 및 활용 의도의 차이는 없다. 셋째, 초등교원이 지각하는 플립드러닝의 수용 및 활용 의도는 플립드러닝의 지속적 수용 의도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초등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플립드러닝의 촉진 및 확산 전략에 대한 긍정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ntion of acceptance and practical use in flipped learning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achieve the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perceptual of acceptance and practical use in flipped learning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pending on individual variables? Second, what is the perceptual relationship of continuous intention to use and acceptance and practical use of flipped learning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nts consisted of 204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 and they responded on a set of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ir experience and their perceived acceptance and practical use of flipped learning. Data were analyzed with using a independent two-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more experience of flipped learning perceived more practical use and self-efficacy of flipped learning. In addition, male teachers perceived higher observability, trialability and self-efficacy. In addition, teachers who had over master’s degree perceived higher observability, trialability and self-efficacy. Teachers who are over fifty years old perceived higher observability. On the other hand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acceptance and practical use by career. Second, the higher the perceived acceptance and practical use of flipped learning, the more positive influence on continuous intention to use of flipped learning.

      • 방송통신고등학교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 분석

        이준구(Lee Jun Gu),엄우용(Eom Wooyong)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2 학습과학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방송통신고등학교(방송고) 재학생의 성별, 연령, 직업에 따른 이러닝 준비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광역시 소재의 방송고 재학생 193명으로부터 수집한 기술, 자기주도학습, 온라인관계 형성, 동영상 학습자료, 팀프로젝트, 수업성공을 위한 요소로 구성된 이러닝 준비도 설문지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 및 논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방송고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 수준은 보통 정도이며 관련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보다 낮은 편이다. 또한, 여자가 남자보다, 직장인(상근)이 직장인(교대근무)나 자영업 종사자보다 이러닝 준비도가 더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방송고 학습자가 이러닝 환경에서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이러닝 환경에서의 학습에 필요한 요소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Learning readiness of Air and Correspondence High School learners. 193 students in B Air and Correspondence high school in A metropolitan city responded on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35 items, including technology, self-directed learning, relationship building in on-line, reading on-line, learning contents, team project, and factors for success of teaching.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one-way ANOYA.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0.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E-Learning readiness of Air and Correspondence high school learners was quite low. In addition, women showed higher than men and office workers(full-time) showed higher than office workers(shift work) or self-employment in the e-Learning readiness.

      • KCI등재

        교육용 SNS를 활용한 플립드러닝 수업 효과 분석: 초등학교 수학과를 중심으로

        이희명 ( Lee Heemyeong ),엄우용 ( Eom Wooyo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수학 수업에서 교육용 SNS를 활용한 플립드러닝 수업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자와 학부모의 플립드러닝 수업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를 실행하기 위하여 G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3학년 2개 반(61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 수학 3-가, 나 단계 교과 내용을 재구성하여 플립드러닝 수업방식을 1~2학기 80회에 걸쳐 교실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그 효과를 학업성취도 측면과 학생·학부모의 플립드러닝 수업에 대한 인식조사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클래스팅)를 활용한 플립드러닝 초등학교 수학과 수업은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SNS(클래스팅)를 활용한 플립드러닝 기반 초등학교 수학과 수업은 학습자에게 긍정적 인식을 제공한다. 셋째, SNS(클래스팅)를 활용한 플립드러닝 기반 초등학교 수학과 수업은 학부모에게 긍정적 인식을 제공한다. 이는 교육용 SNS를 활용한 플립드러닝 수업이 학업성취도 향상 및 학생 및 학부모의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교육용 SNS를 활용한 플립드러닝 활성화를 위하여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사전학습자료 제공 및 학습이력 관리가 가능한 플립드러닝 지원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using educational SNS(Classting) in elementary math classes on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perception of learners and parents. Two classes (61 students)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and a comparison group among the third grades of an elementary school in G city. In the experiment group, the contents of the mathematics 3-Ga, Na level were reconstructed, and the flipped learning method was applied to the classroom lesson over 80 times during the spring and fall semesters.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parents toward flipped learning clas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lipped learning based elementary mathematics class using the educational SNS(Classting)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econd, students showed positive perception on the flipped learning math class using the educational SNS(Classting). Third, parents also showed positive perception on the flipped learning math class using the educational SNS(Classting).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flipped learning class using educational SNS(Classting)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on both students and parents` perception on flipped learning using education SNS(Classting). In addition,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has developed instructional models for activating flipped learning using educational SNS, and suggested the need for a flipped learning support system that enables provision of pre-class learning materials and management of learning history.

      • 전문대학 교수학습센터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재학생 요구도 분석

        표창우(Pyo, Changwoo),엄우용(Eom, Wooyong)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4 학습과학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전문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 제공하는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전문대학생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할 때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ㆍ경북 지역의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학습센터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요구도를 조사한 후 다중응답교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전문대학생에게 교수학습센터 학습지원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서는 개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홍보방법으로는 교수의 안내와 문자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제공되는 혜택은 대다수 학생들이 장학금을 희망하였다. 선호하는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주제는 전반적으로 시간관리방법이었으며 고려해야 할 점은 저학년일 경우 준비하는 단계, 고학년일 경우 취업에 관심을 가진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전문대학생을 위한 교수학습센터의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개별맞춤형 프로그램, 상세하고 지속적인 정보제공 및 공유, 다수의 학생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학금, 학년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arious factors which mak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 in learning assistance programs supported by centers for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ir effective management of the programs. Based on the factors, surveys on the needs from college students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for effective management of the programs was conducted and multiple response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followed. According to the result, junior college students need to be provided with personalized programs for activating the learning assistance programs of teaching and learning centers. For an advertisement, utilizing notice from professors and text message are expected to help activate the programs. Additionally, most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preferred scholarship to the other compensations. ‘Time management skill’ ranks the top in the topics of learning assistance programs. It has to be considered that lower grade students are interested in the preparation stages while upper grade students are more interested in getting a job.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personalized programs, information sharing in specific and continuous ways, scholarships for more students and programs customized for each grade should be considered and operated for activating learning assistance programs of teaching and learning centers.

      • KCI등재

        액션러닝 기반 대학 수업에서의 학습자 평가 도구 개발

        이성아 ( Seonga Lee ),엄우용 ( Wooyong Eom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액션러닝 기반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액션러닝 기반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도구를 개발한다. 둘째, 평가 도구의 타당성 및 적합성을 검증한다. 이를 위하여 패널을 대상으로 네 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하였으며, 액션러닝 기반 대학 수업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교수자와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액션러닝 기반 대학 수업에서의 학습자 평가 도구는 3개의 영역과 14개의 평가 항목, 38개의 평가 내용 및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평가 영역은 과제, 과제 해결 과정, 학습 과정 및 결과로 구분된다. 과제 영역의 평가 항목은 4개이며, 9개의 평가 내용 및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과제 해결 과정 영역의 평가 항목은 5개이며, 14개의 평가 내용 및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습 과정 및 결과 영역의 평가 항목은 5개이며, 15개의 평가 내용 및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액션러닝 기반 대학 수업에서의 학습자 평가 도구는 패널 집단과 전문가 집단, 대학에서 액션러닝 기반 수업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교수자를 대상으로 적합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구체적으로 문항 양호도 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CVR 값과 IRA 값의 결과를 토대로 적합성과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액션러닝 기반 대학 수업을 운영하는 교수자에게 학습자를 평가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할 뿐 아니라 평가 결과를 통하여 액션러닝 기반 대학 수업의 설계 및 운영 방법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to evaluate learners in action learning based university class. To achieve the purpose, two studies were conducted. First study was to develop an evaluation instrument for action learning based university class. Second study was to verify the compatibility and validity of the evaluation instrument. Four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for panel. In addition, 85 faculties and experts who have experiences of action learning class for university class responded on a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arner evaluation instrument for an action learning based university class consists of 3 areas, 14 items, 38 contents and questions. In specific, evaluation domain include problem, problem solving process, and learning process and result. Problem domain includes 4 items, 9 contents and questions. Problem solving process domain includes 5 items, 14 contents and questions. Learning process and result domain includes 5 items, 15 contents and questions. Second, the compatibility and validity of the learner evaluation instrument was verified by expert group, faculties who have experiences action learning based university class. In specific, the compati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based on the item quality analysis,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VR value and IR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o faculty concrete instruction for evaluating learners.

      • 전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차유미(Cha, Yu-mi),엄우용(Eom, Wooyong)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5 학습과학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학습능력 신장을 위해 학습몰입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자기조절학습을 설정하고, 이들 하위요인 (동기조절, 인지조절, 행동조절) 이 학습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구 · 경북에 소재하는 5개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56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자기조절학습 능력과 학습몰입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것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전공계열에 따른 차이는 인문사회와 자연과학계열이 공업계열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몰입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기조절학습의 하위요인인 동기조절, 인지조절, 행동조절은 학습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조절 학습 능력은 학습몰입의 하위요인 중 명확한 목표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다. 다음으로 구체적 피드백, 통제감, 과제집중, 변형된 시간감각, 행동-지각일치, 자기목적적 경험, 도전-기술 균형, 자의식 상실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문대학생이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을 키우고 학습전략을 세워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방법을 선택하고 조절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학습몰입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motivation regulation, cognitive regulation, behavioral regulation) of junior college students on learning flow.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564 students at five junior college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 students had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nd learning flow than male students. Grade caused no differences. Students in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produced higher values than those in engineering. In addition,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of junior college studests, and the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such as motivation regulation, cognitive regulation, behavioral regulation significantly affected learning flow. In particular, self-regulated learning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clear goals among the sub-factors of learning flow. The next sub-factors impacted by self-regulated learning in order were unambiguous feedback, sense of control, concentration on task at hand, transformation of time, action-awareness merging, autotelic experience, challenge-skill balance, and loss of self-consciousness.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junior college students set up a strategy for self-study and achieve learning flow by selecting metho for their goals.

      • KCI등재

        초등수업을 위한 플립드러닝 지원시스템 설계 지침 및 프로토타입 개발

        이희명 ( Heemyeong Lee ),엄우용 ( Wooyong Eo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초등수업을 위한 플립드러닝 지원시스템의 설계 지침을 도출하고, 이를 적용한 플립드러닝 지원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수업을 위한 플립드러닝 지원시스템의 설계 지침을 도출한다. 둘째, 초등수업을 위한 플립드러닝 지원시스템의 설계 지침을 적용한 프로토타입을 개발한다. 셋째, 초등수업을 위한 플립드러닝 지원시스템 프로토타입의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고 최종 프로토타입을 수정 후 확정한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 분석을 통하여 설계 지침을 도출하였으며, 전문가 검토와 사용성 평가를 거쳐 최종 초등수업을 위한 플립드러닝 지원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수업을 위한 플립드러닝 지원시스템의 설계 지침은 총 72개의 설계 요소와 133개의 상세설계 지침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출한 설계 지침은 구체적으로 플립드러닝 구성 요소(사전 영상 도구, 수업 설계 도구, 교사자료실, 자료 공유 도구, 상호작용 도구, 보상 도구, 묻고 답하기, 평가 도구, 학습 게시판, 학습 포트폴리오)와 어포던스 구성 요소(기술적 어포던스, 교육적 어포던스, 사회적 어포던스)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초등수업을 위한 플립드러닝 지원시스템의 설계 지침을 토대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셋째, 초등수업을 위한 플립드러닝 지원시스템 프로토타입을 활용하여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프로토타입을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프로토타입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수업에서 플립드러닝을 운영하거나, 운영에 관심이 있는 교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토대로 초등수업에서 플립드러닝이 확산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design guidelines and a prototype of the flipped learning support system for use in elementary school class. To achieve the purpose, three research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he first was to derive design guidelines of flipped learning support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class. The second was to develop a prototype based on the design guidelines. The third was to modify and confirm the prototyp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test. The design guidelines were derived from previous research and were applied to the prototype after expert review and usability testing by teachers and student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sign guidelines of the flipped learning support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class comprise 72 design elements and 133 detailed design guidelines. The design guidelines consist of ten components(pre-learning video production, instructional design, teacher’s resource, resource sharing, interaction, reward, Q&A, evaluation, learning bulletin board and learning portfolio) and three affordance components(technological affordance, educational affordance, and socical affordance) of flipped learning. Second, the prototype was developed based on the guidelines of the flipped learning support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class. Third, usability testing was conducted and the final prototype was confirme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prototype based on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of practical assistance to teachers who are interested in flipped learning context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pread of a flippe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contexts.

      • 대학 교원이 지각하는 교수 개발 지원 서비스에 대한 수용 및 활용 정도

        백순연(Baek, Soonyeon),엄우용(Eom, Wooyong)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5 학습과학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대학 교원이 지각하는 교수 개발 지원 서비스의 수용 및 활용 정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대학교에 재직 중인 전임 교원 중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제공한 교수법 관련 특강, 세미나 및 워크숍 프로그램에 참가한 교원 11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첫째, 성별에 따라 대학교원이 지각하는 교수 개발 지원 서비스의 수용 및 활용 정도에 대한 차이는 남자교원보다 여자교원이 교수 개발 지원 서비스를 수용하고 활용함에 있어서 더 용이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직경력에 따라서는 7년 이상의 교원이, 직급에 따라서는 교수와 부교수가 관찰가능성에 대해 더욱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에 따라서는 60대 보다 40대와 50대가 교수 개발 지원 서비스를 더욱 유용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공계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교수 개발 지원 서비스의 수용 및 활용 정도가 지속적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교수지원 서비스가 유용하다고 느낄수록 추후에도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활용하려는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특성에 따른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ceptance and practical use of faculty development service perceived by university faculty. Data were collected from 119, tenure track faculty members who were participants in the faculty development service via an online surve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emale faculty members perceived easier than male faculty in acceptance and practical use of faculty development service. Faculty who had over 7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higher positions showed significantly more positive opinion about the faculty development service relative to the others. Faculty members of the ages forty and fifty perceived faculty development services as more useful than those who were sixty or old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acceptance and practical use among majors. Second, faculty members who perceived the faculty development service useful used the service more frequently than those who did not.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to develop the customized program.

      • KCI등재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통한 사립대학교 대학생의 학습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성민경 ( Sung Minkyung ),엄우용 ( Eom Wooyong ),김영희 ( Kim Young He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논총 Vol.37 No.2

        본 연구는 K대학교의 학생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학습역량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시간관리, 발표능력, 자기주도력, 자기탐색이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고, 자기 주도력, 의사결정능력, 시간관리가 높은 실행도를 나타냈다. 집중영역에는 발표능력, 자기탐색, 책임감, 정보수집활용능력, 외국어 능력이, 유지 영역에는 시간관리, 자기주도력, 대인관계능력, 의사결정능력, 도전정신, 통합적 추론능력이 포함되었다. 과잉영역에는 추진력과 협업능력이, 저순위 영역에는 공감능력, 문해력, 배려, 목표관리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컴퓨터 활용능력, 의사소통력이 포함되었다. 학습자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한 교육요구도는 학년별, 계열별, 수업유형별, 학습법 프로그램 참여여부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수자의 관점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교육요구도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 학생의 특성에 따라 어떤 역량 개발 프로그램이 강조되어야 하는지 진단하여 학습법 프로그램을 더욱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needs of private university students by analyzing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wenty learning competencies deducted from the students`` core competency inventory used in K University since 2012. It analyzed which learning competencies to concentrate and keep up good work so that learning programs can be more effectively offered for students to develop and strengthen competencies. Focused group interviews and the survey were implemented. Results show that the concentration area of which importance is high, but performance are low includes presentation, self-exploration, responsibility, information collection and use, and foreign language abilities. Also, the area to keep up good work of which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are high includes time management, self-directed ability, interpersonal skills, decision-making skills, challenge spirit, and integrated reasoning abilities. These results also showed differences in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of school year, major, class type, and learning program participation.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 which learning competencies are needed for education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