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부모 학교참여 영향요인 분석

        엄문영(Eom, Moonyoung),오범호(Oh, Beom-ho),유지성(Yoo, Jisung) 한국학부모학회 2022 학부모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부모의 학교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구교육종단자료 1~3차년(2017-2019)도까지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을 각 3,000명 내외로 표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확률효과 모형과 이원 확률효과모형을 적용하여 학부모의 학교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요인으로는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고, 소득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직업이 없을수록 학부모의 학교참여가 더 활발한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자녀 특성요인으로는 여자 자녀를 가진 부모일수록, 저학년의 자녀를 둔 부모일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은 자녀를 둔 부모일수록 학교참여에 더 적극적이었다. 셋째, 학부모 효능감 요인으로는 자녀에 대한 기대 교육수준이 높고, 학교만족도와 교육만족도가 높은 부모일수록 학교참여에 더 활발하다는 것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학교특성요인으로는 학교풍토가 좋은 학교일수록 학부모의 학교참여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저학년 학부모와 전업주부들을 위한 학교참여 프로그램을 초점화하여 마련하고, 학부모의 기대 수준과 학교 및 교육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학부모 연수를 지원하며, 좋은 학교풍토를 형성하는 것을 학부모 학교참여 촉진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parents’ involvement in school. For this purpose, the factors affecting parent’s school involvement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applying the random effect model and the two-way random effect model using the data of the Daegu education longitudinal data from 2017 to 2019.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arent’s educational level, the higher the income, the more active the parent’s school participation was. Second, parents with female children, parents with children in lower grades, and parents with children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were more active in school particip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xpected education level for their children, and the higher the school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more active the parents were in school participation. Lastly,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er the school climate, the higher the parental participation in the school. Therefore,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chool participation program for parents of lower grades and full-time housewives. Second, parent training is necessary to increase parents’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and education. Third, it can be seen that forming a good school climate is a way to further promote parental participation.

      • KCI등재

        비용함수를 활용한 표준유아교육비 산출 연구

        엄문영(Eom Moon young),최은영(Choi Eun Young),손은애(Son Eun ae)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7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6 No.4

        본 연구는 전통적인 전문가판단 모형에 의한 표준유아교육비 산출 방식과 다르게 비용함수모형을 적용하여 설립 유형별로 표준유아교육비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기존 방식에 의한 표준유아교육비 규모와 비교·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접근 가능성을 확인하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사립유치원별로 결산자료 확보가 가능한 범위에서 가장 최신의 회계연도(2012년~2014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급당, 원아당 표준유아교육비를 공·사립 유치원별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표준유아교육비는 공·사립 유치원의 실제 지출 패턴을 보여주는 3년간의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최적의 추정 효율치를 산출할 수 있는 이원고정효과모형을 통해 산출되었다. 분석 결과, 사립유치원은 2014년 기준으로 기본운영비가 적정 표준유아교육비 대비 96% 수준으로 지출되었으나, 공립유치원의 기본운영비 지출 수준은 적정 표준유아교육비에 61%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공립유치원의 표준교육조건을 원아 32명, 2개 학급으로 설정했을 때, 공립유치원의 표준유아교육비는 원아 1인당 월 53만 5,000원, 사립유치원은 원아 122명, 6개 학급으로 표준교육조건을 설정했을 때, 원아 1인당 월 13만 1,000원으로 산출되었다. 사립유치원의 원아 1인당 월평균 표준유아교육비가 매우 낮게 산출된 이유는 실제 지출 패턴을 바탕으로 사립유치원의 기본운영비를 사후적으로 도출하는 과정에서 인건비에 해당하는 항목을 모두 제외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립유치원에 대한 국가의 인건비 보조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연구 결과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향후 정책적 과제로서 본 연구는 유아교육재정 데이터베이스 구축, 공·사립유치원에 대한 균형적 투자를 통한 표준유아교육비 충족률 제고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the standard cost of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education using cost function method with the cost using expert judgement approach as a traditional method. We tried to check the possibility of various approaches in estimating the standard cost level in Kindergarten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settlement of accounts in 2012-2014 was utilized to establish cost function model for calculating the standard cost per kid, class, and kindergarten. Specifically, two-way fixed effect model was chosen for an optimal coeffici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anel data.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2014, private kindergartens had reached 96%, public kindergartens just spent 61% of the standard cost. Based on the standard cost formula, per kid cost of public kindergarten is calculated from 535,000 won considering 2 classes and 32 kids as a standard education criteria, while per kid cost of private kindergarten is calculated from 131,000 won considering 6 classes and 122 kids as a standard education criteria. Private kindergarten s standard cost is a very low level compared with a public kindergarten. This is because personnel expenses as a dependent variable in private kindergarten analysis were excluded from the basic operating expenses in this study.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national finance support on personnel expense, this result should be interpreted cautiously.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stablishment of kindergarten finance databases and prior investments in public kindergartens to raise the security of the standard cost as future task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신임교사의 직무역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엄문영 ( Eom Moonyoung ),손은애 ( Son Eunae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7 초등교육연구 Vol.30 No.2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elementary school new teacher’s job competency by previous studies, and to analyz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using survey questionnaires. Next, this study pointed out that IPA should be considered educational field’s specialty such as effect size of Cohen’s d. Thus, this study tried to overcome the limits of traditional IPA shortcom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lementary school teacher, manager like a principal, supervisor consider education value and relationship competency should be first educated for new elementary school teacher. Specifically, as a education value area, new teacher have a competency to be ethics and sympathy and as a relationship area, he(she) have a competency to manage and to solve conflict with other stakeholder.

      • KCI등재

        공립 특수학교 학교기본운영비 배분 모형 탐색

        엄문영(Eom Moon young),이쌍철(Lee Ssang cheol),오범호(Oh Beom H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4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3 No.4

        본 연구는 전국의 공립 특수학교 일반 현황 및 학교회계 결산 3개년(2011~2013년)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공립 특수학교의 장애 유형별 학교기본운영비 배분 모형을 탐색하는데 그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에 답하고자 하였다. 첫째, 장애 유형을 고려한 공립 특수학교 학교기본운영비의 배분 모형은 어떻게 구성되며, 장애 유형별 교육비 차이도 지수는 어떠한가? 둘째, 탐색된 학교기본운영비 배분모형은 현실적합성이 있는가? 연구 결과, 공립 특수학교의 학생 1인당 학교기본운영비는 장애 유형을 제외하고, 학생수, 학급수, 건물 면적, 사무직원수, 연도 변수에 의해 결정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교기본운영비 배분액은 자연로그로 변환된 학생수와는 부적 관계를, 학급수, 건물 면적, 사무직원수, 장애 유형, 연도와는 정적 관계를 갖는다. 자연로그로 변환된 학생수가 학생 1인당 학교기본운영비 배분액과 부적 관계를 갖는 것은 일정 수준의 교당 경비 이외의 학생수 증가는 비용체감의 법칙이 적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애 유형간 교육비 차이도는 정신지체, 정서장애를 기준(1.00)으로 시각장애 1.66, 청각장애 1.52, 지체장애 1.31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 추정된 전국 공립 특수학교의 학교기본운영비 배분 모형은 2013년 확정배분액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결과, 오차 범위 ±15% 수준에서 전국 공립 특수학교의 93.3%를 포함하는 수준의 현실 적합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dequate allocation model of school basic funding for public special education schools using 3 years' condition and settlement data of education statistics including school account (2011~2013).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xamined: (1) considering disability types' cost differentials, how is the allocation model of school basic funding made up in public special education schools? (2) does the established allocation model have the reliability to apply for actual distribution of school basic funding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cluding disability types,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students and classes, building area, school staffs, and year variable affect the level of school basic funding in public special education schools. Next, the natural log converted number of students affects the level of school basic funding negatively, which means there exists economy of scale. When the index of mental retardation/emotional disorder is assigned as 1.00, the cost differential ratios among disability types are as follows: sight disability is 1.66, hearing disability 1.52, and physical disability is 1.31 respectively. Finally, the estimated allocation model covers 93.3 percent of all public special education schools, when actual level of school basic funding within ±15% error range is applied using final allocation amount data in 2013.

      • KCI등재

        초・중등 무상교육 지원 대상 및 재정 추계에 대한 재검토

        엄문영(Eom, Moonyoung),이호준(Lee ho ju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무상교육 지원 대상의 확대 논리를 검토하고 무상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했던 학생에게 교육비를 지원할 경우 예상되는 소요 재원의 규모를 탐색적으로 추계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무상교육 확대에 따라 교육비 지원이 가능한 수혜 대상을 검토하고 지원의 찬반 논리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비수혜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에게 교육비를 지원할 경우 고려해 볼 수 있는 지원 방안을 도출한 후, 각 방안별로 학생 당 지원 단가와 총 소요 재원의 규모를 추계하였다. 그리고 각 방안들이 가지는 의의와 한계를 정리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상교육의 지원 대상을 확대할 경우 그간 의무교육 대상이면서도 무상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해 왔던 일부 사립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다니는 학생에게 교육비를 지원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둘째, 비수혜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무상교육을 확대하는 것에 대한 찬반 논리를 검토한 결과, 찬성논리로 학생의 교육받을 기본적 권리를 보장하는 수혜적 활동이라는 점에서 비수혜학교 학생도 교육비 지원이 필요하다는 논리, 투자적 관점에서 비수혜학교 학생도 목표한 교육 성취에 도달할 수 있도록 교육비 지원이 필요하다는 논리 등을 도출하였으며, 반대 논리로 비수혜학교에 다니는 학생은 교육소외를 경험하는 학생으로 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교육비 지원 대상이 아니라는 논리, 이미 양질의 교육을 받고 있는 비수혜학교 학생들에게 교육비를 지원하는 것은 불필요하다는 논리, 복지 혜택이 필요한 학생에게 선별적으로 지원되어야 하기에 비수혜학교 학생들은 교육비 지원의 대상이 아니라는 논리 등을 도출하였다. 셋째, 비수혜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에게 교육비를 지원하는 방안과 관련해서 여덟 가지 방안을 도출한 결과, 산출된 소요 예산은 지원 방안에 따라 최소 296억 원에서 최대 3,293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정책적 제언 사항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ogic of expanding free education and to exploratorily estimate the amount of financial resources expected to be needed for this chang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beneficiaries who can receive financial support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f free education and examined the pros and cons of this support. In addition, after deriving various support plans that can be considered when subsidizing educational expenses to non-beneficiaries, the unit price per student and the total amount of financial resources required for each plan were estimated.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f the target of free education is expanded, it is possible to consider subsidizing educational expenses to students attending some privat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at have been subject to compulsory education but have not received any financial support from governmen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os and cons of expanding free education to non-beneficiary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provided some logics that support for educational expenses for non-beneficiaries is necessary and other logics that the financial support is not vital. Third, this study calculated the expected amounts of budget that range from a minimum of 29.6 billion won to a maximum of 329.3 billion won depending on the support plan. Based on our main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학교장을 위한 사례 토론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엄문영(Eom, Moonyoung),최수연(Choi, Suy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4

        오늘날 교육현장에서는 급변하는 사회 상황과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입장을 조정하고, 대처할 수 있는 상황 적응적이고, 융통성 있는 학교장의 리더십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 바탕을 둔 실제적 사례를 활용하여 예비교장들을 위한 사례 토론 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종래의 리더십 프로그램들보다 현장에서의 활용성, 학습자의 참여를 통한 동기 유발, 실질적 역량 제고 등의 의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참여자를 세심하게 선정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2020년 서울시 중등교장자격 연수과정에 직접 참여한 연수생 중 연수기관 관계자 및 같은 기수 수료생들의 추천 과정을 거쳐 총 4명의 현직 교장들로 최종적인 참여자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절차는 (1) 리더십 프로그램 관련 문헌 분석, (2) 요구조사, (3) 프로토타입 개발, (4) 사례 토론 프로그램 1차안 도출, (5) 사용성 평가, (6) 사례 토론 프로그램의 수정 및 확정 과정을 거쳤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1) 인력관리와 리더십, (2) 학생·부모·교사 공존을 위한 리더십, (3) 학교와 학교장의 Win-Win 리더십이라는 3개의 모듈로 구성되었다. 각각의 모듈은 사례의 구체화 및 현실화, 토론 결과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을 위한 표준적 매뉴얼 개발을 고려하여 반복적 수정을 거쳤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사례 토론 리더십 프로그램은 기업체와 대학에서 기존에 활용되었던 이론 중심의 리더십 프로그램과 달리, 학교장 대상의 현장 맞춤형, 학습자 참여형 성격을 가진다는 점에의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oday’s education field requires flexible leadership of the principal to adjust and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social contex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developing a case discussion leadership program for prospective principals by using real cases based on the actual school contexts. This study intends to increase the availability of the new leadership program in school and its community, to motivate learners through their participation, and to enhance practical and core competencies of the principals. To achieve the purpose,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select the research participants. Among the trainees who participated in the 2020 Seoul Secondary Principal Qualification Training Course, a total of 4 incumbent principal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earch process for the leadership program development is (1) literature analysis related to the leadership program, (2) need investigation, (3) prototype development, (4) the first draft of case discussion program, (5) usability evaluation, (6) several revisions of the program.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ed of three modules: (1) workforce management and leadership, (2) leadership for student/parent/teacher coexistence, and (3) win-win leadership of schools and principals. The case discussion leadership program is meaningful in terms of on-site customization and learner(principal)-centered pedagogy, distinguished from the conventional theory-centered leadership program that has been applied in businesses and universities.

      • KCI등재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한 개방적 학교풍토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 부산 다행복학교를 중심으로

        엄문영(Eom, Moonyoung),길혜지(Kil, Hyeji),이재열(Lee, Jaeyeol),황정훈(Hwang, Junghun),서재영(Seo, Jae Y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20 敎育行政學硏究 Vol.38 No.5

        본 연구에서는 탐색 설계라는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개방적 학교풍토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 및 구성원 면담을 통해 이론적 모형을 도출하고, 부산교육종단연구 제4차연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를 확증하였다. 그 걸과 개방적 학교풍토의 형성 요인으로 ①학교장의 리더십, ②민주적인 교육활동/학교운영, ③자발적 모임을 기반으로 협력하는 교사, ④열의가 있고 교직에 만족하는 교사 등이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부산시교육청 및 부산시 중등학교들의 관련 구성원들은 학교풍토를 개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첫째, 학교장 리더십을 제고하기 위한 교장 자격 과정, 자격 이후 연수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활동과 학교운영에 민주적 의사결정 체제를 규칙과 제반 제도로서 명확히 확립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비롯한 자발적 교사모임을 다양하게 지원하고 격려하며 보장해주어야 한다. 넷째, 학교장과 교사가 모두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긍정적 교직관과 열의를 장려하는 풍토를 조성해야한다. 다섯째, 학교풍토를 측정하는 설문 문항을 보다 다양하게 구성하여 확장하고, 유사한 설문 문항을 학생들을 통해 응답하게 하여 학교풍토가 교사뿐만 아닌, 학생들에 의해서도 측정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질적 연구 결과 인정된 다행복학교의 개방적 학교풍토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추후 부산교육종단연구 조사 설계에서 다행복학교 샘플 추가 또는 학교풍토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장기적 시각에서 계속적으로 관찰하는 노력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factors influence the open school climate with an exploratory mixed methods approach. A theoretical framework was deriv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FGI, and verified by using data from the 4th year of the BELS. As a result, as factors for an open school climate are ①leadership of the principal, ②democratic educational activities/school management, ③teachers who cooperate voluntarily, ④teachers who are enthusiastic and satisfied with the teaching profession. Research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principal qualification course and post-qualification training program to enhance the principal"s leadership. Second, it is needed to clearly establish a democratic decision-making system as rules for school manage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a variety of voluntary teacher meetings. Fourth, efforts should be made to create a school climate that encourages teachers" positive teaching intuition and enthusiasm. Fifth, the questionnaire that measures the school climate should be expanded in a variety of ways, and the school climate should be investigated not only for teachers but also for students.

      • KCI등재

        유·초·중등교육 학생수 추계 방법 개선방안 연구

        엄문영(Eom, Moony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4

        본 연구는 정기적·체계적인 방법으로 시도되지 않고 있는 유·초중등교육 학생수 추계 방법 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를 통해 추계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개선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안을 전국의 지역별 학생수 변화를 가장 잘 대변한다 고 알려져 있는 경기도 초등학교 학생수 추계에 직접 적용해 봄으로써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 다. 실적치가 존재하는 2014년 경기도 초등학교 1학년과 3학년 학생 추계에 적용하여 비교한 결과 상향식 방법과 지수 평활방법에 의한 코호트 요인값 예측이 가장 오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초·중등교육 학생수 추정 방법에 대한 개선안과 향후 추가적인 연구 방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중·고등학교와 같은 상급 학교 수준으로 올 라갈수록 우리나라에서는 시·군·구별로 학생 이동이 많이 나타나므로 지역 단위의 학생수 변 동을 고려하여 전체 학교급별 학생수를 추계해야 한다. 둘째, 선행 연구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코호트 요인으로서 취학률, 진급률 등은 평활 계수를 연구자가 임의로 선정하여 평균값 이나 직전 연도값이 계속 유지될 것이라고 가정하기 보다는 지역별·학교급별 요인값의 추이 를 통계적으로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평활계수 산출과 적용이 바람직하다. 셋째, 학생수 추 계는 매년 정기적으로 중·단기적 관점에서 향후 5년 또는 10년을 단위로 이루어져야 한다. 넷 째, 학생수 추계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학교급별로 다른 시계열 N값에 대한 추가적인 연 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ccuracy improvement of the number of K-12 student projection by overall examination of previous studies. Additionally, in order to verify the method that is proposed in this study, the improvement plans were applied to Gyeonggi elementary education projection comparing to the real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2014. As a result,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is confirmed as the smallest error size model.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conclusions on the improvement plans and further research of student projection method. First, bottom-up projection based on local unit should be utilized in that Korean students frequently transfer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Second, not guessing enrollment rates and promotion rates as a cohort component, but calculating exponential smoothing index (α) is proper to project the number of K-12 students. Third, the number of K-12 student projection should be executed in the perspective of short and mid-terms such as five or ten years. Fourth, a further study for examining the different but proper time wave N needs to be pursu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projection in each the level of K-12 education.

      • KCI등재

        학교기본운영비 적정 배분모형 탐색을 위한 패널 분석

        엄문영(Eom Moonyo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4 교육재정경제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dequate allocation model of school basic funding for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using 3 years' settlements of school accounts (2010∼2012).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xamined: (1) what are the factors of allocating school basic funding in Korea, specifically Seoul's public elementary schools? (2) how is the allocation model of school basic funding made up in Seoul public elementary schools? (3) does the established allocation model reflect the actual distribution of school basic funding in 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number of students and classes, BTL building areas, school accounting staffs, newly established school, and year variable affect the level of school basic funding in Seoul public elementary schools. Next, the natural log converted number of students affects the level of school basic funding negatively, which means there exists economy of scale. BTL area is also negatively related with the school basic funding level. However, the number of classes, school accounting staffs, the newly established school, and year variable increase the level of school basic funding. Finally, the estimated allocation model covers actual level of school basic funding within ±20% error range based on the actual allocation amount data in 2013.

      • KCI등재

        현장 기반 유치원 교사 직무역량 분석 연구

        엄문영(Eom, Moonyou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job competencies of kindergarten teachers based on a site-focused perspective. The two specific research questions such as job competency factors and development strategies were considered. As research methods, systematic review, in-depth interview, and open-questionnaire survey were taken advantage of for achieving the purpose and solving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analyzing competency factors were classified as the two parts: 1) should be more emphasized job competencies based on the previously suggested key competency factor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10, 2) should be newly considered job competencies. For teacher education policy suggestions, the six following strategies were introduced: 1) not just forcing ideal mission, but giving the opportunities for realistic cases and indirect experience in teacher education, 2) strengthening practicum course by extension of practicum period and expansion of concrete experienc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ontingency theory, 3) supporting good teaching experience by connecting theory with practice, 4) giving opportunities to stimulate the sense of mission and self-development, 5) implementing systematic training program for activities focused Nuri-curriculum, and 6) leading kindergartens to a learning organization. 본 연구는 유치원 현장에 기반하여 교사 및 관리자, 행정가가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직무역량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현장의 필요에 근거하여 유치원 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들과 이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과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 분석(systematic review)과 심층면담, 개방형 설문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유치원 교사의 직무역량 요소와 제고 방안을 분석하였다. 유치원 교사의 직무역량 분석 결과는 2010년 교육부가 발표한 유치원 교사의 핵심 역량을 기준으로, 강조되어야 하는 역량과 심층 면담과 개방형 설문을 통해 추가로 드러난 역량으로 나누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교원교육정책을 위한 시사점으로 1) 이상적 차원의 소명보다는 현실적 차원의 사례와 간접 경험 부여, 2) 상황론적 관점에서 기간과 구체적 경험 확대를 통한 실습교육 강화, 3) 이론과 실천의 연결을 통해 좋은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 4) 소명의식 강조와 자기 계발 기회 제공, 5) 놀이중심 누리과정 시행에 대한 체계적 연수 프로그램 실시, 6) 유치원의 체계적 학습조직화 등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