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판 부모 소진 척도 타당화 연구

        엄문설(Mun Seol Eom),이양희(Yang Hee Lee)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0 Crisisonomy Vol.16 No.10

        부모 소진은 양육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장기간 누적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본 연구는 부모 소진을측정하기 위하여 Roskam et. al.(2018)이 개발한 부모 소진 척도(Parental Burnout Assessment, PBA)를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부모 소진 척도는 23문항,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탈진: 부모 역할에 대한 탈진’, ‘자기 대조: 부모로서 자기 대조’, ‘포화: 싫증남’, ‘정서적거리두기: 자녀와 정서적 거리두기.’ 척도를 타당화하기 위해 만 5세 미만의 자녀를 한 명 이상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 226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문항 분포도 및 양호도, 신뢰도를 확인하고 4요인모형에대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공인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에 소진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어 오던 직무 소진 측정도구(MBI), 부모 소진 측정도구(PBI)와 양육 스트레스 척도(PSI)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부모의 소진을 측정할 수 있는 사용할 수 있는타당화된 척도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Parental burnout occurs as a result of a long-term accumulation of parental stres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Parental Burnout Assessment (PBA) developed by Roskam et. al. in South Korea. PBA is composed of 23 questions in four sub-factors such as ‘exhaustion: exhaustion in one’s parental role’, ‘contrast: contrast in parental self’, ‘saturation: feelings of being fed up’, and ‘emotional distancing: emotional distancing from one’s children.’ To validate the scale, the data from 226 mothers parenting at least one child under age 5 were used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of items, reliability, and validit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4-factor PBA model and convergent validity were examined by correlation analysis of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 Parental Burnout Inventory (PBI), and Parenting Stress Index (PSI). This study established a validated scale that can be used to measure parental burnout among South Korean parents.

      • KCI등재

        한국판 가정 내 혼란 척도(K-CHAOS) 타당화 연구

        엄문설(Munseol Eom),오혜민(Hyemin Oh),이양희(Yanghee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Matheny et al.(1995)이 개발한 가정 내 혼란 척도(Confusion, Hubbub, and Order Scale; CHAOS)를 한국 문화에 적합하게 번안하여 타당화하는 것이다. 일련의 과정을 거쳐 문항을 번안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한 뒤, 만 5세 미만의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89명의 자료로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기술 통계 분석 결과 정규성을 충족하였고, 문항-총점 간 상관이 적합하였으며, 내적 일관성 지수는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13문항이 확정되었으며, 신뢰도 Cronbachs α 값은 .881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정 내 혼란 척도와 양육 스트레스의 전체 점수와 하위척도 점수 간 상관계수가 유의함을 확인하여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한국판 가정 내 혼란척도(K-CHAOS)는 개인의 심리사회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의 물리적 환경을 측정하는 척도로, 향후 연구에서 미시체계 내 물리적 환경을 고려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Confusion, Hubbub, and Order Scale (CHAOS), developed by Matheny et al. (1995), in South Korea. Data of 189 parents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5 acquired by online survey were used for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tem-total correlation, internal consistenc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were examined. As a result, 13 items were confirmed and the reliability was .881. By validating K-CHAOS, it became possible to consider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that are known to affect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of individuals, as one of micro-systems in future studies.

      • KCI등재

        숲교육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기분상태,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엄문설 ( Mun Seol Eom ),이연희 ( Yeon Hee Lee ),하시연 ( Si Yeon Ha ) 한국임학회 2016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5 No.2

        본 연구는 숲교육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심리정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5년 산림청-법무부 공동주관으로 추진된 숲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보호관찰 청소년 7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척도를 활용하여 숲교육 프로그램 참가 전·후의 기분상태,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숲교육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 기분에 긍정적 변화, 자아존중감 증가, 장기적 만족추구에 효과적임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수강명령 프로그램으로써 숲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이 보호관찰 청소년에게 갖는 긍정적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forest education on juvenile probationer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Changes of mood states, self-esteem, self-control of 77 juvenile probationers, who attended forest education program co-managed by Korea Forest Service and Ministry of Justice in 2015, were identified by self-report survey. The result came out that forest education program had influence on positive change of juvenile probationers`` mood states, increase of self-esteem, pursuing long-term satisfact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the positive effect of applying forest education to attendance order program of juvenile probation was identified.

      • KCI등재

        숲체험이 여고생의 숲태도, 환경감수성 및 상태-특성불안에 미치는 영향

        엄문설(Eom, Mun-Seol),하시연(Ha, Si-Yeon),이연희(Lee, Yeon-Hee)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5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숲체험 프로그램이 청소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의 여가활동으로써 숲체험 활용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2015 그린캠프에 참가한 여자고등학생 93명을 대상으로 숲태도, 환경감수성, 상태-특성불안에 대하여 자기보고식 척도를 활용하여 캠프 전·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참가자의 숲태도와 환경감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승을 보였다. 또한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즉, 숲체험이 여자 고등학생의 숲태도와 환경감수성 증가와 상태-특성불안의 감소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여가활동 증진의 일환으로 청소년 숲체험의 중요성과 효과를 검증하고, 숲체험을 활성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당위성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forest experience as an leisure activity by examining the effect of forest experience program on adolescents. Changes betwee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2015 Green Camp were measured by participants’ self report: attitudes toward forest,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state-trait anxiety.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n attitudes toward forest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High school girls’ forest experiences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increase of attitudes toward forest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were effective on the decrease of state-trait anxie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effect and the importance of adolescent’s forest experience, as a part of promoting leisure, was identified. Furthermore, the result proposes the necessity of promoting forest experience.

      • KCI등재

        폭력적 양육방식과 자아탄력성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엄문설(Mun Seol Eom),이양희(Yang Hee Lee),김상원(Sang Won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0 Crisisonomy Vol.16 No.8

        아동의 공격적인 성향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부모는 아동이 생애 초기부터 상호작용하는 대상으로 아동에게 가장 근접한 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여 폭력적인 양육을 받을 경우 아동의 공격성으로 이어지기 쉽다.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사회적 자원에의 접근이 제한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을 대상으로 폭력적 양육방식이 탄력성을 매개로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경로에 있어서 지역아동센터 교사와의 관계에 따라 그 경로가 변화되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위해 지역아동센터 패널을 사용하여 초등학교 4학년 606명의 응답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아동의 탄력성은 폭력적 양육방식과 공격성 간의 경로를 매개했으며, 그 경로는 지역아동센터 교사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생각했을 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역할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이들이 특히 아동이 폭력과 같은 가정 내 위기 상황에 대처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데작동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으며, 이는 지역아동센터 운영방안에 있어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Aggression displayed by children is a widespread social problem. Children may be aggressive due to the influence of violent parenting in the home environment, which could be mediated by ego-resiliency. This study proposed a hypothesis that the level of eco-resiliency depends on the child’s relationship with teachers at a regional center for children. Based on this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harsh parenting and eco-resiliency on aggression of children, focusing on the moderated mediating role of teachers at a regional center for children. The responses from 606 4th-grade children who attended the regional centers for children were extracted from the Regional Center for Children Panel and analyzed to test the hypothesized model. The findings showed that ego-resiliency mediated the path from harsh parenting to aggression of children and the path depended on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at the center. This study reaffirmed the role of teachers at the regional center for children who may contribute to building an environment where children can cope well with adverse events at home.

      • KCI등재

        숲해설가 직무요구가 직무열의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하시연(Ha, Si-Yeon),엄문설(Eom, Mun-Seol),이연희(Lee, Yeon-Hee)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5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2015년 사회서비스 일자리 사업에 선발되어 직무교육에 참여한 숲해설가를 405명을 대상으로 직무요구, 직무열의, 직무소진에 대해서 알아보고, 직무요구와 직무열의 및 직무소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숲해설가 직무요구요인분석 결과 역할과부하, 직무전문성, 역할갈등, 역할인지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직무소진은 평균 2.39점으로 중수위 보다 낮게 나타났고, 직무열의는 평균 4.12점으로 중위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숲해설가의 직무요구가 직무소진 및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요구가 직무소진 및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직무요구 요인 중에서 역할과부하의 상승이 직무소진을 높이며, 역할 갈등이 심화될수록 직무열의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숲해설가의 역할인지가 높아질수록 직무소진이 낮아지는 반면 직무열의는 상승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job demand, job engagement, job burnout targeting 405 forest interpreters chosen from social services jobs and attended in work-training course in 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factors of job demand for forest interpreters are role overload, work profession, role conflict, role cognition. Second, the mean of job burnout of forest interpreters was 2.93 lower than the median and the mean of job engagement was 4.12 higher than the median.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zing the impact of job demand on the job burnout and engagement, it showed that job demand effected on job burnout and engagement and increasing of the role overload among the factors of job demand increase the job burnout, and job engagement decreases as role conflict increases. Also, it was found that as the role cognition of forest interpreters increases, the job burnout decreases and the job engagement increases.

      • KCI등재

        폭력적 양육과 또래 괴롭힘이 청소년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상원(Kim Sangwon),오혜민(Oh Hyemin),엄문설(Eom Munseol),이양희(Lee Ya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본 연구는 청소년의 폭력적 양육 경험, 또래 괴롭힘, 자아존중감, 사회적 위축 그리고 자살사고 간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010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의 4차년도(2013, 중1)와 5차년도(2014, 중2) 응답(2,378명, 여자 41.7%)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은 폭력적 양육방식 또는 또래 괴롭힘을 경험했을 때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은 순차적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폭력적 양육방식이나 또래 괴롭힘은 각각 자아존중감을 낮추고, 이후 이들이 사회적으로 위축되는데 기여하며, 결과적으로 자살사고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자살사고 예방을 위해 경험적 근거에 기반하여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iolent parenting, peer victimization, self-esteem, social withdrawal, and suicidal ideation. It targeted the 4th-grade elementary school panel of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0, and among them, the responses extracted from the 4th-5th wave (2013-2014) were used for the analysis (2,378 students, 41.7% female), using Mplus 8.4.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esteem mediated the pathway from either violent parenting or peer victimization to suicidal ideation, respectively. Second,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sequentially mediated the pathway from either violent parenting or peer victimization to suicidal ideation. This finding contributed to establishing evidence-based practical measures to prevent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 KCI등재

        숲길체험지도사의 조직몰입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직무동기를 중심으로

        하시연 ( Siyeon Ha ),이연희 ( Yeonhee Lee ),엄문설 ( Munseol Eom ),장진 ( Jin Jang ) 한국임학회 2016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5 No.4

        숲길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숲길체험활동에 대한 확대가 중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건전한 숲길이용을 위한 체험활동의 목표를 달성하고, 이용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숲길체험지도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동기를 중점으로 두 변수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직무동기 요인에 따른 조직몰입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숲길체험지도사 직무동기는 `개인적 만족추구`, `일 자체의 가치`, `외적 보상·인정`요인으로 구분되었고, 개인적 만족추구, 일 자체의 가치, 외적 보상·인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동기는 조직몰입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개인적 만족추구와 외적 보상·인정에 있어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숲길체험지도사의 직무동기의 하위요인 가운데 `개인적 만족추구`는 타 하위요인보다 직무몰입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나, 숲길체험지도사로서의 활동이 개인에게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개인적 만족감을 높여주는 방안 강구가 필요하다. As people`s interest in forest trail increases, it has reached a critical time to extend forest trail program. This study clarifies correlation between two variabl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motivation and identifies the variation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for job motivation so that the forest trail programs attain its object and meet users` satisfaction. As a result, first, job motivation can be divided into `personal satisfaction`, `work value`, and `external reward and recognition`; the biggest motivation is `personal satisfaction`, followed by `work value` and `external reward and recognition`. Second, job motivat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Especially `personal satisfaction` and `external reward and recognition`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sum up, the personal satisfaction has a greater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other factors. Therefore, it is needed to draw up measures to increase their personal satisfaction like making them have self esteem from forest trail gu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