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의 동북아 가스정책과 극동, 동시베리아 가스의 공급 안정성

        엄구호 ( Gu Ho Eom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3 슬라브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러시아 동북아 가스정책의 내용을 동시베리아·극동 가스의 공급 충족성의 견지에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얻은 것을 목표로 한다. 러시아 동북아 가스공급의 공급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러시아 동시베리아·극동 가스의 잠재적 수요, 생산능력, 운송능력, 재정능력 등 네 가지 측면에서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첫째, 동시베리아와 극동에 석유 가스전 개발에 필요한 투자 규모는 거대하고 러시아는 이 투자를 자신만으로 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둘째, 동북아 가스협력의 선순환을 위해서는 러시아의 부족한 재정능력을 감안하여 가스전 개발과 운송망 건설에 동북아 국가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셋째, 러시아의 동북아 가스 공급 능력의 불확실성은 순수한 재정적 문제이며, 따라서 동북아 국가에서 러시아 가스의 공급 충족성은 가격 적정성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 넷째, 공급능력 및 개발 속도와 재정 능력을 고려해 보면 동시베리아·극동의 본격적인 가스 생산은 2017년 이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시진핑 정부의 중러 전략적 관계의 지속·확대 정책과 아베 정부의 신에너지 정책과 에너지를 매개로 하는 북방영토 정책은 러시아 동시베리아·극동의 가스 공급 안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동시베리아·극동 가스의 동북아 공급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러시아는 동북아 국가들과의 원만한 가스 가격협상과 운송 인프라 및 가스전 개발에 동북아 국가들의 투자를 허용·유인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을 통해 재정능력을 갖춤과 아울러 충분한 공급 물량 확보를 위해 서시베리아 가스와의 연계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 동북아 가스정책에서 러시아의 이러한 전향적 자세 변화 없이는 동시베리아·극동 가스의 동북아 공급 안정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Russia`s gas policy toward the Northeast Asia from a perspective of supply satisfaction of the East Siberian and Far Eastern gas and to get our implications. The stability of Russian gas supply to the Northeast Asia needs to be assessed from the following four aspects; potential demand, production capacity, transport capacity, and financial capacity of the East Siberian and Far Eastern gas. First of all, it has been known, the investment size for the development of oil and gas fields in the East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region is so enormous that Russia alone cannot afford the investment. Second, for a virtuous circle of the gas cooperation in the Northeast Asia, we need to induce participation of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in the development of gas fields and construction of transportation network, taking into account Russia`s insufficient financial capacity. Third, the uncertainty of Russia`s capability for gas supply to the Northeast Asia is definitely a financial matter, because the Russian gas supply satisfaction in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is closely related to the appropriateness of its price. Fourth, if taking into account of Russia`s gas supply capacity, the rate of development, and financial capacity, a full-scale production of the East Siberian and Far Eastern gas will be able to begin after 2017. Fifth, both policy of the Xi Jinping government to maintain and expand the China-Russia strategic relationship and policy of the Abe government on Northern Territories will have positive influences upon the stability of gas supply from Russia`s East Siberia and Far East. To secure stability of the East Siberian and Far Eastern gas supply to the Northeast Asia, Russia should make a great effort not only to smoothen the price negotiation process with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but also to build up her financial capacity through preparing a system to allow and induce investment from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in the development of gas fields an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Without this fundamental change in Russia`s gas policy toward the Northeast Asia, it is hard to make a positive evaluation on the stability in supply of the East Siberian and Far Eastern gas to the Northeast Asia.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중앙아시아의 민주주의와 씨족 정치

        엄구호 ( Gu Ho Eom ) 한국세계지역학회 2009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7 No.3

        본 논문은 중앙아시아의 민주주의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합성체제론(hybrid regime)과 비공식 구조(informal structure)에 대한 병행적 이해가 필요하며, 특히 중앙아시아의 독특한 비공식 구조인 씨족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합성체제론과 비공식 구조에 대한 이해가 병행되어야 하는 이유는 첫째, 선거 권위주의와 같은 합성체제에서는 공식제도가 정파주의와 비민주적 권력관계를 보존하는 비공식 제도와 양립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공식적으로 민주적 제도가 있다 하더라도 인맥이나 씨족 같은 비공식적 연계망이 실제의 정치를 좌우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불완전 민주주의가 실제에서 비민주체제로 안정화되었을 때는 불완전 또는 전환적 형태의 민주주의로 다루는 것은 적절치 않기 때문이다. 중앙아시아는 안정적 비민주주의 현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안정적 비민주주의는 민주주의로 전환하기가 매우 어려운데 그 이유는 비민주주의임에도 안정성을 보이는 것은 비공식적 구조가 안정화 또는 고착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셋째,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실제로는 민주주의의 최소 요건도 아직 제도로 갖추진 못하고 있어 대중과 엘리트들이 어느 정도 민주적 가치를 수용하고 있는가 또는 정당 시스템은 어느 정도 제도화 되어 있는가와 같은 민주주의 평가의 서구적 기준은 아직 적용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중앙아시아 5개국의 씨족정치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중앙아시아에서 정치지도자가 안정적 장기 집권 기반을 마련하면 씨족간 균형을 추구하면서 탈씨족정치화 하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씨족 형성의 기반이 혈족이냐 지역이냐가 씨족 구조의 견고함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씨족이 혈통보다는 지역에 기초한 우즈베키스탄의 경우 씨족 정치가 상당히 완화되어 있는 반면에 카자흐스탄의 경우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의 씨족 균형적 인사정책에도 불구하고 씨족 구조의 견고함은 계속 유지되고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씨족 기반과 지역 갈등이 중첩된 경우는 씨족 갈등의 증폭되어 정국 안정을 기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지배 중심은 국가에 있으나 씨족들의 정치적 영향력은 다소 차이가 있다. 우즈베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은 정치적 영향력은 다소 간접적인 정경유착형 후견시스템(patronage)의 성격을 보이고 있으며 카자흐스탄은 정치적 영향력이 다소 직접적인 후견주의적 정당 성격을 보이고 타지키스탄과 투르크메니스탄은 독재적 도당화 성격을 보이고 있다. 셋째, 중앙아시아의 정치체제가 초대통령제인 것은 사실이나 씨족들에 의해 상당부분 제약되는 것이 사실이다. 넷째, 중앙아시아의 경우 씨족 정치와 자원저주 현상(resource curse)의 관계에 주목해야 한다. 카자흐스탄과 투르크메니스탄 같은 자원 부국의 경우 자원으로 인한 국가수입을 경쟁 씨족을 달래고 개인 권력을 증대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장경제의 성장과 부의 분배가 이루어져야 부가 집중된 권위주의 체제의 민주화를 이룰 수 있고 씨족과 후견 네트워크(patron-client network)를 없앨 수 있음을 분명해 보인다. This article argues that explanations on democracy of the post-Soviet Central Asia should pay parallel attention to both `hybrid regime` and `informal structure,` especially clans, the structure unique to the Central Asian politics. The grounds for the equal emphasis of this article on `hybrid regime` and `informal structure` are as follows; first, in a hybrid regime like `electoral authoritarianism,` the formal political system can coexist with informal institutions that hold particularism and non-democratic power structure. Even if the Central Asian countries formally have democratic institutions, in other words, it is informal network such as clans and personal connections that control their real politics. Second, when a non-democratic regime has been stabilized from incomplete democracy, it is not proper to regard the regime as an incomplete or transitional democracy. The contemporary Central Asian politics assume the characteristics of stable non-democracy, which is hard to be transformed to democracy because its stability comes from that the informal structure became permanent. Third, it is not easy to apply Western standards for evaluating democracy-such as the degree in which the mass and elite accept to democratic values, or the degree in which political party system is institutionalized-to the Central Asian countries, because these countries at large have not fulfill yet the minimum institutional requirements for democracy. From a comparative analysis on clan politics of the 5 Central Asian countries, this article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hen a political leader gain a stable foothold for the long-term seizure of power in Central Asia, there appears a tendency to seek for a balance of power among clans and to free politics from their influences. Second, the solidity of the clan structure is affected by whether the clan formation is based on blood or region. While in the case of Uzbekistan where the clans are based on region rather than blood, the clan politics has been quite lessened, for example, the solidity of clan structure has been still preserved in Kazakhstan despite the clan-balancing personnel policy of the President Nazarbayev. One thing noteworthy is that it becomes too hard to stabilize the political situation by escalated conflicts among clans when the clan formation is complicated by both blood and region. While the ruling power in the Central Asian countries by and large is centered on the state, there are quite apparent differences among them in the degree of the clans` political influences; Uzbekistan and Kyrgyzstan take on the characteristics of a more or less indirect patronage system with crony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and business. Kazakhstan assumes the characteristics of patronage political party whose political influences are quite direct, and Tajikistan and Turkmenistan shows a despotic factionization. Third, although the Central Asian political system is based on strong presidentialism, it is also true that the presidential power is quite limited by the clans. Fourth, especially in case of Central Asi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n politics and the phenomenon of resource curse should be highlighted. It is because in case of the resource-rich countries such as Kazakhstan and Turkmenistan the national revenues from resources can be utilized to pamper rival clans and amplify personal political power. Here it becomes clear that democratizing an authoritarian system and eliminating the clan-based patron-client network based should be preceded by the growth of market economy and proper distribution of wealth.

      • 최근 유라시아 정세와 한국의 대중앙아시아 외교 방향

        엄구호 ( Eom Gu-ho ) 한국외교협회 2022 외교 Vol.142 No.0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중앙아시아에 정치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정치적으로 첫째, 정치·경제적 안보를 헤징하기 위해 인도, 터키, 이란 등 인접 지역 강국들과의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다. 둘째, 중앙아시아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더 커질 것이지만 SCO는 경제기구화할 가능성이 커질 것이다. 셋째, 중앙아시아 지역주의의 향배가 불확실해 질 것이다. 가능성이 크지 않지만 우즈베키스탄이 탈러적 행동을 보인다면 지역주의가 약해질 수 있다. 넷째,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에서 미국의 역할이 재확대 될 가능성은 적다. 경제적으로는 첫째, 유라시아경제연합의 위상과 구심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크다. 둘째, 유럽의 탈러 에너지 정책이 강화되고 신재생 에너지 정책이 가속화된다면 중앙아시아 그 중 특히 카자흐스탄 같은 중앙아시아 탄소중심 에너지 생산국의 신재생 에너지 정책이 가속화될 수 있다. 셋째, TSR의 물류 장애가 지속된다면 러시아를 통하지 않고 인도, 이란, 파키스탄 등을 통해 중앙아시아로 가는 우회 물류 인프라가 활성화될 것이다. 한국의 대(對)중앙아시아 외교 방향을 가치외교와 경제안보 전략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방향으로 일정 수준 전환하는 것은 불가피해 보인다. 이런 맥락에서 첫째, 기존의 대중앙아시아 외교 전략과 경제협력 정책은 중앙아시아를 러시아 영향권으로만 보는 경향에서 벗어나야 한다. 둘째, 대러 제재와 지정학 갈등으로 한국과 러시아의 경제협력이 크게 위축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대러 경제협력의 우회적 관리 수단으로 대중앙아시아 경제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역대 정부가 해온 북방정책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고 러시아와 함께 북방정책의 핵심 지역이었던 중앙아시아도 협력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 이전 정부의 협력 플랫폼을 유지·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Russia’s invasion of Ukraine will have political and economic impacts in Central Asia. Politically, first, Central Asian countries will strengthen cooperation with neighboring regional powers such as India, Turkey and Iran to hedge their political and economic security. Second, while China’s influence in Central Asia will increase, SCO will be more economic cooperation organization. Third, the future direction of Central Asian regionalism will be uncertain. Although it is unlikely, if Uzbekistan shows anti-Russian behavior, regionalism in Central Asia may weaken. Fourth, it is unlikely that the US role will be expanded again in Central Asia after the Ukraine War. Economically, first,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status and centripetal force of the Eurasian Economic Union will be weakened. Second, if Europe’s anti-Russian energy policy is strengthened and green energy policies are accelerated, the renewable energy policies of Central Asian carbon-centered energy producing countries such as Kazakhstan in particular can be accelerated. Third, if the logistical obstacles of TSR persist, the bypass logistics infrastructure going to Central Asia through India, Iran, Pakistan, etc. instead of through Russia will be activated. It seems inevitable to shift Korea’s diplomacy toward Central Asia to a certain level to organically link value-oriented diplomacy and economic security strategies. In this context, first, the existing diplomatic strategies and economic cooperation policies toward Central Asia must be freed from the tendency to view Central Asian countries only as a sphere of influence from Russia. Second, in a situation in which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is inevitably severely curtailed due to western sanctions against Russia and geopolitical conflict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economic cooperation with Central Asian countries as a means of circumventing economic cooperation with Russia. Thir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northern policy of new governments may be weakened due to the Russia’s invasion of Ukraine, thus the cooperation with Central Asian countries may also shrink. It will be necessary to maintain and develop the previous government’s cooperation platform with Central Asian countries.

      • KCI등재

        한국의 중앙아시아 연구 동향

        엄구호(Gu Ho Eom)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2 아시아리뷰 Vol.2 No.1

        지역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은 인문학적 지역연구와 사회과학적 지역연구의 학제적 통섭, 순수 기초 연구와 응용 정책 연구의 유기적 연계성, 국내적 연구와 국제관계적 연구의 체계적 시각 정립일 것이다. 그러나 2005년 이후 본격화된 한국의 중앙아시아 연구는 아직 역사가 일천하여 위의 기준에서 보면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최근의 많은 연구들이 스탄국가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스탄국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주로 사회과학 배경연구, 스탄 외 국가들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인문학 배경 연구로 편중되어 있다. 또한 학제적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둘째, 최근의 연구 지원 동향을 보면 순수 기초 연구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다. 특히 중앙아시아사 연구에 집중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중앙아시아 지역의 내적 연관성을 모색하는 연구가 부족하다. 중앙아시아의 지리적 개념이 매우 모호하고 국내 학자 간 합의가 부족한 상황을 감안하면 서투르키스탄 연구자와 동투르키스탄 연구자들 사이의 소통이 시급하다. 넷째, 몽골연구에 비해 위구르·티벳 연구가 급감하고 있어 이 지역 연구의 지속가능성이 염려된다. 다섯째, 스탄국가의 경우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연구는 사실상 걸음마 단계에 있다. 여섯째, 1차 전문 연구자의 양성이 시급하다. 특히 스탄국가들의 경우 러시아 연구자들이 병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국내 대학원에서도 중앙아시아 학위과정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바람직한 연구방향으로 세 가지를 제언할 수 있다. 첫째, 독립 후 중앙아시아 지역은 개인적ㆍ민족적ㆍ국가적 정체성의 급격한 변화와 재구성의 과정 속에 있다. 정체성을 키워드로 삼아,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다종교ㆍ다문화ㆍ다민족이 공존하면서 그려내는 복합적, 중첩적 정체성의 전체적 지형도를 그려내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중앙아시아 지역연구를 위한 공통의 목적 아래 각 학문 분과의 통합보다는 각 학문 분과의 개별적 특성을 존중하고 그것을 심화하며, 공존하게 함으로써 중앙아시아 지역연구의 새로운 모델이 필요하다. 셋째, 중앙아시아 연구가 스탄국가에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역사적으로 보아 중앙아시아의 지리적 개념은 민족적으로 동투르크인, 동이란인, 몽골족의 분포에 모두 초점을 두어야 한다. 현대 지정학적 관점에서도 스탄 공화국들과 신장과 아프가니스탄을 중앙아시아의 문명 지대의 핵심 지역으로 하고 여기에 이란의 호라산 지역, 파키스탄의 북부지역, 러시아의 타타르스탄 지역, 인도의 라자스탄에서 아그라에 이르는 지역이 포함하는 대중앙아시아 개념을 엄밀히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위에서 제시한 정체성 중심의 연구와 학제적 연구 지향도 이러한 포괄적인 지리적 개념하에서의 내적 연관성 모색에 기초하지 않으면 그 결실을 보기 어려울 것이다. The recommendable directions for area studies today all have the word ‘interdisciplinary’ as a key: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pure arts and science studies and applied policy studies, and regional area studies and international relation studies. Judging by these standards, the Central Asian studies in Korea seems to be at its infant stage, which is only logical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is academic field was founded in Korea only in 2005. Some of the problems that the Korean academia faces are as follows: First, recent studies in both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have tended to focus on the stan countries, but only a few of these studies have been interdisciplinary in character. Secondly, financial support for researchers of pure arts or pure science studies have been far from sufficient, and this is especially true for researchers of Central Asian history. Thirdly, more studies focusing on the internal relations within the Central Asian region are required. Meanwhile, the geographical conception of the Central Asian region remains as a contested one among scholars, and therefore, academic exchange and communication between scholars studying West Turkestan and those studying East Turkestan are urgently needed. Fourthly, studies on Uyghur-Tibek have fallen short in number, in comparison to studies on Mongolia. Fifthly, although studies on the stan countries have been accumulating, those on Tajikistan, Kyrgyzstan, and Turkmenistan, however, remain in their infant stage. Sixthly, more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raining our Korean specialists in specific areas. For instance, studies on the stan countries have been dominated by Russian specialists. More courses on Central Asia should be offered by graduate schools in Korea.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three ways: First, the Central Asian region has undergone rapid changes in terms of reconstructions of an individual after the independence, such as the individual’s ethnic and national identity. In this respect, studies focusing on the individual’s ‘identity’ as a key word are required to sort out the complex map of individual identities in the Central Asian region, as well as to shed a new light onto its multilayeredness, namely its multi-religious,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Secondly, I suggest that every study field be respected for its distinctive character, and that we help to build on them, which will ultimately benefit the field of Central Asian area studies as a whole. Thirdly, the Central Asian studies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stan countries.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geographical conception of Central Asia should be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the Turks, East Iranians, and Mongol. Even from the contemporary geopolitical point of view, we need to reset the definition of Greater Central Asia as one which claims the stan countries, Xinjiang, and Afganistan as the core region of the Central Asian civilization, and one which encompasses the Horasan region of Iran, the northern region of Pakistan, the Tartar region of Russia, and the region spanning from Rajasthan to Agra in India. For the identity-focused studies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suggested here to become meaningful in any way, it is necessary that they conform to this comprehensive geographical conception of Central Asia.

      • 헬성키 정상회담 이후 미·러관계 전망

        엄구호 ( Eom Gu-ho ) 한국외교협회 2019 외교 Vol.130 No.0

        최근 미·러관계를 신냉전으로 우려하는 전문가들도 있지만 현재 미·러관계의 국제적 맥락과 성격은 냉전시기와는 완전히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러관계는 냉전시기 만큼이나 상당 기간 대립이 불가피해 보인다. 그 근본 원인은 양국의 대내외적 국가정체성이 예외주의와 보편주의의 경쟁적 형태에 배태된 양립 불가능한 가치 시스템에 기초하기 때문이다. 헬싱키 정상회담 이후 미·러관계 전망을 트럼프의 국내 정책 능력과 미국의 새로운 행정부 하에서 미국의 대외 정책의 갈등의 정도, 그리고 제재의 정도(지속 또는 완화) 여부까지 고려하면 네 가지 시나리오 가능하다. 대외정책의 갈등이 낮아질 가능성이 적고, 제재도 지속될 가능성이 크며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이 적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미·러 간 관계 개선의 가능성보다는 대립이 지속되는 가운데 갈등의 상승을 관리하는 현상 유지 시나리오가 현실적이다. INF 협정이 파기되고 2012년 New START 연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양국 간 전략적 안정성에 대한 위협이 크게 높아질 가능성도 커졌다. 양국 간 관계 개선의 조건은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미·러 간 전략적 안정성을 위한 핵 평등은 훼손되어서는 안 된다. 둘째, 유럽에서 MD의 확산은 자제한다. 셋째, 동부 우크라이나 문제에서의 러시아 양보와 대러 제재 완화의 교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국제테러리즘에 대한 공동 대응을 복원해야 한다. 다섯째, 미국이 중국과 이란과의 관계를 과도하게 악화시키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그나마 포용이 쉬운 북핵 문제에 러시아가 이 지역의 주요 이해관계자로서 미국과 협력할 수 있는 협력의 기제를 마련해 준다. 그러나 양국 모두 시간이 그들 편에 있다고 믿는 한 이러한 조건이 성립될 가능성은 적다. Some experts are worried about the recent relationship between US and Russia as new Cold War, but the international context and character of the current US-Russia relationship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Cold War era. Nevertheless, US-Russia relations seem to be inevitable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as much as during the Cold War. The root cause is that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identities of the two countries are based on incompatible value systems embodied in the competitive forms of exceptionism and universalism. Considering Trump’s domestic policy ability, the degree of conflict between US foreign policy under the new administration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degree of sanctions (persistence or mitigation), the four scenarios are possible. Considering that foreign policy conflicts between two countries are unlikely to be lowered, sanctions are likely to continue, and Trump is likely to be re-elected, the scenario of maintaining the current situation of managing escalation of conflicts is realistic to be. With the breakdown of the INF Agreement and the uncertainty of the New START extension in 2012, the threat to strategic stabil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likely to increase significantly. The conditions for improving bilateral relations can be considered as follows. First, nuclear equality for strategic stability between two countries should not be undermined. Second, the spread of MD in Europe is refrained. Third, compromise of Russian concessions and mitigation measures of US sanction against Russia in the eastern Ukraine issue should be made. Fourth, a joint response to international terrorism must be restored. Fifth, the United States does not unduly deteriorate relations with China and Iran. Finally, it provides a mechanism for cooperation in which Russia can cooperate with the United States as a key stakeholder of the region i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hich is easy to embrace. However, as long as both countries believe that time is on their side, it is unlikely that this condition will be estab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