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자궁근종에 대한 임상통계학적 연구

        양희동,남철,서호성,김창수,장병곤,박세준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6

        1989년 1월 1일부터 1994년 12월 31일까지 만 6년간 부산의료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수술을 받고 자궁근종으로 확진된 245예를 대상으로 임상 및 병리학적 연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궁근종의 빈도는 18.1%이었다. 2. 연령분포는 40~49세가 60%로 가장 많았고 평균연령은 43.9세이었다. 3. 임신경험이 한번도 없었던 경우가 6.9%이었고, 평균임신 횟수는 4.9회, 평균분만 횟수는 2.9회이었다. 불임인 경우는 8.2%에서 관찰되었으며 이중 원발성은 7.8%, 속발성은 0.4%이었다. 4. 발생부위는 체부가 96.3%, 경부가 3.7%이었고, 조직학적으로는 근내형이 58%, 혼재형이 18.7%, 장막하형 13%, 점막하형 10.2%의 순이었다. 5. 주소가 동통인 경우가 85.3%, 이상자궁출혈인 경우가 52.2%, 종류감이 19.2%순이었다. 6. 평균 혈식소치는 10.9g/dl이었으며, 혈식소치가 10g/dl이하인 경우가 33.5%이었다. 7. 자궁근종의 크기는 절제된 자궁 또는 자궁근종의 무게는 201~300g인 경우가 53.4%로 가장 많았고 평균 무게는 274.4 g이었다. 8. 자궁근종의 이차변성은 11.8%에서 보였으며, 초자양변성이 4.8%로 가장 많았다. 9. 자궁근종과 합병된 병변은 84.9%이었고, 이중 만성 경부염이 39.6%로 가장 많았다. 10. 월경과다증은 45.7%에서 나타났으며, 월경과 다증과 자궁근종의 조직학적 발생부위, 자궁선근증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lt;0.05). 그러나 자궁무게와 월경과다증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gt;0.5). 11. 월경곤란증은 39.2%에서 나타났으며, 월경곤란증은 자궁근종의 발생부위, 조직학적 발생부위, 자궁의 무게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나(p$gt;0.5), 자궁선근증이 병합된 경우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lt;0.05). 12. 수술방법은 78.4%가 복식전자궁적출술 및 자궁부속기적출술, 15.1%에서 복식전자궁적출술만을 시행하였으며, 복식부분자국적출술 2.9%, 자궁근핵적출술 1.6%, 질식자궁적출술이 2%에서 시행하였다. 13. 술후 합병증은 17.5%에서 나타났으며, 상처감염이 34.9%로 가장 많았으며 수술에 따른 심각한 합병증이나 사망은 1례도 없었다. From January, 1989 to December, 1994, 245 cases of uterine myoma were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Pusan Medical Center. A clinico-statical study on these 245 cases of uterine myoma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uterine myoma.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1. The incidence of uterine myoma among 1,352 cases of major gynecologic surgery during this period was 18.1%. 2. Uterine myomas were observed most frequently in the age group 40 to 49 years, and the mean age was 43.9 years old. 3. The parity was 2.9 in average, the infertility was observed in 20 cases(8.2%) in while the primary infertility was 7.8%, the secondary 0.4%, respectively. 4. The corporeal myomas were observed in 236 cases(96.3%), whereas cervical myomas were 9 cases(3.7%). The intramural types were observed in 142 cases(58%), combined types in 46 cases(18.7%), subserous types in 32 cases(13.1%), submucous types in 25 cases(10.2%), respectively. 5. The most of frequent chief complaint was pain which was observed in 209 cases(85.3%), the next abnormal uterine bleeding in 137 cases(52.2%), palpable mass in 47 cases(19.2%), respectively. 6. The mean value of preoperative Hb was 10.9gm/dl, and transfusion was performed in 43 cases(17.5%). 7. The mean weight of the resected uterine myoma was 274.9 gm. 8. The secondary changes in uterine myomas were found in 29 cases(11.8%) and the most common change was hyaline degeneration(4.8%). 9. The most common associated conditions with myomas were chronic cervicitis(39.6%). 10. Hypermenorrhea was observed in 112 cases(45.7%) a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presence of hypermenorrhea and the type of myoma(p$lt;0.05), adenomyosis(p$lt;0.05) but no correlation with the weignt and location of myoma(p$gt;0.5). 11.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dysmenorrhea and the weight of myoma, location of myoma, and types of myoma(p$lt;0.5). The incidience of dysmenorrhe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ses with adenomyosis than that in cases without adenomyosis(p$lt;0.05). 12.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as performed in 37 cases(15.1%),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ith unilateral adnectomy in 109 cases(44.5%),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ith both adnexectomy in 83 cases(33.9%), vaginal hysterectomy in 5 cases(2%), and myonectomy in 4 cases(1.6%), respectively. 13. The postoperative com;lications were found in 43 cases and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of these was wound infection seen in 15 cases(34.9%).

      • KCI등재

        2023 대한민국 디지털 비즈니스 트렌드 인식조사: 학계와 산업계의 다양한 목소리를 들어보다

        양희동,안현철,이정,강현정 한국경영정보학회 2023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25 No.1

        본 연구는 언론 분석, 전문가 인터뷰, 대규모 설문조사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2023년에 주목해야할중요 디지털 비즈니스 트렌드를 도출하였다. 기존 트렌드 연구의 경우 국내 디지털 비즈니스 환경에특화되어 있지 않고 도출 과정이 투명하지 않아 결과의 객관성에 있어 제한을 갖는 경우가 많은데, 본 연구는 국내 디지털 비즈니스 분야의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부터 다양한 방식으로 의견을 수렴하여결과의 타당성을 강조하였다. 먼저 국내외 주요 기업의 보고서 외에 국내 IT 언론기사를 수집한 후토픽모델링 분석방법을 통해 주요 이슈를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13인의 학계 및 산업계전문가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 선정된 16개의 후보 트렌드에 대해 210명의 전문가로부터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10대 트렌드를 선정하였다. 더불어 해외와 국내와의 시각 비교를 위해미국 정보화 협회에서 매년 실시하는 설문과 동일한 도구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트렌드 비교 분석을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디지털 비즈니스 리더들의 다양한 의견을 과학적으로 수렴하여 국내 비즈니스환경을 고려한 디지털 비즈니스 트렌드 전망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국내의 독특한IT 트렌드를 파악하고 국제적인 트렌드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함으로써 시장 별 IT 기술및 서비스 사업의 전략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uses various methods, including media analysis, expert interviews, and large-scale surveys, to derive notable digital business trends in 2023. Most trend studies have yet to deal with digital business trends in Korea. They also often have limitations in the objectivity of the results using unclear method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emphasizes the validity of the results by collecting opinions from Korean digital business experts in various fields. First, Korean IT news artic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topic modeling analysis. Then, based on the result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academic and industrial experts to derive 16 IT business trend candidates. Then, a survey was conducted on 210 experts to finalize the list of Korean IT business trends. Finally, to compare overseas and domestic views, we conducted an additional survey using the items developed by the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SI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rew prospects for digital business trends in consideration of the domestic business environment by scientifically converging various opinions of Korean digital business leaders. Our study contributes to developing strategies for IT technology and IT service business marke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정보시스템 수용모델에 있어서 사회적영향의 조작화와 역할

        양희동,권순동 한국경영과학회 2003 한국경영과학회지 Vol.28 No.1

        In numerous studies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he social influence construct has been operationalized as subjective norm. This study proposes to stretch this construct to include two more constructs:image and visibility. This paper also questions about the paths regarding this comprehensive construct. Due to the controversies regarding the significance of social influence on IS usage, this study taps the possibility that social influence works as an antecedent to PU (Perceived Usefulness) and PEU (Perceived Ease of Use). We could fi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h coefficients depending on how social influence is operationalz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