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양홍석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4 동국사학 Vol.79 No.-
아프리카에서 대서양을 거쳐 국내로 유입된 노예들은 그들이 결코 인간으로 간주될 수 없다는 점을 여러 의식을 통해 주입받는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바로 의식주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인상 깊은 의식은 음식을 통한 것이다. 이들이 노예제도 시스템인 농장에 도착하면 배급되는 식량을 통해 이러한 상황을 절감하게 된다. 이 사회에서는 음식과 식량을 이용하여 내밀한 계층화, 신분화의 과정을 일상적으로 경험시키는 것이다. 지금까지 이와 같은 조건과 상황에 대한 역사적인 분석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취사선택한 자료를 근간으로 일반화의 오류를 보여주기 십상이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논자는 노예제도 안에서 살아왔던 경험을 다시 정리하는 조사에 충실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몇 가지 흥미로운 사실들을 발굴할 수 있었다. 노예제도를 경험했던 이들은 하나같이, 그리고 빠짐없이 음식을 언급하며, 그것을 이 사회의 문제점이라고 지적한다. 이들의 사례를 종합하여 볼 때, 지금까지 역사가들이 자행해 온 몇몇 사례를 통한 일반화는 큰 위험을 안고 있다. 기왕의 역사가들은 그들의 취향에 맞는 선택적인 기록을 근거로 하여 노예제도 하에서 음식과 식량이 충분히 제공되었다고 주장하는 경우까지 이르기도 했다. 특히나 계량적 연구를 중심으로 하는 신경제사가들은 안타까울 정도로 편향적인 수치이상주의에서 기발한 결론을 끌어내고 있다. 물론 음식과 배급 수준을 수치화하는 작업이 아무런 가치가 없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역사적인 작업으로 우선시되어야 할 것은 이 분야의 자료를 최대한 수집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충분히 들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그들의 회고와 기억에서 식량과 음식 이야기가 왜 그렇게 자주 언급될 수밖에 없었는지를 알아보는 인문학적 고찰이 필요하다. 단지 수치적인 수준의 이해를 넘어 노예제도하에서 음식을 구조와 행위주체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볼 수 있는 시각 전환이 필요하다. 다른 말로 하면, 허기를 일상화하고 있는 이 사회의 구조를 이해하고 짐작하는 작업에 보다 더 관심이 실려야 할 것이다. 이 사회의 농장주들에게 음식 배급은 단지 면화 생산을 담당하는 노예에게 생존에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았다. 노예제도 하에서의 음식배급의 실상을 살펴봄으로써 농장주들이 이 사회 안에서 노예들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무쇠 우리의 구조를 창조하는 수단으로 음식과 배급을 직간접적으로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This critical essay aims at the understanding recently reinterpretation in the slavery system. Specially I focused foods and its social stratum and ecology in the antebellum American South. American Historians have argued that slave’s nutrition status and whether it’s good or bad. But I could not agree in these arguments because historians have thetically selected original sources such as oral and reminiscence, official public documents. Therefore I have collected and surveyed all the sources and finally arrived, in food’s supply in this slavery system, in the unimaginable worst conditions.
소음노출량측정기의 Set Up 방법간의 시간가중평균값(TWA)의 차이
양홍석,이광묵,원정일 한국산업위생학회 1995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5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ime weighted average(TWA) of noise levels and noise doses by the different operating parameter settings such as exchange rate, threshold level and criterion level for noise dosimeter in the field measurements of noise at industrial working environments. The time weighted averages of noise level and noise doses for noise working environments were determined by noise dosimeter on 80 workers employed at 20 industrial establishments of 8 industrie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ean time weighted average(TWA) of the noise working environments by the operating parameter settings showed 93.4 dB(A) in 3 dB of exchange rate, 80 dB of threshold level and 90 dB of criterion level 92.0 dB(A) in 3 dB-exchange rate, 90 dB-threshold level and 90 dB-criterion level, in 90.8 dB(A) in 5 dB of exchange rate, 80 dB of threshold level and 90 dB of criterion level, and 86.7 dB(A) in S dB of exchange rate, 90 dB of threshold level and 90 dB of criterion level. 2. In group of noise level less than 90 dB(A), mean TWAs of 80 dB of threshold leve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90 dB of threshold level in 3 dB and 5 dB of exchange rate. 3. The case exceeded threshold limit value of noise was 49(61.3 %) in 3 dB, 80 dB and 90 dB setting, 44(55.0 %) in 3 dB, 90 dB, 90 dB setting, 33(41.3 %) in 5 dB, 80 dB, 90 dB setting and 26(32.5 %) in 5 dB, 90 dB, 90 dB setting. Above considerations in mind, it is suggested that exchange rate and threshold level be specified in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in the evaluation of working environments noise.
梁弘錫 동국역사문화연구소 1991 동국사학 Vol.25 No.-
이 논문은 잭슨의 州權論을 살펴보고, 동시에 South Carolina 州가 關稅法 無效化 論爭에서 주장한 州權主義에 대해 잭슨이 강력한 聯邦主義으로 돌변하게 된 이유를 설명해 보려는 目的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목적과 아울러 필자는 다음의 몇가지 疑問에 접근해 보려고 한다. 1) 美國에서 과연 州權主義 傳統이 存在 하였는가? 만일 있었다면 그것의 本質的 意味는 무엇인가? 2) South Carolina 州는 聯邦 關稅法에 대한 無效化주장의 根?를 州權主義에서 찾았는가? 3) 結論的으로 잭슨은 강력한 州權主義者인가? 아니면 강력한 聯邦主義者 인가?
Encountering unexpected difficult airway: relationship with the intubation difficulty scale
양홍석,고원욱,김하정,김경선,노영진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6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69 No.3
Background: An unexpected difficult intubation can be very challenging and if it is not managed properly, it may expose the encountered patient to significant risks. The intubation difficulty scale (IDS) has been used as a validated method to evaluate a global degree of intubation difficulty.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unexpected difficult intubation using the ID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951 patients undergoing elective surgery in a single medical center. Patients expected to have a difficult intubation or who had history of difficult intubation were excluded. Each patient was assessed by the IDS scoring system with seven variables. Total prevalence of difficult intubation and the contributing individual factors were further analyzed. Results: For the 951 patients, the difficult intubation cases presenting IDS > 5 was 5.8% of total cases (n = 55). The prevalence of Cormack-Lehane Grade 3 or 4 was 16.2% (n = 154). Most of the difficult intubation cases were managed by simple additional maneuvers and techniques such as stylet application, additional lifting force and laryngeal pressure. Conclusions: Unexpected difficult airway was present in 5.8% of patients and most was managed effectively. Among the components of IDS, the Cormack-Lehane grade was most sensitive for predicting difficult intubation.
흰쥐 횡격막 신경근 표본에서 5-Hydroxytryptamine이 깨쳐Rocuronium의 근 이완 효과에 미치는 효과
양홍석,최우종,김혜진,이윤경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07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2 No.4
The 5-hydroxytryptamine 3 receptor (5-HT3R) is a member of a superfamily of ligand-gated ion channels which has structural similarities and common evolutionary origin to those of the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nAChR). 5-hydroxytryptamine (5-HT) and muscle relaxants may have cross reaction. Rocuronium is a non-depolarizing neuromuscular blocking agent which has a rapid onse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effects of 5-HT on rocuronium-induced neuromuscular blockade in a rat phrenic nerve-hemidiaphragm preparation. Methods: Institutional approval was obtained for the experimental procedure. Fifty male Sprague-Dawley rats (150-200 g) were divided into 5 groups; the control, and 0.1, 1, 10, and 20μg/ml of 5-HT. The animals were injected with phentobarbital at 40 mg/kg into the peritoneal cavity. The hemidiaphragm with the phrenic nerve was dissected and then mounted in a bath containing 100 ml Krebs solution at room temperature. The phrenic nerve was stimulated at the supramaximal intensity using a GrassⓇ S88 stimulator via an SIU5 isolation unit. The twitch height was measured and recorded using a precalibrated GrassⓇ FT88 force displacement transducer and recorded with a GrassⓇ 79 polygraph, respectively. In the cumulative dose-response study, the rocuronium 100μg/dl and each dose of 5-HT were administered simultaneously administered, with additional 50μg/dl incremental doses of rocuronium were added to obtain grteater than 95% neuromuscular twitch inhibition. The ED5, ED50, ED90, and ED95 of rocuronium in each group were calculated using a probit model. Results: The ED50, ED90, and ED95 of rocuronium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5-HT 20μg/ml group (P < 0.05), but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the other 5-HT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Conclusions: 5-HT at 20μg/ml enhanced the neuromuscular blockade of rocuronium.
梁弘錫 동국사학회 2001 동국사학 Vol.35·36 No.-
미국사에 있어서 고전적 신화가 되어버린 “가공할 사실” 중에 하나는 미국 경제 발전의 토대를 형성하는 모든 작업이 정부 간섭 없이 국민의 자발적인 의지에 의해 개인적 자유방임주의적 테두리에서 이루어졌다고 하는 주장이다. 예를 들면 미국사의 권위있는 저서들이 모두 다 한결같이 서술하고 있는 것은 미국의 경제 활동은 거의 정부의 적극적인 보조 정책 없이 자유방임적 체제하에서 이루어졌다는 신하이다. “1810년에서 1880년 기간을 보면 친기업가적 활동을 도모하는 변에서 볼 때 연방 정부의 이미지는 결코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 않았다 그리고 이 기간동안 “연방 정부는 일반적으로 기업적인 활동에 대해서 방관적인 태도를 보여 주었으며, 그리고 정부는 고전적 자유방임주의적 laissez-faire 태도를 기업의 활동의 측면에서 적용하였다”라고 서술하고 있다. 우선 필자는 이러한 서술에 의문을 재기한다. 즉 그러한 결론은 사실의 측면에서 상당히 벗어나고 있는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다고 할지라도 다음에서 지적할 부분에서만이라도 연방 정부기관들은 친기업적인 측면에서 적극적인 정책을 실행하였다는 것을 인정하도록 하고 싶은 것이 필자의 의도이다. 물론 경제 문제에 대해 간섭하지 않았던 “좋은 시절 good old days"이 짧은 기간 존재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기간은 짧았으며 단순히 극히 개인적인 경제 활동에 대한 방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