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영재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무기력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실패공포의 매개효과

        양태연(Tae-Youn Yang),한기순(Ki-Soon Han),박인호(In-Ho Park) 한국영재교육학회 2018 영재와 영재교육 Vol.17 No.3

        이 연구는 중등 과학영재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실패공포를 매개로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대학부설 영재교육기관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중등 영재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중학교 1학년이 87명, 중학교 2학년이 93명이었다. 기술통계 결과 자료의 정규성을 가정 할 수 있었으며,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으나 부적응적 완벽주의에서 학업무기력으로의 경로는 유의하지 않아서 이 경로를 제거한 후 모형을 수정하여 최종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최종모형의 적합도 또한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으며,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에는 유의한 부적 영향을 보인 반면 실패공포에는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무기력에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부적 영향을, 실패공포는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무기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실패공포는 완전매개하고 있었으며 모두 유의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등 과학영재의 학업무기력을 설명하는데 학업적 자기효능 감과 실패공포가 중요한 요인임을 밝힘으로써, 영재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나아가 영재들의 상담자료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cademic helplessness i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ith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fear of fail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0 middle school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in a university-affiliated gifted education center.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ssume normality of the data, and most of the model fit indexes were acceptable. Results showed that our hypothes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 fitted the data well based on the fit indices. But the path from maladaptive perfectionism to academic helplessness was not significant, thereby having removed this path and suggested the final model as the modified model. The final research model demonstrated a good fit for the data,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cademic helplessness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ear of failu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fear of failure on academic helplessness were found. Finally, academic self-efficacy and fear of failure were found to fully mediate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cademic helplessness, and both of which showe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each othe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have shown academic self-efficacy and fear of failure to be very important factors in academic helplessness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are expected to help understand traits of the gifted and used for counselling gifted students.

      • KCI등재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영재교육원 선발문항 분석

        양태연(Tae-Youn Yang),박인호(In-Ho Park) 한국영재학회 2018 영재교육연구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selection items conducted by the A university gifted education institute, this study analyzed the items based on the two - parameter logistic model of item response theory. The subjects were 377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pplied to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the A university. The analysis items used at 1 stage paper test consisted of 37 items (test tool 1: 16 items, test tool 2: 14 items, test tool 3: 7 items), and it is a test to measure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gifted. As a result of the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of the items based on the item response theory, there were items that did not meet the ability level of the gifted students with large standard errors in the item difficulty were found in all of the test tools 1~3. The difficulty level of the test tool 2 was the highest and the test tool 3 was the lowest. In the item discrimination, test tool 1 and 2 showed more than 60~70% of the appropriate items. However, test tool 3 showed the lowest overall sco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degree of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of question items in order to secure the adequacy and stability as a gifted selection item. And by needs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score ratios for test tool.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developing reliable and valid gifted selection test tools and items. 본 연구는 A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실시한 선발문항의 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해 문항 반응이론의 2모수 로지스틱 모형에 근거하여 문항 분석을 실시하였다. A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지원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 37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분석문항은 1단계 지필검사에서 사용한 문항으로 총 37개 문항(검사도구1: 16문항, 검사도구2: 14문항, 검사도구3: 7문항)이고, 영재교육대상자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이다.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한 문항의 난이도, 변별도를 산출한 결과 문항난이도에서는 표준오차가 큰 문항들이 있어 영재교육대상자들의 능력수준에 부합하지 않는 문항들이 검사도구1~3에 걸쳐 모두 나타났으며, 영재교육대상자들이 인식하는 난이도는 검사도구2가 가장 높았고 검사도구3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문항변별도에서는 검사도구1과 2는 적절한 문항들이 60~70%이상 나왔지만, 가장 배점이 높았던 검사도구3의 경우 문항변별도가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재선발문항으로서의 적절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출제 문항의 난이도와 변별도의 조절이 필요하며 결과에 따라 검사도구별 배점의 비율을 다르게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뢰롭고 타당한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검사도구 및 문항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인천 고교생의 행복감 진단과 제고 방안

        양태연 ( Tae Yeon Yang ),김승 ( Seung Yeon Kim ),반서영 ( Seo Young Ban ),최혜란 ( Hye Ran Choi ),박경환 ( Kyoung Hwan Park ),백해찬 ( Hae Chan Back ),윤영돈 ( Young Don Yo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5

        본 연구는 “인천 고교생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인천 고교생(남고, 여고, 남녀공학) 462명에 대해 기존에 개발된 부모 의 양육태도 검사와 본 연구팀에서 개발한 고등학생 행복요인 척도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검사를 통해 적절한 수준의 신뢰도를 지닌 행복의 측정요인은 학교환경, 교육활동 및 교사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가정생활 만족, 부모의 학업성취 압력, 전반적 만족 및 행복감이 었다. 교육활동, 교사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가정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전반적인 만족 및 행복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별 만족도(6점만점) 가 운데 가장 낮은 것은 학업성적(2.53)이었다. 학업성적이 낮은 6~9등급에 속한 학생들은 1-2등급, 3-5등급에 속하는 학생들에 비해 학교활동, 교육활동, 교사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가정생활 만 족에 대해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인천 고교생의 행복감을 설명하는 상대적 예측력 수준은 가정생활 만족, 친구와의 관계, 교육활동, 교사와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가정생활 만족과 관련하 여 부모의 양육태도 가운데 애정형과 자율성 존중형이 고교생의 행복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고교생의 행복요인에 있어 남녀차 또한 일정 부분 발견되었다. This study started from research problem, “what factors influence the subjective happiness of Incheon high school students?” We conducted survey Incheon high school students(in total 462) through the existing inventory for parenting behavior and subjective happiness factor scale for high school students.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factors of subjective happiness which obtain favorable reliability run as follows: school surroundings, educational activities & student-teacher relationship,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family life,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overall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In proportion as the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activities &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the results show that overall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is higher. Participants responded the lowest satisfaction(2.53) with academic achievement among each test item(6-point scale). Compared with high school record(level 1-2 & level 3-5), students(level 6-9) showed relatively lower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activities & student-teacher relationship,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family life. The orders of relative predictability to explain subjective happiness of Incheon high school are as follows: family lif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educational activitie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In terms of parent’s rearing attitudes, affection and respect of autonomy type influence positively subjective happ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factor of gender difference had meaningful influence upon subjective happiness of Incheon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영재를 대상으로 한 완벽주의 척도의 타당성 검증 : H-MPS, F-MPS, APS-R을 중심으로

        양태연(Tae-Youn Yang),한기순(Ki-Soon Han),박인호(In-Ho Park) 한국영재교육학회 2017 영재와 영재교육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를 대상으로 완벽주의 관련 연구를 시행할 때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완벽주의 척도 3개(H-MPS, F-MPS, APS-R)를 선정하여 과연 영재들에게 적합한 척도인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 소재 대학부설과 학영재교육원 중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문항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3개의 측정도구 모두 영재들의 완벽주의를 설명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개의 측정도구 중에서는 APS-R(χ2 = 538.019(df=227, p=.00), TLI=.855, CFI=.870, RMSEA=.087)의 적합도가 다른 측정도구에 비하여 영재들의 완벽주의를 좀 더 설명을 잘 한다고 판단 할 수 있었으며, 영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H-MPS 측정도구의 적합도는 3개의 측정도구 중 가장 낮은 적합도(χ2=3102.554(df=942, p=.00), TLI=.410, CFI=.439, RMSEA=.113)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외국에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완벽주의 척도가 국내의 중학생 영재들의 완벽주의를 측정하는데 부적합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영재들의 특성과 연령, 더 나아가 국내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완벽주의 척도의 문항개발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ree most widely used perfectionism scales (H-MPS, F-MPS, APS-R) for gifted students. For this purpose, 180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attending at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university in metropolitan a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Item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ll three instruments were not suitable to explain perfectionism of gifted students. Among the three perfectionism scales analyzed, the fitness of APS-R( χ 2 = 538.019(df=227, p=.00), TLI=.855, CFI=.870, RMSEA=.087) wa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two scales. Interestingly, the fitness of the H-MPS, which is most widely used in the study for the gifted, was found to be the lowest fit ( χ 2 = 3102.554 (df = 942, p = .00), TLI = .410, CFI = .439, and RMSEA = .113), respective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erfectionism scale developed for foreign university students might be inadequate to measure the perfectionism of middle school gifted students in Korea.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perfectionism scal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age of the gifted and the socio - cultural context of the domestic are needed.

      • KCI등재

        배움의 발견 - 형식교육 경험이 없는 노인(J)의 생애사 연구 -

        양태연(Tae-Yeon Yang),김미화(Mi-Hwa Kim) 한국성인교육학회 202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4 No.4

        이 연구에서는 ‘J는 그에게 주어진 시대를 어떻게 살아왔을까? 그 삶의 무엇이 지금의 J를 있게 하였을까?’라는 질문으로 시작하여, 그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J의 실제로 산 삶, 경험된 삶, 이야기된 삶’으로 전개하면서 생애사적으로 접근하여 진행하였다. J는 여성이며 시골에서 일제강점기와 전쟁을 경험하며 자랐고, 어릴 적 아버지를 여의고 큰아버지 댁과 새아버지 댁에서 생활하면서, 정규교육과정을 경험하지 못하였다. J는 학교에 가기를 소망했고(배움에 대한 갈망), 시골을 떠나 새로운 삶을 열망했으며, 주체적 삶을 살아가기를 원했다. J는 이러한 상반된 상황들 속에서, 구조적 제약과 자발적 선택 사이에서 끊임없이 경합하는 삶을 살아왔다. ‘남편과의 사별’이라는 전환기점에서, J는 결국 과거 끊임없이 경합하는 삶의 경험을 통합하여 새로운 결심을 하게 되고, 전환학습 과정을 개입시켜 자아를 실현하고 통합하는 과정을 이끌어 간다. 이러한 결과로 J는, 시골을 떠나 도회지에서의 새로운 삶을 살아가며 배움을 발견하여 행복하고 평안한 삶을 살아간다. 이처럼, J의 삶에서 정체감을 형성하고 개발하고 통합해가는 정체성프로세스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남편의 죽음이라는 혼란스런 딜레마를 겪는 과정에서 과거의 경험들에 대한 반성 및 성찰, 담론을 통한 공유와 탐색, 계획과 준비, 시도를 하면서 자기혁신을 통하여 자신의 발전을 꾀하고, 새롭게 형성된 관점으로 재통합하는 전환학습 과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전환학습 과정은 결국 정체성에 커다란 전환을 가져오며, 그 전환은 삶에 스며들어 정체성의 발전을 꾀하게 한다. “How has J lived in the time given to her? What caused J to exist as she is today?” Starting with this questio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answers was carried out via a life-history approach, developing the process of “J s life as lived, as experienced, and as told.” J grew up in the countryside and lived with her uncle and stepfather after losing her father. She experienced a war and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had never experienced any formal education. J wanted to go to school (a thirst for learning). She also wanted to leave the countryside, start a new life, and be independent. J has lived a life of constant contention between structural constraints and voluntary choice amid these conflicting circumstances. At the turning point of “her husbands death”, J eventually made new resolutions by integrating the experience of life in the past, which led to the process of realizing and integrating herself through the transformative learning process. As a result, J left the countryside and now leads a happy and peaceful life while discovering learning. J’s sense of identity was discovered during the process of forming, developing, and integrating her past experiences while facing her husband s death, and it leads to accomplishing self-reinvention from newly formed perspectives while reflecting on past experiences, sharing and exploring through discourse.

      • KCI등재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국내외 창의성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양태연(Yang, Taeyo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1 창의력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앞으로의 창의성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LDA 기반 토픽 분석을 활용하여 국내외 창의성 교육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RISS와 ERIC을 활용하여 1970년부터 2019년까지 창의성 교육 연구를 수합한 결과, 국내논문 6,343편, 국외논문 19,759편으로 총 26,102편의 논문이 최종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국내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인성’이 국외 연구는 ‘foreign_countries’, ‘teaching_methods’가 높은 빈도를 보였다. 토픽 분석 결과, 국내 연구는 9개의 토픽이 국외 연구는 14개의 토픽이 추출되었다. 국내 연구에서 ‘창의인성 연구’, ‘학교교육 안에서의 창의적 체험활동과 인성교육’과 국외 연구에서 ‘창의성 연구방법’, ‘사회/문화적 관점에서의 창의성 교육’, ‘언어교육에서의 창의성 교육’, ‘교육정책과 교육의 변화’, ‘상담에서의 창의적 접근’이 차별화된 주제였다. 본 연구는 이후 창의성 연구의 동향을 조망하고 연구방향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creativity research by analyzing the trend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reativity education research using LDA-based topic modeling analysis. In this study, creativity education papers were collected from 1970 to 2019 in RISS and ERIC. The subjects included 6,343 domestic papers, 19,759 foreign papers, and a total of 26,102 papers. In this study,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creative personality’ showed high frequency in domestic research. And ‘foreign_countries’ and ‘teaching_methods’ showed high frequency in foreign studies. According to the topic analysis, nine topics were extracted from domestic research. And fourteen topics were extracted from foreign studies. ‘Creative personality research’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have only appeared in domestic studies. And ‘creativity research methods’, ‘creativity education in a social/cultural perspective’, ‘creativity education in language education’, ‘changes in education according to education policy’ and ‘creative counseling approach’ have only appeared in foreign stud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insights in future creativity research through creativity trend analysis.

      • KCI등재

        과학영재의 과학 관련 태도와 지능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양태연 ( Yang Tae Yeon ),배미란 ( Bae Mi Lan ),한기순 ( Han Gi Sun ),박인호 ( Park In Ho ) 한국과학교육학회 200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3 No.5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at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have distinctive science related attitudes in comparison with general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science related attitudes, intelligence, and science process skills. Two hundred sixty-six middle school students (169 boys, 97 girls) who enrolled at the Incheon Science Elite Program and 220(133 boys, 87 girls) students in a regular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Research findings support that gifted students have more positive science related attitudes than general students as well as higher intelligence and science process skills. At last, low and non-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attitudes and cognitive factors were found in gifted groups, whereas som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in general students.

      • KCI등재

        쌍봉사 대웅전의 조영에 관한 고찰 - 탑신부(塔身部)의 구조와 의장을 중심으로 -

        양태,천득염,이재,Yang, Tae-Hyeon,Cheon, Deuk-Youm,Lee, Jae-Yeoun 한국건축역사학회 2013 건축역사연구 Vol.22 No.1

        In Korea, only a few wooden pagodas are extant because some wooden pagodas were lost due to artificial environment like war. Fortunately, only Eight Depictions Hall(Palsangjeon) in Beobjusa temple and main hall of Ssang-Bong Sa the main temple are extant. Though main hall of Ssang-Bong Sa the main temple shows old style in construction and outstanding creativity, survey and investigation for the hall have been poor. Accordingly, this study investigated pillar part, bracket structure part, and roof part composing pagoda body section which actively reflects structure and design skill compared to floor or upper part. And for better understanding, in the part that is similar to pagoda body section of main hall or needs examples, wooden pagoda in China or Japan was referred. Through this investigation, it was known that unique skill applied to main hall of Ssang-Bong Sa the main temple is based on plane in one room ${\times}$ one room - Ssang-Bong Sa the main temple has common form of wooden pagoda in appear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