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양적 비상의 상상력 변용 양상 소설 봉신연의 와 만화 <봉신연의>를 중심으로

        양진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3 애니메이션연구 Vol.19 No.1

        Flying has produced many images and contents, stimulating human imagination. Focusing on Bachelard's discussion of the imagination of the emergency, this paper aims to summarize the imagination of the East by comparing the representative Chinese New Horse novel Bongsinyeonui and the cartoon <Bongsinyeonui> based on it. There are various editions of Bongsinyeonui, and I think it will be able to show the transformation of the imagination of oriental flight well as it has been produced as a cartoon in modern times. To prove that Bongsinyeonui is one of the fantasy literature based on imagination, Todorov's discussion of fantasy was applied. By reviewing Todorov's discussion and counterargument on the fantasy, Iliad and Bongsinyeonui also proved to be fantasy literature because the supernatural event of the war of gods or ancestors appears in realistic history. The characters that reveal the imagination of emergency in Bongsinyeonui include Nata and Noijinja. This paper followed the changes of these two characters from the original to the cartoon <Bongsinyeonui> and examined the transformation of the imagination of the emergency. Nata was originally a Buddhist guardian deity, but in the novel, he becomes a prostitute who shows the image of Android in the cartoon through the incarnation of Lotus. The imagination of Nata’s flight lies in the wheels on his feet. The wheel changes from the shape of the wheel to the shape of a round mechanical device through the ‘mechanization’ process of the nata. The location of the Noijinja's flying imagination is in the wings. This paper found the original form of this character in the story of winged people who are people of Hwanduguk in Sanhaegyeong. It was believed that the mythical existence of a winged person flying in the water became a motif, and the Noijinja of Bongsinyeonui appeared. In Bongsinyeonui, a Noijinja is described as a monster with wings or an eagle human, but in the cartoon, it appears as a modified form of a bat human. This paper defined the process of this transformation as ‘animalization’. 비상(飛翔)은 인간의 상상력을 자극하며 많은 도상과 콘텐츠를 생산해 왔다. 본고는 바슐라르의 비상의 상상력 논의를 중심으로 하여 중국의 대표적인 신마소설인 봉신연의 와 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만화<봉신연의>를 비교하여 동양적 비상의 상상력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봉신연의 는 다양한 판본이 있으며 현대에 와서 만화로 제작되면서 동양적 비상의 상상력이 변용하는 과정을 잘 보여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봉신연의 가 상상력을 기반으로 한 환상문학 중 하나임을 증명하기 위해 츠베탕 토도로프의 환상성 논의를 적용했다. 츠베탕 토도로프의 환상성에 대한 논의와 그에 대한 반론을 검토하여 일리아드 나 봉신연의 역시사실성을 가진 역사(기표)에 신들 혹은 선인들의 전쟁이라는 초자연적인 사건(기의)가 미끄러지면서 생겨나는 간격(환상성)이 나타나기 때문에 환상문학임을 증명하였다. 봉신연의 속 비상의 상상력이 드러나는 캐릭터로는 ‘나타’와 ‘뇌진자’가 있다. 본고는 이 두 캐릭터의 원전부터만화 <봉신연의>까지 변화해 가는 모습을 따라가며 비상의 상상력이 변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나타는 본래 불교의 호법신이었는데 소설 속에서는 연화의 화신을 거쳐서 만화 속에서는 안드로이드의 이미지를 보여 주는 보패인간이 된다. 나타가 가지고 있는 비상의 상상력은 발에 있는 바퀴에 있다. 이 바퀴는 나타의‘기계화’ 과정을 통해 바퀴의 형태에서 둥근 기계장치의 형태로 변화한다. 뇌진자의 비상의 상상력 위치는 날개에 있다. 본고는 이 캐릭터의 원형을 산해경 의 환두국 사람이라는 날개달린 사람들의 이야기에서 찾았다. 물속을 비행하는 날개 달린 사람이라는 신화 속 존재가 모티프가 되어 봉신연의 의 뇌진자가 나타났다고 보았다. 봉신연의 에서 뇌진자는 날개 달린 괴물의 모습 혹은 독수리 인간 등으로 묘사되는데 만화에서는 박쥐 인간의 형태로 변형되어 나타난다. 본고는 이러한 변형의 과정을 ‘동물화’라고정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뱀파이어 영화의 여성 캐릭터 이미지 특성 연구 : 에리히 노이만의 여성성 논의를 중심으로

        양진호,유동환 인문콘텐츠학회 2024 인문콘텐츠 Vol.- No.72

        상상력은 죽음과 마주할 때 생겨나고, 죽음에 저항하고 죽음을 길들일 수 있는 무기이다. 호러는 죽음의 표상인 괴물 등과 마주해야 한다는 점에서 상상력의 특 성이 잘 나타나는 장르다. 그중에서 뱀파이어라는 소재는 폴리도리의 소설 뱀파 이어 이후 각종 콘텐츠를 통해 죽음을 표상하는 괴물로 등장했다, 최근에는 호 러 장로 속 괴물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기타 장르와 섞이며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 나고 있었다. 특히 가부장제의 등장 이후 신화와 콘텐츠 등에 등장하는 많은 괴 물이 여성의 이미지를 하고 있었다. 여성성이라는 코드는 뱀파이어 콘텐츠의 상 상력을 연구할 수 있는 단초라고 판단하여 이러한 뱀파이어 영화 속 여성의 이미 지가 어떻게 형상화되는지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심리학자인 에리히 노이만의 연구를 이론적 틀로 활용하였다. 노이만은 여성성을 감싸고 고수하려는 기초적 성격과 정신의 역동적인 움직임의 변환적 성격으로 분류하였다. 이 여성성은 다시 선한 어머니, 긍정적 아니마, 공 포의 어머니, 부정적 아니마로 세분된다. 이들은 제각기 ‘어머니’, ‘성처녀’, ‘늙은 마녀’, ‘젊은 마녀’의 원형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본고는 노이만의 논의 를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고 ‘성모’, ‘잔 다르크’, ‘거미’, ‘마 녀’로 변용하였다. 기존의 에리히 노이만의 연구는 심리학을 기반으로 신화, 예술 등 문명 전반을 다루고 있지만 본 연구의 대상은 뱀파이어 콘텐츠이기 때문이다. 이분법적 세계에서 죽음의 괴물이자 불로와 영생을 하는 유혹자이기도 한 뱀파 이어를 분석하기 위한 보다 적합한 원형적 이미지라고 판단하였다. ‘성모’의 원형적 이미지를 가진 캐릭터는 희생당하고, 주인공 캐릭터를 지지하 거나 구원하는 역할을 하였다. ‘잔 다르크’의 원형적 이미지를 가진 캐릭터는 상 반된 두 개의 가치 사이에서 고뇌하고 선택하였다. ‘성모’ 원형의 이미지가 가부 장제가 주장하는 여성상이라면 ‘잔 다르크’ 원형의 영웅은 신화 속 영웅을 닮았 다. 헌신할 타인을 필요로 하는 ‘성모’의 이미지를 가진 캐릭터에 비해 ‘잔 다르 크’의 이미지를 가진 캐릭터의 선택은 오롯이 본인의 삶을 결정하는 주체적인 면 모를 보여주었다. ‘거미’의 원형적 이미지를 가진 캐릭터는 고전 호러 장르 속 괴물의 이미지를 간직하고 있었다. 그들은 거미-어머니로 거미줄에 들어온 자식들 을 속박하고 습격해서 죽음에 이르도록 했다. ‘마녀’의 원형적 이미지를 가진 캐 릭터는 유혹하고, 속이고, 성적 편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 유형은 종종 섹슈얼리 티적 성격을 가지며 가부장제의 성적 관계를 전복시켰다. ‘거미’와 ‘마녀’의 이미 지를 가진 캐릭터는 결국 사냥의 대상이 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거미’의 캐릭터에 대한 사냥이 죽음을 극복하고자 하는 상상력의 시도인 데 반해 ‘마녀’ 의 캐릭터에 대한 사냥은 가부장제를 존속하고자 하려는 콘텐츠의 시각이 반영 된 결과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장르 혼용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는 뱀파이어 영화 속 캐릭터의 공통된 전형성을 도출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이 전형성은 주체적 으로 변모하는 뱀파이어 캐릭터와 뱀파이어의 이분법적 세계관, 그리고 가부장제 에 대한 상반된 시각의 문화적 함의를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 한 ... Imagination arises when faced with death, and it is a weapon that can resist and tame death. Horror is a genre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imagination are well represented, as it involves facing monsters, which are symbols of death. Among them, the vampire has appeared as a monster that symbolizes death through various contents since Polidori's novel “The Vampire.” In recent years, it has emerged in various forms by mixing with other genres, breaking away from the image of monsters in horror genres. In particular, many monsters appearing in myths and contents since the emergence of patriarchy have had female images. It was judged that the code of femininity is a clue to studying the imagination of vampire content, so the image of women in vampire movies was studied to see how it is embodied.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of Erich Neumann, a psychoanalyst, was utiliz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Neumann classified femininity into a basic character that seeks to embrace and conserve femininity and a transformative character of the dynamic movement of the psyche. This femininity is further subdivided into the good mother, positive anima, the fearsome mother, and the negative anima. These have their own archetypal images of ‘Mother’, ‘Virgin’, ‘Old Witch’, and ‘Young Witch’. However, this article judged that there are limitations to applying Neumann’s discussion as it is, and it was transformed into ‘madonna’, ‘Jeanne d’Arc’, ‘Spider’, and ‘Witch’. Erich Neumann’s previous research covers the entire civilization, including psychology, mythology, and art, but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vampire content. It was judged to be a more suitable archetypal image for analyzing vampires, who are both monsters of death in a dichotomous world and seducers of eternal youth. Characters with the archetypal image of the ‘madonna’ were sacrificed, supported or saved the main character. Characters with the archetypal image of Jeanne d’Arc struggled and chose between two opposing values. If the image of the madonna’ is the female ideal advocated by patriarchy, the hero of the archetype of Jeanne d’Arc resembles the hero in mythology. Unlike characters with the image of the madonna’, who need someone else to devote themselves to, the character with the image of Jeanne d’Arc showed a subjective aspect of determining their own life by making choices. Characters with the archetypal image of the ‘Spider’ retained the image of monsters in classical horror genres. They were spider-mothers who bound and attacked their children who entered the spider web, leading to death. Characters with the archetypal image of the ‘Witch’ were seductive, deceptive, and had a sexual history. This type often has a sexual character and subverts patriarchal sexual relationships. Characters with the image of the ‘Spider’ and the ‘Witch’ have in common that they are eventually hunted. While the hunting of the ‘Spider’ character is an attempt at imagination to overcome death, the hunting of the ‘Witch’ character is a result of the content reflecting the perspective of patriarch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derived the common stereotype of vampire movie characters that appear in various forms in the hybridization of various genres, and this stereotype includes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the subjectively transforming vampire character, the dichotomous worldview of the vampire, and the contradictory view of patriarchy. In addition, the classification of archetypal images of ‘madonna’, ‘Jeanne d’Arc’, ‘'Spider’, and ‘Witch’ proposed in this study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vampires in the transformation process, so it had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nalyze the changing. However, it also had the disadvantage that it was difficult to use in analyzing female characters in movies other than vampire movies because i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va...

      • 화성 천천리 구석기시대 유적의 검토

        양진호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1 유라시아문화 Vol.5 No.-

        본 연구는 화성 천천리 유적에서 출토된 구석기시대의 타제석기와 제4기층의 분석을 통하여 수원⋅화성 일대에서 행해졌던 중기 또는 후기 구석기시대의 고인류의 행위를 유추하여 문화적 성격을 파악해 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의 주된 분석 대상인 화성 천천리 유적은 2014년 서해문화재연구원에 의해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화성 천천리 유적에서 출토된 석기는 총 38점으로 석재조각의 출토비율이 거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있다.(17점 : 44.7%) 성형석기의 수량은 모두 6점(13.1%)으로 자르개(1점), 긁개(1점), 여러면석기(1점), 미완성석기(3점)로 구성되어 있다. 이 외에도 제작과 관련된 격지가 13점(31.5%)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망치돌 1점⋅몸 돌 1점 등이 출토되었다. 조사지역의 토층은 21개 층위가 확인되었는데, 상면에서부터 황갈색 사질층(Ⅰ층) →적갈색 교란층(Ⅱ층)→적갈색 점토층(Ⅲ층)→적황색 점토층(Ⅳ층)→황갈색 점토 층(Ⅴ층)→적황색 점토층(Ⅵ층)→암적갈색 사질점토층(Ⅶ층)→적황색 사질층(Ⅷ층) →회백색 니질점토층(Ⅸ층)→적황갈색 사질층(Ⅹ층)→황갈색 사질층(Ⅺ층)→적갈 색 사질층(Ⅻ층)→황갈색 사질층(ⅩⅢ층)→적황갈색 사질층(ⅩⅣ층)→적황색 사질 층(ⅩⅤ층)→암황색 사질층(ⅩⅥ층)→암갈색 사질층(ⅩⅦ층)→흑갈색 점토층(ⅩⅧ 층)→황갈색 점토층(ⅩⅨ층)→회갈색 니질점토층(ⅩⅩ층) →풍화암반층(ⅩⅩⅠ층) 이다. 이 중 석기가 출토되는 유물출토층은 황갈색 점토에 굵은 석영계 모래가 섞여 있는 Ⅴ층으로 해발고도는 44.9∼45.4m에 해당한다. 화성 천천리 유적의 토층구성 양상은 주변지역에서 조사된 구석기 유적의 층위양상 과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석기가 출토되는 문화층은 황갈색 점토층이며, 하층에 쐐기구조를 가진 암갈색 점토층이 존재한다. 이는 화성 감배산 유적의 1문화층, 화성 오산리 구석기 유적의 1문화층, 화성 청계리 구석기 유적의 2문화층, 수원 고색동 유적 의 문화층과 대비되고 있다. 이들 유적에서 측정된 OSL이나 AMS를 통한 절대연대측정 결과는 대체로 B.P.15,000∼21,000의 연대값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화성 천천리 유적의 구석기시대 유물출토층은 이러한 절대연대측정값과 출토된 석기의 유물조합관 계 등을 고려할 때 중기구석기시대 말기∼후기구석기시대 초기에 걸쳐 형성된 유적으로 유추할 수 있다. 화성 천천리 유적은 소규모 유적이지만 수원⋅화성지역에서 확인된 구석기 유적의 특징적인 예를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lithic technology by inferring the human behaviors in the Middle and Late Paleolithic period in the analysis of the Paleolithic stone tools excavated from the Cheoncheon-ri site in Hwaseong City, Gyeonggi Province. A total of 38 stone tools were excavated from the Cheoncheon-ri site, accounting for nearly half of the excavation rate of stone fragments (17 pieces: 44.7%). The number of shaped stone tool is 6 pieces(13.1%), with cutter, a scraper, a polyhedral, and the unfinished stone tools (3 pieces). In addition, the number of flake related to production accounted for 13 pieces (31.5%), and 1 hammer stone and 1 core were excavated. Twenty-one layers of soil were identified in the survey area. Among these, the stone remains excavated layer from which stone tools were excavated is the fifth layer, which is a mixture of yellowish-brown clay and coarse quartz-based sand, and has an altitude of 44.9∼45.4m above sea level. It is similar in appearance to the other paleolithic sites around it at the layer pattern. The cultural layer from which stone tools are excavated is a yellowish-brown clay layer, and a dark brown clay layer with a wedge structure exists in the lower layer. This cultural and geological aspects of Cheoncheon-ri site contrast with the first culture layer of the Gambaesan site in Hwaseong, the first culture layer of the Osan-ri Paleolithic site in Hwaseong, the second culture layer of the Cheonggye-ri Paleolithic site in Hwaseong, and the cultural layer of the Gosaek-dong dites in Suwon. The results of absolute dating through OSL or AMS measured at these sites generally show the age values of 15,000∼ 21,000 B.P.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excavated layers of the Paleolithic remains of the Cheoncheon-ri site in Hwaseong were formed from the end of the Middle Paleolithic Age to the beginning of the Upper Paleolithic Age, considering these absolute dating valu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leolithic sites excavated stone tools. Although the Cheoncheon-ri site in Hwaseong is a small in size, it is expected to be a good data for the study of Paleolithic stone technology in this area as it shows characteristic examples of the Paleolithic stone industry identified in Suwon and Hwaseong.

      • KCI등재

        Diagnostic Models for Atopic Dermatitis Based on Serum Microbial Extracellular Vesicle Metagenomic Analysis: A Pilot Study

        양진호,Andrea McDowell,서호찬,김성원,민택기,지영구,최영우,박해심,편복,김윤근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20 Allergy, Asthma & Immunology Research Vol.12 No.5

        Purpose: Associations between a wide variety of diseases and the microbiome have been extensively verified. Recently, there has been a rising interest in the role the microbiome plays in atopic dermatitis (AD). Furthermore, metagenomic analysis of microb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Vs) has revealed the importance and relevance of microbial EVs in human health. Methods: We compared the diversity and proportion of microbial EVs in the sera of 24 AD patients and 49 healthy controls, and developed a diagnostic model. After separating microbial EVs from serum, we specifically targeted the V3–V4 hypervariable regions of the 16S rDNA gene for amplification and subsequent sequencing. Results: Alpha and beta diversity between controls and AD patients both differed, but only the difference in beta diversity was significant. Proteobacteria, Firmicutes, and Bacteroidetes were the dominant phyla in healthy controls and AD patients, accounting for over 85% of the total serum bacterial EVs. Also, Proteobacteria, Firmicutes, Actinobacteria, Verrucomicrobia, and Cyanobacteria relative abundanc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AD and control groups. At the genus level, the proportions of Escherichia-Shigella, Acinetobacter, Pseudomonas, and Enterococcus were drastically altered between the AD and control groups. AD diagnostic models developed using biomarkers selected on the basis of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effect size from the class to genus levels all yielded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of value 1.00. Conclusions: In summary, microbial EVs demonstrated the potential in their use as novel biomarkers for AD diagnosis. Therefore, future work should investigate larger case and control groups with cross-sectional or longitudinal clinical data to explore the utility and validity of serum microbiota EV-based AD diagnosis.

      • 이창동 소설 「춤」에 나타난 1980년대 한국 사회의 소비 의식 연구

        양진호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한국미래문화연구소 2021 미래문화 Vol.0 No.2

        본고는 이창동 소설집 『소지(燒紙)』에 수록된 단편인「춤」을 ‘소비’라는 키워드로 살펴봄으로써 그의 소설적 발화 방식인 ‘이야기’의 의미를 규정하려고 한다. 역사에 대한 당대 문학의 보편적 관점에서 ‘이야기(나카자와 신이치의 신화에 대한 개념과 관련지어)’로 이행하는 그의 소설들은 역사를 관통하는 소외된 자들, 시간으로부터 추방된 자들의 시선으로 사회를바라본다. 한국 사회의 역사와 그 바깥이라는 영역 사이에 놓인 개인들의삶을 발견하고 재현하는 그의 소설에서, ‘이야기’라는 관점은 역사라는 체계안에서 역사 바깥을 사유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즉 역사 안에 포함될 수없는 것들이 역사 안에 섞여 있고, 그것을 역사 속 개인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인식하려는 과정 자체를 이창동이 ‘이야기’라는 형식을 통해 담아내려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창동의 이러한 ‘이야기’적 서술 방식이 담긴 소설들 중 「춤」을 80년대 한국 사회의 욕망 구조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핵심이 되는 ‘소비’의 키워드로 분석하고, 그가 이 기표를 통해 한국 사회의 모순을 발견하는 방식, 그리고 ‘화해의 가능성을 찾아가는 방식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 과정을 한국 사회의 ’경계‘에 대해 이창동이 사유해나간 과정으로서 바라보려고 한다. This paper tries to define the meaning of 'story', his novel utterance method, by examining the short story 'Dance' contained in Lee Chang-dong's novel collection 『Soji』 as the keyword ‘consumption’. His novels, which move from the universal perspective of contemporary literature on history to 'story' (in relation to Shinichi Nakazawa's concept of myth), look at society through the eyes of the marginalized and those expelled from time through history. In his novels that discover and reproduce the lives of individuals who are placed between the history of Korean society and the realms outside it, the perspective of ‘story’ works in a way of thinking outside of history within the system of history. In other words, the things that cannot be included in history are mixed in history, and the process of individuals in history trying to recognize it in their own way is what Chang-Dong Lee tried to capture through the form of ‘story’. In this thesis, among the novels that contain Lee Chang-dong's 'story' narrative style, 'dance' is analyzed as a keyword of 'consumption', which is the key word in explaining the structure of desire in Korean society in the 80s, and he I would like to focus on the method of discovering the contradictions in Korean society and the method of 'finding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In addition, this paper attempts to view this process as a process by which Chang-dong Lee thought about the 'boundary' of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