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 OF DRIVING TENDENCIES ON DRIVING CHARACTERISTICS IN CUT-IN AND EMERGENCY BRAKING SITUATIONS

        양지현,이승준,임세준 한국자동차공학회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Vol.23 No.2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riving tendencies and driving characteristics in dangerous driving situations was investigated. A human-in-the-loop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a driving simulator; in the two simulated driving situations, the vehicle ahead did an emergency break, and another vehicle cut in, thereby forcing the participant to evade. A total of 52 drive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In the cut-in situation, aggressive drivers had a higher maximum longitudinal acceleration (MLOA), maximum brake pedal force (MBF) and maximum lateral acceleration (MLAA) than mild drivers; mild drivers changed the lane with a wider turning angle at the maximum steering wheel angle (MSA). Regarding the driving environment, the high-speed scenario showed a higher MBF, while the low-speed scenario showed a greater MSA.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riving tendencies and driving environment led to significantly different MBFs and MLAAs. In the emergency braking situation, aggressive drivers showed a higher MLOA, MBF, and MLAA than mild drivers. Regarding the driving environment, the high-speed scenario exhibited a higher MBF, while the low-speed scenario showed a greater MSA. The experiment results confirm that the driving characteristics depend on the driving tendencies and driving environment. This correlation should be exploited to develop a driving mode based on the actual tendencies of the driver.

      • KCI등재

        ‘아무래도’와 ‘아무려면(아무렴)’의 사전처리 방안 연구

        양지현 한민족어문학회 2023 韓民族語文學 Vol.- No.10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rmation process and adverbial use of ‘amuraedo’ and ‘amuryeomyeon(amuryeom)’. This study also aimed to examine their parts of speech status and how to process them in the dictionary There are two forms of ‘amuraedo’: ‘amuraedo1’ with a syntactic composition of ‘amurihayeodo’ and ‘amuraedo2’ in a conjugated form of ‘amureohayeodo’. In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amuraedo1’ is currently treated as an adverb and ‘amuraedo2’ as a shortened word. Considering the similar word types of the adverb ‘amureomyeon’ and the exclamation ‘amuryeomyeon(amuryeom)’ their formation process seems to be somewhat related. The ‘amuryeomyeon(amuryeom)’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ts use from the adverb ‘amureomyeon’ when used in conjunction with rhetorical questions. Accordingly, ‘amuraedo2’ recognized the fixedness of the form, and ‘amuryeomyeon(amuryeom)’ recognized the function as a modifier, I tried to view these two as adverbs. 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mpilation guidelines of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amuraedo2’ is presented as a polysemy with the adverb ‘amuraedo1’ under the headword of ‘amuraedo’. Clues were found for ‘amuryeomyeon(amuryeom)’ and ‘amureomyeon’ in the dictionary description of ‘amuri’ and ‘amman’. I presented ‘amuryeomyeon(amuryeom)’ as an adverb and an exclamation together with ‘amureomyeon’ as a synonym. 이 글은 부사적 쓰임을 보이는 ‘아무래도’와 ‘아무려면(아무렴)’을 대상으로 형성과정과 쓰임에 대해 살피고, 그 품사적 지위와 사전에서의 처리 방안에 대해서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무래도’는 통사적 구성인 ‘아무리 하여도’에 의한 ‘아무래도1’과 활용형 ‘아무러하여도’에 의한 ‘아무래도2’가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현재 ‘아무래도1’을 부사로, ‘아무래도2’를 준말로 처리하고 있다. 부사 ‘아무러면’과 감탄사 ‘아무려면(아무렴)’은 유사한 어형을 가진 것을 고려하면 형성과정도 어느 정도 관련성이 있어 보인다. 이 ‘아무려면(아무렴)’은 반어의문문과 어울려 쓰이기도 하는데, 이때는 부사 ‘아무러면’과 쓰임에서 큰 차이가 없다. 이에 ‘아무래도2’는 형태의 고정성을, ‘아무려면(아무렴)’은 수식언으로서의 기능을 인정하여 이 둘을 부사로 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표준국어대사전의 편찬지침에 따라 ‘아무래도2’는 표제어 ‘아무래도’ 아래 다의어로서 부사 ‘아무래도1’과 함께 제시해 보았다. ‘아무려면(아무렴)’과 ‘아무러면’은 ‘아무리’와 ‘암만’의 사전 기술에서 실마리를 찾았는데, ‘아무려면(아무렴)’을 부사, 감탄사 품사통용으로 처리하고, 유의어로 부사 ‘아무러면’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용언 반복 구문에 대하여 ─‘-(으)면 -었지’를 중심으로─

        양지현 국어문학회 2023 국어문학 Vol.82 No.-

        This is a study of the echoed verb construction ‘-(eu)myeon –eotji’. ‘-(eu)myeon –eotji’ cannot be interpreted only with the meaning of grammatical element or the meaning of verbs, but can be understanded within a sentence by the construction itself. Hence,a semantic functions of ‘-(eu)myeon –eotji’ was devided into three features and studied. This construction usually practiced as ‘-(eu)myeon –eotji’, but sometimes it is used as ‘-eoteumyeon –eotji.’ Regarding the function of ‘-eot-’, not only the ‘-eot’- from ‘-eotji’, ‘-eot-’ from the ‘-eoteumyeon’ is studied and found how it was used in constructions. Last, regarding the echoed verb used in ‘-(eu)myeon –eotji’ constructions, a verb that combined with ‘-(eu)myeon’ was refered as V1, and another verb that combined with ‘-eotji’ was refered as V2 and practical aspects of both were studied. Even though it’s the echoeing of the stem of each verb,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usage of V1 and V2 according to the verb; if the verb is ‘predicative noun + hada’, or it takes auxiliary predicate element, etc. In addition, it was also studied that how this constructions is modified by adverbs, and etc. 이 글은 용언 반복 구문 ‘-(으)면 –었지’에 대한 연구이다. ‘-(으)면 –었지’는 문법 요소의 의미 또는 용언의 의미만을 가지고는 해석되지 않으며, 구문 그 자체가 문장에서 의미를 드러낸다. 이에 용언 반복 구문 ‘-(으)면 –었지’의 의미기능을 세 가지로 나누고 그 특성을 살폈다. 이 구문은 대체적으로 ‘-(으)면 –었지’ 꼴로 실현되나 ‘-었으면 –었지’ 꼴로 실현되기도 한다. ‘-었-’의 기능과 관련하여, ‘-었지’의 ‘-었-’은 물론이고, ‘-었으면’의 ‘-었-’이 무엇인지 살펴 구문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으)면 –었지’ 구문에 반복적으로 쓰이는 용언에 대해, ‘-(으)면’에 결합하는 용언을 V1, ‘-었지’와 결합하는 용언을 ‘V2’로 구분하여 그 실현양상을 알아보았다. 용언의 어간 반복하는 것이긴 하지만, 그 용언이 ‘서술성 명사+하다’인지, 합성어인지, 보조용언을 취하는지 등에 따라 V1과 V2의 활용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더불어, 이 구문이 부사어 수식은 어떻게 받는지 등도 살폈다.

      • 책 리뷰: 법정에 선 뇌

        양지현 미래의료인문사회과학회 2019 FUTURE MEDICINE & HUMANITIES Vol.2 No.2

        In The Brain Defense, author Kevin Davis introduces the case of Herbert Weinstein which has an impact on brain defense so-called ‘My Brain Made Me Do It’, in the criminal courtrooms. The neuroscientific evidence and expert testimonies presented in the courtroom to explain his criminal conduct were not enough to convince the court. It means that it is difficult to prove the scientific validity of the evidence and to articulate its meaning in the normative language. In this respect, there are two main issues for the future of the brain in the courtrooms. First of all,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standards for the scientific validity verification and normative judgment of evidence. Second, as neuroscience is getting closer to the courtrooms and the individuals, we should take into account its impacts on privacy and cognitive liberty. In the end, we should make an effort to maintain the objectivity and validity of neuroscientific evidence and to beware of misuses. 케빈 데이비스(Kevin Davis)의 책 󰡔법정에 선 뇌(The Brain Defense)󰡕는 소위 ‘My Brain Made Me Do It’이라 불리는 형사 법정에서의 뇌 이상 항변에 영향을 미친 허버트 와인스타인(Herbert Weinstein)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를 변호하기 위해 법정에 제시되었던 전문가들의 의견과 증거는 진보된 뇌신경과학의 힘을 빌려 제한적으로나마 설득력을 얻었으나 한계가 있었다. 이는 증거의 과학적 타당성을 입증하고 그 증거의 의미를 법이 사용하는 규범적 언어로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법정에서의 뇌의 미래를 위한 과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우선 무엇보다도 뇌신경과학적 접근에 대한 과학적 타당성의 검증과 규범적 판단의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수적인 과제는 뇌신경과학이 법원과 일반인들의 일상에 가까워지게 됨에 따라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인지적 자유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될 것이다. 이를 통해 뇌신경과학 기술이 법정에서 무분별하게 오남용 되는 것을 경계하고 객관성과 타당성을 잃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KCI등재

        공연장 화재 축소모형을 이용한 전산시뮬레이션 검토: 방화막 및 무대부 자연배출구 영향

        양지현,백선아,이치영,김동균 한국화재소방학회 2019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3 No.5

        In the present study, the influences of the fire curtain and natural vent in a theater fire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numerical simulation of a reduced-scale model of a theater fire using the Fire Dynamics Simulator (FDS). Based on aprevious experimental study using the reduced-scale model, the 1/14 reduced-scale model and its conditions we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law of similarity with a real-scale theater. Through a series of numerical simulations, the smokemovements were visualized, and the temperatures in the stage and auditorium, mass flow rate of the outflow through naturalvent, and time at which smoke started moving toward the auditorium were measured and analyzed. The general trends onthe effects of the fire curtain and natural vent during the theater fire predicted by the present numerical simulation weresimilar to the previous experimental results. For quantitative comparison of the present numerical simulation and previousexperimental results, the mean percentage errors of temperatures in the stage and auditorium, and the mass flow rate ofoutflow through the natural vent were calculated. The present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showed good agreement withprevious experimental results with reasonable accuracy. 본 연구에서는 Fire Dynamics Simulator (FDS)를 이용한 공연장 화재 축소모형 전산시뮬레이션(Numerical simulation)을 통해 공연장 화재 시 방화막 설치 여부 및 무대부 자연배출구 개폐 영향을 검토하였다. 기존의 축소모형 실험연구를 바탕으로, 실존하는 공연장에 대해 상사법칙을 적용하여 1/14 비율로 축소하여 설정한 축소모형 및 조건을대상으로 하였다. 축소모형 전산시뮬레이션을 통해 연기 유동을 가시화하고, 무대부 및 객석부 온도, 자연배출구를통한 유출 질량 유량, 객석부로의 연기 유출 시작 시점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본 전산시뮬레이션에서예측된 방화막 설치 여부 및 무대부 자연배출구 개폐 영향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은 기존 축소모형 실험에서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전산시뮬레이션 결과와 기존 축소모형 실험 결과 간 정량적인 비교를 위해 무대부 및 객석부온도, 자연배출구를 통한 유출 질량 유량에 대해 평균 백분율 오차를 계산하였고, 본 전산시뮬레이션 결과와 기존축소모형 실험 결과가 비교적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Reversal of Pacing-Induced Cardiomyopathy by Normal QRS Axis Pacing

        양지현,김주연,김성환,오용석 대한심장학회 2016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46 No.3

        Right ventricular apical pacing has been a commonly used method for placement of permanent pacemaker, but it is known to beassociated with ventricular dyssynchrony and may lead to heart failure. Septal pacing could be an alternative method to improve thiscomplication but the results have been conflicting; hence, other strategies are needed. This case is about a patient with pacing-inducedcardiomyopathy who showed much improvement after repositioning the leads to a site different from that of normally paced QRS axis.

      • KCI등재

        의도표현에 대하여-‘-려 하(다)’, ‘-려고(요)’, ‘-려고 하(다)’를 중심으로

        양지현 배달말학회 2013 배달말 Vol.52 No.-

        Wording ‘-ryeo’ is often used in modern Korean language when one intends to express one's 'intention'. This writing is a study on formation process and meaning․syntactic characteristics of ‘-ryeo ha(da)’ and ‘-ryeogo ha(da)’ as well as ‘-ryeogo(yo)’ which appears at the end of sentence. First of all, ‘-ryeo ha(da)’ has been used since the middle age. Wording ‘-ryeo ha(da)’ is ‘-rieo ha(da)’ combined with ‘-ri-’ which renders [+internality] to preceding predicate. ‘-ryeo ha(da)’ is an expression focusing on [+internality] such as 'intention' of a doer or 'a guess' of a speaker rather than an expression revealing a certain behavior. However, it sometimes is used to express 'direct behavior' of a doer even if a doer is not the first person. First, such ‘-ryeo ha(da)’ is not restricted by the person of doer with respect to behavior. In addition, such an expression is possible even in case a doer is inhuman noun. Second, 'an' negative statement is only possible when intention of a doer is to be shown in a negative expression. Third, ‘-ryeo ha(da)’ cannot be used in a negative expression if a doer is a inhuman noun. ‘-ryeogo’ of ‘-ryeogo(yo)’ is deemed that 'ha-' diminished from ‘-ryeo hago’, which resulted in ‘-ryeogo’. The stem 'ha-' in the second phrase is omitted when two phrases diminish. ‘-ryeogo’ first appeared as conjunctional ending. The conjunctional ending ‘-ryeogo’ is realized as ‘-ryeogo(yo)’ at the end of a sentence through grammaticalization process. ‘-ryeogo(yo)’ is an expression to expose only 'intention․intent' instead of showing 'behaviour' of a doer. ‘-ryeogo(yo)’ is an expression which can be realized only when a speaker and a listener, i.e. conversation participants, are doers; if a doer is the third person, it will be an ill-formed sentence. ‘-ryeogo(yo)’ has a meaning of 'intention․intent' so that 'an' negative statement is only possible in a negative expression. ‘-ryeogo ha(da)’ can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clause in a complex sentence connected with ‘-ryeogo’ is replaced by 'ha(da)’. ‘-ryeogo ha(da)’ is a composition of ‘-ryeo hago ha(da)’ and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ha(da)’ is used once more than ‘-ryeogo ha(da)’ or ‘-ryeogo(yo)’ of conversational expression. ‘-ryeogo ha(da)’ reveals not only intention of a doer but also existence of a certain direct․indirect behavior to conduct intention. From the syntactic viewpoint, ‘-ryeogo ha(da)’ has not a big difference from ‘-ryeo ha(da)’. It is same as ‘-ryeo ha(da)’ in following aspect; it has no restriction from the person of a doer; its expression is possible even in case a doer is an inhuman noun; and, 'an' negative statement is only possible to expose intention of a doer in a negative expression. However, in an expression to directly ask intention of a doer, ‘-ryeogo(yo)’ or ‘-ryeo ha(da)’ is more natural than ‘-ryeogo ha(da)’ which reveals external motional nature. 이 글은 ‘-려 하(다)’와 ‘-려고 하(다)’, 문말에 나타나는 ‘-려고(요)’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의도를 나타내는 ‘-려고’가 처음부터 쪼갤 수 없는 기본 형태인지, ‘-려 하(다)’는 ‘-려고 하(다)’의 ‘-고’가 수의적으로 탈락될 뿐, ‘-려고 하(다)’와 ‘-려 하(다)’는 동일한 것인지 등에 대해서 그 형성과정을 통해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논의가 접속어미로서의 ‘-려고’에 집중되어 있거나 다른 의도 표현과의 관계 속에서만 살피고 있을 뿐, ‘-려 하(다)’나 ‘-려고 하(다)’, 문말에 나타나는 ‘-려고(요)’에 대해서는 크게 관심을 두지 않고 있으므로, 각각의 의미적․통사적 특성에 대해서도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려 하(다)’는 중세에서부터 쓰였다. ‘-려 (다)’는 선행용언에 [+내면성]을 부여하는 ‘-리-’가 결합한 ‘-리어 (다)’이다. ‘-려 하(다)’는 어떤 행위를 드러내기 위한 표현이라기보다는 행위주의 ‘의도’나 화자의 ‘추측’과 같은 [+내면성]을 나타내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진 표현이다. 그러나 행위주가 일인칭이 아닌 경우, 행위주의 ‘직접적인 행동’을 표현할 때도 쓰인다. 이런 ‘-려 하(다)’는 첫째, 행위에 대한 행위주의 인칭 등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행위주가 무정명사인 경우에도 표현 가능하다. 둘째, 부정 표현에서 행위주의 의도를 드러낼 때는 의지부정인 ‘안’ 부정문만 가능하다. 셋째, ‘-려 하(다)’는 행위주가 무정명사일 경우, 부정표현을 쓸 수 없다. ‘-려고(요)’의 ‘-려고’는 ‘-려 고’로 쓰던 말에서 ‘-’가 줄어들어 ‘-려고’가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두 어구가 줄어들 때는 둘째 구의 어간 ‘하-’가 생략된 것이다. ‘-려고’의 첫 등장은 접속어미로서이다. 접속어미 ‘-려고’는 문법화 과정을 거쳐 문말에 ‘-려고(요)’로 실현된다. ‘-려고(요)’는 행위주의 ‘행위’는 드러내지 않고, 오로지 ‘의도․의향’만을 드러내는 표현이다. ‘-려고(요)’는 담화 참가자, 즉 화자와 청자가 행위주인 경우만 실현 가능한 표현으로, 행위주가 삼인칭일 때는 비문이 된다. ‘-려고(요)’가 ‘의도․의향’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부정표현에서 의지 부정인 ‘안’ 부정만 가능한 것이다. ‘-려고 하(다)’는 접속어미 ‘-려고’로 연결된 복문의 후행절이 ‘하(다)’로 대체되었다고 볼 수 있다. ‘-려고 하(다)’는 ‘-려 고 하(다)’ 구성이므로, ‘-려 하(다)’나 담화 상 표현인 ‘-려고(요)’ 보다 ‘하(다)’가 한 번 더 쓰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려고 하(다)’는 행위주의 의도를 드러낼 뿐만 아니라 의도를 수행하기 위한 어떠한 직접적․간접적 행위가 있음을 나타낸다. 통사적 측면에서 ‘-려고 하(다)’는 ‘-려 하(다)’와는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 행위주의 인칭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점, 행위주가 무정명사인 경우에도 표현이 가능하다는 점, 부정 표현에서 행위주의 의도를 드러낼 때 ‘안’ 부정문만 가능하다는 점 등은 ‘-려 하(다)’와 동일하다. 다만, 행위주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묻는 표현에서는 외적인 동작성이 드러나는 ‘-려고 하(다)’보다는 ‘-려고(요)’나 ‘-려 하(다)’가 더 자연스럽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