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valuation on the Quality of Fresh, Conventionally Heated and Ohmically Heated Mulberry Fruit Juice

        양지원,한대석,이창호,박성진,김영언,Yang, Ji-Won,Han, Dae-Seok,Lee, Chang-Ho,Park, Sung-Jin,Kim, Young-Eon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014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24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superiority of ohmic heating over conventional heating for the sterilization of mulberry juice. Heat treatment of fresh juice significantly reduced the concentration of soluble solids, lowered the pH, and lowered the reducing sugar content (p<0.01). Color measurements showed decreases in the L and a values and increases in the b, H and C values after heat treatment, although the total color differences were smaller after ohmic heating than after conventional heating of fresh juice. The antioxidant capacities, such as reducing power, FRAP, and DPPH, decreased in the order of fresh juice, ohmically heated juice and conventionally heated juice. Furthermore, the anthocyanin, flovonoid, and total antioxidant capacities of the juice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ame order. Sensory evaluation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fresh and ohmically heated mulberry fruit juice excluding off-flavor, whereas conventionally heated juice received significantly lower evaluations. The microbial counts were zero in the juice after either heat treatment. Thus, ohmic heat treatment can be effectively used to sterilize fresh mulberry juice to obtain good shelf life with minimal physicochemical, color, antioxidant and sensory deterioration.

      • KCI등재

        누에(Bombyx mori) 번데기 및 한약재의 In Vitro 에스트로젠 활성

        양지원,최은미,권무길,구성자,Yang Ji-Won,Choi Eun-Mi,Kwon Mu-Gil,Koo Sung-Ja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5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5 No.3

        In this study we report on the estrogen activity of silkworm pupa and herb extracts in vitro. The estrogenic activity of these resources was investigated by competition binding assays with estrogen receptor $\alpha(ER{\alpha})\;or\;ER{\beta}$, and viability of MCF-7 cells, a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Saturation ligand-binding analysis of $ER{\alpha}\;and\;ER{\beta}$ revealed that all plant extracts competed with estrogen ligand for binding to both ER subtypes with a similar preference and degree and competed stronger with ligand for binding to $ER{\beta}\;than\;to\;ER{\alpha}$. The highest $ER{\alpha}-binding$ sample was silkworm pupa aqueous extract The highest $ER{\beta}-binding$ sample was silkworm pupa oil. These samples were further tested for bioactivity based on their ability to regulate cell growth rate in ER(+) breast cancer cell line, MCF-7 cells. Our studies showed that silkworm pupa, soritae, sesame, yam, pueraria, malt, ginseng, Polygonum multiflorum, and Curcuma longa significantly stimulated the growth of MCF-7 cells (P<0.05). In summar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ilkworm pupa and herbs might be useful as potential phytoestrogens.

      • KCI등재

        국내 시판 누룽지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성질 연구

        양지원,최일숙,Yang, Ji-won,Choi, Il Sook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6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2 No.5

        Purpose: Nurungji is a traditional Korean food made by yellowish scorched rice. After getting gelatinization of rice, a thin crust of scorched rice will usually be left in the bottom of the traditional cooking pot. In this study,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ive commercial nurungji products (CNP1, CNP2, CNP3, CNP4, and CNP5) were evaluated. Method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five commercial nurungji products were evaluated with AOAC method.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assessed using the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ozothia zoline-6-sulfonic acid)(ABTS),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nd reducing power assays. Results: Water content was the highest in CNP3, followed by CNP1, CNP2, CNP5, and CNP4. Crude ash content of all nurungji was less than 1%. In Hunter color parameter, the significantly highest a value (redness) and b value (yellowness) were measured in the CNP4 product, meanwhile the lowest in CNP3 (p<0.05). The nurungji products of CNP4 and CNP5 had the significantly higher content in total polyphenols and total flavonoids, compared to those of other products. CNP3 and CNP2 had the lowest in total polyphenols and total flavonoids, respectively. CNP4 and CNP5 products showed the significantly higher values in antioxidant activities, whereas CNP3 had the lowest activity. Conclusion: The high value of antioxidant activities in CNP4 and CNP5 might have been affected primarily by the total polyphenols with increasing browning color during the heat treatment.

      • 한국의 과학기술 어디까지 왔나 - 발효 기술, 아미노산 발효기술 선진국 수준

        양지원,Yang, Ji-Won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00 과학과 기술 Vol.33 No.10

        우리나라의 생명공학기술 수준은 선진국을 100으로 볼 때 65정도로 열세이지만 분야별로 강세를 보여온 발효기술은 90정도로 선진국에 근접해 있으며 특히 아미노산 발효기술은 높게 평가를 받고 있다. 21세기 선도산업으로 꼽고 있는 생물산업의 경쟁력 우위를 점하기 위해선 더 많은 기술적ㆍ경제적인 투자가 절실하다.

      • KCI등재

        모리스 블랑쇼의 ‘바깥에서 사유하기’ 방법의 교육적 의의: 언어와 이미지를 중심으로

        양지원 ( Yang Ji-won ),김회용 ( Kim Hoy-yo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4

        인간은 언어로 세계를 구분 짓고 대상을 개념화 한다. 언어를 통해 사유하고 소통하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그 언어의 구속력이나 폭력성을 인지하지 못한 채, 언어가 지배하는 의식적 표준만을 따라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세계의 흐름 속에서 언어의 한계에서 벗어나 언어의 바깥을 사유하고자 한 블랑쇼의 철학적 관점은 오늘날 우리 교육에 새로운 인식의 전환점을 가져다 줄 수 있다. 보이는 것, 실재하는 것에 의존하여 시각적 이미지에 권위를 부여하는 문화 속에서 블랑쇼의 바깥의 사유는 비실재하는 것을 주목하게 만든다. 대상의 외부가 아닌 내부, 중심에 집중하는 것으로, 자연적인 상태의 이미지로 사유하는 것이다. 블랑쇼의 언어의 바깥, 즉 이미지로 사유하기의 방법은 오늘날 보이는 것, 실재하는 것 등 언어에 의존된 교육 방법적 측면에서 언어의 관념적 경계를 허물고, 이미지라는 새로운 관점으로 사고할 필요성과 그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블랑쇼에 대한 연구는 현 우리의 교육에 주는 의의를 고찰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As human beings we understand the world around us through language and conceptualize objects. This understanding is based on a set of conscious standards dominated by language and often without recognizing the binding force or aggression of language. In a world prompted by this trend, the philosophical point of view of Blanchot that intends to reason the outward (la pensee du dehors) of language beyond the limitations of language can constitute a new turning point in our education today. In a culture of giving authority to visual images with dependence on what is visible and what is real, Blanchot’s “thought from outward" calls our attention to the nonexistence. It is to reason with the image in its pristine state, focusing on the inward and the center of the object, rather than the outward. The outward of Blanchot’s language, i.e., the way of reasoning with image, shows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reasoning with a new viewpoint called image, breaking down the conceptual boundary of language in a context of educational method which is dependent upon language such as what is seen today and what is real. In this regard, studies on Blanchot provide an opportunity to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our present education.

      • KCI등재

        거래사례비교법에 의한 표준지공시지가 결정요인의 실증분석

        양지원(Yang, Ji-Won),유선종(Yoo, Seon-Jong) 한국주거환경학회 2014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2 No.2

        According to the current land appraisal system,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plays a base of the real estate appraisal. Study on determinants of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is insufficient despite the importance on the real estate appraisal. This study is to identify determinants of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ach determinant on the evaluation of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and to draw implications including limitations in the process of evalu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99,384 lots in the nation appraised by sales comparison approach. This study consists of theoretical consideration, analysis of descriptive statistics by each determinant, and regression analysis on hedonic price mode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2 analysis models on various leve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ales comparables, site forces, other force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evaluation of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The results present that the application of sales comparablese, other forces should be careful and the comparison of site forces should be conducted by the objective standards. We expect that findings from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more credible and fair system of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and real estate appraisal.

      • 생활문화기록화사업의 현황 및 특성연구

        양지원(Yang, Ji-Won),유해연(Yoo, Hae-Yeon) 대한건축학회 2020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0 No.1

        The project for recording the unique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s increasing due to the reason for applying it to the future planning direction. Although it is a significant project that can examin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human, social and economic ways, it tends to develop gradually in a uniform direction, contrary to its original intention. To address these problems, the need for introducing a regional-specific survey method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s raised. In addition, In addition, after investigating the local lifestyle, an alternative is needed for the outcome to be actively utilized in the local revitalization plan, and measures are needed for residents to utilize the dat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improvement direction by examining the progress,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utilizing results of related projects through case analysis of domestic life-culture recording projects.

      • KCI등재

        한국 고문헌(1400년대~1800년대) 및 근대문헌(1900년대~1940년대)에 나타난 장과류(베리류)의 종류 및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양지원 ( Ji Won Yang ),김영호 ( Young Ho Kim ),박동준 ( Dong June Park ),이남혁 ( Nam Hyouck Lee ),김영언 ( Youn Geon Kim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4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9 No.1

        본 연구는 베리류의 종류 및 제조방법을 고찰하고자 한국 고문헌 및 근대문헌에 나타난 베리류와 관련된 기록을 조리 과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고문헌 및 근대문헌에 나타난 베리류의 종류를 주재료로 고찰하여 분류한 결과는 앵두 16회, 오미자 3회, 구기자 11회, 복분자 8회, 버찌 3회, 오디 1회로 총 42회가 기록되어있으며, 시대별로는 조선시대 전기는 앵두 1회, 조선중기는 앵두 2회, 구기자 2회, 조선 시대 후기는 앵두 6회, 오미자 2회, 구기자 5회, 복분자 6회, 버찌 1회, 조선 시대이후 1930년대까지 앵두 7회, 오미자 1회, 구기자 4회, 복분자 2회, 버찌 2회, 오디 1회가 기록되어있다. 베리류의 종류 및 베리류를 이용한 조리의 사용빈도는 점차 증가하였다. 둘째, 한국 고문헌 및 근대문헌에 나타난 베리류의 종류를 부재료로 고찰하여 분류한 결과는 오미자 53회, 구기자 2회로 총 55회가 기록되어 있으며, 오미자의 부재료 사용이 다른 베리류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이는 오미자가 다른 베리류에 비해 비교적 손쉽게 접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한국 고문헌 및 근대문헌에 나타난 베리류를 주재료로 한 조리방법을 고찰하여 분류한 결과는 과정류, 음청류, 주류, 죽류로 나누어지며, 과정류 21종, 음청류 13종, 주류 7종, 죽류 1종이 기록되어있다. 베리류를 부재료로 한 조리방법을 고찰하여 분류한 결과는 음청류, 과정류, 환류, 죽류, 주류로 나누어지며, 음청류 41종, 과정류 11종, 환류 2종, 죽류1종, 주류 1종으로 기록되어있다. 과정류는 정과, 과편, 다식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정과는 앵두, 복분자, 오미자로 조리되었으며, 앵두와 복분자는 찌거나 삶는 열을 이용하여 즙을 만들었고, 오미자는 열을 이용하지 않고 즙을 만들어졌다. 정과를 만드는 부재료로 꿀만 사용하여 만드는 법, 꿀과 녹말을 사용하여 만드는 법으로 나누어진다. 과편은 앵두, 복분자, 버찌, 오미자로 조리되었으며, 부재료로 꿀만 사용하여 만드는 법, 꿀과 녹말을 사용하여 만드는 법으로 나누어지며, 꿀 대신 설탕을 사용한 조리법도 기록되어있었다. 다식은 오미자를 부재료로 하여 조리하였으며, 다른 베리류는 사용되지 않았다. 오미자즙은 물의 온도에 따라 우려내는 방법과 열을 이용하여 만드는 방법으로 만들어졌다. 음청류는 차, 갈수, 숙, 화채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차는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로 조리되었으며, 구기자차의 조리방법은 구기자를 곡식가루, 녹차가루와 함께 반죽하여 햇볕에 말려 가루로 만들어 끓여서 마셨으며, 복분자차는 복분자 자체만을 햇볕에 말려 가루로 만들어 마셨고, 오미자차는 주재료는 1종이나 부재료는 6종으로 부재료로 더 사용되었다. 갈수는 오미자를 주재료로한 오미갈수방으로「임원십육지」(서유구, 1835년 경)에 기록되어있다. 숙은 앵두로 조리되었으며, 앵두를 삶거나 끓여서 사용하였다. 화채는 앵두, 복분자, 오미자로 조리되었으며, 앵두와 복분자는 주재료로 사용되었으며, 오미자는 부재료로 사용되었다. 주류는 구기자, 오디로 조리되었으며,「임원십육지」(서유구, 1835년 경)의 구기주와「주찬」(저자미상, 1800년대)의 신선고본주법의 구기주 조리방법은 누룩을 넣어 술을 직접 빚었으나, 다른 나머지 구기자주는 구기자를 담가서 술을 만들었다. 오디를 주재료로 한 상심소주는 소주에 오디즙을 넣어 만들었다. 죽류는 구기자로 조리되었으며, 환류는 오미자로 조리되었다. 한국 고문헌 및 근대문헌에 나타난 베리류를 주재료로 한 조리방법은 과정류, 음청류, 주류 등의 부식류가 주를 이루었다. 정과류는 140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꾸준히 조리되었으며, 베리류의 고유 특성에 따라 조리방법의 차이는 다소 나타내었다. 음청류는 「임원십육지」(서유구, 1835년 경) 이후부터 조리방법으로 사용되었으며, 주류는 「온주법」(저자미상, 1700년대 후기) 이후부터 조리방법으로 사용되었으며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이용기, 1924)에서 구기자를 이용한 주류가 아닌 오디를 이용한 상심소주를 조리하였으며, 조리방법은 다 완성된 소주에 오디즙를 첨가하는 방법을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고조리서 연구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와 같이 그 음식이 갖는 역사적 측면에 보다 주목하고 현대적으로 이를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고찰한 바에 의하면 식품가공학적 측면과 식문화사적 측면에서 매우 의의가 있으며, 더욱이 세계적인 음식 소비 트랜드가 건강지향적인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베리류를 이용한 다양한 웰빙 조리방법으로 포지셔닝 되고 있는 점은 베리류의 현대적 활용가치를 더 높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베리류는 현재 생과로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으나, 생과는 유통 및 저장에 한계를 가져므로, 최근 주스류, 잼, 가루, 차류 등의 단순가공제품이 개발되었으나, 이상의 개발에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고찰된 베리류 조리법을 이용한 베리류를 사용한 과정류, 음청류, 주류, 죽류 및 환류의 제품을 개발하여 현재 가공제품 산업에 응용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한국 고문헌 및 근대문헌에 나타난 베리류의 종류 및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을 분석한 결과로 베리류의 종류 및 조리방법의 변천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후속 연구로서 이러한 문헌의 고찰과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한국 고문헌 및 근대문헌의 베리류를 이용한 조리방법을 복원하는 깊이 있는 연구를 기대하며, 계속적인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literature review on berries and their cooking methods that appear in ancient and modern Korean literature. Due to recent reports on berries` excellent functionality and the public`s growing interest in healthy living, berries have been attracted attention as promising forms of sustenance. By structuring and classifying the types of berries and their popularity as well as recipes using berries found in ancient and modern Korean literature, this review hopes to serve as an important source that reflects both the food culture and social aspects associated with the value of berries in the lives of Korean people as well as foster understanding of the superiority of Korean food culture. This study will also have implications on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antioxidant-rich berries into the modern food landscape.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ypes of berries were classified into six types (Korean cherry, Omija, Gugija, Bokbunja, Black cherry, Mulberry) while cooking method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Korean traditional snack, Korean traditional beverage, Liquors, Porridge, Pilule) in the ancient and modern literature of Korea. The aim of this literature review is to highlight the valuecreating aspect of berries as food materials that can yield high added-value products. Beyond their value as healthy fruits, this study will explore the features of berries that enhance their added value and brand marketing as well as their aspects suitable for application to the modern industry of berry product development.

      • KCI등재

        긍정적 구전과 부정적 구전의 차이: 스킨케어 제품의 온라인 상품평에 대한 내용분석

        양지원 ( Ji Won Yang ),조은성 ( Eun Seong Cho ) 한국미용학회 2013 한국미용학회지 Vol.19 No.6

        With the growing practical importance of online customer reviews, much research attention is being paid to e-WOM(Electronic Word-of mouth). While most previous studies are focusing the reactions of consumers to e-WOM, only a few studies performed content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online customer reviews of skin-care products in term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ge group, skin type, the number of previous reviews), contents characteristics (review length, review contents),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emoticon use, politeness). Those who suffer acne were more in negative online reviewers than in positive online reviewers. Postive e-WOM contained more Ingredients, Volume, Function, and Overall evaluation than negative e- WOM. Negative online reviews included Skin-suitability, Side effects, Use motivation, Brand comparison. While the number of emoticon use was not different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online reviews, the kinds of emoticon was different. And less polite style was used in negative reviews than in positive revie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